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반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반트는 '떠오름'을 의미하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역사적으로 지중해 동부 지역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16세기부터 유럽 상인들이 이 지역과 교역하면서 널리 알려졌으며, 오늘날에는 고고학자와 역사학자들이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지역의 역사를 언급할 때 사용한다. 레반트는 지리적으로는 토러스 산맥, 유프라테스 강, 시나이 반도, 지중해를 경계로 하며, 북부 레반트와 남부 레반트로 구분된다. 이 지역은 다양한 종교와 민족이 공존하며, 이슬람교가 주요 종교이고 아랍인이 가장 큰 민족 집단을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타이주의 지리 - 안티오키아
    안티오키아는 기원전 300년경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가 건설한 헬레니즘 도시로, 로마 제국 시대 동방의 주요 도시이자 초기 기독교의 중심지였으며, 526년 대지진과 페르시아의 공격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터키 안타키아로 남아 있다.
  • 레반트 - 시리아 (지역)
    시리아는 루위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그리스에서 아시리아를 지칭했으며, 역사적으로 키질이르마크 강에서 이집트까지, 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지중해 동쪽, 유프라테스 강 서쪽, 아라비아 사막 북쪽, 타우루스 산맥 남쪽을 포함하는 지역을 의미했고, 현재는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터키 남부 일부를 포함하며 '샴'이라고도 불리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 관련 유적지가 많은 지역이다.
  • 레반트 - 팔레스타인 (지역)
    팔레스타인(지역)은 역사, 지리, 정치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범위를 지칭하는 용어로, 넓게는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자치구,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의 일부를 포괄하며, 좁게는 요르단 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 더 좁게는 국제사법재판소가 "점령된 팔레스타인 지역"이라고 명명한 지역을 가리킨다.
  • 페니키아 - 원시 가나안 문자
    원시 가나안 문자는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유래된 초기 알파벳 문자 체계로, 페니키아 문자와 원시 히브리 문자의 조상이며, 다수의 자음 문자로 구성되어 후대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페니키아 - 페니키아 문자
    페니키아 문자는 기원전 11세기 중반경 가나안 지역에서 발생한 22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소 문자로, 지중해 전역에 퍼져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기여하고 정보 접근의 민주화에 기여했으며, 현대 문자 체계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레반트
개요
레반트
레반트
국가 및 지역 (좁은 의미)키프로스 영국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이스라엘 요르단 레바논 팔레스타인 시리아 튀르키예 하타이주 북키프로스
국가 및 지역 (넓은 의미)이집트 그리스 이라크 리비아 키레나이카 튀르키예
인구 (좁은 의미)44,550,926명
데모님레반트인
언어아랍어, 히브리어, 아람어, 캅카스어, 아르메니아어, 쿠르드어, 튀르키예어, 도마리어, 그리스어
시간대UTC+02:00 (EET), UTC+03:00 (FET/아라비아 표준시)
주요 도시암만 알레포 베이루트 다마스쿠스 예루살렘
명칭
어원이탈리아어: Levante (떠오르는 곳, 해가 뜨는 동쪽)
아랍어ٱلْمَشْرِق (알-마슈리크, 동쪽) ٱلشَّام (앗-샴)
지리
위치동부 지중해
역사
관련 사건레반트 위기

2. 어원

"레반트"라는 용어는 1497년 영어로 등장하며, 원래는 '동쪽' 또는 '이탈리아 동쪽의 지중해 지역'을 의미했다.[21] 이 용어는 프랑스어 levant프랑스어 ('떠오름')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동쪽에서 해가 뜨는 것을 가리키거나,[21] 해가 뜨는 지점을 의미한다.[22] 이 표현은 궁극적으로 '들어올리다, 들어 높이다'라는 뜻의 라틴어 levarela에서 유래했다.

다음은 유사한 어원을 가진 단어들이다.


