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일군 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일군 갑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63년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박순석,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최원수, 제3·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박순석,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최태능이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시의 정치 - 포항시 북구 (선거구)
    포항시 북구 선거구는 1995년 포항시와 영일군의 통합으로 신설되어 포항시 북구 전역을 관할하며 보수정당 후보가 주로 당선되었고 무소속 허화평, 자유민주연합 박태준, 한나라당/새누리당 이병석, 현재 국민의힘 김정재가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포항시의 정치 - 포항시장
    포항시장은 경상북도 포항시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자리로, 초대 시장 최기봉 이후 김의환, 박기환, 정장식, 박승호, 이강덕 등이 역임하며 포항 발전에 기여했으나 논란과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영천시 (선거구)
    영천시 선거구는 1995년 영천시와 영천군 통합 이후 15대부터 19대 총선까지 존재했던 국회의원 선거구로, 20대 총선을 앞두고 청도군 편입으로 영천시·청도군 선거구로 변경되어 폐지되었으며, 보수정당 소속 의원들이 주로 당선되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상주군 을
    상주군 을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상주군 일부에 설치되었다가 1963년 상주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며 폐지된 선거구로, 전진한, 백남식, 김정근, 김기영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무소속 후보 강세 속 정치적 변화를 겪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영일군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영일군 갑
의회국회
큰 지도경상북도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포항시 (1950년 분리)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의원수1인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일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49년 8월, 영일군 포항읍이 포항부로 승격되었으며 이내 포항부는 포항시로 개칭되었다. 이에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포항시 선거구가 분리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포항시 선거구, 영일군 을 선거구, 울릉군 선거구와 통합되며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신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일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49년 8월, 영일군 포항읍이 포항부로 승격되었으며 이내 포항부는 포항시로 개칭되었다. 이에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포항시 선거구가 분리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포항시 선거구, 영일군 을 선거구, 울릉군 선거구와 통합되며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2. 포항시 분리 (1950년)

1949년 8월, 영일군 포항읍이 포항부로 승격되었으며 이내 포항부는 포항시로 개칭되었다. 이에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포항시 선거구가 분리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포항시 선거구, 영일군 을 선거구, 울릉군 선거구와 통합되며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3. 선거구 통합 및 폐지 (1963년)

wikitext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일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49년 8월, 영일군 포항읍이 포항부로 승격되었으며 이내 포항부는 포항시로 개칭되었다. 이에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포항시 선거구가 분리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포항시 선거구, 영일군 을 선거구, 울릉군 선거구와 통합되며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wikitext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선거정당의원
1948년style="background-color: #808080" |무소속박순석
1950년style="background-color: #808080" |무소속최원수
1954년style="background-color: #0054FF" |자유당박순석
1958년style="background-color: #0054FF" |자유당
1960년style="background-color: #006DD7" |민주당최태능


3. 2. 정당별 당선 횟수

wikitable

선거정당의원
1948년style="background-color: #000000; color:#ffffff" |무소속박순석
1950년style="background-color: #000000; color:#ffffff" |무소속최원수
1954년style="background-color: #006600; color:#ffffff" |자유당박순석
1958년style="background-color: #006600; color:#ffffff" |자유당
1960년style="background-color: #0072bc; color:#ffffff" |민주당최태능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영일군 갑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박순석 후보가 27.2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한국민주당 이원만 후보는 23.66%로 2위를 기록했다. 무소속 최태능 후보는 21.30%,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최원수 후보는 15.25%, 대동청년단 최이봉 후보는 12.55%를 득표했다. 대한노동총연맹 김기석 후보는 득표율 0%를 기록했다.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wikitable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영일군 갑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최원수무소속7,97022.78
이은우무소속6,28517.96
최태능무소속6,21817.77
최홍준대한청년당4,45712.74
박권조무소속4,35012.43
김용규무소속2,0875.96
이홍규무소속2,0575.88
김두수무소속1,5564.44
합계34,980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박순석 후보가 54.12%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경상북도 영일군 갑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이며, 총 36,080표 중 박순석 후보는 19,529표를 얻었다. 무소속 최원수 후보는 19.87%(7,172표), 무소속 최홍준 후보는 15.22%(5,494표), 민주국민당 최태능 후보는 8.83%(3,186표)를 얻었다. 그 외 무소속 최기윤 후보는 473표(1.31%), 무소속 황갑이 후보는 226표(0.62%)를 얻는 데 그쳤다.

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박순석 후보가 69.33%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경상북도 영일군 갑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공개되지 않았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순석자유당27,39469.33
최원수무소속6,41916.24
최태능민주당5,69814.42
합계39,511


4.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1960년에 치러졌다. 경상북도 영일군 갑 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최태능 후보가 37.5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최홍준 후보는 17.71%, 무소속 최원수 후보는 16.84%를 득표했다. 무소속 장남수 후보는 14.46%, 무소속 정태섭 후보는 7.90%, 무소속 최민기 후보는 5.56%를 득표했다. 총 유효 투표수는 39,857표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