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링턴 조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링턴 조던은 미국의 음악가로, 1940년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2020년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1960년대 디트로이트에서 활동하며 에디 켄드릭스와 교류했고, 강도 혐의로 수감 중 에타 제임스와 함께 "I'd Rather Go Blind"를 공동 작곡했다. 그는 Fugi라는 이름으로 사이키델릭 펑크 음악을 시도했으며, 2005년에는 앨범 《Almost Home》을 발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송라이터 - 론 브라우즈
론 브라우즈는 1982년생 미국 힙합 프로듀서이자 가수로, 빅 L과의 협업과 나스의 "Ether" 프로듀싱으로 주목받았으며, 오토튠을 활용한 독특한 스타일로 히트곡을 냈지만 비평과 갈등을 겪었고, "20 Dollars"의 밈 인기를 얻었으며, 현재 독립 레이블을 운영하며 음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미국의 송라이터 - 베리 고디
베리 고디는 1959년 모타운 레코드를 설립하여 슈프림스, 마빈 게이, 템테이션스 등 흑인 음악가들을 발굴하고 영화 제작에도 참여한 미국의 음반 제작자, 작곡가, 영화 제작자이다. - 미국의 음악 프로듀서 - 로스 배그더세리언
로스 배그더세리언은 "컴 온-어 마이 하우스"와 "위치 닥터" 등의 히트곡을 작곡하고, 데이비드 세빌이라는 예명으로 앨빈과 슈퍼밴드를 창조한 미국의 작곡가, 배우, 음반 제작자이다. - 미국의 음악 프로듀서 - 릭 루빈
릭 루빈은 데프 잼 레코딩스의 공동 설립자이자 컬럼비아 레코드의 공동 대표를 역임한 미국의 음악 프로듀서로, 힙합, 록, 메탈, 컨트리, 팝 등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와 협업하며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보여주었고 조니 캐시의 음악 인생 후반기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래미 어워드를 수차례 수상하고 창작에 관한 저서를 출간하는 등 음악 산업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 1940년 출생 - 콘스탄티노스 2세
콘스탄티노스 2세는 그리스 왕국의 마지막 국왕로, 재위 기간 중 정치적 혼란과 군사 쿠데타, 왕정 폐지를 겪었으며, 올림픽 요트 금메달리스트이기도 하다. - 1940년 출생 - 김종인
김종인은 5선 국회의원과 장관, 경제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민주화를 추진했으나 뇌물수수 전력과 국보위 참여 경력 등으로 논란이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이다.
엘링턴 조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엘링턴 조던 |
다른 이름 | 푸기 (Fugi) |
출생 | 1940년 |
출생지 |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 |
사망 | 2020년 6월 18일 (80세) |
사망지 | 프레즈노, 캘리포니아주 |
출신지 | 디트로이트, 미시간주 |
직업 | 음악가 송라이터 레코드 프로듀서 |
활동 시기 | 1960년대-1970년대, 1990년대-2010년대 |
레이블 | 캐뎃 레코드 터프 시티 |
장르 | 사이키델릭 펑크 |
2. 생애
엘링턴 조던은 로스앤젤레스 출신으로, 음악 경력을 위해 디트로이트로 이주했다.[1] 1960년대 디트로이트에서 작곡가이자 사이드맨으로서 다양한 지역 소울 음악 및 펑크 음악가들과 협력했다.[2][6] 1967년에는 에타 제임스와 블루스 곡 "I'd Rather Go Blind"를 공동 작곡했는데,[3] 이 곡은 나중에 로드 스튜어트와 비욘세 등 많은 아티스트들이 리메이크했다.[3]
음악 활동을 중단하고 캘리포니아주 프레즈노로 이주했던 조던은[1] 1994년, Fugi라는 이름으로 랩 지향적인 앨범 ''The Cold-Blooded City They Call the ‘No’''를 발매했다.[1] 2000년대 초, 그의 음악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는데, 펑크 음악 팬들이 "Mary Don't Take Me on No Bad Trip"을 재발견했고, 블랙 머다가 비슷한 인기를 얻으면서 조던은 그들과의 연관성을 통해 이득을 얻었다.
