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암석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석원은 정원 장식 및 조경 요소로, 돌과 식물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자연 경관을 연출하는 형태를 말한다. 중국과 일본 정원에서 유래되었으며, 19세기 영국에서 알파인 식물 재배의 유행과 함께 본격적으로 발전했다. 암석원은 다양한 크기의 돌과 그 사이의 틈새에 심어진 식물로 구성되며, 고산 식물과 다육 식물이 주로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평강식물원,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등 여러 수목원에서 암석원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원 종류 - 장미원
    장미원은 오랜 역사를 지닌 정원으로, 다양한 장미 품종을 감상하고 연구하며 심리적 안정과 긍정적 감정을 얻을 수 있는 공간이다.
  • 정원 종류 - 텃밭
    텃밭은 채소 및 기타 식물을 재배하는 정원으로, 자가 소비, 레크리에이션, 시민 농원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중세 시대부터 19세기 영국에서 대중화되었고, 다양한 종류와 재배 방식을 가진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암석원
개요
캐나다 부차트 정원의 암석원
캐나다 부차트 정원의 암석원
정의암석을 사용하여 만든 정원
특징다양한 높이와 질감의 암석을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풍경을 연출
암석 틈새에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심어 아름다움을 더함
역사
기원알프스 지역의 자생 식물을 재배하던 것에서 유래
발전19세기 영국에서 유행
다양한 스타일의 암석원이 만들어짐
조성 방법
위치 선정햇빛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곳을 선택
암석 배치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암석을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느낌을 연출
암석의 방향과 각도를 고려하여 안정감과 균형감을 확보
식물 선택암석 틈새에서 잘 자라는 식물을 선택
다양한 색상과 질감의 식물을 사용하여 아름다움을 더함
식재식물의 뿌리가 암석에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
식물 간 간격을 적절히 유지하여 생육 환경을 조성
식물 종류
고산 식물에델바이스, 돌나물, 바위취 등
다육 식물세덤, 에케베리아, 하월시아 등
허브타임, 로즈마리, 라벤더 등
기타아이리스, 패랭이꽃, 할미꽃 등
관리
물주기겉흙이 마르면 충분히 물을 줌
비료봄, 가을에 비료를 줌
잡초 제거수시로 잡초를 제거
병충해 관리병충해가 발생하면 즉시 방제
암석원의 종류
알파인 암석원알파인 지역의 식물을 중심으로 조성한 암석원
스크리 암석원자갈과 모래를 사용하여 배수를 용이하게 한 암석원
벽면 암석원벽면에 암석을 쌓아 만든 암석원
컨테이너 암석원화분이나 용기에 암석과 식물을 심어 만든 암석원
기타
관련 용어고산 식물, 다육 식물, 허브
관련 장소부차트 정원, 큐 가든

2. 역사

암석을 정원 장식이나 상징적 요소로 사용한 것은 최소 1,500년 전 중국 정원일본 정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중국에서는 괴석을, 한국에서는 수석을 사용하였다.[3]

초기 유럽의 인공 암석원은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까지 조개 동굴과 유사한 방식으로 만들어졌다.[4] 1830년대부터 영국에서는 알파인 식물을 재배하는 암석원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Pulhamite는 James Pulham and Son에서 생산한 성공적인 인공 석재 재료였다.[5] 레지날드 파라는 1919년에 ''영국 록 가든''이라는 책을 출판했다.[6]

영국의 플레처 모스 식물원 내 암석원(고산 식물 배치)


영국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암석원이 정원 양식으로 유행했다.[18] 최근에는 태국과 같은 열대 국가와 캐나다에서도 암석원이 인기를 얻고 있다.[8][11]

2. 1. 세계의 암석원

암석을 정원 장식 및 상징적 요소로 사용한 것은 적어도 1,500년 전 중국 정원일본 정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중국에서는 강이나 폭포에서 풍화되어 기묘한 형태를 갖춘 부드러운 석회암과 같은 큰 괴석을 황실 정원과 엘리트 정원으로 장거리 운송했다. 한국의 수석이 이에 해당하며, 일본의 더 작은 수석은 일반적으로 실내 전시용이다.[3]