  • 그리스어 Ἀνατολήgrc ''Anatolē'' (''cf.'' 아나톨리아 '해돋이 방향')
  • 게르만어파의 ''Morgenland'' (아침의 땅)
  • 이탈리아어 ''Riviera di Levante'' (제노바 동쪽 리구리아 해안 지역)
  • 헝가리어 ''Kelet'' ('동쪽')
  • 스페인어카탈루냐어 ''Levante''와 ''Llevant'' ('떠오르는 곳')
  • 히브리어 מִזְרָחhe ''mizraḥ'' ('동쪽')


특히 "오리엔트"와 그 라틴어 어원인 '동쪽'을 뜻하는 ''oriens''는 문자 그대로 "떠오르는" 것을 의미하며, 라틴어 ''orior'' ('떠오르다')에서 유래했다.[23]

"레반트인"이라는 용어는 원래 동지중해 지역의 유럽 거주민을 가리켰지만, 나중에는 지역 "토착" 및 "소수" 집단을 가리키게 되었다.[24]

이 용어는 16세기에 영어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이 지역에 최초의 영국 상인 모험가들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영국 선박은 1570년대에 지중해에 나타났고, 영국 상인 회사는 1579년 오스만 술탄과 협정("조약")을 체결했다.[25] 레반트 회사는 1581년 오스만 제국과의 무역을 위해 설립되었고, 1670년에는 같은 목적으로 프랑스 회사가 설립되었다. 이때 극동은 "상레반트"로 알려져 있었다.[3]

19세기 초 여행기에서는 때때로 오스만 제국의 특정 지중해 속주뿐만 아니라 독립된 그리스(특히 그리스 제도)도 포함하기도 했다. 19세기 고고학에서는 선사 시대 이후 이 지역의 중첩된 문화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는데, 특정 문화가 아닌 장소를 가리키려는 의도였다. 프랑스의 시리아 및 레바논 위임 통치(1920~1946)는 레반트 국가라고 불렸다.[3][2]

레반트는 이탈리아의 해상 도시 국가들이 동방 무역을 통해 수입한 비단, 향신료, 후추, 상아 등 유럽에서는 사치품으로 여겨졌던 고가의 희귀품이 주를 이루었던 무역을 지칭하기도 한다.

레판토 해전이 벌어진 그리스의 도시 나프파크토스(Lepanto)와 종종 혼동되지만, 관련이 없다. 또한 레바논과도 발음이 비슷하지만, 이것은 아람어 기원의 오래된 지명이며, 우연의 일치이다.

3. 지리

레반트는 오늘날 고고학자와 역사학자들이 이 지역의 역사를 언급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학자들은 '시리아-팔레스타인'이라는 용어가 지닌 정치적 함의 없이, "더 넓지만 관련성 있는 문화적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레반트라는 용어를 채택했다.[26][27][28][29] 이 용어는 키프로스, 이집트, 이라크, 이스라엘, 요르단, 레바논, 팔레스타인, 시리아, 터키와 같이 동일 지역의 현대 사건, 민족, 국가 또는 국가의 일부에 대해서도 사용된다.

'''옥스퍼드 레반트 고고학 핸드북: 기원전 8000~332년'''(OHAL; 2013)에서 레반트의 정의는 아랍어 "bilad al-sham, '샴의 땅 [시리아]'"와 동의어이며, 서구 용어로는 대시리아로 번역된다.[9] OHAL은 레반트의 경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9][5]


  • 북쪽: 토러스 산맥[9] 또는 '아무크 평원'[5]
  • 동쪽: 동쪽 사막. (북쪽에서 남쪽으로) 북부 레반트의 유프라테스 강과 제벨 엘-비쉬리 지역, 반레바논 산맥 동부 내륙 동쪽의 시리아 사막(가장 남쪽 부분은 헤르몬 산), 트랜스요르단의 고지대와 동쪽 사막(바디아 지역으로도 알려짐).[5] 다시 말해, 메소포타미아와 북부 아라비아 사막이다.[9]
  • 남쪽: 시나이 반도의 와디 알-아리쉬[5]
  • 서쪽: 지중해[9]


