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멸가치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멸가치아과는 국화과의 아과로, 멸가치족(Mutisieae), 오노세리스족(Onoserideae), 나사우비아족(Nassauvieae)을 포함하는 58속 750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아메리카에 주로 분포한다. 멸가치족은 멸가치속과 솜나물속을 포함한 여러 속으로 구성되며, 오노세리스족에는 Aphyllocladus 등, 나사우비아족에는 Acourtia 등 여러 속이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멸가치아과 - 솜나물
    솜나물은 여러해살이풀로 잎 뒷면에 솜털이 밀생하며, 흰색에서 자주색의 두상화를 피우고 수과 열매를 맺으며, 뿌리를 갱신하고, 동아시아 지역의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 1829년 기재된 식물 - 진달래아과
    진달래아과는 진달래속을 포함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가솔송족, 브리안투스족, 시로미족, 에리카족, 진달래족 등 5개의 족으로 구성된다.
  • 1829년 기재된 식물 - 파파야과
    파파야과는 십자화목에 속하는 목본 또는 초본 식물 과로, 손바닥 모양의 잎과 측막태좌에 다수의 종자가 붙는 특징을 가지며, 주로 아메리카 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6개의 속을 포함한다.
멸가치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Mutisia cana
학명Mutisioideae
명명자(Cass.) Lindl.
하위 분류군부족
하위 분류군 참고Mutisieae
Nassauvieae
Onoserideae

2. 하위 분류

멸가치아과는 다음 세 개의 족으로 구성되어 있다.[2][3][4]

속(Genus)대표 이미지
나사우비아족(Nassauvieae)Acourtia, Ameghinoa, Berylsimpsonia, Burkartia, Calopappus, Calorezia, Cephalopappus, Criscia, Dolichlasium, Holocheilus, Jungia, Leucheria, Leunisia, Lophopappus, Macrachaenium, Marticorenia, Moscharia, Nassauvia, Oxyphyllum, Pamphalea, Perezia, Pleocarphus, Polyachyrus, Proustia, Triptilion, Trixis--
무티시아족(Mutisieae)멸가치속(Adenocaulon), 솜나물속(Leibnitzia), Amblysperma, Brachyclados, Chaetanthera, Chaptalia, Chucoa, Eriachaenium, Gerbera, Lulia, Mutisia, Oreoseris, Oriastrum, Pachylaena, Perdicium, Piloselloides, Trichocline--
오노세리스족(Onoserideae)Aphyllocladus, Gypothamnium, Lycoseris, Onoseris, Plazia, Paquirea, Urmenetea


2. 1. 멸가치족 (Mutisieae)

카시니가 명명한 무티시아족(Mutisieae)에는 다음과 같은 속들이 속한다.[9]

속(Genus)종 수
멸가치속 (Adenocaulon)5종
솜나물속 (Leibnitzia)8종
Amblysperma
Brachyclados3종
Chaetanthera47종
Chaptalia69종
Chucoa
Eriachaenium1종
Gerbera40종
Lulia1종
Mutisia58종
Oreoseris12종
Oriastrum
Pachylaena2종
Perdicium2종
Piloselloides
Trichocline24종


  • -]

2. 2. 오노세리스족 (Onoserideae)

오노세리스족(Solbrig)[10]은 다음 속을 포함한다.

Aphyllocladus Wedd.
Gypothamnium Phil.
Lycoseris Cass.
Onoseris Willd.
Plazia Ruiz & Pav.
Paquirea Panero & S.E.Freire
Urmenetea Phil.


2. 3. 나사우비아족 (Nassauvieae)

카시니가 명명한 나사우비아족(Nassauvieae)에는 다음과 같은 속(屬)들이 속한다.[8]

속(屬)종(種) 수기타
Acourtia D.Don65종
Ameghinoa Speg.
Berylsimpsonia B.L.Turner
Burkartia Crisci1종
Calopappus Meyen
Calorezia Panero
Cephalopappus Nees & Mart.
Criscia Katinas1종
Dolichlasium Lag.
Holocheilus Cass.7종[5]
Jungia L.f.
Leucheria Lag.
Leunisia Phil.
Lophopappus Rusby
Macrachaenium Hook.f.1종
Marticorenia Crisci1종
Moscharia Ruiz & Pav.
Nassauvia Comm.ex Juss.
Oxyphyllum Phil.
Pamphalea DC.9종
Perezia Lag.
Pleocarphus D.Don1종
Polyachyrus Lag.
Proustia Lag.
Triptilion Ruiz & Pav.
Trixis P.Br.50종



3. 계통 분류

다음은 2002년 파네로와 펑크(Panero & Funk)의 연구에 기초하고[11] 2014년 갱신된 국화과의 계통 분류이다.[12][13][14]


운데를리키아아과(Wunderlichioideae): 8 속, 24 종, 베네수엘라가이아나에 대부분 분포.
고크나티아아과(Gochnatioideae): 4 또는 5 속, 90 종.
프리클리프아과(Hecastocleidoideae): 유일 종 ''Hecastocleis shockleyi''. 미국 남서부에 분포.
엉겅퀴아과(Carduoideae): 83 속, 2,500 종. 전 세계적으로 분포.
단풍취아과(Pertyoideae): 5 또는 6 속, 70 종.
김나레나아과(Gymnarrhenoideae): 유일 종 ''Gymnarrhena micrantha''. 북아프리카에 분포.
* •
** 치커리아과(Cichorioideae): 224 속, 3,200 종. 전 세계적으로 분포.
** 코림비움아과(Corymbioideae): 유일 속 코림비움속(''Corymbium'')에 7종.
*** •
국화아과(Asteroideae): 1,130 속, 16,200 종. 전 세계적으로 분포.

참조

[1] 웹사이트 Subfamily '''Mutisioideae''' https://www.uniprot.[...] UniProt 2010-02-18
[2] 논문 The value of sampling anomalous taxa in phylogenetic studies: Major clades of the Asteraceae revealed https://botany.si.ed[...] 2017-01-05
[3] 서적 Classification of Compositae. in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http://www.composita[...]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IAPT)
[4] 웹사이트 Mutisioideae http://tolweb.org/Mu[...]
[5] 논문 Reconstructing the biogeographical history of two plant genera with different dispersion capabilities
[6] 서적 An Encyclopedia of Plants Loudon, John Claudius
[7] 웹인용 http://www.mobot.org[...] Missouri Botanical Garden 2001
[8] 간행물
[9] 간행물
[10] 간행물
[11] 저널 Toward a phylogenetic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Compositae (Asteraceae) https://www.biodiver[...]
[12] 저널 Resolution of deep nodes yields an improved backbone phylogeny and a new basal lineage to study early evolution of Asteraceae https://www.research[...] 2017-01-03
[13] 저널 A comprehensive generic‐level phylogeny of the sunflower family: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Chinese Asteraceae https://www.research[...] 2017-01-23
[14] 서적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https://botany.si.e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2016-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