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엄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엄니는 동물의 입에서 튀어나온 길고 날카로운 이빨로, 종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수컷의 과시, 천적으로부터의 방어, 먹이 획득, 그리고 도구로의 사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포유류, 뱀, 거미 등 다양한 동물에서 발견된다. 포유류의 경우, 엄니는 송곳니나 앞니가 변형된 형태로 나타나며, 코끼리의 상아, 일각고래의 뿔 등이 대표적이다. 엄니의 크기는 종에 따라 다양하며, 코끼리의 경우 성적 이형성을 보여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인간은 상아를 공예품으로 사용하며, 멸종 위기에 처한 종도 있다. 뱀의 독엄니와 거미의 엄니는 독을 주입하는 데 사용되며, 언어별로 엄니를 지칭하는 용어가 다르다.

2. 기능

엄니는 종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대부분 수컷의 영향력을 과시하고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5] 몇몇 종은 엄니를 사용하여 먹이를 찾거나 특정 환경에 적응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코끼리는 엄니로 땅을 파고, 바다코끼리는 엄니를 사용하여 얼음에 매달려 이동한다.[1]

바다코끼리


혹멧돼지


멧돼지의 엄니

2. 1. 포유류의 엄니

포유류의 엄니는 입 안에 숨겨지거나 밖으로 튀어나오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동물 종류엄니 위치 및 특징
육상 식육목 (개과, 고양이과 등)양쪽 턱 송곳니. 위턱 송곳니가 더 발달.
멧돼지양쪽 턱 송곳니. 위턱 송곳니가 외부로 돌출되지만, 아래턱 송곳니가 더 날카로움.
바비루사양쪽 턱 송곳니. 수컷의 위턱 송곳니는 얼굴 조직을 뚫고 나옴.
하마양쪽 턱 송곳니와 앞니. 아래턱 송곳니가 가장 발달.
코끼리 (인도코끼리 수컷, 아프리카코끼리 암수)위턱 앞니. 상아라고 불림.
바다코끼리위턱 송곳니.
일각고래 수컷왼쪽 위턱 앞니. 앞으로 곧게 뻗음.
데이노테리움 (멸종)아래턱 앞니. 뒤로 젖혀져 아래로 뻗음.
사람송곳니가 퇴화되었으나, 남성이 여성보다 크고 날카로운 경향.



육식 동물은 길고 발달한 송곳니 또는 앞니로 먹이를 잡고 뜯어 먹는다. 스밀로돈 등의 검치호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초식 동물은 엄니로 흙을 파서 뿌리나 덩이줄기를 찾거나, 껍질을 벗겨 먹는다. 천적에 대한 공격, 위협, 암컷을 둘러싼 수컷 간의 싸움에도 사용되며, 암수 모두 엄니가 있는 경우라도 수컷에서 더 발달하는 경우가 많다.[5]

그리스에서 발견된 ''"맘모트" 보르소니''의 엄니


코끼리 엄니는 성적 이형성을 보여 수컷이 암컷보다 평균적으로 크며, 아시아코끼리 암컷에게는 없다. 기록상 가장 길고 무거운 아프리카코끼리 엄니는 바깥쪽 곡선을 따라 측정했을 때 길이가 약 3.49m이다.[6] 가장 큰 바다코끼리 엄니는 길이가 95cm 이상에 달할 수 있다.[7] 가장 긴 일각고래 엄니는 3m에 달한다.[8] 멧돼지의 위로 굽은 위턱 엄니는 길이가 20cm 이상에 달할 수 있다.[9]

3. 크기

코끼리 엄니는 성적 이형성을 보여 수컷이 암컷보다 평균적으로 크며, 아시아코끼리 암컷에게는 없다. 기록상 가장 길고 무거운 아프리카코끼리 엄니는 바깥쪽 곡선을 따라 측정했을 때 길이가 3.49m이고 무게는 107kg이다. 가장 길고 무거운 아시아코끼리 엄니는 길이가 3.26m이고 무게는 73kg이다.[6]

멸종된 일부 장비류인 ''스테고돈'', ''팔레올록소돈'', 맘모스 등의 엄니는 훨씬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록된 가장 긴 엄니는 그리스에서 발견된 ''"맘모트" 보르소니'' 표본으로 길이가 5.02m이며, 무게는 약 137kg로 추정된다. 일부 맘모스 엄니는 길이가 4m를 넘고 무게는 200kg를 초과할 것이다.[6]

