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압둘라 왕 운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압둘라 왕 운하는 요르단에 위치한 총 길이 110km의 운하로, 야르무크강 등을 수원으로 하여 암만에 연간 9천만 m3의 식수를 공급한다. 1959년 건설을 시작하여 1961년 1단계가 완공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확장 공사를 거쳤다.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으로 인해 서안 지구로의 확장 계획은 중단되었으며, 이후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와의 분쟁으로 인해 운하가 피해를 입기도 했다. 운하는 수질 오염 및 안전 문제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르단강 - 야르데닛
    야르데닛은 이스라엘 요르단강에 위치한 기독교 세례지로, 예수의 세례를 기념하며 순례객들을 위한 시설과 관광 명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 요르단강 - 평화의 섬
    평화의 섬은 요르단강에 위치하며, 수력 발전소 건설로 형성되었고, 1994년 이스라엘-요르단 평화 조약에 따라 요르단에 양도되어 이스라엘 농부들이 경작해 왔으며, 2019년 요르단이 완전한 통제권을 행사하게 되었다.
  • 운하 - 오대호 수로
    오대호 수로는 북아메리카 오대호와 세인트로렌스강을 연결하여 오대호 지역의 주요 수운 교통로 역할을 하며 대서양에서 오대호 깊숙이 대형 선박이 운항할 수 있도록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환경 오염 문제에 직면하여 미국과 캐나다가 공동으로 환경 보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운하 - 화성의 운하
    화성의 운하는 19세기 말 천문학자들이 화성 표면에서 발견했다고 주장한 선형 지형으로, 인공적인 수로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착시 현상 또는 자연 지형으로 밝혀졌다.
  • 물과 정치 - 한반도 대운하
    한반도 대운하 사업은 이명박 정부의 대규모 국토 개발 사업이었으나 환경 훼손 및 경제적 비효율성 논란으로 국민적 반대에 부딪혀 무산되었고, 이후 4대강 정비 사업으로 전환되었으나 환경 파괴 및 예산 낭비 논란이 지속되며 대규모 국책 사업 추진 시 사회적 합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물과 정치 - 세계 화장실의 날
    세계 화장실의 날은 2001년 잭 심에 의해 제정되어 11월 19일이며, 유엔 총회에서 공식 기념일로 선포되어 위생의 중요성을 알리고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촉구한다.
압둘라 왕 운하
개요
명칭압둘라 왕 운하
다른 명칭카나트 알 고르 알 샤르키야 (아랍어: قناة الغور الشرقية)
동 고르 운하
종류관개 운하 시스템
위치요르단
지리
설명요르단 계곡을 따라 위치함
특징
중요성요르단에서 가장 큰 관개 운하 시스템

2. 수원 및 기술적 사항

압둘라 왕 운하는 야르무크강과 야르무크 계곡의 알무카이베 우물, 그리고 남쪽의 얍복강과 탈랄 왕 댐에서 물을 공급받는다.[7] 1994년 이스라엘–요르단 평화 조약에 따라 야르무크강 물 일부는 파이프를 통해 티베리아스호에 저장된다.[2] 운하는 북쪽 입구에서 초당 20m3, 남쪽 출구에서 초당 2.3m3의 설계 용량을 가지며, 총 길이 110km에 걸쳐 물이 중력에 의해 흐른다.[8] 해수면 기준 북쪽 고도는 -230m, 남쪽 고도는 -400m이다.

2. 1. 추가 수원

압둘라 왕 운하의 주요 수원은 야르무크강과 야르무크 계곡에 있는 알무카이베 우물이며, 남쪽으로는 얍복강과 탈랄 왕 댐에서 추가로 물이 유입된다. 1994년 체결된 이스라엘–요르단 평화 조약에 따라, 야르무크강의 물 일부는 주기적으로 파이프를 통해 티베리아스호에 저장된다.[7][2] 운하의 설계 용량은 북부 입구에서 초당 20 m3, 남쪽 출구에서 초당 2.3 m3이다. 총 길이 110 km에 걸쳐 물은 중력에 따라 아래로 흐르며,[8] 해수면 기준 북쪽 고도는 -230 m, 남쪽 고도는 -400 m이다. 1980년대 중반과 2000년대 초 두 번에 걸쳐 건설된 데이르 알라-암만 수로를 통해, 압둘라 왕 운하에서 암만에 연간 9000만 m3의 음용수가 공급된다. 자르카강은 처리된 폐수와 자연 수류가 섞여 있어, 압둘라 왕 운하로 유입되는 자르카강 하류의 수질에 영향을 미친다.

