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속어는 통속적으로 사용하는 저속한 말로 정의되며, 특정 집단에서만 통용되거나, 기존 단어의 의미를 비표준적으로 변형하여 사용하는 언어 현상이다. 영어 단어 'slang'은 1756년에 등장하여 중산 계급의 표준 어법에 미치지 못하는 언어를 가리켰으며, 한국어의 '속어'는 고상한 언어인 아어나 문어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속어는 비어나 욕설, 은어, 유행어 등과 혼동되기도 하며, 사회적 지표성과 하위문화 연관성을 갖는다. 속어는 시대와 문화를 반영하며, 소셜 미디어와 인터넷의 발달로 새로운 형태와 사용 양상을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년문화 - 틱톡
틱톡은 2016년에 시작된 짧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능과 챌린지를 통해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며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한편, 중독성, 유해 콘텐츠, 개인 정보 보호 문제 등 논란이 제기되기도 한다. - 청년문화 - 청년유니온
청년유니온은 청년 세대의 노동권익 보호와 사회적 지위 향상을 목표로 2010년 3월 13일에 창립된 대한민국의 청년 노동조합으로,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와 전국 지부를 통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며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 개선 및 정책 제안, 정치 참여 독려 등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 언어의 변체 - 방언
방언은 언어 내에서 지역, 사회 집단, 개인에 따라 나타나는 변이체로, 표준어 등장 이후 지방어를 의미하며, 지역적, 사회적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언어와의 구분은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된다. - 언어의 변체 - 유아어
유아어는 아기가 사용하는 언어이거나 성인이 유아와 소통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순화된 언어로, 어휘 제한, 느린 속도, 짧고 단순한 문장, 반복적 표현 등의 특징을 가지며, 유아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사용 방식과 영향은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 심리,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성인이나 동물과의 소통에서도 사용되나 맥락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의미를 지닐 수 있다. - 속어 - 갸루 문자
갸루 문자는 2002년경 일본 여중고생 사이에서 유행한 문자 표현 방식으로, 여러 문자를 변형하여 메시지 위장이나 감정 표현에 사용되며, 기성세대에게는 반항적인 언어로 여겨지기도 했다. - 속어 - 은어 (언어학)
은어는 특정 집단 내에서만 사용되는 단어로, 정보 은폐와 동료 의식 강화 기능을 하지만, 외부인 소외감, 품위 저하, 사회적 소통 저해, 윤리적 문제 야기 등의 특징과 비판을 받는다.
속어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정의 | 비표준적이고 비공식적인 언어 사용 |
특징 | 사회적 그룹 내에서 사용 격식 없는 대화에서 사용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 |
관련 용어 | 은어, 비어, 방언 |
언어학적 특징 | |
생성 | 기존 단어의 변형 새로운 단어의 창조 비유적 의미 부여 |
사용 | 친밀감 표현 사회적 정체성 과시 언어적 유희 |
변화 | 유행에 따라 생성 및 소멸 특정 사회적 그룹에서 일반 언어로 통합 |
사회적 기능 | |
집단 정체성 | 특정 집단 구성원임을 나타내는 데 사용 |
사회적 차별화 | 특정 집단을 다른 집단과 구분하는 데 사용 |
저항과 전복 | 기존 규범에 도전하거나 전복하는 데 사용 |
역사 | |
기원 |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요인에 의해 발생 |
발전 | 특정 시대의 사회적 변화와 관련 |
사용 예시 | |
일반적인 속어 | "쩐다" (대단하다), "핵인싸" (매우 사교적인 사람) |
특정 집단 속어 | 학생, 군인, 특정 직업군 등 |
주의 사항 | |
오해 | 비표준적이므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음 |
사용 상황 | 격식 있는 상황에서는 사용을 피해야 함 |
관련 링크 | |
관련 문서 | 은어 |
관련 문서 | 비어 |
관련 문서 | 방언 |
2. 어원
영어 'slang'과 한국어 '속어'는 그 의미와 어원이 다양하다.