초기 유럽의 인공 암석원은 자연 경관을 모방하려 하지 않았으며, 장석, 용암, 조개껍질과 같은 이국적인 광물을 사용했으며, 고사리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별다른 계획 없이 식물을 선택했다. 이는 유행하던 조개 동굴과 유사한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이 시기는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까지 지속되었다.[4]

Pulhamite 폭포 in Albion Place Gardens, Ramsgate


식물학의 황금기(1700년대 초 ~ 1800년대 중반) 동안, 영국 및 기타 유럽 국가로 수입된 이국적인 식물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이 있었다. 알파인 식물을 재배하는 데 전념하는 암석원은 1830년대부터 영국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으며, 곧 상당한 유행이 되었다. 기업들은 막대한 비용으로 완전한 암석원을 공급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많은 곳에서 인공 석재 또는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때로는 페인트칠을 했지만, "진짜" 풍화된 돌이 선호되게 되었다. Pulhamite는 선도적인 회사인 James Pulham and Son에서 생산한 성공적인 재료였다.[5]

다른 사람들이 이전에 알파인 식물 재배에 대해 글을 썼지만, 주요 저작물은 레지날드 파라가 1919년에 출판한 그의 2권짜리 책, ''영국 록 가든''이었다.[6] 여성 참정권 투표 운동 행사에서 채석공들이 그녀에게 돌을 던졌을 때, 영국의 서프러제트 노라 볼스는 그 돌들을 주워 자신의 암석원에 추가하기 위해 가방에 넣었다.[7]

암석원은 태국과 같은 열대 국가에서 조경 요소로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8] 습한 날씨와 짙은 그늘을 드리우는 나무와 함께 원치 않는 식물 성장을 막기 위한 무거운 플라스틱 멀치 사용[9]은 유지 관리 및 배수가 용이하여 주거 및 상업 정원 모두에 이러한 배치를 이상적으로 만들었다.[10] 캐나다에서는 주민들이 더운 여름철에 정원 냉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11]

영국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정원 양식으로 암석원이 유행했다. 이는 알프스산맥의 자연을 본떠서 고산 식물을 배치하는 경우가 많았다.[18]

2. 2. 한국의 암석원

암석을 정원 장식 및 상징적 요소로 사용하는 것은 적어도 1,500년 전 중국 정원일본 정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중국에서는 강이나 폭포에서 풍화되어 기묘한 형태를 갖춘 부드러운 석회암과 같은 큰 괴석을 황실 정원과 엘리트 정원으로 장거리 운송했다. 한국의 수석이 이에 해당하며, 일본의 더 작은 수석은 일반적으로 실내 전시용이다.[3]

3. 암석원의 구성 요소

암석원은 다양한 크기의 돌을 미적으로 배열하고, 그 사이의 작은 틈새에 식물이 뿌리내리도록 구성하는 것이 표준 배치이다. 암석원에서 주로 발견되는 식물은 높이가 1미터를 넘지 않는 작은 식물이다.[12] 수목원 암석원처럼 그늘진 공간을 만들기 위해 최대 6미터 높이의 작은 나무와 관목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름난 돌을 가리지 않도록 통이나 낮은 지면에서 자라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13] 암석원의 식물은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잘 자라는 종이 일반적이다.

3. 1. 식물

바람꽃, 산미나리아재비, 애기금매화, 월귤나무, 애기금낭화, 구름국화, 시로미, 돌매화나무, 담자리꽃나무, 장백제비꽃, 홑잎뱀무 등이 고산식물(高山植物, alpine plant영어)에 해당한다.[19] 한국에서는 월귤나무, 산진달래 등이 자생한다. 대중에게 잘 알려진 에델바이스알프스에서 자라는 고산식물이다. 이 중 일부는 그늘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암석원의 그늘진 곳에 심을 수 있다.[19]

다육식물(多肉植物, succulent plant영어)은 일반 식물이 생존하기 어려운 건조 기후나 모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다육질의 잎에 물을 저장하고 있는 식물을 말한다. 알로에, 돌나물과 등의 많은 식물군이 다육 식물에 포함되는데 하나의 식물과에서도 일부 식물만이 다육 식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고산식물은 자생지에서 채취하면 안된다. 대부분의 고산식물은 개체수가 작고 평지에 옮겨심을 경우 생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고산식물의 씨앗을 채취하거나 육묘장(원예농장)에서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육식물을 구할 때는 다육식물을 주로 파는 가게에서 구하는게 좋다.

