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레오노레 추 졸름호엔졸름리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레오노레 추 졸름호엔졸름리히는 헤센 대공국의 에른스트 루트비히 폰 헤센 대공의 아내로, 1871년 9월 17일에 태어나 1937년 11월 16일에 사망했다. 그녀는 헤르만 추 졸름호엔졸름리히 공작과 아그네스 추 슈톨베르크베르니게로데 백작부인의 딸로, 1905년 에른스트 루트비히와 결혼하여 헤센 대공비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섭정으로 국무를 수행했으며, 보름스에는 그녀의 이름을 딴 김나지움이 있다. 1937년, 런던에서 둘째 아들의 결혼식에 참석하러 가던 중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센다름슈타트가 - 헤센 대공국
헤센 대공국은 1806년 헤센-다름슈타트 방백령이 승격되어 성립된 독일 국가로, 나폴레옹 전쟁과 빈 회의의 영향, 19세기 사회·정치적 변혁, 독일 제국 편입을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후 멸망, 현재 헤센 주의 일부가 되었다. - 헤센다름슈타트가 - 마리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녀
마리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녀는 러시아 알렉산드르 2세와 결혼하여 마리아 알렉산드로브나 황후가 되었으며, 러시아 여성 교육 발전과 적십자사 설립에 기여했지만 남편의 외도와 병마 속에서 생을 마감했다. - 항공 사고로 죽은 사람 - 사울로스 칠리마
말라위의 정치인이자 사업가인 사울로스 칠리마는 말라위 부통령, 연합변혁운동 창당, 대통령 선거 출마, 재난 구호 활동 등의 경력을 거쳤으나 항공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 항공 사고로 죽은 사람 - 알리야 (가수)
1990년대 후반 R&B와 팝 음악계에서 성공을 거두며 인기를 얻었던 미국의 가수이자 배우 알리야 다나 호턴은 2001년 비행기 사고로 요절했지만, 그녀의 음악은 사후에도 많은 아티스트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지속적인 사랑을 받고 있다. - 1871년 출생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1871년 출생 - 박성빈 (조선)
박성빈은 1871년에 태어나 무과에 급제하고 동학 농민 운동에 가담했으며, 아들 박정희는 대통령이 되었다.
엘레오노레 추 졸름호엔졸름리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엘레오노레 에르네스티네 마리 |
원래 이름 | Eleonore Ernestine Marie |
출생 | 1871년 9월 17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헤센 대공국, 리히 |
사망 | 1937년 11월 16일 |
사망지 | 벨기에, 오스텐더 인근 스테네 |
묻힌 곳 | 독일, 헤센 주, 다름슈타트, 로젠회에 공원 내 새로운 영묘 |
가문 | 졸름스-호엔졸름스-리히 가문 |
배우자 | |
배우자 | 에른스트 루트비히 폰 헤센 대공 |
결혼 | 1905년 |
사망 | 1937년 (사망) |
자녀 | |
자녀 | 게오르크 도나투스 폰 헤센 대공세자 루트비히 폰 헤센 |
가계 | |
아버지 | 헤르만 추 졸름스-호엔졸름스-리히 |
어머니 | 슈톨베르크-베르니게로데 백작부인 아그네스 |
헤센 대공비 | |
작위 | 헤센 대공국 대공비 |
재위 기간 | 1905년 2월 2일 – 1918년 11월 9일 |
유형 | 재위 |
2. 생애
엘레오노레는 헤센 대공국의 리히에서 졸름호엔졸름리히의 헤르만 공과 슈톨베르크베르니게로데의 아그네스 백작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1905년 2월 2일 다름슈타트에서 헤센 대공국의 에른스트 루트비히 폰 헤센 대공과 결혼하여 슬하에 2명의 아들을 낳았다. 1918년 독일 제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하면서 헤센 대공국이 해체되어 대공비 지위를 잃었다.
1937년 10월 9일 에른스트 루트비히와 사별한 후, 1937년 11월 16일 영국 런던에서 열린 둘째 아들 루트비히 폰 헤센다름슈타트의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가족들과 함께 비행기를 탔으나, 벨기에 오스텐더 근교에서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전선에 출정한 남편을 대신하여 섭정으로서 국무를 수행했고, 병원 열차에 동승하여 전선을 시찰하기도 했다. 보름스에 있는 엘레오노레 김나지움(Eleonoren-Gymnasium Worms)은 1906년 낙성식에 엘레오노레가 참석한 것을 기념하여 그녀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2. 1. 가족
엘레오노레는 1871년 9월 17일 헤센 대공국의 지배를 받던 리히에서 졸름호엔졸름리히의 헤르만 공과 슈톨베르크베르니게로데의 아그네스 백작부인 사이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 전체 이름은 엘레오노레 에르네스틴 마리(Eleonore Ernestine Marie)이다.1905년 2월 2일 다름슈타트에서 헤센 대공국의 에른스트 루트비히 폰 헤센 대공과 결혼하여 슬하에 2명의 아들을 낳았다.[1] 에른스트 루트비히 폰 헤센 대공은 1901년에 작센코부르크고타의 빅토리아 멜리타와 이혼한 전력이 있었기 때문에, 엘레오노레와의 결혼은 재혼이었다.[1][4] 두 사람의 결혼을 기념하여 다름슈타트 시민들은 건축가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의 설계로 결혼 기념탑(Hochzeitsturm)을 짓고 대공 부부에게 선물했다.[4]