레반트는 리타니 강을 기준으로 북부 레반트와 남부 레반트로 구분된다.[5] 키프로스 섬은 레반트의 고고학 지역에서 세 번째 하위 지역으로 포함되는데,[5] 레반트와 지리적으로 구분되지만, 그 근접성과 천연자원(특히 구리)으로 인해 긴밀한 문화적 유대를 맺었기 때문이다.[5]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서쪽 절반에 해당하는 레반트는 최초의 농경이 시작된 곳으로 여겨진다. 시리아의 텔 아브 후레이라(Tell Abu Hureyra) 유적(13050BP, 기원전 11050년경)에서는 가장 오래된 농경의 흔적(호밀)이 발견되었다.

과거 동부 지중해 연안의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시리아, 팔레스타인, 이집트에 걸쳐 많은 부유한 항구가 있었으며, 이탈리아의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피사, 아말피 등 해상 도시 국가들은 이들 항구와 무역을 하기 위해 경쟁했고, 그 이익을 두고 서로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 이 무역을 레반트 무역(동방 무역)이라고 부르며, 그 항구가 있는 동부 지중해 연안을 레반트라고 불렀다.

4. 역사

오늘날 "레반트"는 고고학자와 역사학자들이 이 지역의 역사를 언급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학자들은 "시리아-팔레스타인"이라는 용어가 지닌 정치적 함의 없이, "더 넓지만 관련성 있는 문화적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레반트라는 용어를 채택했다.[26][27][28][29] 이 용어는 키프로스, 이집트, 이라크, 이스라엘, 요르단, 레바논, 팔레스타인, 시리아, 터키와 같이 동일 지역의 현대 사건, 민족, 국가 또는 국가의 일부에 대해서도 사용된다.[30][31]

학계에서 "레반트"라는 용어는 고고학과 문학 분야에 국한되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정치 및 사회 과학에서 분석 범주로서 레반트의 개념을 되찾으려는 시도가 있다. 2010년대 초에는 ''레반트 연구 저널(Journal of Levantine Studies)''[32]과 ''레반트 리뷰(The Levantine Review)''[33]와 같이 이 단어를 사용하는 두 개의 학술지가 출범했다.

"레반트"라는 단어는 이슬람 국가(ISIL, ISIS 및 기타 명칭)에서 사용하는 "아쉬샴(ash-Shām)"이라는 용어의 일부 번역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 번역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34]

키프로스, 시리아, 레바논,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그리고 시나이반도 북부(이집트)를 포함한 레반트의 위성 사진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서쪽 절반에 해당하는 레반트는 최초의 농경이 시작된 곳으로 여겨진다. 시리아의 텔 아브 후레이라(Tell Abu Hureyra) 유적(13050BP, 기원전 11050년경)에서는 가장 오래된 농경의 흔적(호밀)이 발견되었다.

과거 동부 지중해 연안의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시리아, 팔레스타인, 이집트에 걸쳐 많은 부유한 항구가 있었다. 이탈리아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피사, 아말피 등 해상 도시 국가들은 이들 항구와 무역을 하기 위해 경쟁했고, 그 이익을 두고 서로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 이 무역을 레반트 무역(동방 무역)이라고 부르며, 그 항구가 있는 동부 지중해 연안을 레반트라고 불렀다. 이탈리아의 해상 도시 국가들이 레반트와의 무역을 통해 수입한 것은 지중해 연안에서 생산된 농산물이나 직물 등도 있었지만, 인도, 동남아시아, 중국, 아프리카 등에서 운반되어 온 비단, 향신료, 후추, 상아 등 유럽에서 사치품으로 여겨졌던 고가의 희귀품이 주를 이루었다.

레판토 해전이 벌어진 그리스의 도시 나프파크토스(Lepanto)와 종종 혼동되지만, 관련이 없다. 레바논과도 발음이 비슷하지만, 이는 아람어 기원의 오래된 지명이며, 우연의 일치이다.