크기가 작은 고산식물과 다육식물은 한 개씩 심는 것 보다는 군식을 하는 것이 미관 및 번식을 위해 좋으므로 종류마다 여러 개씩 구입하는 것이 좋다.

3. 2. 돌

암석원에서 사용되는 돌은 다음과 같다.

  • 호박돌: 물가에서 나는 둥글게 생긴 돌이다.
  • 판석(板石): 나비에 비하여 두께가 얇은 석재로, 주로 바닥이나 도로를 까는 데 이용되지만 암석원에도 사용 가능하다.


암석원에 쓰이는 돌을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전문 석재 취급 판매점을 이용해 한꺼번에 구한다.
  • 차로 오가면서 하나씩 천천히 구한다. 좋은 돌을 구하기는 어렵지만, 보통 돌은 마음만 먹으면 쉽게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자연에 있는 돌을 무단으로 가져오면 불법행위로 처벌받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암석을 정원 장식 및 상징적 요소로 사용한 것은 적어도 1,500년 전 중국 정원일본 정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중국에서는 강이나 폭포에서 풍화되어 기묘한 형태를 갖춘 부드러운 석회암과 같은 큰 괴석을 황실 정원과 엘리트 정원으로 장거리 운송했다. 한국의 수석이 이에 해당하며, 일본의 더 작은 수석은 일반적으로 실내 전시용이다.[3]

3. 3. 기타

암석을 정원 장식 및 상징적 요소로 사용하는 것은 적어도 1,500년 전 중국 정원일본 정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중국에서는 강이나 폭포에서 풍화되어 기묘한 형태를 갖춘 부드러운 석회암과 같은 큰 괴석을 황실 정원과 엘리트 정원으로 장거리 운송했다. 한국의 수석이 이에 해당하며, 일본의 더 작은 수석은 일반적으로 실내 전시용이다.[3]

초기 유럽의 인공 암석원은 자연 경관을 모방하려 하지 않았으며, 장석, 용암, 조개껍질과 같은 이국적인 광물을 사용했고, 고사리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프로그램 없이 식물을 선택했다. 이는 유행하던 조개 동굴과 유사한 정신으로 만들어졌다. 이 단계는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까지 지속되었다.[4]

식물학의 황금기(1700년대 초 ~ 1800년대 중반) 동안, 영국 및 기타 유럽 국가로 수입된 이국적인 식물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이 있었다. 알파인 식물을 재배하는 데 전념하는 암석원은 1830년대부터 영국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으며, 곧 상당한 유행이 되었다. 기업들은 막대한 비용으로 완전한 암석원을 공급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많은 곳에서 인공 석재 또는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때로는 페인트칠을 했지만, "진짜" 풍화된 돌이 선호되게 되었다. Pulhamite는 선도적인 회사인 James Pulham and Son에서 생산한 성공적인 재료였다.[5]

다른 사람들이 이전에 알파인 식물 재배에 대해 글을 썼지만, 주요 저작물은 레지날드 파라가 1919년에 출판한 그의 2권짜리 책, ''영국 록 가든''이었다.[6] 여성 참정권 투표 운동 행사에서 채석공들이 그녀에게 돌을 던졌을 때, 영국의 서프러제트 노라 볼스는 그 돌들을 주워 자신의 암석원에 추가하기 위해 가방에 넣었다.[7]

암석원은 태국과 같은 열대 국가에서 조경 요소로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8] 습한 날씨와 짙은 그늘을 드리우는 나무와 함께 원치 않는 식물 성장을 막기 위한 무거운 플라스틱 멀치 사용[9]은 유지 관리 및 배수가 용이하여 주거 및 상업 정원 모두에 이 유형의 배치가 이상적으로 만들었다.[10] 캐나다에서는 주민들이 더운 여름철에 정원 냉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11]