2005년, 정규 앨범 ''Mary Don't Take Me on No Bad Trip''이 Tuff City에 의해 처음으로 발매되었고,[5] 같은 해 네오 소울 앨범 ''Almost Home''을 발매했다.[7] 조던은 가끔 라이브 공연을 재개했으며, 2016-17년에 블랙 머다의 전 멤버들과 새로운 자료를 협력하기도 했다.[8]
2. 1. 초기 생애 (1940-1960년대 초)
엘링턴 후기 조던은 1940년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사우스 센트럴에서 7명의 자녀를 둔 가정에서 태어났다.[10]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던 엘링턴의 아버지는 자신의 풋로커에 후지산의 사진이 들어있어서 엘링턴을 '후지'라고 불렀다.[9] 엘링턴은 자신의 음악적인 재능을 일찍이 발견하고 확립하려 노력하였고, 이때 척 베리, 머디 워터스, 빅 조 터너, 레이 찰스, 조지 클린턴 등의 노래에 영향을 받았다.[9] 또한 음악을 배우면서 디트로이트의 록 밴드 템테이션스의 멤버였던 에디 켄드릭스와 친구가 되었다. 이로 인해 체스 레코드에서 음악을 만들기 위해 디트로이트로 갈 수 있게 되었고, 그곳에서 머디 워터스, 도니 해서웨이, 하울링 울프, 에타 제임스, 지미 헨드릭스 등과 친목을 다지면서 음악적인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그리고 켄드릭스는 엘링턴에게 록밴드 Black Merda|블랙 머다영어를 소개해 주었다. 이윽고 블랙 머다의 음악에 엘링턴이 보컬과 작사를 하는 식으로 협업을 시작하였다.[10]한편, 1967년에 엘링턴은 디트로이트로 오기 몇 년 전에 저질렀던 강도로 인해 교도소에 수감되게 되었다. 옥중에서 생활을 하고 있을 때, 에타 제임스가 면회를 오면서 노래 "I'd Rather Go Blind"를 만들기 시작하였고, 에타 제임스가 이후 완성을 시켰다.[11] 노래는 발매 후 800만 장이 넘는 판매량과 많은 국가 차트에서 1위를 달성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후 엘링턴은 노래를 만들 당시까지 사랑을 해 본 적은 없었지만 많이 생각하면서 노래를 만들었다고 밝히면서, 감옥에 있는 도중에는 사랑과 자유를 갈망했다고 회고하였다.[12]
2. 2. 디트로이트 시절과 음악 활동 (1960년대 중반-1970년대 초)
엘링턴은 음악을 배우면서 디트로이트의 록 밴드 템테이션스의 멤버였던 에디 켄드릭스와 친구가 되었다. 이로 인해 체스 레코드에서 음악을 만들기 위해 디트로이트로 갈 수 있게 되었고, 그곳에서 머디 워터스, 도니 해서웨이, 하울링 울프, 에타 제임스, 지미 헨드릭스 등과 친분을 쌓으며 음악적인 영향을 받았다. 켄드릭스는 엘링턴에게 록 밴드 Black Merda|블랙 머다영어를 소개해 주었고, 엘링턴은 블랙 머다의 음악에 보컬과 작사를 담당하며 협업을 시작하였다.[10]1967년, 엘링턴은 디트로이트로 오기 몇 년 전 저질렀던 강도 사건으로 교도소에 수감되었다. 옥중에서 에타 제임스가 면회를 왔고, 함께 노래 "I'd Rather Go Blind"를 만들기 시작하여 에타 제임스가 이후 완성했다.[11] 이 곡은 발매 후 800만 장 이상 판매되었고, 여러 국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엘링턴은 노래를 만들 당시까지 사랑을 해 본 적은 없었지만, 감옥에서 사랑과 자유를 갈망하며 많은 생각을 하면서 노래를 만들었다고 회고하였다.[12] 이후 엘링턴은 레코드사와의 문제로 녹음된 음반을 발매할 수 없게 되었고, 블랙 머다와 함께 차를 얻어 서쪽으로 향해 콩가를 연주하면서 1970년대 중반까지 미국에서 순회공연을 하였다.[13]
1960년대 후반, 조던은 '''Fugi'''라는 이름으로 1인 사이키델릭 펑크 활동을 하며 Cadet Records(체스 레코드의 자회사)에서 "Mary Don't Take Me on No Bad Trip"을 1968년에 발매했다.[4] 동명의 정규 앨범은 녹음되었지만 2005년에야 발매되었으며, 여기에는 Fugi의 "I'd Rather Go Blind" 자체 버전이 수록되었다.[3] 그는 앨범에서 블랙 머다의 지원을 받았으며, 이 밴드는 나중에 조던의 제안으로 체스와 계약했다.[6] Fugi로서 1972년 20th Century Records와 새 앨범 발매 계약을 맺었지만, 결국 발매되지 않았다.[5]
2. 3. 캘리포니아 시절과 음악적 변화 (1970년대 중반-2020)
엘링턴은 레코드사와의 문제로 인해 녹음된 음반을 발매할 수 없게 되자, 블랙 머다와 함께 차를 하나 얻어 서쪽으로 향했다. 그는 콩가를 연주하면서 1970년대 중반까지 미국에서 순회공연을 하였다.[13]2005년에는 《Almost Home》이라는 음반을 발매하였다. 이전에 엘링턴이 화재가 난 곳 주변에 있던 노숙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는데, 한 노숙자가 베트남 전쟁에 대해 말하면서, 자신이 베트남에서 돌아오자 세상과 자기 자신도 변해있었다고 말했다. 그 노숙자는 발로 훈장(Medal of Valor)이 있음에도 돈이 필요해 전당포에 내놓으면서 아무 쓸모도 없어졌다고 말하였다. 엘링턴은 그때 노숙자가 집에 거의 도착은 하였지만, 완전히 도달하지는 못했다고 생각하였고, 이를 음반의 제목에 넣어 "Almost Home"이라는 이름으로 나오게 된 것임을 밝혔다.[9]
2020년 6월 18일, 엘링턴은 향년 80세의 나이로 프레즈노의 자택에서 사망하였다.[14]
2. 4. 사망
