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피사이클로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피사이클로이드는 정해진 원을 따라 다른 원이 회전할 때, 원주 위의 한 점이 그리는 곡선이다. 작은 원의 반지름을 r, 큰 원의 반지름을 R = kr로 나타낼 때, 매개변수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k 값에 따라 닫힌 곡선, 유리수 또는 무리수 형태의 곡선이 나타난다. 에피사이클로이드는 뾰족점의 개수, 길이, 넓이 등의 성질을 가지며, 면적과 호의 길이를 계산하는 공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 곡선 - 원뿔 곡선
    원뿔 곡선은 평면과 이중 원뿔의 교차로 생기는 타원, 포물선, 쌍곡선 세 종류의 곡선이며, 이차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천체의 궤도나 광학 기기 설계 등에 응용된다.
  • 대수 곡선 - 클라인 4차 곡선
    클라인 4차 곡선은 2차원 복소수 사영 공간에서 정의되는 4차 동차 다항식으로 표현되는 복소 사영 대수 곡선이며, 종수 3의 콤팩트 리만 곡면이고, 크기가 168인 PSL(2;F7)과 동형인 방향 보존 리만 곡면 자기 동형군을 갖는다.
에피사이클로이드
정의
한국어에피사이클로이드
영어Epicycloid
일본어エピサイクロイド (Episaikuroido)
개요
설명한 원이 다른 원의 바깥쪽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굴러갈 때, 굴러가는 원의 한 정점이 그리는 자취
매개변수 방정식
변수r: 굴러가는 원의 반지름
R: 고정된 원의 반지름
θ: 매개변수 (일반적으로 각도)
방정식x = (R + r)cos(θ) - r cos(((R + r)/r)θ)
y = (R + r)sin(θ) - r sin(((R + r)/r)θ)
특징
첨점의 개수R/r (만약 R/r이 정수일 경우)
특수한 경우R = r: 카디오이드
R = 2r: 네프로이드
관련 개념
관련 곡선사이클로이드
트로코이드
하이포사이클로이드
페리트로코이드

2. 정의

에피사이클로이드는 한 원이 다른 원의 바깥쪽을 따라 굴러갈 때, 작은 원 위의 한 점이 그리는 곡선이다.

구름원 위의 임의의 점 P의 자취


이때 작은 원을 구름원, 큰 원을 기초원이라고 부른다. \alpha를 접선에서 점 P까지의 각도, \theta를 시작점에서 접선까지의 각도라고 하면, 큰 원을 기준으로 작은 원이 미끄러짐 없이 움직이므로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l_R = l_r

각도는 호의 길이와 반지름의 비율이므로, l_R = \theta R, l_r = \alpha r 가 성립한다. 따라서 \theta R = \alpha r 이고, 이를 정리하면 \alpha = \frac{R}{r} \theta 가 된다.

2. 1. 매개변수 방정식

작은 원의 반지름을 r, 큰 원의 반지름을 R(=kr)이라고 할 때, 에피사이클로이드 곡선을 매개변수 방정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x (\theta) = (R + r) \cos \theta - r \cos \left( \frac{R + r}{r} \theta \right)

:y (\theta) = (R + r) \sin \theta - r \sin \left( \frac{R + r}{r} \theta \right),

또는

:x (\theta) = r (k + 1) \cos \theta - r \cos \left( (k + 1) \theta \right) \,

:y (\theta) = r (k + 1) \sin \theta - r \sin \left( (k + 1) \theta \right). \,

이는 복소평면을 이용하면 더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좌표평면에서 (x, y)를 x + yi 꼴로 나타낼 때, 위의 매개변수 방정식을 대입하고 오일러 공식 e^{ix} = cos x + i sin x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2]

:z(\theta) = r \left( (k + 1)e^{ i\theta} - e^{i(k+1)\theta} \right)

여기서

  • 각도 \theta \in [0, 2\pi],
  • 작은 원의 반지름은 r이고,
  • 큰 원의 반지름은 kr이다.


구름원 위의 임의의 점 P의 자취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lpha 를 접선 점에서 이동하는 점 P까지의 각도, \theta를 시작점에서 접선 점까지의 각도라고 하자.

큰 원을 기준으로 작은 원이 움직일 때, 미끄러짐이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l_R = l_r

각도의 정의 (호의 길이와 반지름의 비율)에 따라 l_R = \theta R, l_r = \alpha r 가 성립한다.