4. 암석원의 형식


  • 크고 작은 돌을 듬성듬성 배치한 암석원
  • 다양한 색깔의 돌을 무더기로 쌓아서 만든 암석원
  • 비슷한 돌을 같은 방향으로 놓아 만든 암석원
  • 큰 돌로 원형을 만들고 그 안에 흙을 채운 다음, 식물을 심고 남는 공간에 작은 돌로 채운 암석원
  • 방부목이나 석재로 만들어진 사각형의 컨테이너에 돌과 식물을 적당히 배치한 암석원
  • 판판하고 길쭉한 모양의 판석을 일정 방향으로 세워서 조성한 암석원
  • 울타리 경계나 산 아래에 암석원을 조성하여 한쪽 방향에서 바라볼 수 있는 경계화단(border)형 암석원
  • 여러 개의 암석원을 작은 언덕 형태로 만들어 관람객이 순회하면서 볼 수 있는 사방화단(bed)형 암석원


암석원의 표준 배치는 다양한 크기의 돌을 미적으로 배열하여 구성되며, 그 사이의 작은 틈새에는 식물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한다.[12] 일반적으로 암석원에서 발견되는 식물은 작으며 높이가 1미터를 넘지 않는다.[12] 수목원 암석원을 위한 그늘진 공간을 만들기 위해 최대 6미터 높이의 작은 나무와 관목을 사용할 수도 있다.[13] 사용되는 경우, 이름난 돌들을 가리지 않도록 통이나 낮은 지면에서 자라는 경우가 많다.[13] 암석원에서 발견되는 식물은 일반적으로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잘 자라는 종이다.

5. 암석원 조성 방법

암석원의 표준 배치는 다양한 크기의 돌을 미적으로 배열한 무더기로 구성되며, 그 사이의 작은 틈새에는 식물이 뿌리내린다. 일반적으로 암석원에서 발견되는 식물은 작으며 높이가 1m를 넘지 않지만,[12] 수목원 암석원을 위한 그늘진 공간을 만들기 위해 최대 6m 높이의 작은 나무와 관목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경우, 이름난 돌들을 가리지 않도록 통이나 낮은 지면에서 자라는 경우가 많다.[13] 암석원에서 발견되는 식물은 일반적으로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잘 자라는 종이다.

6. 암석원의 특징

암석원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자연주의적 식재를 택하며, 이는 고산 영감이라는 자연 모방의 한 형태이다.
  • 고원 초지의 자유 배수되는 건조 조건을 모방할 목적으로 디자인되었다.
  • 식물과 암석의 조화 및 자생지의 생육 환경을 최대한 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일반인이 쉽게 접하기 힘든 고산식물이나 다육식물을 관찰하는 공간이다.
  • 다양한 크기의 돌을 미적으로 배열하고, 그 사이의 작은 틈새에 식물이 뿌리내리도록 구성한다.
  • 일반적으로 암석원에서 발견되는 식물은 작으며 높이가 1미터를 넘지 않으나,[12] 수목원 암석원을 위한 그늘진 공간을 만들기 위해 최대 6미터 높이의 작은 나무와 관목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경우, 이름난 돌들을 가리지 않도록 통이나 낮은 지면에서 자라는 경우가 많다.[13]
  • 암석원에서 발견되는 식물은 일반적으로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잘 자라는 종이다.

7. 유명한 암석원



영국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정원 양식으로 암석원이 유행했다. 알프스산맥의 자연을 본떠서 고산 식물을 배치하는 경우가 많았다.[18]

일본 정원의 다이센인 (1509–1513) : 산, 폭포, 자갈 "강"을 표현하였다.


샌프란시스코의 하기와라 일본식 찻집 정원, 차 정원.

