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타이우는토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타이우는토끼는 우는토끼과에 속하는 대형종으로, 4개의 아종(O. a. alpina, O. a. cinereofusca, O. a. sushkini, O. a. changaica)으로 분류된다. 1773년 페터 시몬 팔라스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북방우는토끼, 아메리카우는토끼, 목도리우는토끼 등은 과거 아종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간주된다. 알타이우는토끼는 몸길이 152~235mm, 몸무게 226~360g이며, 다양한 털색을 보인다.
알타이우는토끼는 고비 사막과 인접한 지역, 동부 카자흐스탄, 러시아 남부, 중국 북부 등지에 분포하며, 바위가 많은 서식지에 주로 산다. 잡식성 초식동물로 이끼, 나무 가지 등을 먹으며, 가족 단위로 생활한다. 긴 울음소리, 짧은 휘파람 소리, 경계 울음소리 등 세 가지 발성을 낸다. 암컷의 다산성은 낮으며, 연평균 사망률은 41~53%로 알려져 있다. 알타이우는토끼는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안정적인 개체수를 유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3년 기재된 포유류 - 중가리아햄스터
중가리아햄스터는 겨울에 털 색깔이 흰색으로 변하는 특징을 가진 햄스터로, 다양한 털 색깔을 보이며 애완동물로 사육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고, 국제자연보전연맹에서 "관심 필요" 등급으로 분류되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1773년 기재된 포유류 - 군거밭쥐
- 카자흐스탄의 포유류 - 아르갈리
아르갈리는 중앙아시아 고산 지대에 서식하는 양속의 가장 큰 종으로, 수컷은 큰 나선형 뿔을 가지며 밀렵, 서식지 파괴, 가축과의 경쟁으로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존 노력이 필요한 동물이다. - 카자흐스탄의 포유류 - 쌍봉낙타
쌍봉낙타는 낙타속 동물로 두 개의 혹을 가지며 중앙아시아에 서식하고 짐 운반, 낙농, 모피 생산 등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으나 야생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고 가축화된 개체는 약 140만 마리가 있다. - 몽골의 포유류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몽골의 포유류 - 유럽비버
유럽비버는 유라시아에 서식하는 가장 큰 설치류로 멸종 위기를 극복하고 개체 수가 증가하여 습지 조성 등 생태계 유지에 기여하지만, 인간과의 갈등이 발생하고 유전적으로 북아메리카비버와 교배가 불가능하며 아종 분류는 유효하지 않다는 평가를 받는다.
2. 분류
- ''O. a. alpina'' (팔라스, 1773)
- ''O. a. changaica'' (오그네프, 1940)
- ''O. a. cinereofusca'' (슈렌크, 1858)
- ''O. a. sushkini'' (토마스, 1924)
1773년 독일의 동물학자이자 식물학자인 페터 시몬 팔라스는 자신의 저서 ''러시아 제국의 여러 지방 여행기''에서 알타이우는토끼를 처음으로 기술했다.[2] 알타이우는토끼는 우는토끼과(Ochotonidae)의 대형종이며, 현재 4개의 아종(''O. a. alpina'', ''O. a. cinereofusca'', ''O. a. sushkini'', ''O. a. changaica'')이 인정된다.[2]
북방우는토끼는 1941년 비노그라도프와 아르기로풀로, 1948년 아르기로풀로, 1964년 구레예프 등에 의해 알타이우는토끼의 아종으로 포함되었으나, 1973년 니콜라이 보론초프와 엘레나 이바니츠카야는 이들의 염색체 수 차이를 지적했다.[2] 1980년 블라디미르 소콜로프와 V. N. 오를로프는 몽골의 헨티 산맥과 항가이 산맥에서 서식지가 겹치는 이들을 별개의 종으로 취급했다.[2] 빙하기 이후 알타이우는토끼의 조상은 사얀 산맥과 알타이 산맥 빙하 경계 및 주요 북아시아 빙하기 주변 빙하지역으로 제한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3]