배우자 | 에른스트 루트비히 폰 헤센 대공 (1905년 결혼) |
---|---|
자녀 | 게오르크 도나투스 폰 헤센다름슈타트 |
루트비히 폰 헤센다름슈타트 |
2. 2. 헤센 대공비
1905년 2월 2일, 엘레오노레는 다름슈타트에서 헤센 대공국의 에른스트 루트비히 폰 헤센 대공과 결혼하여 헤센 대공비가 되었다.[3] 에른스트 루트비히는 1901년에 작센코부르크고타의 빅토리아 멜리타와 이혼한 경력이 있었다.[1] 결혼 후, 엘레오노레는 이전 시어머니였던 영국 공주 앨리스가 관리하던 여러 자선 단체의 후원 및 운영을 맡았다.[3]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남편 에른스트 루트비히가 참전하였고, 엘레오노레는 그의 부재 기간 동안 섭정으로서 헤센 대공국을 통치했다.[3] 그녀는 유능한 섭정으로 평가받았으며, 전선에 병원 열차를 배치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3] 보름스에 있는 엘레오노레 김나지움(Eleonoren-Gymnasium Worms)은 1906년 낙성식에 엘레오노레가 참석한 것을 기념하여 그녀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918년 독일 혁명으로 독일 제국이 붕괴하고 헤센 대공국이 해체되면서 엘레오노레는 대공비 지위를 잃었지만,[1] 민주주의 도입 이후에도 자선 활동을 계속했다.[3]
2. 3. 사망
1937년 10월 9일 에른스트 루트비히 폰 헤센 대공이 사망하면서 엘레오노레는 남편과 사별했다. 이 때문에 둘째 아들 루트비히 폰 헤센다름슈타트의 결혼식이 늦춰졌다.[3] 1937년 11월 16일, 엘레오노레는 영국 런던에서 열린 루트비히 폰 헤센다름슈타트의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게오르크 도나투스 폰 헤센다름슈타트, 그리스와 덴마크의 공주 체칠리아 부부와 그 자녀들과 함께 비행기를 탔다. 그러나 비행기가 악천후로 벨기에 오스텐더 근교 공장 굴뚝을 들이받고 추락하면서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다.[3] 엘레오노레와 함께 장남 헤센의 게오르크 도나투스 세습 대공, 그의 아내 그리스와 덴마크의 체칠리에 공주, 그들의 두 아들 루트비히와 알렉산더도 사망했다. 잔해에서는 사산된 아들의 유해도 발견되었다. 이들의 유해는 일주일 후인 11월 23일, 다름슈타트 로젠헤에 공원(Park Rosenhöhe)에 있는 에른스트 루트비히의 묘 옆에 매장되었다.3. 훈장 및 영예
엘레오노레는 프로이센 왕국으로부터 생명 구조 메달을 받았고,[2] 헤센 대공국으로부터 황금사자 훈장과 루트비히 훈장을 받았다.[3]
3. 1. 훈장
4. 자녀
엘레오노레와 에른스트 루트비히 부부는 두 아들을 두었다.
사진 | 이름 | 생일 | 사망 | 기타 |
---|---|---|---|---|
![]() | 게오르크 도나투스 폰 헤센다름슈타트 | 1906년 11월 8일 | 1937년 11월 16일 (31세) | 명목상 헤센 대공, 가족들과 함께 비행기 사고로 사망. |
루트비히 폰 헤센다름슈타트 | 1908년 11월 20일 | 1968년 5월 20일 (59세) | 명목상 헤센 대공, 자녀 없음. |
4. 1. 게오르크 도나투스 폰 헤센다름슈타트 (1906-1937)
1906년 11월 8일에 태어나 1937년 11월 16일에 31세의 나이로 사망한 명목상 헤센 대공이다. 가족들과 함께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 그리스와 덴마크의 체칠리에 공주(에든버러 공작 필립의 여동생)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1]
4. 2. 루트비히 폰 헤센다름슈타트 (1908-1968)
루트비히 폰 헤센다름슈타트는 1908년 11월 20일에 태어나 1968년 5월 20일에 사망한 명목상 헤센 대공이었다. 영국의 마거릿 캠벨 게데스(게데스 경의 딸)와 결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 헤센의 모리츠 방백을 상속자로 입양했다.
5. 가계
엘레오노레 추 졸름호엔졸름리히 가계도 | ||||||||
---|---|---|---|---|---|---|---|---|
1대 | 엘레오노레 추 졸름호엔졸름리히 (본인) | |||||||
2대 | 졸름호엔졸름리히의 헤르만 공자 | 슈톨베르크베르니게로데 백작 부인 아그네스 | ||||||
3대 | 졸름호엔졸름리히의 페르디난트 공자 | 콜랄토와 산 살바토레 백작 부인 카롤린 | 슈톨베르크베르니게로데 백작 빌헬름 | 슈톨베르크로슬라 백작 부인 엘리자베트 | ||||
4대 | 졸름호엔졸름리히의 카를 루드비히 공자 | 벤트하임슈타인푸르트의 공주 헨리에테 | 콜랄토와 산 살바토레의 안톤 옥타비안 공자 | 나지아포니의 아포니 백작 부인 카롤리나 | 슈톨베르크베르니게로데의 콘스탄틴 백작 | 폰 데어 레크 남작 부인 에르네스틴 | 슈톨베르크로슬라의 아우구스트 백작 | 에르바흐쇤베르크 백작 부인 카롤린 |
참조
[1]
서적
Die Regenten von Hessen-Darmstadt
Schlapp
[2]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supp.)
[3]
간행물
Großherzoglich Hessische Ordensliste
Staatsverlag
[4]
서적
Die Regenten von Hessen-Darmstadt
Schlap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