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향교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천향교역은 2009년 7월 24일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다. 역명은 인근의 양천향교에서 유래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에는 궁산근린공원, 서울양천초등학교 등과 같은 시설이 위치하며, 일반 열차만 정차하고 급행 열차는 정차하지 않는다. 이용객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인접한 역으로는 마곡나루역과 가양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서구의 전철역 - 개화역
개화역은 2009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9호선 지상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반밀폐형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김포공항역 방향으로 선로가 연결되어 있으며, 개화산역, 강서공영차고지, 개화역광역환승센터와 인접하여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 서울 강서구의 전철역 - 발산역
발산역은 1996년 5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9개의 출구가 있으며, 인접한 역으로는 마곡역과 우장산역이 있다.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 선유도역
선유도역은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지하역으로 신목동역과 당산역 사이에 있으며,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중앙 2선의 급행열차 통과선을 갖추고 2009년 7월 24일 개통하여 선유도공원 등 주변 시설 이용객 증가와 함께 꾸준히 이용객 수가 늘고 있다.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 종합운동장역 (서울)
종합운동장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지나가며, 1980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5년 9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2009년 개업한 철도역 - 선유도역
선유도역은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지하역으로 신목동역과 당산역 사이에 있으며,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중앙 2선의 급행열차 통과선을 갖추고 2009년 7월 24일 개통하여 선유도공원 등 주변 시설 이용객 증가와 함께 꾸준히 이용객 수가 늘고 있다. - 2009년 개업한 철도역 - 마라빌라역
마라빌라역은 이스트 3번가에 있는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금선 역으로, 두 개의 선로와 섬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전 5시부터 다음날 오전 12시 15분까지 운행한다.
양천향교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 150-34 |
운영사 | 서울시 메트로 9호선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구조 | 지하역 |
개업일 | 2009년 7월 24일 |
노선 정보 | |
역 번호 | '906' |
영업 거리 | 개화 기점 7.5 km |
이전 역 | 마곡나루 (905) |
이전 역 간 거리 | 1.4 km |
다음 역 | 가양 (907) |
다음 역 간 거리 | 1.3 km |
한국어 역명 정보 | |
한글 역명 | 양천향교역 |
로마자 표기 | Yangcheonhyanggyo-yeok |
승객 통계 (2019년) | |
승차 인원 | 8,675명 |
승강 인원 | 17,446명 |
기타 | |
![]() | |
비고 | 건설 /관리 및 열차 운행 업무는 서울시메트로9호선,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는 서울9호선운영에서 담당한다. |
2. 역사
wikitext
2. 1. 역명 제정
2008년 9월 18일 '''양천향교역'''으로 역명이 결정되었다.[7][2]2. 2. 개통
2008년 9월 18일에 역명이 '''양천향교역'''으로 결정되었다.[7][2] 2009년 7월 24일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 ~ 신논현 구간이 개통되면서 영업을 시작하였다.3. 역 구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층별 | 시설 | |
---|---|---|
G | 지상층 | 출구 |
L1 대합실 | 로비 | 고객 서비스, 상점, 자동 판매기, 현금 자동 입출금기 |
L2 승강장 |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 |
하행 (서쪽 방면) | ←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 방면 (마곡나루) ← (급행열차 미정차) | |
상행 (동쪽 방면) | 서울 지하철 9호선 중앙보훈병원 방면 (가양) → (급행열차 미정차) → | |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
3. 1. 시설
지하역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구조를 갖추고 있다. 승강장에는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중앙에 개찰구로 통하는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있다.개찰구는 한 곳이며,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한 곳이 있다. 출구는 8개가 있다.
3. 2.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지하역이며,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중앙에 개찰구로 통하는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있다.- 급행 열차는 이 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4. 역 주변
양천향교역 주변은 주거 지역과 상업 지역이 혼재되어 있으며, 인근에 역사 유적, 공원, 학교, 병원, 기업체 등 다양한 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4. 1. 주요 시설
4. 2. 교통
마곡대교가 인근에 위치한다. 발산역 방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5. 이용객 변동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일인 2009년 7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1일간의 일평균 이용객 수는 8,153명(승차 4,317명, 하차 3,836명)이다.[3] 이후 이용객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노선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출처 | |
---|---|---|---|---|---|---|---|---|---|---|---|---|
9호선 | 승차 인원 | 미개통 | 4,317 | [3] | ||||||||
하차 인원 | 3,836 | |||||||||||
승하차 인원 | 8,153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출처 | |
9호선 | 승차 인원 | 5,153 | 5,558 | 6,209 | 6,695 | 6,945 | 7,070 | 7,429 | 7,848 | 8,152 | 8,675 | [4] |
하차 인원 | 4,686 | 5,178 | 5,996 | 6,496 | 6,777 | 6,956 | 7,327 | 7,798 | 8,186 | 8,771 | ||
승하차 인원 | 9,840 | 10,736 | 12,205 | 13,191 | 13,724 | 14,028 | 14,756 | 15,646 | 16,338 | 17,446 |
6. 사진
7. 인접한 역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