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대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서대묘는 원형 분구에 널방을 갖춘 외방무덤으로, 지름 약 51.6m, 높이 8.86m 규모이다. 널방은 화강암 판석으로 축조되었으며, 사신도와 다양한 장식 무늬가 벽화로 그려져 있다. 벽화는 7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사신도는 한국 고분 벽화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구려의 회화 - 무용총
무용총은 중국 길림성 집안시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으로, 내부 벽화에 묘사된 춤추는 인물들의 모습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다양한 벽화를 통해 당시 고구려인들의 생활상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 고구려의 회화 - 쌍영총
쌍영총은 복잡한 구조와 서역 건축 양식의 영향을 받은 팔각 석주, 그리고 고구려 회화의 특징을 보여주는 거마행렬도와 공양도 벽화가 있던 고구려 시대의 석실분이다. - 고구려의 왕릉 - 태왕릉
- 고구려의 왕릉 - 장군총
장군총은 5세기 고구려 전기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 지안시의 돌무지 계단식 적석총으로, 정교하게 가공된 화강암 방형 단을 쌓아 올린 형태이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고 한국 학계에서는 장수왕 또는 광개토대왕의 능으로 추정한다. - 강서구역 - 수산리 고분
수산리 고분은 고구려 시대의 단실분으로,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연도와 묘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 벽화에는 인물풍속도를 주제로 당시 귀족의 생활상이 묘사되어 있다. - 강서구역 - 약수리 고분
약수리 고분은 고구려 벽화고분 전기의 말기에 해당하는, 묘주 내외, 사신도, 고구려 생활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강서대묘 | |
|---|---|
| 개요 | |
![]() | |
| 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강서구 |
| 좌표 | 38°52′35″N 125°20′19″E |
| 상세 정보 | |
| 구성 | 강서 삼묘 약수리 고분 덕흥리 고분 진파리 1호분 ~ 4호분 강서 중묘 강서 소묘 수산리 고분 |
| 설명 | 고구려 시대의 무덤들로, 뛰어난 벽화가 특징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 강서 삼묘 (江西三墓) | |
| 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강서구 |
| 특징 | 3개의 고분으로 구성 벽화가 잘 보존되어 있음 고구려의 건축 및 예술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 |
| 설명 | 강서 삼묘는 고구려 시대에 축조된 3개의 고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고분 내부에 벽화가 잘 보존되어 있어 고구려 시대의 생활상과 예술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
2. 구조
고분은 분구가 원형이며, 지름은 약 51.6m, 높이는 8.86m이다. 무덤 구조는 널방 남벽 중앙에 널길이 있는 외방무덤 형태이다.
2. 1. 널방 구조
널방은 잘 다듬어진 큰 화강암 판석으로 축조되었으며, 네 벽과 천장은 각각 한 장의 판석으로 구성되었다. 천장은 2단의 평행굄돌을 안쪽으로 내밀고 그 위에 2단의 삼각굄돌을 얹고서 덮개돌을 덮은 모줄임천장이다.3. 벽화
강서대묘는 고구려 벽화 고분기 제3기에 해당하며, 7세기 초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벽화는 회칠을 하지 않고 잘 다듬어진 널방 돌벽 면에 직접 그려졌으며, 130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빛깔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벽화의 내용은 사신도와 장식무늬이다.
