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 설측 접근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구개 설측 접근음 [ʟ]은 혀의 뒤쪽과 연구개 사이에서만 접촉이 일어나는 자음으로, 혀의 끝이 입천장에 닿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영어 단어 "feel"의 어두운 'l'로 알려진 연구개음화된 치경 설측 접근음 [ɫ]과는 대조된다. 이 소리는 폐장기류를 사용하며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는 유성음이고, 연구개를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는 구음이다. 영어, 히우어, 멜파어, 와기어 등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며, 국제 음성 기호에는 1989년에 정식으로 등재되었다.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는 1989년에 연구개 설측 접근음을 위한 기호가 정식으로 정의되었다. 1970년대에 파푸아뉴기니의 카니테어에 이 소리가 음소로 존재한다는 것이 보고되면서 음성학자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
2. 특징
구강 내 기류는 혀의 옆으로 통과하는 설측음이다.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는 마찰이 생길 정도는 아닌 좁힘에서 생기는 접근음이다.
연구개 위치는 연구개를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이다.2. 1. 조음 방법
2. 2. 조음 위치
조음 위치는 뒷 혀와 연구개를 이용하여 연구개음을 만든다.[1]
3. 언어별 예시
이 소리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언어는 다음과 같다:[2]
남부 미국 영어와 스코틀랜드 영어에서 음절 말의 '어두운 L'(연구개화된 치경 설측 접근음)의 이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고 알려졌으나, 피터 라디포지드와 이언 매디슨은 그러한 현상을 인정하지 않으며, 다른 소리와 혼동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6]
3. 1. 영어
|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
| 영어 | 미국 남부 | iddl'e | [ˈmɪɾʟ̩] | middle (중간) | /ʊ/가 동화될 때, 예를 들어 milk(우유)와 cycle(사이클)과 같이 연구개 자음 앞이나 뒤, 또는 wolf(늑대)와 같이 동화될 때, 또는 help(돕다)와 같이 순음 앞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영어 음운론 참조 |
| ull' | [ˈfʟ̩ː] | full (가득한) | |||
3. 2. 히우어
- 미국 남부 영어: 연구개음 앞 또는 뒤의 l에서 이 소리가 난다.
- 히우어: r̄에서 이 소리가 나며 실제로는 선파열음화가 된 상태(/ɡʟ/)로 발음된다.[1]
|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
| 영어 | 미국 남부 영어 | iddl'e | [ˈmɪɾʟ̩] | middle (중간) | /ʊ/가 동화될 때, 예를 들어 milk(우유)와 cycle(사이클)과 같이 연구개 자음 앞이나 뒤, 또는 wolf(늑대)와 같이 동화될 때, 또는 help(돕다)와 같이 순음 앞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영어 음운론 참조 |
| ull' | [ˈfʟ̩ː] | full (가득한) | |||
| 히우어 | 'r̄evr̄'ov | [ɡ͡ʟəβˈɡ͡ʟɔβ] | evening (저녁) | 전청 자음 로 실현됨.[1] | |
| 멜파어 | aⱡ'a | [paʟa] | fence (울타리) | 전청 자음 로 실현됨. | |
| 미드-와기어 | glagl'e | [aʟaʟe] | dizzy (어지러운) | 전청 자음 로 실현됨. | |
3. 3. 멜파어
|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
| 멜파어 | aⱡ'a | fence (울타리) | 전청 자음 로 실현됨.[4] | ||
3. 4. 와기어
미드-와기어에서 ''a'''gl'''a'''gl'''e''()는 '어지러운'을 의미하며, 전청 자음 로 실현된다.[3]3. 5. 기타 언어
- 남부 미국 영어: 연구개음 앞 또는 뒤의 l에서 이 소리가 난다.
- 히우어: r̄에서 이 소리가 나며 실제로는 선파열음화가 된 상태(/ɡʟ/)로 발음된다.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1989년에 정식으로 이 소리를 위한 기호가 정의되었다. 1970년대에 파푸아뉴기니의 Kanite language|카니테어영어에 이 소리가 음소로 존재한다는 것이 보고되면서, 마침내 음성학자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 현재 이 소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언어에는, 그 밖에 Melpa language|멜파어영어, 중부 Wahgi language|와기어영어, Yagaria language|야가리아어영어 등의 파푸아뉴기니의 여러 언어가 있으며, 그 밖에 차드어파의 동차드어에 속하는 코토코어 등이나, 세이리시어족의 코모스어 역시 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2]
남부 미국 영어 및 스코틀랜드 영어에서, 음절 말의 이른바 '''어두운 L''' (연구개화된 치경 설측 접근음)의 이음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고 하지만, 피터 라디포지드와 이언 매디슨에 따르면 그러한 현상은 인정되지 않으며, 아마 다른 소리를 착각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고 한다.[6]
4. 추가 정보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참조
[1]
간행물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1999
[2]
서적
Ladefoged & Maddieson
1996
[3]
간행물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1999
[4]
서적
Ladefoged & Maddieson
1996
[5]
서적
Ladefoged & Maddieson
1996
[6]
서적
Ladefoged & Maddieson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