"속어(俗語)"는 "문장어・고어에 대해 세상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말",[31][32][33] 또는 "(격식을 차리는 자리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거나, 공공연하게 사용하는 것을 꺼리는) 표준어법에서 벗어난다고 여겨지는 저속하거나 음란한 말, 표현"[31][34][32][33][35]이라는 의미로 주로 사용된다. 또한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언어 체계가 아닌 언어 체계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은어는 특정 집단 사이에서만 통용되는 말이고,[33] 속어는 이보다 넓은 범위에서 사용된다.[34]
2. 1. 한국어 '속어'의 어원
한국어 ‘속어’는 토속적인 말투를 뜻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다가, 점차 고상한 사람들이 사용하는 상층 언어 체계인 아어(雅語)나 권위를 요구하는 글에서 사용되는 문어에 상대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게 되었다.[31][32][33]‘속어(俗語)’는 “불교와 관계없는 속인의 말”, “속담”, “세간의 소문”과 같은 의미도 지닌다.[30][33]
2. 2. 영어 'slang'의 어원
영어 단어 'slang'은 1756년에 ‘낮은’ 또는 ‘평판이 나쁜’ 사람들이 사용하는 어휘를 뜻하였다. 19세기 초반에 이르러 slang은 중산 계급의 표준 어법에 미치지 못하는 언어를 가리키게 되었다.[36] 어원은 불명확하나, ‘느슨하게 걸다, 달랑거리게 들다’ 등을 뜻하는 노르웨이어 ‘slenge(slengje)’가 거론된다.[37] 영어에서는 속어를 bad words(나쁜 단어), profane words(비격식적인 단어)라고도 하나, 일반적으로 swear words(저주하는 단어) 또는 curse words(비난하는 단어)라고 한다.[36]3. 개념
속어는 통속적으로 사용하는 저속한 말로 정의된다.[38] 같은 집단에 속한 사람이라도 자신의 언어 습관에 따라 속어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속어는 개인적인 욕구에 따라 화용적인 효과를 내고자 선택하여 사용하는 말이다. 따라서 속어는 그에 상대하는 속되지 않은 표현(보통어, 일반어)이 있음을 전제하며, 어떤 표현이 통속적이더라도 대응하는 보통어가 없다면 속어가 아니다.
속어는 인지도를 얻으면 빠르게 퍼지고, 자주 사용되다가 금세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유행어와 비슷하다. 그러나 유행어는 비어나 속어와 달리 대응하는 기존 표현이 없다는 차이가 있다.
3. 1. 속어의 정의를 위한 기준 (영어)
베서니 K. 듀마스와 조나단 라이터는 다음 기준 중 두 가지 이상을 충족하는 표현을 "진정한 속어"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9]- 형식적이거나 진지한 말이나 글의 품위를 일시적으로 낮추는 것. 다시 말해, 그러한 맥락에서는 화용의 명백한 오용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높다.
- 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언급된 내용이나, 그것에 익숙하고 그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그룹에 익숙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 사회적 지위가 높거나 책임이 더 큰 사람들과의 일반적인 담화에서는 금기어이다.
- 잘 알려진 관습적인 동의어를 대체한다. 이것은 주로 관습적인 동의어로 인한 불편함이나 더 자세히 설명해야 하는 것으로 인한 불편함이나 불쾌감을 피하기 위해 행해진다.
마이클 애덤스는 "[속어]는 threshold|경계영어 언어이다... 맥락에서조차 그것이 어떤 관심사와 동기를 충족시키는지 말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속어는 경계에 있다."라고 말한다.[10]
3. 2. 혼동되는 개념
비어는 점잖지 못하고 상스럽다는 점에서 속어와 같지만, 대상을 낮추어 부르는 말은 아니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38] 비어와 속어를 아울러 비속어(卑俗語)라고도 부른다.[35]욕설(辱說)은 남을 비난하거나 모욕하기 위하여 쓰이며, 비어나 속어와 달리 대응하는 모욕적이지 않은 표현이 없다.[35] 단어, 구, 절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통어라도 비난이나 모욕의 의도로 사용된다면 욕설에 해당한다.[35]
은어는 특정 집단에서만 쓰이는 말이다.[33] 은어가 일반인에게도 광범위하게 쓰이면 속어와 구별하기 어려워진다. 청소년층이나 군대에서 널리 쓰이는 말은 은어보다 속어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38] 학생 속어는 비밀 유지 목적으로 만들어지지 않았음에도 은어의 성격을 띠기도 한다.[38]
유행어는 속어와 비슷하게 빠른 시간 내에 퍼지고, 자주 사용되다가 금세 사라지는 경우가 많으며, 공식적인 사전에 잘 등재되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있다.[38] 그러나 유행어는 비어나 속어와 달리 대응하는 기존의 표현이 없다.[38]
전문 용어(Jargon)는 특정 분야의 담당자가 사용하는 언어이다. 전문 용어와 속어는 모두 대화에서 비그룹 구성원을 배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속어는 사회적/문맥적 이해를 강조하는 반면, 전문 용어는 기술적 이해를 위한 용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최적화한다.[12]
