화명류취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명류취초》는 헤이안 시대에 편찬된 한자어의 일본어 훈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사본에 따라 표기가 다르며, 10권본과 20권본 두 가지 계통으로 나뉜다. 20권본은 일본 율령제 행정 구획 명칭을 망라하여 일본사 연구의 기본 자료로 활용되며, 10권본은 천지, 인륜, 형체, 질병 등 24부 128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20권본은 32부 249문으로 구성되어 10권본과 부의 분할, 통합, 명칭 및 배열에 차이가 있다. 다양한 판본과 사본이 존재하며, 에도 시대에는 20권본이 주로 간행되었다. 이 책은 일본 문학, 일본어학, 일본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고대 한국어와 일본어 비교 연구에도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3년 책 - 자연변증법
자연변증법은 엥겔스가 변증법적 유물론을 자연과학에 적용하여 과학적 발전과 철학적 사유를 결합하려 한 미완성 저작으로, 양질 전환의 법칙과 같은 변증법적 개념을 통해 자연과 사회 현상을 설명하려 했으나 시대적 한계로 일부 오류를 포함한다. - 1883년 책 - 플로라 다니카
플로라 다니카는 1753년 제안되어 1883년 완간된 덴마크의 식물 도감으로, 북대서양 지역 식물을 망라한 3,240개의 구리 판화로 구성되었으며 식물 삽화의 기준을 세웠고 삽화 도안을 활용한 식기 세트가 덴마크 왕실에서 사용되었다. - 일본어 사전 - 대한화사전
《대한화사전》은 모로하시 테츠지가 편찬하고 다이슈칸 쇼텐에서 출판한 대형 한자 사전으로, 약 5만 자의 친자와 53만 개의 어휘를 수록하고 방대한 어휘와 상세한 출전 표기가 특징이며, 일본의 문자 코드 제정 및 국제 표준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 일본어 사전 - 고지엔
고지엔은 신무라 이즈루가 편찬하고 이와나미 쇼텐에서 발행한 일본의 대표적인 국어 사전으로, 방대한 어휘와 상세한 해설로 권위를 인정받지만 역사 인식 관련 논쟁도 있었다.
화명류취초 | |
---|---|
기본 정보 | |
유형 | 일본어 한자 사전 |
저자 | 미나모토 시타고 |
쓰여진 시기 | 헤이안 시대 중기 |
언어 | 일본어 |
2. 구성
'''화명류취초'''는 「倭名類聚鈔」, 「倭名類聚抄」 등으로 표기할 수 있으며, 사본에 따라 표기가 일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和名抄」, 「倭名鈔」, 「倭名抄」 등으로 줄여 부른다. 크게 10권본과 20권본 두 가지 계통으로 나뉘며, 현존하는 사본들은 이 두 계통을 따른다. 가리야 에키사이는 10권본을 저본으로 연구하였으며, 가메다 지로는 20권본이 후인이 증보한 것으로 보았다.
20권본은 고대 일본 율령제 행정구획인 구니(国) ・ 고오리(郡) ・ 사토(郷)의 명칭을 망라하고 있어 일본 역사를 연구하는 기본 자료로 꼽힌다. 표기 방식은 구니 - 고오리 - 사토 순이었다. (예: 야마토국 葛下郡 神戸郷・山直郷・高額郷・加美郷・蓼田郷・品治(保無智)郷・當麻(多以末)郷) 다만 후세의 연구에서 사토 이름에 관한 오기가 적지 않다는 점이 확인되기도 한다.
2. 1. 10권본
wikitext24부 128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는 다음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부 | 내용 |
---|---|
천지부 | 천문, 기상, 신령, 물, 토석 |
인륜부 | 인간, 가족 |
형체부 | 몸의 각 부위 |
질병부 | 병 |
술예부 | 무예, 무구 |
거처부 | 주택, 도로 |
주차부 | 배, 수레 |
진보부 | 금, 은, 옥석 |
포백부 | 포 |
장속부 | 의류 |
음식부 | 식품 |
기명부 | 그릇, 접시 |
등화부 | 등화 |
조도부 | 일용품 |
우족부 | 새 |
모군부 | 짐승 일반 |
우마부 | 소, 말 |
룡어부 | 용족 및 어류 (魚|어일본어)악어, 돌고래 등을 포함) |
귀패부 | 거북류, 해생 동물 |
충치부 | 벌레 |
도곡부 | 벼, 곡물 |
채소부 | 채소 |
과라부 | 과일 |
초목부 | 초목 |
2. 2. 20권본
20권본은 10권본에 비해 부의 분할·통합·추가, 명칭 및 배열에 차이가 있으며, 32부 249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20권본의 부(部)는 다음과 같다.순서 | 부(部) | 내용 |
---|---|---|
1 | 천부(天部) | 천문·기상 |
2 | 지부(地部) | 토석 |
3 | 수부(水部) | 물 |
4 | 세시부(歲時部) | 역(曆) |
5 | 귀신부(鬼神部) | 신령 |
6 | 인륜부(人倫部) | 인간 |
7 | 친척부(親戚部) | 가족 |
8 | 형체부(形體部) | 신체의 각 부위 |
9 | 술예부(術藝部) | 무예·무기 |
10 | 음악부(音樂部) | 음악·악기 |
11 | 직관부(職官部) | 관청·관직 |
12 | 국군부(國郡部) | 국가·군명·향명 |
13 | 거처부(居處部) | 주거·도로 |
14 | 선부(船部) | 배 |
15 | 차부(車部) | 수레 |
16 | 우마부(牛馬部) | 소·말 |
17 | 보화부(寶貨部) | 금은·옥석 |
18 | 향약부(香藥部) | 향 |
19 | 등화부(燈火部) | 등불 |
20 | 포백부(布帛部) | 베 |
21 | 장속부(裝束部) | 의류 |
22 | 조도부(調度部) | 일용품 |
23 | 기명부(器皿部) | 그릇·접시 |
24 | 음식부(飮食部) | 음식 |
25 | 도곡부(稻穀部) | 벼·곡물 |
26 | 과라부(果蓏部) | 과일 |
27 | 채소부(菜蔬部) | 채소 |
28 | 우족부(羽族部) | 조류 |
29 | 모군부(毛群部) | 짐승 일반 |
30 | 린개부(鱗介部) | 파충류·양서류·어류·해양 동물 |
31 | 충치부(蟲豸部) | 벌레 |
32 | 초목부(草木部) | 초목 |
《화명류취초》는 《왜명류취초》, 《왜명류취초》라고도 표기되며, 그 표기는 사본에 따라 일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화명초》, 《왜명초》, 《왜명초》라고 약칭된다.
