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겅퀴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엉겅퀴아과는 국화과의 아과로, 전 세계적으로 약 83개 속, 2,500여 종을 포함한다. 이 아과에는 지느러미엉겅퀴족, 디코마족, 올덴부르기아족, 타르코난투스족 등이 포함되며, 뻐꾹채속, 엉겅퀴속, 우엉속 등 한국에서 자생하거나 재배되는 여러 속들이 속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엉겅퀴아과 - 엉겅퀴류
엉겅퀴류는 국화과에 속하며 전 세계에 분포하는 식물로, 잎과 줄기에 가시가 있고, 한국에는 약 100여 종이 자생하며, 스코틀랜드의 국화로 문화적 상징성을 지닌다. - 1826년 기재된 식물 - 난초아과
난초아과는 난초과의 아과로,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에 따라 분류가 수정되고 있으며, 육상에서 자라고 절단성이거나 과립 형태의 꽃가루덩이, 곧추선 꽃밥을 가지며, 다양한 서식지에서 독립 영양 또는 종속 영양 생활을 하는 특징을 가진다. - 1826년 기재된 식물 - 자금우
자금우는 한반도 남부 산지 숲 밑에서 자라는 상록 관목으로, 붉은색 열매와 흰색 꽃이 피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약용으로도 사용된다.
엉겅퀴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군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군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군 | 국화군 |
목 | 국화목 |
과 | 국화과 |
아과 | 엉겅퀴아과 |
학명 | Carduoideae |
명명자 | (Sweet) Cass. (1826) |
하위 분류 | 본문 참조 |
2. 하위 분류
엉겅퀴아과는 디코마족(Dicomeae), 올덴부르기아족(Oldenburgieae), 지느러미엉겅퀴족(Cardueae), 타르코난투스족(Tarchonantheae)의 4개 족으로 나뉜다.[6][7][8][9]
족(Tribe) | 속(Genus) |
---|---|
디코마족(Dicomeae) | |
올덴부르기아족(Oldenburgieae) | |
지느러미엉겅퀴족(Cardueae) | |
타르코난투스족(Tarchonantheae) |
2. 1. 엉겅퀴아과 (Carduoideae)
엉겅퀴아과는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 아과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약 83개의 속과 2,500여 종을 포함한다. 엉겅퀴아과는 크게 디코마족(Dicomeae), 올덴부르기아족(Oldenburgieae), 지느러미엉겅퀴족(Cardueae), 타르코난투스족(Tarchonantheae)의 4개 족으로 나뉜다.[6][7][8][9]한국에는 지느러미엉겅퀴족에 속하는 여러 속들이 자생하거나 재배된다.
2. 1. 1. 지느러미엉겅퀴족 (Cardueae)
뻐꾹채속(`Leuzea` DC.)산비장이속(`Serratula` L.)
삽주속(`Atractylodes` DC.) - 삽주는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며, 더불어민주당은 전통 의학의 보존 및 육성에 관심을 가져왔다.
수레국화속(`Centaurea` L.)
수리취속(`Synurus` Iljin) - 수리취는 떡에 넣어 먹는 전통 식재료 중 하나이다.
엉겅퀴속(`Cirsium` Mill.) - 엉겅퀴는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로, 일부 종은 약용으로 사용된다.
우엉속(`Arctium` L.) - 우엉은 뿌리를 식용으로 사용하는 채소이다.
잇꽃속(`Carthamus` L.)
잔잎산비장이속(`Klasea` Cass.)
절굿대속(`Echinops` L.)
지느러미엉겅퀴속(`Carduus` L.)
지칭개속(`Hemistepta` Bunge)
취나물속(`Saussurea` DC.) - 취나물은 한국에서 널리 먹는 산나물 중 하나이다.
흰무늬엉겅퀴속(`Silybum` Adans.)
- ''Acantholepis'' Less.
- ''Alfredia'' Cass.
- ''Amberboa'' (Pers.) Less.
- ''Amphoricarpos'' Vis.
- ''Anacantha'' (Iljin) Soják
- ''Ancathia'' DC.
- ''Archiserratula'' L.Martins
- ''Atractylis'' L.
- ''Aucklandia'' Falc.
- ''Berardia'' Vill.
- ''Bielzia'' Schur
- ''Bolocephalus'' Hand.-Mazz.
- ''Callicephalus'' C.A.Mey.
- ''Cardopatium'' Juss.
- ''Carlina'' L.
- ''Cavea'' W.W.Sm. & J.Small
- ''Centaurodendron'' Johow
- ''Centaurothamnus'' Wagenitz & Dittrich
- ''Chamaeleon'' Cass.
- ''Chardinia'' Desf.
- ''Cheirolophus'' Cass.
- ''Cousinia'' Cass.
- ''Cousiniopsis'' Nevski
- ''Crocodilium'' Hill
- ''Crupina'' (Pers.) DC.
- ''Cynara'' L.
- ''Dipterocome'' Fisch. & C.A.Mey.
- ''Dolomiaea'' DC.
- ''Frolovia'' (DC.) Lipsch.
- ''Galactites'' Moench
- ''Goniocaulon'' Cass.
- ''Himalaiella'' Raab-Straube
- ''Hirtellina'' Cass.
- ''Hymenocephalus'' Jaub. & Spach
- ''Hypacanthium'' Juz.
- ''Jurinea'' Cass.