4. 속어의 형성
속어는 주로 구어체로 사용되기 때문에 그 어원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속어는 표준적인 언어 형태에서 벗어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이는 일반적인 의미 변화와 비슷하게 발생하지만, 속어는 그 단어를 사용하는 집단과 관련된 특정한 사회적 의미를 가진다는 차이점이 있다.[16] 속어의 발달은 대체로 자발적이고 활기차며 창의적인 언어 과정으로 여겨진다.[16]
많은 속어가 유행을 타다가 표준 어휘로 편입되기도 하지만, 상당수는 사라져서 특정 집단만 그 의미를 알게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1960년대와 70년대 미국 히피 속어였던 "groovy"는 사라졌지만, 1930년대 재즈 음악가들이 사용하던 "gig"는 1960년대 히피들에게 차용된 후 현재는 공연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단어로 자리 잡았다.[13]
일반적으로 속어는 일반 어휘와 같은 의미 변화 과정을 거친다.[16] 이전에 다른 의미로 쓰이던 단어가 속어로 형성되기도 하는데, "Z세대"가 사용하는 "lit"가 대표적인 예이다. "lit"는 원래 불이 켜진 상태를 의미했지만, 1988년부터 술에 취한 사람을 가리키는 속어로 쓰이기 시작했고, 랩 음악 등을 통해 인기를 얻으면서 멋진 상황을 묘사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17]
할리우드 영화나 텔레비전 시리즈의 단어와 구절이 속어가 되기도 한다.[18]
약어, 비유 표현, 고어, 방언 등도 속어의 기원이 된다. 과거에는 지역적인 표현이나 서브컬처와 관련된 표현이 많았지만,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지역 차이는 희미해지고 있다. 하지만 세대적인 감각어가 포함되어 시대 유행에 따라 변화하며, 유행어도 속어의 범주에 포함된다. 유행어는 수년 만에 잊혀지는 경우가 많지만, 속어는 반세기 이상 사용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잘못된 사용이 정착되어 정당한 용법으로 인정받는 경우도 있다.
5. 속어의 기능과 효과
속어는 기존의 익숙한 말을 재치 있게 표현하거나, 권위 있는 표현을 피하고 싶을 때, 신선한 표현으로 상대방을 놀라게 할 때, 문학 작품 등에서 사실성과 구체성을 높일 때, 대화 상대와 친밀감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38] 속어는 저속한 표현뿐만 아니라, 친근한 관계에서 유희적으로 사용하는 장난스러운 말도 포함한다.
속어는 진지하거나 엄중한 공식 석상에서는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지만,[38] 문학 작품이나 비공식적인 자리에서 화자의 의도를 분명히 하거나 배경을 뒷받침하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
6. 사회적 함의
도둑 아르고는 초기 은어와 같은 암호 중 하나로, 1600년경 영국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는 법을 어기는 자들이 당국이 자신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 알지 못하도록 의사소통하는 방법이었다.[19]
6. 1. 지표성 (Indexicality)
속어는 특정 사회 집단과 관련이 있으며 정체성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속어는 사회적 공간을 드러내는 한편, 속어에 대한 태도는 집단 정체성을 부분적으로 구성하고 개인을 특정 집단의 구성원으로 식별하게 한다.[19] 따라서 특정 집단의 속어를 사용하는 것은 개인을 그 집단과 연결짓는다. 마이클 실버스타인(Michael Silverstein)의 지시성(indexicality) 단계를 이용하여 속어 용어를 특정 집단에 대한 2차 지시자로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속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개인이 그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을 식별하려고 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개인에게 그 용어의 기원 집단과 관련된 특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추상적인 집단 연관성에 기반한 이러한 특성 할당을 3차 지시성이라고 한다.엘리사 마티엘로(Elisa Mattiello)의 저서 "An Introduction to English Slang"[2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속어 용어는 여러 수준의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정체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이유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성 청소년들은 "foxy"와 "shagadelic"이라는 용어를 "자신들의 소속감을 보여주고, 남성성이나 나이를 강조하고, 또래 집단과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외부인을 배제하고, 과시하기 위해" 사용한다.