'''굵은 글씨'''로 표시된 것이 20권본 고유의 부, 또는 명칭이 변경된 부이다.
3. 판본 및 사본
권수는 10권 또는 20권으로, 내용에 큰 차이가 있어 '10권본', '20권본'으로 구분되며, 각 계통의 사본이 존재한다. 가메다 지로는 '20권본은 후세 사람이 증보한 것'이라고 보았다.
본서에는 완본·영본(단본)을 포함하여 수많은 사본이 존재한다. 에도 시대에는 판본 형태로도 간행되었으나, 10권본은 사본 형태로 유포되어 거의 간행되지 않았고, 20권본이 중점적으로 간행되었다.
3. 1. 10권본 사본
서사 시기 | 상태 | 소장처 | 비고 | |
---|---|---|---|---|
진복사본 | 가마쿠라 시대 | 권1~권2만 | 호쇼인(宝生院) 오스 관음(大須観音) 진복사 | |
이세 10권본 | 무로마치 시대 초기 | 권3~8만 | 신궁문고(神宮文庫) | |
다카마쓰노미야 본 | 에도 시대 전기 | 완본 | 국립역사민속박물관 | |
마쓰이본 | 에도 시대 전기 | 완본 | 세이카도 문고(静嘉堂文庫) | |
가리야 에키사이 자필 정본 | 에도 시대 후기 | 완본 | 국립공문서관 (구 내각문고) | 교정을 포함 |
마에다본 | 메이지 시대 | 완본 | 마에다 존경각(前田尊経閣) |
3. 2. 20권본 사본
서사 시기 | 상태 | 장서 | |
---|---|---|---|
고산사본 | 헤이안 시대 말기 | 권6~10만 현존 | 덴리 대학 부속 덴리 도서관 |
이세 20권본 | 무로마치 시대 초기 | 권1~2 및 권9~20만 현존 | 진구 문고 |
다이토큐 본 | 무로마치 시대 중기 | 완본 | 다이토큐 기념 문고 |
3. 3. 주요 판본
겐나 고활자본은 겐나 3년(1617년)에 나바 도엔이 교정하였다. 쇼와 7년(1932년)에 영인 복각될 때까지 거의 세상에 나오지 않았던 희귀본이었다. 게이안 판본은 게이안 원년(1648년)에, 칸분 판본은 칸분 11년(1671년)에 간행되었으며, 메이지 시대 초기까지 여러 번 인쇄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20권본의 또 다른 판본인 고잔지본(高山寺本)은 고대 율령제 하의 역(우마야)을 기록하고 있어 다른 20권본에서는 볼 수 없는 독자적인 본문을 가지고 있다. 본문의 이본도 많아, 특히 "국군부"를 볼 때 "겐나 고카쓰지본"과 함께 참조된다.
4. 의의 및 영향
헤이안 시대 당시 한자어의 일본어 훈(訓)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에도 시대 국학(国学) 발생 이후 헤이안 시대 이전의 어휘, 어음(語音), 사회, 풍속, 제도 등을 알 수 있는 일본 문학, 어학, 사학의 1급 사료로 평가받는다.[1]
20권본은 일본 고대 율령제에 따른 행정구획인 구니(国), 고오리(郡), 사토(郷)의 명칭을 망라하고 있어 일본 역사를 연구하는 기본 자료로 꼽힌다.[1]
다만, 후세 연구에서 사토 이름에 관한 오기가 적지 않다는 점이 확인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무사시 국(武蔵国) 고다마 군(児玉郡)의 기다 향(黄田郷)은 1986년 사이타마현 혼조 시(本庄市)에서 유적 발굴 조사 중 발견된 방추차 명문을 통해 구사다(草田郷)로 판명되어 《화명류취초》가 잘못 기재한 것으로 밝혀졌다.[1]
5. 비판적 검토
和名類聚抄|화명류취초일본어는 당시의 지식과 인식 수준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현대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20권본의 일부 향명(鄕名)에는 오기가 발견되기도 하므로, 다른 자료와 교차 검증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무사시 국(武蔵国) 고다마 군(児玉郡)의 기다 향(黄田郷)은 1986년 사이타마현 혼조 시(本庄市)에서 유적 발굴조사 중에 발견된 방추차 명문을 통해 구사다 향(草田郷)으로 판명되었다. 진보적 관점에서 和名類聚抄|화명류취초일본어에 기록된 신분, 계급, 성별 등에 대한 인식이 현대 사회의 가치와 충돌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Wamyō Ruijushō • . A History . . of Japan . 日本歴史
https://historyofjap[...]
2021-12-06
[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