2. 2. 물 분배

압둘라 왕 운하의 수원은 야르무크강과 야르무크 계곡에 있는 알무카이베 우물이며, 남쪽으로 가면 얍복강과 탈랄 왕 댐에서 추가로 물이 유입된다. 1994년 체결된 이스라엘–요르단 평화 조약에 따라, 야르무크강의 물 일부는 주기적으로 파이프를 통해 티베리아스호에 저장된다.[7][2] 운하의 설계 용량은 북부 입구에서 초당 20m3, 남쪽 출구에서 초당 2.3m3이다. 총 길이 110km에 걸쳐 물은 중력에 따라 아래로 흐르며, 해수면을 기준으로 한 북쪽의 고도는 -230m, 남쪽의 고도는 -400m이다. 1980년대 중반과 2000년대 초 두 번에 걸쳐 건설된 데이르 알라-암만 수로를 통해, 압둘라 왕 운하에서 암만에 연간 9000만 m3가 공급된다. 자르카강은 처리된 폐수와 자연 수류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압둘라 왕 운하로 유입되는 자르카강 하류의 수질에 영향을 미친다.

2. 3. 지리적 특징

압둘라 왕 운하의 주요 수원지는 야르무크강과 야르무크 계곡 내의 알무카이베 우물이다. 남쪽으로 가면 얍복강(자르카강)과 탈랄 왕 댐에서 추가로 물이 유입된다.[7] 1994년 체결된 이스라엘–요르단 평화 조약에 따라, 야르무크강의 물 일부는 주기적으로 파이프를 통해 티베리아스호에 저장된다.[2]

운하의 설계 용량은 북부 입구에서 초당 20m3, 남쪽 출구에서 초당 2.3m3이다. 총 길이 110km에 걸쳐 물은 중력에 따라 아래로 흐르며,[8] 해수면을 기준으로 한 북쪽의 고도는 -230m, 남쪽의 고도는 -400m이다. 1980년대 중반과 2000년대 초 두 번에 걸쳐 건설된 데이르 알라-암만 수로를 통해, 압둘라 왕 운하에서 암만에 연간 9000만m3의 음용수가 공급된다. 자르카강은 처리된 폐수와 자연 수류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압둘라 왕 운하로 유입되는 자르카강 하류의 수질에 영향을 미친다.

2. 4. 암만으로의 물 공급

압둘라 왕 운하의 주요 수원지는 야르무크강과 야르무크 계곡 내의 알무카이베 우물이다. 남쪽으로 가면 얍복강(자르카강)과 탈랄 왕 댐에서 추가로 물이 유입된다.[7] 1994년 체결된 이스라엘–요르단 평화 조약에 따라, 야르무크강의 물 일부는 주기적으로 파이프를 통해 티베리아스호에 저장된다.[7][2]

운하의 설계 용량은 북부 입구에서 초당 20m3, 남쪽 출구에서 초당 2.3m3이다. 총 길이 110km에 걸쳐 물은 중력에 따라 아래로 흐르며,[8] 해수면을 기준으로 한 북쪽의 고도는 -230m, 남쪽의 고도는 -400m이다. 1980년대 중반과 2000년대 초 두 번에 걸쳐 건설된 데이르 알라-암만 수로를 통해, 압둘라 왕 운하에서 암만에 연간 9천만 m3의 음용수가 공급된다. 자르카강은 처리된 폐수와 자연 수류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압둘라 왕 운하로 유입되는 자르카강 하류의 수질에 영향을 미친다.

