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간 용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간 용법은 동사나 형용사의 어미를 생략하고 어간만을 사용하는 용법으로, 형태는 어간과 일치하지만 기능은 연용형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본어와 한국어에서 모두 나타나며, 일본에서는 지역별 사용 차이가 존재하고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인터넷과 SNS를 중심으로 젊은 세대에서 사용되며 언어 변화의 한 양상으로 여겨진다. 어간 용법은 고전어와 현대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감탄사나 종조사와 함께 사용되거나 어간을 장음화하거나 작은 글자를 붙이는 등의 변화를 보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어 문법 - 형용동사
    형용동사는 일본어 품사 중 하나로, 동사나 i형용사처럼 활용되면서 명사와도 관련 있으며, 일본어 문법과 교육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연구된다.
  • 일본어 문법 - 일본어 대명사
    일본어 대명사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 성별, 나이, 사회적 지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형태와 용법이 달라지며, 고유한 뉘앙스와 함축적 의미를 내포하는 다양한 1, 2, 3인칭 대명사와 복수 접미사, 지시 및 의문 대명사가 존재한다.
어간 용법

2. 형태

어간 용법은 형용사 및 형용동사의 어간만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기능적으로는 연용형으로 해석될 수 있다.[1]

2. 1. 예시

형태로는 어간과 일치하지만, 기능으로는 연용형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달콤새콤한", "재미있고 웃긴"의 "달콤", "재미"는 어간이지만, "달콤하게 새콤한", "재미있게 웃긴"의 생략형이라고도 할 수 있다. 단, "빨갛고 검은"의 "빨강"은 형용사 어간이면서 명사이기도 하므로, 해석은 여러 가지일 수 있다.[1] 또한 형용사 중 어간이 명사와 일치하는 단어는 "빨간", "파란", "검은", "하얀"이며, "명사→형용사"가 되었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1] "노란", "갈색"이 그 예로 간주할 수 있다.[1]

3. 사용 실태

어간 용법은 역사적으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온 용법이며 속어도 아니고 잘못된 표현도 아니다. 하지만 사용에는 지역차가 있으며, 주부 지방에서 규슈 지방에 걸쳐 활발하게 사용되는 반면, 동일본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동일본에서의 어간 용법 사용은 텔레비전 등의 매스 미디어를 통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급속하게 퍼졌다[3].

급속한 사용 확대로 인해, 동일본에서는 어간 용법을 "젊은이 말"이나 "일본어의 변화"로 여기는 사람들도 존재하여, 일본 문화청은 2010년 국어에 관한 여론 조사에서 어간 용법을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조사 결과, "춥다"의 어간인 '寒っ|춥일본어'에 대해서는 '자신도 사용하며 (또는, 사용한 적이 있다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것도 신경 쓰이지 않는다'라고 답했던 사람이 60%를 넘었지만, '자신은 사용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것도 신경 쓰인다'라고 답한 사람은 10%에 불과했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인터넷, SNS 등에서 어간 용법이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표현은 비표준적인 표현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언어 변화의 한 양상으로 볼 수 있다. 일본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지만, 한국어만의 독자적인 용법도 발달했다.[1]

3. 2. 일본

역사적으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온 용법이며 속어도 아니고 오용도 아니다. 그러나 사용에는 지역차가 있으며, 주부 지방에서 규슈 지방에 걸쳐 활발하게 사용되는 반면, 동일본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통증을 느꼈을 때, 서일본에서는 ‘いた!|이타!일본어’라고 말하는 사람이 많지만, 동일본에서는 ‘いたい!|이타이!일본어’나 ‘いてえ!|이테에!일본어’라고 말하는 사람이 많다[3]. 동일본에서의 어간 용법 사용은 TV 등의 매스 미디어를 통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급속하게 퍼졌다.

급속한 사용 확대로 인해, 동일본에서는 어간 용법을 ‘若者言葉|와카모노코토바일본어’(젊은이 말)나 ‘일본어 변화’로 받아들이는 사람들도 존재하며, 이를 바탕으로 일본 문화청은 어간 용법을 2010년 국어에 관한 여론 조사의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국어에 관한 여론 조사에서는 ‘寒っ|사무일본어’, ‘すごっ|스고일본어’, ‘短っ|미지카일본어’, ‘長っ|나가일본어’, ‘うるさっ|우루사일본어’의 다섯 종류에 대해서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는지 또 마음에 들어하고 있는지가 조사됐다. 그 결과, ‘寒っ|사무일본어’에 대해서는 ‘자신도 사용하며 (또는, 사용한 적이 있다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것도 신경 쓰이지 않는다’라고 답했던 사람이 60%를 넘으며 ‘자신은 사용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것도 신경 쓰인다’라고 답한 사람은 10%에 머물렀다. ‘寒っ|사무일본어’ 이외에는 ‘자신도 사용하지만 (또는, 사용한 적이 있다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것도 신경 쓰인다’라고 답한 사람은 20 ~ 30%대에 감소했지만, 그래도 ‘자신은 사용하지 않지만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것은 신경 쓰이지 않는다’라고 답한 사람이 40% 전후이며 ‘자신은 사용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것도 신경 쓰인다’라고 말한 사람은 10 ~ 20%대에 머물렀다.

다만, 이것은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케(褻, 격식을 차리지 않은 일상적인 자리)에서만 사용된다는 해석도 있다(하레와 케). "쓰다"를 "써!"라고 표현하거나, "빠르다"를 "빨라!"라고 표현하는 것은, 케의 장소인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장면에서는 드물지 않다.

4. 어간 용법의 사용법

고전어에서는 감탄사 'あな|아나일본어' 등과 함께 사용되거나 어간 뒤에 종조사 'や|야일본어' 등을 붙이는 경우가 많았다. 현대어에서는 어간 용법을 문자화할 때, 마지막에 작은 글자 'つ|쓰일본어'를 붙이거나 어간 부분을 장음화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つ|쓰일본어'는 실제로는 촉음이 아니다.[4]

4. 1. 고전어의 예시

고전어에서는 감탄사 ‘あな|아나일본어’ 등과 함께 사용되거나 어간 뒤에 종조사 ‘や|야일본어’ 등을 붙이는 일이 많다.[4]

  • うれし|우레시일본어 → あな、うれし|아나, 우레시일본어 (기쁘다)
  • めでたし|메데타시일본어 → あな、めでたや|아나, 메데타야일본어 (사랑스럽다)
  • うまげなり|우마게나리일본어 → あな、うまげ、ただ一口|아나, 우마게, 타다 히토쿠치일본어 (맛있어 보인다)

4. 2. 현대어의 예시

현대어에서 어간 용법을 문자화할 때, 어미에 스테가나의 ‘つ|쓰일본어’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촉음은 전후의 음절 사이에 두지 않으면 발음할 수 없기에 실제로는 촉음이 아니다. 어간 부분을 장음화시키는 것도 많다.[4]

  • 현대어의 어간 용법의 예시

:** 早い|하야이일본어→はや!|하야!일본어 / はやー!|하야-!일본어 / はっやー!|핫야-!일본어

:** 痛い|이타이일본어→いた!|이타-!일본어 / いたー!|이타-!일본어 / いったー!|잇타-!일본어

:** 怪しい|아야시이일본어→あやし!|아야시!일본어 / あやしー!|아야시-!일본어 / あっやしー!|앗야시-!일본어[4]

참조

[1] 서적 ものの言いかた西東 岩波書店 2014
[2] 서적 標準 新 古典文法 文英堂 2009
[3] 서적 ものの言いかた西東 이와나미 쇼텐 2014
[4] 서적 標準 新 古典文法 분에이도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