아메리카우는토끼와 목도리우는토끼 또한 1948년 A. I. 아르기로풀로, 1964년 A. A. 구레예프 등에 의해 알타이우는토끼의 아종으로 포함되었으나, 1981년 M. L. 웨스턴은 이들이 알타이우는토끼와 형태학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밝혀냈다. 1986년 코르베트와 J. E. 힐은 이들을 별개의 종으로 취급했다. ''O. a. sushkini''는 이전에는 팔라스우는토끼의 아종이었지만, 현재는 알타이우는토끼의 아종이다.[2] 헬란 산 우는토끼와 호프만우는토끼는 이전에는 알타이우는토끼의 아종이었지만, 현재는 염색체 수, 형태, 생체음향 행동을 기반으로 독립된 종으로 간주된다.[2][4]
2. 1. 아종
현재 4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10]- ''O. a. alpina'' (팔라스, 1773)
- ''O. a. changaica'' (오그네프, 1940)
- ''O. a. cinereofusca'' (슈렌크, 1858)
- ''O. a. sushkini'' (토마스, 1924)
1773년 독일의 동물학자이자 식물학자인 페터 시몬 팔라스는 자신의 저서 ''러시아 제국의 여러 지방 여행기''에서 알타이우는토끼를 처음으로 기술했다.[2] 북방우는토끼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알타이우는토끼의 아종으로 포함되었으나, 1973년 니콜라이 보론초프와 엘레나 이바니츠카야는 이들의 염색체 수 차이를 지적했다. 1980년 블라디미르 소콜로프와 V. N. 오를로프는 몽골의 헨티 산맥과 항가이 산맥에서 서식지가 겹치는 이들을 별개의 종으로 취급했다.[2] ''O. a. sushkini''는 이전에는 팔라스우는토끼의 아종으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알타이우는토끼의 아종이다. 헬란 산 우는토끼와 호프만우는토끼는 이전에는 알타이우는토끼의 아종으로 포함되었지만, 현재는 염색체 수, 형태, 그리고 생체음향 행동을 기반으로 독립된 종으로 간주된다.[2][4]
2. 2. 과거 분류
1773년 독일의 동물학자이자 식물학자인 페터 시몬 팔라스는 자신의 저서 ''러시아 제국의 여러 지방 여행기''에서 알타이우는토끼를 처음으로 기술했다.[2] 알타이우는토끼는 우는토끼과(Ochotonidae)의 대형종이며, 현재 4개의 아종(''O. a. alpina'', ''O. a. cinereofusca'', ''O. a. sushkini'', ''O. a. changaica'')이 인정된다.[2]북방우는토끼는 1941년 비노그라도프와 아르기로풀로, 1948년 아르기로풀로, 1964년 구레예프 등에 의해 알타이우는토끼의 아종으로 포함되었으나, 1973년 니콜라이 보론초프와 엘레나 이바니츠카야는 이들의 염색체 수 차이를 지적했다.[2] 1980년 블라디미르 소콜로프와 V. N. 오를로프는 몽골의 헨티 산맥과 항가이 산맥에서 서식지가 겹치는 이들을 별개의 종으로 취급했다.[2] 빙하기 이후 알타이우는토끼의 조상은 사얀 산맥과 알타이 산맥 빙하 경계 및 주요 북아시아 빙하기 주변 빙하지역으로 제한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3]
아메리카우는토끼와 목도리우는토끼 또한 1948년 A. I. 아르기로풀로, 1964년 A. A. 구레예프 등에 의해 알타이우는토끼의 아종으로 포함되었으나, 1981년 M. L. 웨스턴은 이들이 알타이우는토끼와 형태학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밝혀냈다. 1986년 코르베트와 J. E. 힐은 이들을 별개의 종으로 취급했다. ''O. a. sushkini''는 이전에는 팔라스우는토끼의 아종이었지만, 현재는 알타이우는토끼의 아종이다.[2] 헬란 산 우는토끼와 호프만우는토끼는 이전에는 알타이우는토끼의 아종이었지만, 현재는 염색체 수, 형태, 생체음향 행동을 기반으로 독립된 종으로 간주된다.[2][4]
3. 형태
알타이우는토끼는 몸길이가 152~235mm이고, 길고 둥근 귀의 길이는 17~26mm이며, 몸무게는 226~360g이다.[5] 두개골은 좁고, 길이는 41~54mm이며, 북방우는토끼의 두개골보다 덜 둥글고 더 길다. 또한, 알타이우는토끼는 더 긴 주둥이를 가지고 있으며, 두개골 뒤쪽이 더 아래로 구부러져 있고, 고실이 북방우는토끼에 비해 더 깊고 훨씬 좁다. 두정골은 앞쪽으로 튀어나와 두정골간골과 경사진 각도를 이룬다. 크고 두꺼운 광대뼈를 가지고 있다.[5]
다양한 아종의 여름 털색은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어둡거나 계피색 갈색이다. 등은 칙칙하고, 황색을 띠며, 황토색-회색을 띠고, 털 끝은 어두운 갈색에서 검은색이다. 측면은 녹슨 붉은색을 띠고, 아랫면은 옅은 황색 황토색이다. 겨울에는 털색이 회색으로 변하고 황색을 띤다. 아랫면은 회갈색이 되고, 앞쪽의 등과 머리는 노란색을 띤다. 절치공은 둥글고 작으며, 구개공에서 분리되어 있다.[5]
동소성 지역에서 지리적 및 계절적 변동에도 불구하고, 성체 알타이우는토끼는 신체 측정에서 성체 북방우는토끼보다 크고, 일반적으로 더 칙칙한 색상을 띤다.