2. 5. 수질

압둘라 왕 운하의 주요 수원지는 야르무크강과 야르무크 계곡 내의 알무카이베 우물이다. 남쪽으로 가면 얍복강(와디 엘-아랍)과 탈랄 왕 댐에서 추가로 물이 유입된다.[7] 1994년 체결된 이스라엘–요르단 평화 조약에 따라, 야르무크강의 물 일부는 주기적으로 파이프를 통해 티베리아스호에 저장된다.[2]

운하의 설계 용량은 북부 입구에서 초당 20m3, 남쪽 출구에서 초당 2.3m3이다. 총 길이 110km에 걸쳐 물은 중력에 따라 아래로 흐르며,[8] 해수면을 기준으로 한 북쪽의 고도는 -230m, 남쪽의 고도는 -400m이다. 1980년대 중반과 2000년대 초 두 번에 걸쳐 건설된 데이르 알라-암만 수로를 통해, 압둘라 왕 운하에서 암만에 연간 9000만 m3의 음용수가 공급된다.

얍복강은 처리된 폐수와 자연 수류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압둘라 왕 운하로 유입되는 얍복강 하류의 수질에 영향을 미친다.

3. 역사

1998년, 운하에 기름이 유입되어 물 공급이 일부 중단되었다. 요르단의 일부 단체는 이스라엘이 의도적으로 운하를 오염시키고 있다고 주장하였다.[12]

3. 1. 초기 건설

압둘라 왕 운하는 1957년 설계된 후 1959년 건설을 시작해, 1961년 1단계 건설이 완료되었다. 1966년에는 얍복강까지 이어지는 상류 구간이 완공되어 총 길이가 70 km가 되었으며, 1969년부터 1987년까지 세 차례 연장 공사가 있었다. 미국 국제개발처야르무크강에서 더 이상 물을 빼내지 않겠다는 요르단 정부의 확약을 받아낸 후, 운하 건설 자금을 지원하였다.[9][10][3][4] 미국은 후속 단계에도 관여했다.

당초 운하는 서안 지구에서 '고르 서부 운하'까지 건설한다는 더 큰 계획의 일부였으나,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당시 요르단 지배 하의 서안 지구이스라엘이 점령해 서부 운하는 건설되지 못했다. 제3차 중동 전쟁 후 팔레스타인 해방기구는 요르단에 거점을 두고 요르단 계곡의 이스라엘 정착촌에 미사일 공격을 가하여 관개 시설이 일부 피해를 보았으며, 운하가 실질적인 사용 불능 상태가 되었다. 최종적으로 운하는 미국의 중재 하에 후세인 1세가 요르단 내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활동을 억제한 후 수리되었다.[11][5]

3. 2. 확장

압둘라 왕 운하는 1957년에 설계되어 단계별로 건설되었다. 1959년에 건설이 시작되었고, 1961년에 1단계 건설이 완료되었다. 1966년에는 얍복강까지 이어지는 상류 구간이 완공되어 운하의 길이는 70km가 되었으며, 이후 1969년부터 1987년까지 세 차례 연장 공사가 있었다.[9][10][3][4] 미국은 미국 국제 개발처(USAID)를 통해 존스턴 계획에 따라 요르단에 할당된 양보다 더 많은 물을 야르무크강에서 인출하지 않겠다는 요르단 정부의 확약을 받은 후, 초기 단계에 자금을 지원했다.[3][4] 미국은 이후 단계에도 관여했다.

원래 운하는 더 큰 계획의 일부였는데, 이 계획은 야르무크강에 두 개의 저수 댐과 요르단 서안 지구에 '고르 서부 운하'를 건설하는 것을 포함했다. 그러나 1967년 6일 전쟁 당시 요르단 지배 하의 서안 지구이스라엘이 점령하면서 서부 운하는 건설되지 못했다. 6일 전쟁 이후,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는 요르단 내 기지에서 요르단 계곡의 이스라엘 정착촌을 공격했고, 여기에는 수자원 시설에 대한 공격도 있었다. 이스라엘은 후세인 국왕이 PLO를 제압하도록 요르단을 급습했다. 운하는 이러한 급습으로 최소 네 차례 표적이 되어 사실상 사용 불능 상태가 되었다. 미국이 개입하여 분쟁을 해결했고, 후세인이 PLO 활동을 중단하겠다고 약속한 후 운하는 수리되었다.[5][11]

3. 3. 미국의 지원

미국 국제개발처는 요르단 정부가 야르무크강에서 더 이상 물을 빼내지 않겠다는 확약을 받아낸 후, 운하 건설 자금을 지원하였다.[9][10] 미국은 이후 단계에도 관여하였다.

