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 정교회 총대주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루살렘 정교회 총대주교는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예루살렘 주교가 총대주교로 승격되면서 시작되었다. 예루살렘 정교회 총대주교는 동방 정교회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예루살렘에 거주하며 동방 정교회의 중심 역할을 수행해왔다. 1099년 제1차 십자군 원정으로 인해 망명 생활을 하기도 했으나, 1187년 살라딘의 예루살렘 탈환 이후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왔다. 현재까지 이스라엘, 요르단, 팔레스타인 지역의 정치적 갈등 속에서 동방 정교회 공동체를 이끌고 있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예루살렘 주교좌가 총대주교좌로 승격된 이후, 예루살렘 총대주교는 시대에 따라 거주지가 변동되었다. 이는 해당 시기의 정치적, 종교적 상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1099년 제1차 십자군 원정으로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청이 설치되면서, 동방 정교회 총대주교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거처를 옮겨야 했다. 1187년 살라딘이 예루살렘을 탈환하면서 동방 정교회 총대주교는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왔다.
2. 예루살렘 총대주교 목록
각 하위 섹션에 상세하게 나와 있지 않은 총대주교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이름 재위 기간 테오필로스 1세 1012년–1020년 니케포로스 1세 1020년–??? 요하니키오스 ???–??? 소프로니오스 2세 ???–1084년 에우티미오스 1084년 시메온 2세 1084년–1106년
2. 1. 예루살렘 거주 (451년 – 1099년)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예루살렘 주교를 예루살렘 총대주교로 승격시켰다. 이후 1099년까지 예루살렘 총대주교들은 예루살렘에 거주하며 동방 정교회의 중심 역할을 수행했다.
초기 총대주교 (451년 ~ 638년)와 이슬람 통치 시기 (638년 ~ 1099년)의 두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 시기에는 638년부터 681년 (혹은 692년)까지, 844년부터 855년까지, 860년부터 862년까지, 978년부터 980년, 1005년부터 1012년까지 총대주교좌가 공석이었다.
이 시기(451년 ~ 1099년) 중, 하위 섹션에 언급되지 않은 총대주교와 재위 기간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재위 기간 |
---|---|
테오필로스 1세 | 1012년–1020년 |
니케포로스 1세 | 1020년–??? |
요하니키오스 | ???–??? |
소프로니오스 2세 | ???–1084년 |
에우티미오스 | 1084년 |
시메온 2세 | 1084년–1106년 |
2. 1. 1. 초기 총대주교 (451년 ~ 638년)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예루살렘 주교를 예루살렘 총대주교로 승격시켰다. 초기 총대주교들은 이슬람 세력의 확장 이전까지 예루살렘에서 교회를 이끌었다.이름 | 재임 기간 |
---|---|
이우베나리오스 | 451년–458년 |
아나스타시우스 1세 | 458년–478년 |
마르티리우스 | 478년–486년 |
살루스티오스 | 486년–494년 |
엘리아스 1세 | 494년–516년 |
요한네스 3세 | 516년–524년 |
페트로스 | 524년–552년 |
마카리오스 2세 | 552년, 564년–575년 |
유스토키오스 | 552년–564년 |
요한네스 4세 | 575년–594년 |
아모스 | 594년–601년 |
이사키우스 | 601년–609년 |
자카리아스 | 609년–632년 |
모데스토스 | 632년–634년 |
소프로니오스 | 634년–638년 |
2. 1. 2. 이슬람 통치 시기 (638년 ~ 1099년)
638년 예루살렘이 이슬람 세력에 함락된 이후, 총대주교들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신앙을 지키고 교회를 유지했다. 638년부터 681년 (혹은 692년)까지는 총대주교좌가 공석이었다.이 시기 주요 총대주교와 재위 기간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재위 기간 |
---|---|
아나스타시우스 2세 | 681년?/692년–706년 |
요한네스 5세 | 706년–735년 |
테오도로스 1세 | 745년–770년 |
엘리아스 2세 | 770년–797년 |
게오르기오스 | 797년-807년 |
토마스 1세 | 807년-820년 |
바실레이오스 | 820년-838년 |
요한네스 6세 | 838년-842년 |
세르기오스 1세 | 842년-844년 |
솔로몬 | 855년-860년 |
테오도시오스 | 862년-878년 |
엘리아스 3세 | 878년-907년 |
세르기오스 2세 | 908년–911년 |
레온티오스 1세 | 912년-929년 |
아타나시오스 1세 | 929년-937년 |
크리스토둘로스 1세 | 937년-950년 |
아가톤 | 950년-964년 |
요한네스 7세 | 964년-966년 |
크리스토둘로스 2세 | 966년-969년 |
토마스 2세 | 969년-978년 |
요세프 2세 | 980년-983년 |
오레스테스 | 983년–1005년 |
2. 2. 망명 기간 (1099년 – 1187년)
1099년 제1차 십자군 원정의 결과로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청이 설치되면서, 동방 정교회 총대주교들은 예루살렘을 떠나 콘스탄티노폴리스 등지에서 망명 생활을 해야 했다. 이 시기 동방 정교회 총대주교들은 계속 임명되었지만, 실질적인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 사바스 (1106년–11??년)
- 요한네스 8세 (11??년–11??년)
- 니콜라오스 (11??년–11??년)
- 요한네스 9세 (1156년–1166년)
- 니케포로스 2세 (1166년–1170년)
- 레온티오스 2세 (1170년–1190년)
2. 3. 예루살렘 거주 (1187년 부터)
1187년 살라딘이 예루살렘을 탈환하면서 동방 정교회 총대주교는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왔다. 반면,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임명하는 라틴 총대주교는 1374년까지 레반트 지역에 머물렀고, 이후에는 로마에 거주하게 되었다.2. 3. 1. 예루살렘 복귀 이후 (1187년 ~ 1537년)
1187년 살라딘이 예루살렘을 탈환한 후, 라틴 총대주교는 강제로 예루살렘에서 쫓겨났다. 그러나 라틴 총대주교 직책은 그대로 유지되었고,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임명을 계속했다. 라틴 총대주교는 1374년까지 프랑크족이 지배하는 레반트에 거주하였고, 이후 현대까지 로마에 있다. 동방 정교회 예루살렘 총대주교는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왔다.이 시기 동방 정교회 총대주교들은 다시 예루살렘에서 교회를 이끌었지만, 정치적 불안정과 잦은 공석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다음은 이 시기 예루살렘 총대주교 목록이다.