3. 1. 사신도
널방 남벽의 입구 주변에는 인동·당초 무늬를 그려 장식하고, 좌우의 좁은 벽에는 주작을 한 마리씩 그렸으며, 동벽에는 청룡, 서벽에는 백호, 북벽에는 현무, 천장 중앙의 덮개돌에는 황룡을 각각 그렸는데, 천장의 황룡은 침수에 의하여 박락되어 분명하지 않다.천장 벽화는 천장부를 구성하고 있는 제1단의 굄돌 옆면에 인동무늬를 감싸안은 초롱무늬가 S자형으로 이어져나간 무늬띠를 돌렸으며, 제2단 굄돌 옆면에는 비천·비운·신선·산악 등이 그려져 있다. 굄돌의 아랫면에는 인동초롱무늬의 중앙에 연꽃무늬가 가미되어 있고, 좌우에 연꽃을 그렸으며, 그 아랫면에는 구석에 연꽃과 인동이 혼합된 무늬를 배치하고 그 좌우에 마주 대한 봉황을 그렸다. 제4단 굄돌 옆면에는 괴조와 봉황이, 그 아랫면 구석에는 연꽃과 인동이 혼합된 무늬가 그려져 있다.
벽화는 대체로 철선묘법으로 그려졌는데, 사신도는 그 구상이 장대하고 힘차며 필치가 세련되어 한국의 고분벽화 중에서 극치를 이루는 걸작으로 평가된다. 사신도 중의 현무도는 북벽에 그려져 있는데, 세선(細線)을 사용하여 하나의 가공적이고 상징적인 괴물(玄武)의 무서운 모양을 패기(覇氣)차게 실물처럼 묘사하고 있다. 필선(筆善) 자체의 속도감보다 물상이 지닌 운동감과 생명력이 더 현저하게 부각되고 있는데, 그 윤곽선이 치밀한 톱니바퀴 모양(鋸齒形)의 파동을 이루는 점이 주목된다. 흑색의 선에 적(赤)·녹(綠)·황(黃)·청(靑)·백의 여러 가지 빛깔을 단색으로 사용했으나, 안료를 무엇으로 썼는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필법들은 중국 육조 시대(六朝時代)의 영향을 받았으되 오히려 세련된 점에 있어서는 그것을 능가하는 면모가 보인다.
3. 2. 장식무늬
널방 남벽 입구 주변에는 인동·당초 무늬가 장식되어 있다.[1] 천장부는 제1단 굄돌 옆면에 S자형으로 이어지는 인동무늬를 감싼 초롱무늬 띠가 둘러져 있고, 제2단 굄돌 옆면에는 비천, 비운, 신선, 산악 등이 그려져 있다.[1] 같은 굄돌 아랫면에는 인동초롱무늬 중앙에 연꽃무늬가 있고, 좌우에 연꽃이 배치되어 있다. 그 아랫면 구석에는 연꽃과 인동이 혼합된 무늬, 좌우에는 마주 보는 봉황이 그려져 있다.[1] 제4단 굄돌 옆면에는 괴조와 봉황이, 아랫면 구석에는 연꽃과 인동이 혼합된 무늬가 있다.[1]3. 3. 현무도
북벽에 그려진 현무도는 세밀한 선을 사용하여 하나의 가공적이고 상징적인 괴물인 현무의 무서운 모양을 패기차게 실물처럼 묘사하고 있다. 필선 자체의 속도감보다 물상이 지닌 운동감과 생명력이 더 현저하게 부각되고 있는데, 그 윤곽선이 치밀한 톱니바퀴 모양의 파동을 이루는 점이 주목된다. 흑색 선에 적색, 녹색, 황색, 청색, 백색의 여러 가지 빛깔을 단색으로 사용했으나, 안료를 무엇으로 썼는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필법들은 중국 육조 시대의 영향을 받았으되 오히려 세련된 점에 있어서는 그것을 능가하는 면모가 보인다.4. 사진
5. 의의 및 평가
강서대묘 벽화는 고구려 미술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한국 고분벽화 중에서도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사신도는 고구려의 사상과 신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강서대묘는 고구려 고분군 중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omplex of Koguryo Tombs
https://whc.unesco.o[...]
UNESCO
2014-04-08
[2]
웹사이트
Three Tombs of Kangso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4-04-08
[3]
서적
Constructing Korean Origins: A Critical Review of Archaeology, Historiography and Racial Myth in Korean State-formation Theorie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