7. 1. 세계

암석을 정원 장식 및 상징적 요소로 사용하는 것은 적어도 1,500년 전 중국 정원일본 정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중국에서는 강이나 폭포에서 풍화되어 기묘한 형태를 갖춘 부드러운 석회암과 같은 큰 괴석을 황실 정원과 엘리트 정원으로 장거리 운송했다. 한국의 수석이 이에 해당하며, 일본의 더 작은 수석은 일반적으로 실내 전시용이다.[3]

초기 유럽의 인공 암석원은 자연 경관을 모방하려 하지 않았으며, 장석, 용암, 조개껍질과 같은 이국적인 광물을 사용했으며, 고사리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프로그램 없이 식물을 선택했다. 이는 유행하던 조개 동굴과 유사한 정신으로 만들어졌다. 이 단계는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까지 지속되었다.[4]

식물학의 황금기(1700년대 초 ~ 1800년대 중반) 동안, 영국 및 기타 유럽 국가로 수입된 이국적인 식물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이 있었다. 알파인 식물을 재배하는 데 전념하는 암석원은 1830년대부터 영국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으며, 곧 상당한 유행이 되었다. 기업들은 막대한 비용으로 완전한 암석원을 공급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많은 곳에서 인공 석재 또는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때로는 페인트칠을 했지만, "진짜" 풍화된 돌이 선호되게 되었다. Pulhamite는 선도적인 회사인 James Pulham and Son에서 생산한 성공적인 재료였다.[5]

다른 사람들이 이전에 알파인 식물 재배에 대해 글을 썼지만, 주요 저작물은 레지날드 파라가 1919년에 출판한 그의 2권짜리 책, ''영국 록 가든''이었다.[6] 여성 참정권 투표 운동 행사에서 채석공들이 그녀에게 돌을 던졌을 때, 영국의 서프러제트 노라 볼스는 그 돌들을 주워 자신의 암석원에 추가하기 위해 가방에 넣었다.[7]

암석원은 태국과 같은 열대 국가에서 조경 요소로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8] 습한 날씨와 짙은 그늘을 드리우는 나무와 함께 원치 않는 식물 성장을 막기 위한 무거운 플라스틱 멀치 사용[9]은 유지 관리 및 배수가 용이하여 주거 및 상업 정원 모두에 이 유형의 배치가 이상적으로 만들었다.[10] 캐나다에서는 주민들이 더운 여름철에 정원 냉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11]

영국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정원 양식으로 암석원이 유행했다. 이는 알프스산맥의 자연을 본떠서 고산 식물을 배치하는 경우가 많았다.[18]

7. 2. 한국

한국에서 암석원을 보유한 식물원은 다음과 같다.

식물원명위치
평강식물원 암석원[1]경기도 포천시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암석원경상북도 봉화군
한밭수목원 암석원대전광역시
천리포수목원 암석원충청남도 태안군



참조

[1] 문서 Oxford
[2] 문서 Oxford
[3] 문서 Oxford
[4] 문서 Oxford
[5] 문서 Oxford
[6] 서적 Reginald Farrer, The English rock-garden https://www.biodiver[...]
[7] 웹사이트 Blue plaque in Tynemouth to commemorate remarkable women's rights campaigner https://www.chronicl[...] 2022-03-03
[8] 서적 Thai Garden Style Asia Books Co., Ltd.
[9] 웹사이트 Thai Rock Gardens http://www.thaigarde[...] Thai Garden Design 2013-02-12
[10] 웹사이트 Plant Maintenance a Pain? Stone Gardens Are the Way To Go! http://www.thaigarde[...] Thai Garden Design 2013-02-12
[11] 웹사이트 Gale OneFile: News - Document - From pool to pavilion: Dundas home owner swaps backyard swimming for rock garden. https://go.gale.com/[...] 2020-11-17
[12] 웹사이트 Rock Gardening: plants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e Society 2016-03-21
[13] 웹사이트 Sink and trough gardening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e Society 2016-03-21
[14] 서적 Thai Garden Style Asia Books Co., Ltd.
[15] 웹사이트 Thai Rock Gardens http://www.thaigarde[...] Thai Garden Design 2013-02-12
[16] 웹사이트 Plant Maintenance a Pain? Stone Gardens Are the Way To Go! http://www.thaigarde[...] Thai Garden Design 2013-02-12
[17] 간행물 玉生志郎「地学教育に活かす身近な地形・地層・岩石と地質断面図」 https://secure.jtbco[...]
[18] 간행물 橘セツ「庭園をめぐるライフヒストリー/ライフジオグラフィー」『神戸山手大学紀要』第8号(2006年12月) https://cir.nii.ac.j[...] 2006-12
[19] 보고서 국립생태원 고산정원 조성방안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