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수리 고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약수리 고분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널방과 작은 앞방으로 구성된 벽화 고분이다. 앞방에는 부엌, 방앗간, 사냥, 외양간 등의 그림이, 널방에는 묘주 내외, 사신도, 해, 달, 별, 구름 등이 그려져 있다. 묘주 내외 그림이 앞방에서 널방으로 옮겨지고 사신도가 확대된 점으로 미루어 고구려 벽화고분 전기의 말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약수리 벽화고분은 고구려의 생활상과 사후 세계관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서, 당시의 복식, 건축, 사냥, 의례 등을 연구하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창랑호 납북 사건
창랑호 납북 사건은 1996년 북한 무장 공비가 한국 어선을 납치하여 북한은 자발적 월북을 주장했으나 피랍자 가족들은 부인했고, 유엔군 중재로 일부는 귀환했으나 일부 납치범들은 도주했으며, 이 사건은 북한 인권 탄압과 대한민국 안보 취약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 강서구역 - 수산리 고분
수산리 고분은 고구려 시대의 단실분으로,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연도와 묘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 벽화에는 인물풍속도를 주제로 당시 귀족의 생활상이 묘사되어 있다. - 강서구역 - 강서대묘
강서대묘는 널방에 사신도 등 벽화가 그려진 원형 분구 형태의 고구려 고분으로, 화강암 널방과 모줄임천장 구조, 철선묘법의 사신도 벽화가 특징이며 7세기 초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약수리 고분 | |
---|---|
개요 | |
![]() | |
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강서구역 약수리 |
좌표 | 38°53′32″N 125°20′52″E |
종류 | |
무덤 종류 | 돌방무덤 (석실분) |
벽화 주제 | 사신도 |
역사 | |
축조 시기 | 고구려 시대 |
발견 시기 | 1958년 |
조사 | 1958년, 1974년 |
특징 | |
구조 | 널방(현실)과 널길(연도)로 구성 |
벽화 내용 | 널방 네 벽에 사신도 (동쪽 벽: 청룡, 서쪽 벽: 백호, 남쪽 벽: 주작, 북쪽 벽: 현무) |
벽화 기법 | 윤곽선 강조, 채색 |
보존 상태 | 비교적 양호 |
중요성 | 고구려 후기 벽화의 대표적인 예, 사신도 연구의 중요한 자료 |
참고 자료 | |
관련 서적 | Arts of Korea (양모 정, 주디스 G. 스미스, 1998) Aux origines de l'hypocauste coréen (ondol) (프랜시스 마쿠앵, 1987) |
관련 웹사이트 | 약수리 무덤 |
2. 구조
약수리 벽화고분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널방과 이보다 크기가 약간 작은 앞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널방 남벽 약간 동쪽으로 치우쳐 두 방을 연결하는 통로가 있다. 앞방의 동서 양쪽 벽에는 바닥에서 50cm 정도 높이에 사방 1m, 깊이 1m 정도의 벽감이 하나씩 있으며, 앞방 남벽에는 약간 동쪽으로 치우쳐 널길이 나 있다. 널방의 천장은 네 벽이 안으로 기울어져 올라가다가 2단의 모줄임쌓기를 하고 맨 위에 뚜껑돌을 덮은 것으로, 덕흥리 벽화고분과 산연화총 등의 천장 구조와 같다.
약수리 고분 벽화는 앞방과 널방에 다양한 생활 풍속과 사신도가 그려져 있다. 묘주 내외의 그림은 앞방에서 널방으로 옮겨졌고 사신도는 확대되어 중기 양식에 가까워졌으나, 묘주 내외는 아직 전기의 정좌 형식을 띄고 있고 사신도도 낡고 보잘것없으며, 묘실 형식이 옛 양식인 점으로 미루어 보아 전기 말기의 고분으로 추정된다.
3. 벽화
3. 1. 앞방 벽화
앞방 동벽에는 부엌, 방앗간, 행렬도가 그려져 있다. 서벽에는 사냥 모습, 외양간(말), 측근자들이 그려져 있으며, 남벽에는 외양간(소), 행렬도, 문지기가 그려져 있다. 널길과 앞방의 두 벽감에는 그림이 없다.
3. 2. 널방 벽화
널방 벽화는 널방 네 귀에 기둥을 그리고 두공·창방까지 표현되어 있다. 널방 북벽에는 묘주 내외와 현무가 그려져 있고, 동벽·서벽·남벽에는 각각 청룡·백호·주작이 그려져 있다. 천장에는 해, 달, 별, 구름이 그려져 있다. 그러나 널길과 앞방의 두 벽감에는 그림이 그려져 있지 않다.
3. 3. 특징 및 의의
약수리 고분 벽화는 앞방 동쪽 벽에는 부엌, 방앗간, 행렬도가, 서쪽 벽에는 사냥 모습, 외양간(말), 측근들이, 남쪽 벽에는 외양간(소), 행렬도, 문지기가 그려져 있다. 널방에는 방 네 귀퉁이에 기둥을 그리고 두공과 창방까지 표현했으며, 북쪽 벽에는 묘주 내외와 현무, 동, 서, 남쪽 벽에는 각각 청룡, 백호, 주작을, 천장에는 해, 달, 별, 구름을 그렸다. 그러나 널길과 앞방의 두 벽감에는 그림이 없다.
묘주 내외의 그림이 앞방에서 널방으로 옮겨지고 사신도가 확대되어 중기 양식에 가까워지고 있지만, 묘주 내외는 여전히 전기의 정좌 형식이고 사신도도 낡고 보잘것없으며, 묘실 형식이 옛 양식인 점으로 미루어 고구려 벽화고분 전기의 말기에 해당하는 고분으로 추정된다. 약수리 벽화고분은 고구려의 생활상과 사후 세계관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벽화에 나타난 다양한 그림들은 당시의 복식, 건축, 사냥, 의례 등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참조
[1]
서적
Arts of Korea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98
[2]
간행물
Aux origines de l'hypocauste coréen (ondol)
1987
[3]
웹사이트
Yaksu-ri Tomb
http://nkcp.or.kr/en[...]
2014-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