1차 및 2차 지시성 측면에서, 남성 청소년들이 화자 중심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자신의 연령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나타내고, 또래 집단과의 유대감을 강화하며, 외부인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었다.[20] 고차 지시성의 관점에서,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표준 영어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보다 더 신선하고, 장난스럽고, 유행을 따르며, 다채롭게 보이고자 할 수 있다.[20]
6. 2. 하위문화 연관성
종종, 별개의 하위문화는 구성원들이 그룹과 자신을 연결하거나 외부인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속어를 만들어낸다.속어는 종종 파벌이나 내부 집단 내에서만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leet("leetspeak" 또는 "1337")은 원래 소프트웨어 해커와 온라인 비디오 게임 이용자와 같은 특정 인터넷 하위문화에서만 유행했다. 그러나 1990년대와 21세기 초에 이르러 Leet는 인터넷에서 점점 더 흔해졌고, 인터넷 기반 의사소통 밖으로, 구어로까지 확산되었다.[22] 다른 유형의 속어로는 휴대전화에서 사용되는 SMS 언어와 인터넷의 인스턴트 메시징에서 널리 사용되는 "채팅 속어"(예: "LOL"(Laughing out loud 또는 Laugh out loud의 약자) 또는 ROFL("rolling on the floor laughing"))가 있다.[23]
하위문화는 종종 규범에 반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반문화의 형태이기 때문에, 속어가 반문화와 관련되게 된 것은 당연하다.
6. 3. 소셜 미디어와 인터넷 속어
속어는 종종 대중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공유된 지식의 표시로 소셜 미디어에서 채택된다. 인터넷 속어라고 알려진 이러한 유형의 속어는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을 포함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인기 상승과 함께 2000년대 초부터 널리 퍼졌다. 이는 각각의 새로운 소셜 미디어 장소와 관련된 새로운 어휘를 만들어냈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에서 "친구 추가"라는 뜻의 "friending"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친구"라는 단어의 동사화로 웹사이트에서 친구 그룹에 새로운 사람을 추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24] 비슷한 의미의 "befriend"라는 용어가 이미 존재하지만, 이 용어는 페이스북보다 훨씬 오래되었지만 최근에야 일반적인 어휘에 들어왔다.[24] 소셜 미디어에서 속어의 다른 예로는 단축된 단어나 약어가 있다. 특히 트위터와 같은 서비스는 각 메시지에 대해 280자의 제한이 있으므로 비교적 간결한 표현 방식이 필요하다.[25] 여기에는 메시지나 이미지의 주요 내용을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해시태그의 사용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음식 또는 #사진과 같다.[26]7. 속어에 대한 논쟁
일부 비평가들은 속어가 더 흔해짐에 따라 특정 언어의 "적절한" 사용이 사실상 사라진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학계 (기술주의) 언어학자들은 언어가 정적인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며, 속어는 언어 어휘 내에서 유효한 단어라고 믿는다.[27] 규범주의자들은 사회적으로 선호하거나 "정확한" 말하기 방식을 연구하고 장려하는 반면, 기술주의자들은 개인이 말하는 방식의 잠재의식적 규칙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언어를 연구하므로, 속어는 이러한 규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인류학적 언어 사상의 창시자 중 한 명인 노엄 촘스키는 구조적이고 규범적인 문법에 도전하고 소리와 형태소를 기능적으로,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언어 내에서의 변화를 연구하기 시작했다.[27]
8. 속어의 예시 (언어 간 비교)
9. 속어 사용에 대한 판단과 주의사항 (일본어)
속어 사용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고밖에 말할 수 없다. 부적절한 상황에서 잘못 사용하거나 남용하면 "교양이 없다" 또는 "품위가 없다"는 비난을 받을 뿐만 아니라 "신뢰할 수 없다" 또는 "불성실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반면, 적절한 상황에서 사용하지 않으면 "고집 세다", "다가가기 어렵다" 등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속어를 사용해도 되는지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대응하는 격식을 갖춘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무난하다.