따라서 \theta R = \alpha r이라는 관계식이 성립하며, 이를 정리하면 \alpha = \frac{R}{r} \theta의 형태로 기술될 수 있다.

2. 2. 기하학적 의미

작은 원의 반지름을 r, 큰 원의 반지름을 R = kr이라고 할 때, 에피사이클로이드 곡선을 매개변수 방정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x (\theta) = (R + r) \cos \theta - r \cos \left( \frac{R + r}{r} \theta \right)

:y (\theta) = (R + r) \sin \theta - r \sin \left( \frac{R + r}{r} \theta \right),

또는

:x (\theta) = r (k + 1) \cos \theta - r \cos \left( (k + 1) \theta \right) \,

:y (\theta) = r (k + 1) \sin \theta - r \sin \left( (k + 1) \theta \right). \,

이는 복소평면을 이용하면 더 간단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좌표평면에서 (x, y)를 x + yi 꼴로 나타낼 때, 위의 매개변수 방정식을 대입하고 오일러 공식 e^{ix} = cos x + i sin x을 이용하면

:z(\theta) = (R+r) \cos \theta - r \cos(\theta + \frac{R}{r} \theta) + i((R+r) \sin \theta - r \sin(\theta + \frac{R}{r} \theta))

:z(\theta) = r((\frac{R}{r}+1)(\cos \theta + i \sin \theta ) - e^{i (\frac{R}{r}+1) \theta }

여기서

  • \theta \in [0, 2 \pi]
  • 구름원의 반지름 r
  • 기초원의 반지름 R
  • R = kr


''k''가 정수이면, 곡선은 닫힌 곡선이 되며, ''k'' 개의 뾰족점을 가진다.

''k''가 유리수이고, ''k'' = ''p''/''q'' 꼴로 단순화할 수 있다면, ''p'' 개의 뾰족점을 가진다.

''k''가 무리수이면, 곡선은 닫히지 않으며, 큰 원과 반지름 ''R'' + 2''r''인 원 사이의 공간의 조밀 집합을 형성한다.

















\alpha를 접선 점에서 이동하는 점 P까지의 각도, \theta를 시작점에서 접선 점까지의 각도라고 하자.

큰 원을 기준으로 작은 원이 움직일 때, 미끄러짐이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l_R = l_r

각도의 정의 (호의 길이와 반지름의 비율)에 따라 l_R = \theta R, l_r = \alpha r 가 성립한다.

따라서 \theta R = \alpha r이라는 관계식이 성립하며, 이를 정리하면 \alpha = \frac{R}{r} \theta의 형태로 기술될 수 있다.

도형에서, 구름원 위의 점 p의 위치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x (\theta) = (R + r) \cos \theta - r \cos \left( \frac{R + r}{r} \theta \right)

:y (\theta) = (R + r) \sin \theta - r \sin \left( \frac{R + r}{r} \theta \right),

3. 성질

작은 원의 반지름을 r, 큰 원의 반지름을 R(=kr)이라고 할 때, 에피사이클로이드 곡선은 다음과 같은 매개변수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x (\theta) = r (k + 1) \cos \theta - r \cos \left( (k + 1) \theta \right) \,

:y (\theta) = r (k + 1) \sin \theta - r \sin \left( (k + 1) \theta \right). \,

이는 복소평면을 이용하면 더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다. 좌표평면에서 (x, y)를 x + yi 꼴로 나타내고, 위의 매개변수 방정식에 대입한 후 오일러 공식 e^{ix} = \cos x + i \sin x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z(\theta) = r((\frac{R}{r}+1)(\cos \theta + i \sin \theta ) - e^{i (\frac{R}{r}+1) \theta }

여기서


  • \theta \in [0, 2 \pi]
  • 구름원의 반지름: r
  • 기초원의 반지름: R
  • R = kr


에피사이클로이드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3. 1. 뾰족점(Cusp)의 개수

''k''가 정수이면, 곡선은 닫힌 곡선이 되며, ''k'' 개의 뾰족점을 가진다.

''k''가 유리수인 경우, ''k'' = ''p''/''q'' 꼴로 단순화시킬 수 있다면, ''p'' 개의 뾰족점을 가진다.