엘링턴 조던은 2020년 6월 18일 프레즈노의 자택에서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4]3. 음악 스타일 및 영향
엘링턴 조던은 로스앤젤레스 출신이지만, 음악 경력을 위해 디트로이트로 이주했다.[1] 1960년대 디트로이트에서 음악을 시작하여 작곡가이자 사이드맨으로서 다양한 지역 소울 음악 및 펑크 음악가들과 협력했다.[2][6] 1967년, 감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블루스 곡 "I'd Rather Go Blind"를 에타 제임스와 공동 작곡했다.[3] 이 곡은 로드 스튜어트, 비욘세 등 많은 아티스트들이 리메이크했다.[3]
1960년대 후반, 조던은 '''Fugi'''라는 이름으로 1인 사이키델릭 펑크 활동을 하며 Cadet Records(Chess Records의 자회사)에서 "Mary Don't Take Me on No Bad Trip"을 1968년에 발매했다.[4] 동명의 정규 앨범은 2005년에야 발매되었는데,[5] 여기에는 Fugi의 "I'd Rather Go Blind" 자체 버전이 수록되었다.[3] 그는 앨범에서 Black Merda의 지원을 받았으며, 이 밴드는 나중에 조던의 제안으로 Chess와 계약했다.[6] Fugi로서 1972년 20th Century Records와 새로운 앨범 발매를 위해 계약했지만, 결국 발매되지 않았다.[5]
1994년, Fugi라는 이름으로 프레즈노에서 지역적으로 랩 지향적인 앨범 ''The Cold-Blooded City They Call the ‘No’''를 발매했다.[1] 2000년대 초, 그의 음악에 대한 관심이 부활했는데, 덜 알려진 초기 펑크 음악 팬들이 "Mary Don't Take Me on No Bad Trip"을 재발견했고, 그는 Black Merda가 비슷한 인기를 얻으면서 그들과의 연관성을 통해 이득을 얻었다.
2005년, 정규 앨범 ''Mary Don't Take Me on No Bad Trip''이 Tuff City에 의해 처음으로 발매되었고,[5] 같은 해 그는 새로운 네오 소울 앨범 ''Almost Home''을 발매했다.[7]
4. 디스코그래피
엘링턴 조던은 1994년 《냉혈 도시 그들은 '노'라고 부른다》, 2005년 《메리, 나를 나쁜 여행에 데려가지 마》(1968년 녹음), 《거의 집》을 발매했다.
4. 1. 정규 음반
연도 | 음반명 |
---|---|
1994 | '냉혈 도시 그들은 노고 부른다(The Cold-Blooded City They Call the ‘No’) |
2005 | 메리, 나를 나쁜 여행에 데려가지 마(Mary Don't Take Me on No Bad Trip) (1968년 녹음) |
2005 | 거의 집(Almost Home) |
참조
[1]
뉴스
RIP 'Fugi' Jordan, the man behind an Etta James classic and one of Fresno's first rap anthems
https://www.fresnobe[...]
2021-06-04
[2]
웹사이트
Ellington Jordan: True Meaning
https://allhiphop.co[...]
2021-06-04
[3]
웹사이트
Etta James, "I'd Rather Go Blind"
https://americansong[...]
2021-06-04
[4]
웹사이트
23/4/15 - Ellington "Fugi" Jordan - Mary Don't You Take Me On No Bad Trip - 1968
https://www.indeepmu[...]
2021-06-04
[5]
웹사이트
Mary, Don't Take Me on No Bad Trip - Fugi
https://www.allmusic[...]
2021-06-04
[6]
웹사이트
1960s black rock trailblazers Black Merda back with Fugi for a new album
https://www.metrotim[...]
2021-06-04
[7]
Citation
Almost Home - Ellington, Ellington Jordan
https://www.allmusic[...]
2021-06-04
[8]
웹사이트
New track from Fugi of Black Merda fame: 'Jesus Don't Like 'Em'
https://www.metrotim[...]
2021-06-04
[9]
웹인용
Ellington Jordan: True Meaning
https://allhiphop.co[...]
2020-08-29
[10]
웹인용
I'd Rather Go Blind
http://theblues-that[...]
2020-08-29
[11]
뉴스
The Story Behind Etta James’s Greatest Song
https://slate.com/cu[...]
2020-08-29
[12]
웹인용
‘Fuji’ performs in Lake Stevens
https://www.heraldne[...]
2020-08-29
[13]
웹인용
Mary Don’t Take Me On No Bad Trip
https://shelikes12in[...]
2020-08-29
[14]
뉴스
RIP ‘Fugi’ Jordan, the man behind an Etta James classic and one of Fresno’s first rap anthems
https://www.fresnobe[...]
2020-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