이름 | 재위 기간 |
---|---|
도시테오스 1세 | 1187년–1189년 |
마르코스 | 1191년–??? |
공석 | ???–1223년 |
에우디미오스 2세 | 1223년 |
아타나시오스 2세 | 1231년–1244년 |
소프로니오스 3세 | 1236년–??? |
그레고리오스 1세 | ???–1298년 |
다다이오스 | 1298년 |
공석 | 1298년–1313년 |
아타나시오스 3세 | 1313년–1314년 |
공석 | 1314년–1322년 |
그레고리오스 2세 | 1322년 |
공석 | 1322년–1334년 |
라자로스 | 1334년–1368년 |
공석 | 1368년–1376년 |
도로테오스 1세 | 1376년–1417년 |
테오필로스 2세 | 1417년–1424년 |
테오파네스 1세 | 1424년–1431년 |
요아킴 | 1431년–??? |
공석 | ???–1450년 |
테오파네스 2세 | 1450년 |
공석 | 1450년–1452년 |
아타나시우스 3세 | 1452년–??? |
공석 | ???–1460년 |
이아코보스 | 1460년 |
공석 | 1460년–1468년 |
아브라함 | 1468년 |
그레고리오스 | 1468년–1493년 |
공석 | 1493년–1503년 |
마르코스 3세 | 1503년 |
공석 | 1503년–1505년 |
도로테오스 2세 | 1505년–1537년 |
2. 3. 2.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 (1537년 ~ 1917년)
1537년 예루살렘이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총대주교들은 오스만 제국의 통치 아래에서 교회를 운영해야 했다. 이 시기 총대주교들은 오스만 제국의 간섭과 억압 속에서도 교회의 전통과 신앙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재임 기간 | 이름 |
---|---|
1537년 ~ 1579년 | 게르마노스 |
1579년 ~ 1608년 | 소프로니오스 4세 |
1608년 ~ 1644년 | 테오파네스 3세 |
1645년 ~ 1660년 | 파이시오스 |
1660년 ~ 1669년 | 넥타리오스 |
1669년 ~ 1707년 | 도시테오스 2세 |
1707년 ~ 1731년 | 크리산토스 |
1731년 ~ 1737년 | 멜레티오스 |
1737년 ~ 1766년 | 파르테니오스 |
1766년 ~ 1771년 | 에브라임 |
1771년 ~ 1775년 | 소프로니오스 5세 |
1775년 ~ 1787년 | 아브라미오스 |
1787년 ~ 1788년 | 프로코피오스 |
1788년 ~ 1808년 | 안티모스 |
1808년 ~ 1827년 | 폴리카르포스 |
1827년 ~ 1845년 | 아타나시오스 5세 |
1845년 ~ 1872년 | 키릴로스 2세 |
1872년 ~ 1875년 | 프로코피오스 2세 |
1875년 ~ 1882년 | 히에로테오스 |
1883년 ~ 1890년 | 니코데모노스 1세 |
1891년 ~ 1897년 | 게라시모노스 1세 |
1897년 ~ 1931년 | 다미아노스 1세 |
2. 3. 3. 현대 (1917년 ~ 현재)
1917년 오스만 제국이 멸망하고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이 수립되면서, 예루살렘 정교회 총대주교좌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총대주교좌는 이스라엘, 요르단, 팔레스타인 지역의 정치적 갈등 속에서 동방 정교회 공동체를 이끌고 있다.현대 시기(1917년 ~ 현재)의 주요 총대주교는 다음과 같다.
- 다미아노스 1세 (1897–1931)
- 티모테오스 1세 (1935–1955)
- 공석 (1955–1957)
- 베네딕토스 1세 (1957–1980)
- 디오도로스 1세 (1980–2000)
- 이레나이오스 1세 (2000–2005)
- 테오필로스 3세 (2005–현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