''k''가 무리수이면, 곡선은 닫히지 않으며, 큰 원과 반지름 ''R'' + 2''r''인 원 사이의 공간의 조밀 부분 집합을 형성한다.

3. 2. 특수한 경우

작은 원의 반지름을 ''r'', 큰 원의 반지름을 ''R'' = ''kr''이라 할 때, 에피사이클로이드는 다음과 같은 매개변수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x (\theta) = r (k + 1) \cos \theta - r \cos \left( (k + 1) \theta \right) \,

:y (\theta) = r (k + 1) \sin \theta - r \sin \left( (k + 1) \theta \right). \,

  • ''k''가 정수이면, 곡선은 닫힌 곡선이 되며, ''k''개의 뾰족점을 가진다.
  • ''k''가 유리수이고 ''k'' = ''p''/''q'' (''p'', ''q''는 서로소)로 나타낼 수 있다면, 곡선은 ''p''개의 뾰족점을 가진다.
  • ''k''가 무리수이면, 곡선은 닫히지 않으며, 큰 원과 반지름 ''R'' + 2''r''인 원 사이의 공간의 조밀 부분 집합을 형성한다.


''k''가 양의 정수일 때, 에피사이클로이드의 면적 ''A''와 호의 길이 ''s''는 다음과 같다.

:A=(k+1)(k+2)\pi r^2,

:s=8(k+1)r.

이는 에피사이클로이드의 면적이 원래 고정된 원보다 \frac{(k+1)(k+2)}{k^2}배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피사이클로이드는 일종의 에피트로코이드이다.

첨점이 하나인 에피사이클은 심장형선이고, 두 개인 것은 네프로이드이다.

에피사이클로이드와 그 축선은 닮음이다.[3]

3. 3. 길이와 넓이

초기 점이 기초원 위에 있다고 가정할 때, k (k = \frac{R}{r})가 양수이면 에피사이클로이드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 = \int_{0}^{2\pi} y(\theta) \frac{dx}{d \theta} d \theta

에피사이클로이드 곡선의 매개변수 방정식

:x (\theta) = (R + r) \cos \theta - r \cos \left( \frac{R + r}{r} \theta \right)

:y (\theta) = (R + r) \sin \theta - r \sin \left( \frac{R + r}{r} \theta \right),

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A = (k+1)(k+2) \pi r ^2

으로 정리할 수 있다.

에피사이클로이드의 길이는 다음 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l = \int\limits_{0}^{2 \pi} \sqrt{(\frac{dx}{d \theta})^2 + \frac{dy}{d \theta})^2} d \theta

이 식에 에피사이클로이드 곡선의 매개변수 방정식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l = 8(k+1) r

를 얻는다. 시작점이 큰 원 위에 있다고 가정하고, k가 양의 정수이면 에피사이클로이드의 면적 A와 호의 길이 s는 다음과 같다.

:A=(k+1)(k+2)\pi r^2,

:s=8(k+1)r.

이는 에피사이클로이드의 면적이 원래 고정된 원보다 \frac{(k+1)(k+2)}{k^2}배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증명



구름원 위의 임의의 점 P의 자취를 구하고자 한다.

접선 점에서 이동하는 점 P까지의 각도를 \(\alpha\), 시작점에서 접선 점까지의 각도를 \(\theta\)라고 하자.

큰 원을 기준으로 작은 원이 움직일 때, 미끄러짐이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l_R = l_r\)

각도의 정의 (호의 길이와 반지름의 비율)에 따라 \(l_R = \theta R\), \(l_r = \alpha r\) 가 성립한다.

따라서 \(\theta R = \alpha r\)이라는 관계식이 성립하며, 이를 정리하면 \(\alpha = \frac{R}{r} \theta\)의 형태로 기술될 수 있다.

도형에서, 구름원 위의 점 p의 위치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x (\theta) = (R + r) \cos \theta - r \cos \left( \frac{R + r}{r} \theta \right)\)

:\(y (\theta) = (R + r) \sin \theta - r \sin \left( \frac{R + r}{r} \theta \right)\)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https://grabcad.com/[...]
[2] 논문 Epicycloids and Blaschke products by Chunlei Cao, Alastair Fletcher, Zhuan Ye https://arxiv.org/ab[...]
[3] 웹사이트 Epicycloid Evolute - from Wolfram MathWorld http://mathworld.wol[...]
[4] 웹사이트 Tartapelago http://www.maecla.it[...]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