가장 큰 바다코끼리 엄니는 길이가 95cm 이상에 달할 수 있다.[7] 가장 긴 일각고래 엄니는 3m에 달한다.[8] 멧돼지의 위로 굽은 위턱 엄니는 길이가 20cm 이상에 달할 수 있다.[9]

4. 인간의 엄니 사용

인간은 엄니에서 상아를 채취하여 공예품, 보석류를 만들고, 과거에는 피아노 건반 등을 제작했다.[10] 이로 인해 많은 엄니를 가진 종들이 상업적으로 사냥되었고, 일부는 멸종 위기에 처했다. 상아 거래는 국제 연합 야생 동식물 멸종 위기 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의해 엄격하게 제한된다.

인간의 보호를 받는 엄니를 가진 동물들은 건강 및 안전 문제로 엄니를 다듬거나 제거하는 시술을 받을 수 있다.[10] 인간과 야생동물 간의 갈등 완화를 위해 엄니 제거 수술이 연구되기도 한다.[11]

5. 뱀의 독엄니

뱀류의 이빨은 발달하여 엄니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는 포유류의 엄니와 마찬가지로 찌르는 효과가 있지만, 갉아먹거나 물어뜯는 것은 할 수 없다. 너무 가늘고 이뿌리가 없기 때문에 종종 부러지거나 빠지기 때문이다.

그중에는 독샘과 연계하여 독엄니라고 불리는 기관으로 되어 있는 종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독사라고 불리는 종류이다. 엄니에 독을 통과시키기 위한 홈이 세로로 나 있는 독엄니를 홈니(grooved fang영어)라고 하며, 코브라과가 가지고 있다. 터널이 세로로 나 있는 독엄니를 관아(perforated fang영어)라고 하며, 살무사과 등이 가지고 있다. 홈니에서는 엄니로 낸 구멍에 엄니의 뿌리에 연결된 독샘에서 액체 독을 홈에 흘려 보낸다. 관아에서는 뿌리에서 터널에 액체 독을 주입하고, 엄니 끝에 있는 슬릿 모양의 구멍에서 독을 주입한다. 관아는 약하고 섬세한 구조이기 때문에, 관아를 가진 독사는 스페어 역할을 하는 부치아를 가지고 있다.

6. 절지동물의 엄니

절지동물거미류는 대새(大鰓) 등의 구기(口器) 일부가 엄니처럼 발달하기도 한다. 거미는 엄니를 통해 독을 주입한다.[5]

7. 언어별 엄니 명칭

영어에서는 육식 동물의 송곳니는 'fang(팽)'이라 하고, 멧돼지, 바다코끼리의 송곳니, 일각고래나 코끼리의 앞니는 'tusk(터스크)'라고 한다. 포유류 이외에 뱀이나 거미 등의 엄니는 'fang'이다.

중국어에서 '牙(yá)'는 치아 전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치과를 '牙科'라고 한다. 엄니는 '獠牙중국어(랴오야)'라고 한다.

참조

[1] 논문 Tusks, the extra-oral teeth 2020
[2] 웹사이트 Tusk http://www.oed.com/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3] 논문 The spectrum of tusk pathology in wild boar (Sus scrofa L.) from Croatia http://www.vef.hr/ve[...] 2011-01-09
[4] 논문 The evolution of the synapsid tusk: Insights from dicynodont therapsid tusk histology
[5] 논문 Odobenus rosmarus http://www.science.s[...] 2009-01-22
[6] 논문 Estimating tusk masses in proboscideans: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predictive model https://www.tandfonl[...] 2023-12-10
[7] 웹사이트 Museum Bulletin {!} Carvings in Walrus Ivory https://www.penn.mus[...] 2024-01-02
[8] 논문 The longer the better: evidence that narwhal tusks are sexually selected 2020-03
[9] 논문 Maxillary tooth growth in the adult male babirusa (genus Babyrousa ) https://linkinghub.e[...] 2018-04
[10] 논문 Epidemiology of Traumatic Tusk Fractures of Managed Elephants in North America, South America, Europe, Asia and Australia 2022-03-03
[11] 논문 Detusking Fence-Breaker Elephants as an Approach in Human-Elephant Conflict Mitigation 2014-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