4. 분포 및 서식지
알타이우는토끼는 고비 사막과 접해 있는 서부 몽골의 산악 지역, 동부 카자흐스탄, 러시아 남부 (투바, 이르쿠츠크, 알타이, 크라스노야르스크) 및 중국 (신장 북부 및 헤이룽장)에 서식한다. 알타이, 항가이, 사얀과 같은 산맥에서 발견되며, 바이칼 호수의 동쪽과 남쪽에서 아무르강 유역까지 분포한다. 고립된 알타이우는토끼 개체군은 닝샤 북서부-허시 주랑-간쑤 경계의 헬란 산맥에 존재한다.
이 동물은 바위가 많은 서식지에서 발견되는 경향이 있다. 절벽, 화산 또는 계곡 어깨의 기저부에 파편화된 암석 조각이 모여 있는 너덜 지대와 더 큰 돌과 바위 지역에 서식하지만, 늪이 있는 산지 툰드라나 초목이 없는 너덜 지대에는 서식하지 않는다. 또한 나무 뿌리 아래나 오래된 이끼 너덜 지대 속 굴에 살 수도 있다.
알타이우는토끼의 서식지는 공존 지역에서 고도 또는 미세 서식지에 의해 북부우는토끼와 분리되어 있으며, 북부우는토끼보다 더 높고 낮은 고도에서 산다. 알타이 산맥에서는 해발 400~2500m 높이에서 발견되며, 중국에서는 2000m 이상에서 발견된다.
1970년대 초, 알타이우는토끼 개체수의 설명할 수 없는 감소가 서부 사얀 산맥 전체에서 발생했다. 1977년 클레브니코프는 이것이 전염병 때문이라고 제안했지만, 그렇게 넓은 지역이 한꺼번에 영향을 받았는지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1986년 또는 1987년까지, 16~17년 전에 알타이우는토끼의 높은 개체수 밀도를 보였던 몇몇 지역은 낮은 번식률과 서식지의 고립적 특성으로 인해 이 종이 사라졌다.
5. 생태
알타이우는토끼는 잡식성 초식동물로, 주로 이끼, 나무 가지, 잣, 식물 줄기를 먹으며, 여름 동안 이를 모아 겨울에 사용할 건초 더미를 만든다.[5][1] 1984년 I.V. 트라비나의 추정에 따르면, 인구 밀도가 헥타르당 약 10~12마리일 때 이 건초 더미는 헥타르당 30kg에 달했다. 이 저장소는 때때로 순록과 같은 다른 종과 공유되기도 한다.[1] 1978년, 흘레브니코바는 알타이우는토끼가 서식하는 지역의 식물 다양성과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록했다. 여기에는 토양의 씨앗 함량 감소, 개화 식물의 비율 감소, 어린 나무를 먹는 우는토끼 때문에 시베리아 소나무와 같은 식물의 느린 천이가 포함된다. 그러나 건초 더미의 잔해는 식물 성장을 촉진하고 질소 친화성 식생(질소가 풍부한 식생)의 지점을 만드는 알갱이 축적을 촉진할 수 있다.
이 종은 가족 단위로 생활하며, 인구 밀도는 헥타르당 10~12마리이다.[5] 가족의 먹이 활동 영역은 서로 겹치지 않으며, 매년 거의 동일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다른 가족 그룹의 생활 영역은 더 넓고 서로 겹친다. 수컷과 암컷 모두 4월부터 12월까지 생활 영역 중앙 근처에 있는 돌 모서리에 목의 분비샘을 문지르는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다른 돌무더기 서식 우는토끼와 마찬가지로 암컷의 다산성은 낮으며, 해발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새끼의 크기가 줄어든다. A.F. 포타프키나는 한 배 새끼 수의 계절적 증가를 관찰했다. 평균적으로 서부 알타이 산맥의 암컷은 두 번의 출산을 하며, 북서 알타이와 서부 사얀 산맥에서는 2.7번의 출산을 한다. 후자의 경우 최대 10%가 세 번의 출산을 한다. 1984년 G.I. 마쿠신과 G.I. 오를로프는 알타이우는토끼의 연평균 사망률이 숲에 사는 개체군에서는 53%, 고산 지대에 사는 개체군에서는 41%로 결정했다. 대부분의 개체는 1~3세였다. 대부분의 개체군의 연간 인구 밀도 변동은 미미했다.
