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엑소브레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엑소브레인은 자연어 질의응답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이다. 자연어 이해, 지식 학습, 자연어 질의응답 기술을 핵심으로 하며, 교육, 법률, 특허 등 전문 분야에서 전문가 수준의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6년 EBS 장학퀴즈 <대결! 엑소브레인>에서 인간 퀴즈왕 4명과 대결하여 승리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공지능 - 구글
    구글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웹 검색 엔진에서 출발하여 검색 기술 혁신을 통해 유튜브,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개인정보보호 및 독점 논란에도 직면하고 있다.
  • 인공지능 - 친절한 인공지능
    친절한 인공지능은 사용자에게 친절하고 공감적인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며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한 분야이다.
  •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1965년 설립되어 경제 성장과 기술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며,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의 통합 및 분리를 거쳐 현재 독립된 연구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립부산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은 부산시의 과학관 유치 운동으로 설립되어 자동차, 조선, 에너지 등 동남권 주력 산업을 주제로 한 과학기술 체험관이며, 2013년 착공하여 2015년 6월에 준공되었고, 대한민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 출연하는 국립과학관법인으로 운영된다.
엑소브레인
기본 정보
엑소브레인 로고
엑소브레인 로고
개발 기관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발 목표인간처럼 스스로 배우고 추론하는 지능
주요 기능지식 축적 및 관리
질의 응답
추론 및 예측
활용 분야전문 상담
지능형 검색
교육
의료
금융
기술적 특징
기반 기술자연어 처리
기계 학습
지식 그래프
학습 데이터다양한 분야의 지식 데이터
추론 방식지식 기반 추론, 통계적 추론
프로젝트 현황
개발 단계연구 개발 완료, 상용화 추진 중
관련 프로젝트코리아텍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
법률 분야 지능형 질의응답 시스템
성능 및 평가
퀴즈 대회인간 퀴즈왕과 퀴즈 대결에서 승리
질의 응답 정확도지속적인 성능 향상 중
기타 정보
관련 뉴스KBS 뉴스: 한국형 인공지능 ‘엑소브레인’, 인간과 퀴즈대결
MBC 뉴스: 인공지능 '엑소브레인', 인간상대 퀴즈대결서 완승
TV조선: 토종 인공지능 '엑소브레인', 퀴즈왕 물리치다!
MBN 뉴스: 국산 인공지능, 퀴즈 대결서 수능 만점자 꺾어
YTN: 한국형 인공지능이 퀴즈 대결서 인간 이겼다
연합뉴스: 한국형 인공지능 vs 인간 지식대결 결과는?

2. 연구 배경

자연어 질의응답 기술 개발을 위한 글로벌 경쟁이 시작되었다. 인공지능 분야의 제일 어려운 난제이나, 성공시 매우 수익성이 높은 미개척분야이다. 데이터 측면에서 보면 현재 정보의 80%는 자연어로 기술된 텍스트 빅데이터이며, ‘누가 먼저 많은 가치를 창출해 내느냐’가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지식산업시대가 도래하였다. SW 측면에서는 IBM의 슈퍼컴퓨터 왓슨이 미국 ‘제퍼디’ 퀴즈쇼를 2011년에 우승하였으며, 구글은 Knowledge Graph 개발을 진행 중이다. 애플은 2014년에 IBM 왓슨과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시장 측면에서는 블루오션으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Gartner는 IT 역사상 가장 혁신적인 기술로써 2020년 인간의 지적 노동을 보조하는 스마트 머신이 등장할 것이라 전망하였고, McKinsey는 2025년에 지식노동의 자동화를 통한 QA 시장 개화를 전망하였다.

3. 핵심 기술

엑소브레인의 핵심 기술은 ① 자연어 이해 기술, ② 지식 학습 기술, ③ 자연어 질의응답 기술이다. 자연어 이해 기술은 자연어로 기술된 텍스트의 어휘, 문법, 문맥의 의미 이해를 위한 한국어 처리 기술이다. 엑소브레인의 핵심 기술 중 하나는 빅데이터로부터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고 생산하는 지식 학습 기술이다. 엑소브레인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자연어 질의응답 기술은 여러 개의 문장으로 구성된 질문을 이해하고 정형/비정형 지식으로부터 정답을 추론하는 기술이다.

3. 1. 자연어 이해 기술

엑소브레인의 핵심 기술은 ① 자연어 이해 기술, ② 지식 학습 기술, ③ 자연어 질의응답 기술이다. 자연어 이해 기술은 자연어로 기술된 텍스트의 어휘, 문법, 문맥의 의미 이해를 위한 한국어 처리 기술이다.

3. 2. 지식 학습 기술

엑소브레인의 핵심 기술 중 하나는 빅데이터로부터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고 생산하는 지식 학습 기술이다.

3. 3. 자연어 질의응답 기술

엑소브레인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자연어 질의응답 기술은 여러 개의 문장으로 구성된 질문을 이해하고 정형/비정형 지식으로부터 정답을 추론하는 기술이다.

4. 연구 목표

교육, 법률, 특허 등 전문 지식 상담 지원, 전문직 의사 결정 지원, 지능형 단말의 인공두뇌로 활용, 지식 산업 환경에서 전문가 수준의 질의응답(QA)을 통한 지식 서비스 제공 SW 개발을 목표로 한다.

5. 지식 대결

2016년 11월 18일, 한국교육방송공사(EBS) 장학퀴즈 <대결! 엑소브레인>에서 엑소브레인과 인간 퀴즈왕 4명 간의 지식 대결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대강당에서 진행되었다.[3][4][5][6][7][8] 이 대결에는 안산 동산고, 대원외고, 서울대, KAIST 등에서 선발된 우수 인재들이 참가하였다. 엑소브레인은 510점을 획득하여, 350점을 얻은 인간 퀴즈왕을 160점 차로 크게 이기고 완승하였다.[3][4][5][6][7][8]

참조

[1] 웹인용 엑소브레인 소개 https://web.archiv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 웹인용 한국의 IBM왓슨, ExoBrain http://blog.naver.co[...] 미래창조과학부 2016-04-30
[3] 웹인용 한국형 인공지능 ‘엑소브레인’, 인간과 퀴즈대결 http://news.kbs.co.k[...] KBS NEWS 2016-11-21
[4] 웹인용 인공지능 '엑소브레인', 인간상대 퀴즈대결서 완승 http://imnews.imbc.c[...] MBC NEWS 2016-11-21
[5] 웹인용 토종 인공지능 '엑소브레인', 퀴즈왕 물리치다! http://news.tvchosun[...] TV조선 2016-11-21
[6] 웹인용 국산 인공지능, 퀴즈 대결서 수능 만점자 꺾어 http://www.mbn.co.kr[...] MBN 뉴스 2016-11-20
[7] 웹인용 한국형 인공지능이 퀴즈 대결서 인간 이겼다 http://www.ytn.co.kr[...] YTN 2016-11-20
[8] 웹인용 한국형 인공지능 vs 인간 지식대결 결과는?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