3. 4. 서안 지구 계획

원래 운하는 서안 지구에 '고르 서부 운하'를 건설한다는 더 큰 계획의 일부였으나,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당시 요르단 지배 하의 서안 지구이스라엘이 점령하면서 서부 운하는 건설되지 못했다.[11] 제3차 중동 전쟁 후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요르단에 거점을 두고 요르단 계곡의 이스라엘 정착촌을 미사일로 공격하여, 관개 시설 일부가 피해를 입고 운하가 사실상 사용 불능 상태가 되었다.[11] 결국 운하는 미국의 중재로 후세인 1세가 요르단 내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활동을 억제한 후 수리되었다.[11]

3. 5.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와의 갈등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는 요르단에 거점을 두고 요르단 계곡의 이스라엘 정착촌에 미사일 공격을 가하여, 관개 시설이 일부 피해를 입었으며 운하는 사실상 사용 불능 상태가 되었다.[11] 이스라엘은 후세인 1세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를 제압하도록 강요하기 위해 요르단에 급습으로 대응했고, 운하는 이러한 급습 중 최소 네 차례의 표적이 되었다. 최종적으로 운하는 미국의 중재 하에 후세인 1세가 요르단 내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활동을 억제한 후 수리되었다.[5]

4. 문제점

해당 지역은 기온이 높아 여름철 운하에서 수영하는 어린이들이 많아 안전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2010년에는 5살과 10살 어린이 2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8]

4. 1. 수질 오염

1998년, 운하에 기름이 유입되어 운하를 통한 물 공급이 일부 중단되었다. 요르단의 일부 단체는 이스라엘이 의도적으로 운하에 공급되는 물을 오염시키고 있다고 주장하였다.[12]

4. 2. 안전 문제 (익사 사고)

해당 지역은 기온이 높아 여름철 운하에서 수영하는 어린이들이 많아 안전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2010년에는 5살과 10살 어린이 2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8]

4. 2. 1. 대책

해당 지역은 기온이 높아, 여름에 해당하는 6월 경 운하에서 수영하는 어린이들이 많으나, 이를 실질적으로 막을 방법이 없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2010년에 5살과 10살 어린이 2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후, 요르단 당국은 운하 양쪽에 울타리를 세웠으나, 울타리를 뚫고 들어가는 문제는 계속되고 있다.[8]

참조

[1] 웹사이트 The Jordan Valley https://web.archive.[...] 2008-12-26
[2] 간행물 Article on the Water Management System for the Jordan Valley http://www.riob.org/[...] INBO 2009-10-09
[3] 서적 Water Resources in Jordan RFF Press 2006
[4] 간행물 Aquastat:Jordan http://www.fao.org/n[...] FAO 2009-04-19
[5] 서적 The Law of International Watercours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6] 웹인용 The Jordan Valley https://web.archive.[...] 2008-12-26
[7] 간행물 Article on the Water Management System for the Jordan Valley http://www.riob.org/[...] INBO 2009-10-09
[8] 뉴스 الغور الشمالي: 1300 بركة زراعية تنذر بزيادة "ضحايا الغرق" في المنطقة http://www.jordanzad[...] 2011-07-03
[9] 서적 Water Resources in Jordan RFF Press 2006
[10] 간행물 Aquastat:Jordan http://www.fao.org/n[...] FAO 2009-04-19
[11] 서적 The Law of International Watercours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2] 뉴스 العضايلة معلقاً عل تلويث المياه:الأردنيون لم تعد تقنعهم تبريرات الحكومة لاستمرار "وادي عربة http://alarrabnews.c[...] صحيفة العرّا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