일본어에서 속어가 아닌 단어가 외국의 속어와 발음이 비슷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의 특정 지역을 가리키는 "킨키"는 영어의 "kinky"(기이한·변태적인)와 발음이 비슷하여 킨키 대학은 2016년 4월부터 영어 표기를 "KINKI UNIVERSITY"에서 "KINDAI UNIVERSITY"로 변경했고, 긴키 닛폰 철도도 2003년부터 영어 표기를 "KINTETSU CORPORATION"으로 변경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속어는 비격식적인 상황에서는 사용이 허용되는 경향이 있지만, 공적인 자리나 친하지 않은 사람에게 사용하면 역사가 오래된 속어라도 문제가 되기 쉽다. (특히 경멸적인 뉘앙스가 있는 단어)
참조
[1]
사전
Slang definition
https://dictionary.c[...]
2021-09-19
[2]
웹사이트
Slang
http://dictionary.o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3-04
[3]
웹사이트
Dictionaries of the Scots Language
https://dsl.ac.uk/en[...]
2022-03-07
[4]
서적
The Bards of Bon Accord
https://books.google[...]
Edmond & Spark
2022-03-07
[5]
서적
The English Dialect Dictionary
https://books.google[...]
Рипол Классик
2022-03-07
[6]
웹사이트
Slang Origins, Uses & Examples in Linguistics
https://www.britanni[...]
2023-07-21
[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slang
http://digital.films[...]
Films Media Group
2015-01-23
[8]
웹사이트
Slang
http://www.etymonlin[...]
2010-03-04
[9]
논문
Is Slang a Word for Linguists?
[10]
서적
Slang: The People's Poetry
http://site.ebrary.c[...]
2013-11-05
[11]
서적
A dictionary of slang and unconventional English (Slang itself being slang for Short Language) : colloquialisms and catch phrases, fossilized jokes and puns, general nicknames, vulgarisms and such Americanisms as have been naturalized
Routledge
[12]
서적
Język w grupie społecznej: wprowadzenie do analizy socjolektu
Wydawnictwo Państwowej Wyższej Szkoły Zawodowej im. Angelusa Silesiusa
[13]
서적
Slang: The Topical Dictionary of Americanisms
Bloomsbury Publishing USA
[14]
웹사이트
gwara a żargon
https://sjp.pwn.pl/p[...]
sjp.pwn.pl
2005-04-25
[15]
서적
Język w zachowaniach społecznych
Wydawnictwo Uniwersytetu Marii Curie-Skłodowskiej
[16]
서적
Life of slang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3-08
[17]
서적
Warbirds: Diary of an Unknown Aviator
Texas A & M University Press
[18]
뉴스
'As if': 40 comedies from the past 40 years that changed the way we talk
https://www.washingt[...]
2018-03-29
[19]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slang
https://blog.gymglis[...]
2022-03-25
[20]
서적
An Introduction to English Slang - A Description of its Morphology, Semantics and Sociology
Polimetrica
[21]
서적
From the semantic point of view, it instead acquires a novel sense which departs from the standard English meaning. It is frequently used among young men, who apply it to ‘attractive, desirable, pretty, sexy’ women.
[22]
웹사이트
A Leet Primer
https://web.archive.[...]
2005-12-06
[23]
웹사이트
Slang Dictionary
http://slang-diction[...]
[24]
웹사이트
'Friend,' as a Verb, Is 800 Years Old
https://www.theatlan[...]
2013-07-25
[25]
웹사이트
Our Updated Guide To Twitter Slang, Lingo, Abbreviations And Acronyms
http://www.businessi[...]
2013-09-09
[26]
웹사이트
The Hashtag: A History Deeper than Twitter
http://www.copypress[...]
2013-07
[27]
서적
A Concise Introduction to Linguistics
Prentice Hall
[28]
영화
Ball of Fire
[29]
영화
Idiocracy
[30]
일본어
新漢語林 第二版
大修館書店
2011-02-01
[31]
일본어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小学館
1994-01-20
[32]
일본어
明鏡国語辞典 第二版
大修館書店
2010-11-26
[33]
일본어
広辞苑 第七版
岩波書店
2018-01-12
[34]
일본어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ブリタニカ・ジャパン
[35]
일본어
新明解国語辞典
三省堂
[36]
웹인용
Slang
http://dictionary.oe[...]
Oxford University Press
null
[37]
웹인용
Slang
http://www.etymonlin[...]
null
[38]
웹인용
속어
https://stdict.korea[...]
2020-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