5. 1. 발성
알타이우는토끼는 세 가지 다른 발성을 낼 수 있다.[5] 긴 울음소리는 번식기 동안에만 ''O. a. alpina'', ''O. a. changaica'', 그리고 ''O. a. nitida'' 아종에서 들을 수 있다. 짧은 울음소리는 날카롭고 뚜렷한 휘파람 소리이며, 북방우는토끼의 짧고 높은 음조의 휘파람 소리와 쉽게 구별된다. 경계 울음소리는 포식자나 인간으로부터의 위험이 감지되는 즉시 발성되며, 다른 대부분의 우는토끼 종들의 울음소리보다 더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5]5. 2. 번식
알타이우는토끼는 가족 단위로 생활하며, 인구 밀도는 헥타르당 10~12마리이다.[5] 가족의 먹이 활동 영역은 서로 겹치지 않으며, 매년 거의 동일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다른 가족 그룹의 생활 영역은 더 넓고 서로 겹친다. 수컷과 암컷 모두 4월부터 12월까지 생활 영역 중앙 근처에 있는 돌 모서리에 목의 분비샘을 문지르는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이 관찰되었다.다른 돌무더기 서식 우는토끼와 마찬가지로 암컷의 다산성은 낮으며, 해발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새끼의 크기가 줄어든다. A.F. 포타프키나는 한 배 새끼 수의 계절적 증가를 관찰했다. 평균적으로 서부 알타이 산맥의 암컷은 두 번의 출산을 하며, 북서 알타이와 서부 사얀 산맥에서는 2.7번의 출산을 한다. 후자의 경우 최대 10%가 세 번의 출산을 한다. 1984년 G.I. 마쿠신과 G.I. 오를로프는 알타이우는토끼의 연평균 사망률이 숲에 사는 개체군에서는 53%, 고산 지대에 사는 개체군에서는 41%로 결정했다. 대부분의 개체는 1~3세였다. 대부분의 개체군의 연간 인구 밀도 변동은 미미했다.
5. 3. 기생충
알타이우는토끼는 ''Schizorchis altaica'', ''Cephaluris andrejevi'', ''Heligmosomum dubinini'', ''Eugenuris schumakovitschi'' 등 다양한 벌레 종을 포함한 내부 기생충을 가지고 있다.[6][7] ''Schizorchis altaica''는 알타이 산맥 남부에 서식하는 개체에서 발견되었고,[8] ''Heligmosomum dubinini''는 사얀 산맥과 알타이 산맥에 서식하는 개체에서 발견되었다.[7]6. 보존 상태
1996년 이후 알타이우는토끼는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는 이 종이 널리 분포하며, 개체수 감소가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개체수 현황에 대한 데이터 부족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여겨지며, 일부 고립된 개체군에서는 약간의 변동이 나타나고 있다. 중국과 몽골에서는 지역적으로 관심 필요종으로 적색 목록에 등재되어 있으며, 몽골 개체군의 약 12%가 보호 구역에서 발견된다.
참조
[1]
간행물
"''Ochotona alpina''"
2016
[2]
MSW3 Lagomorpha
[3]
논문
Comparative Karyology of North Palaearctic Pikas (Ochotona, Ochotonidae, Lagomorpha)
1973-01-01
[4]
논문
Geographical variation of skull characters in pikas (Ochotona, Lagomorpha) of thealpina-hyperborea group
2003-03-01
[5]
서적
A Guide to the Mammals of Chin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6]
논문
Helminths of Ochotona alpina Pall, in the Baikal region
1951
[7]
논문
New nematodes from Ochotona alpina Pall.
1967
[8]
논문
A new species of tapeworm belonging to the family Anoplocephalidae from Ochotona alpina
1951
[9]
간행물
"''Ochotona alpina''"
2016
[10]
MSW3 Lagomorph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