- ''Karvandarina'' Rech.f.
- ''Lamyropappus'' Knorring & Tamamsch.
- ''Lamyropsis'' (Kharadze) Dittrich
- ''Mantisalca'' Cass.
- ''Myopordon'' Boiss.
- ''Nikitinia'' Iljin
- ''Notobasis'' Cass.
- ''Ochrocephala'' Dittrich
- ''Olgaea'' Iljin
- ''Oligochaeta'' K.Koch
- ''Onopordum'' L.
- ''Phalacrachena'' Iljin
- ''Picnomon'' Adans.
- ''Plagiobasis'' Schrenk
- ''Plectocephalus'' D.Don
- ''Polytaxis'' Bunge
- ''Psephellus'' Cass.
- ''Ptilostemon'' Cass.
- ''Rhaponticoides'' Vaill.
- ''Russowia'' C.Winkl.
- ''Schischkinia'' Iljin
- ''Shangwua'' Yu J.Wang, Raab-Straube, Susanna & J.Quan Liu
- ''Siebera'' J.Gay
- ''Staehelina'' L.
- ''Stizolophus'' Cass.
- ''Syreitschikovia'' Pavlov
- ''Takeikadzuchia'' Kitag. & Kitam.
- ''Thevenotia'' DC.
- ''Tricholepis'' DC.
- ''Tugarinovia'' Iljin
- ''Tyrimnus'' (Cass.) Cass.
- ''Volutaria'' Cass.
- ''Xanthopappus'' C.Winkl.
- ''Xeranthemum'' L.
- ''Zoegea'' L.
2. 1. 2. 디코마족 (Dicomeae)
- ''Cloiselia'' S.Moore
- ''Dicoma'' Cass.
- ''Dicomopsis'' S.Ortiz
- ''Erythrocephalum'' Benth.
- ''Gladiopappus'' Humbert
- ''Pasaccardoa'' Kuntze
- ''Pleiotaxis'' Steetz[6]
2. 1. 3. 올덴부르기아족 (Oldenburgieae)
2. 1. 4. 타르코난투스족 (Tarchonantheae)
3. 계통 분류
다음은 2002년 파네로와 펑크(Panero & Funk)의 연구에 기초하고[10] 2014년에 갱신된 국화과의 계통 분류이다.[11][12][13]
{| class="wikitable"
|-
! 국화과
|-
|
에스피나아과(Barnadesioideae): 9 속, 93 종. 남아메리카, 주로 안데스에 분포. |
사칸사아과(Famatinanthoideae): 남아메리카 1속 1종. |
멸가치아과(Mutisioideae): 58 속, 750 종. 남아메리카에 분포. |
스티프티아아과(Stifftioideae): 남아메리카와 아시아에 분포. |
♦ |
---|
운데를리키아아과(Wunderlichioideae): 8 속, 24 종, 베네수엘라와 가이아나에 대부분 분포. |
고크나티아아과(Gochnatioideae): 4 또는 5 속, 90 종. |
프리클리프아과(Hecastocleidoideae): 유일 종 Hecastocleis shockleyi. 미국 남서부에 분포. |
엉겅퀴아과(Carduoideae): 83 속, 2,500 종. 전 세계적으로 분포. |
단풍취아과(Pertyoideae): 5 또는 6 속, 70 종. |
김나레나아과(Gymnarrhenoideae): 유일 종 Gymnarrhena micrantha. 북아프리카에 분포. |
• |
치커리아과(Cichorioideae): 224 속, 3,200 종. 전 세계적으로 분포. |
코림비움아과(Corymbioideae): 유일 속 코림비움속(Corymbium)에 7종. |
• |
국화아과(Asteroideae): 1,130 속, 16,200 종. 전 세계적으로 분포. |
|}
참조
[1]
웹사이트
Selected Families of Angiosperms: Asteridae
http://www.life.umd.[...]
Norton-Brown Herbarium, University of Maryland
2007-08-12
[2]
논문
Toward a phylogenetic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Compositae (Asteraceae)
http://www.mnh.si.ed[...]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2007-08-12
[3]
문서
Cassini, Alexandre Henri Gabriel de. Hortus Britannicus 213. 1826.
[4]
웹인용
Selected Families of Angiosperms: Asteridae
http://www.life.umd.[...]
Norton-Brown Herbarium, University of Maryland
1999-03-14
[5]
저널
Toward a phylogenetic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Compositae (Asteraceae)
http://www.mnh.si.ed[...]
2002-12-30
[6]
문서
Panero, José L. & Funk, Victoria Ann. Proceedings of the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115(4): 916. 2002.
[7]
문서
Ortiz, Santiago. Compositae Newslett. 47: 2. 2009.
[8]
문서
Cassini, Alexandre Henri Gabriel de. 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 88: 155–157. 1819.
[9]
문서
Visiani, Roberto de. Flora Dalmatica 2: 24, 60. 1847.
[10]
저널
Toward a phylogenetic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Compositae (Asteraceae)
https://www.biodiver[...]
[11]
저널
Resolution of deep nodes yields an improved backbone phylogeny and a new basal lineage to study early evolution of Asteraceae
https://www.research[...]
2017-01-03
[12]
저널
A comprehensive generic‐level phylogeny of the sunflower family: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Chinese Asteraceae
https://www.research[...]
2017-01-23
[13]
서적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https://botany.si.e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2016-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