4. 1. 고대

'''옥스퍼드 레반트 고고학 핸드북: 기원전 8000~332년'''(OHAL; 2013)에 따르면, 이 책의 특정 목적을 위한 레반트의 정의는 아랍어 "bilad al-sham, '샴의 땅 [시리아]'"와 동의어이며, 서구 용어로는 대시리아로 번역된다.[9] OHAL은 레반트의 경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9][5]

  • 북쪽: 토러스 산맥[9] 또는 '아무크 평원'[5]
  • 동쪽: 동쪽 사막, 즉 (북쪽에서 남쪽으로) 북부 레반트의 유프라테스 강과 제벨 엘-비쉬리 지역, 뒤이어 반레바논 산맥 동부 내륙 동쪽의 시리아 사막(가장 남쪽 부분은 헤르몬 산), 그리고 트랜스요르단의 고지대와 동쪽 사막(시리아 사막에서도 논의됨, 바디아 지역으로도 알려짐)이다.[5] 다시 말해, 메소포타미아와 북부 아라비아 사막이다.[9]
  • 남쪽: 시나이 반도의 와디 알-아리쉬[5]
  • 서쪽: 지중해[9]


레반트의 주요 하위 지역인 북부와 남부는 구분된다.[5] 리타니 강은 북부 레반트와 남부 레반트의 경계를 나타낸다.[5] 키프로스 섬은 레반트의 고고학 지역에서 세 번째 하위 지역으로 포함된다.[5] 키프로스는 레반트와 지리적으로 구분되지만, 그 근접성과 천연자원(특히 구리)으로 인해 긴밀한 문화적 유대를 맺었기 때문에 포함된다.[5]

4. 2. 중세

레반트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서쪽 절반에 해당하며, 최초의 농경이 시작된 곳으로 여겨진다. 시리아의 텔 아브 후레이라 유적(Tell Abu Hureyra영어, 기원전 11050년경)에서는 가장 오래된 농경의 흔적(호밀)이 발견되었다.[9]

과거 동부 지중해 연안의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시리아, 팔레스타인, 이집트에 걸쳐 많은 부유한 항구가 있었으며, 이탈리아의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피사, 아말피 등 해상 도시 국가들은 이들 항구와 무역을 하기 위해 경쟁했고, 그 이익을 두고 서로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 이 무역을 레반트 무역(동방 무역)이라고 불렀다. 이탈리아의 해상 도시 국가들이 레반트와의 무역을 통해 수입한 것은 지중해 연안에서 생산된 것들(농산물이나 직물 등)도 있었지만, 그보다 멀리 인도, 동남아시아, 중국, 또는 아프리카 등에서 운반되어 온 비단, 향신료, 후추, 상아 등 유럽에서는 사치품으로 여겨졌던 고가의 희귀품이 주를 이루었다.[9]

레판토 해전이 벌어진 그리스의 도시 나프파크토스(Lepanto)와 종종 혼동되지만, 관련이 없다. 또한 레바논과도 발음이 비슷하지만, 이것은 아람어 기원의 오래된 지명이며, 우연의 일치이다.

4. 3. 근대

리타니 강은 북부 레반트와 남부 레반트의 경계를 나타낸다.[5] 키프로스 섬은 레반트의 고고학 지역에서 세 번째 하위 지역으로 포함된다.[5] 레반트와 지리적으로 구분되는 키프로스는 그 근접성과 천연자원(특히 구리)으로 인해 긴밀한 문화적 유대를 맺었기 때문에 포함된다.[5]

4. 4. 현대

'''옥스퍼드 레반트 고고학 핸드북: 기원전 8000~332년'''(OHAL; 2013)에서, 이 책의 특정 목적을 위한 레반트의 정의는 아랍어 "bilad al-sham, '샴의 땅 [시리아]'"와 동의어이며, 서구 용어로는 대시리아로 번역된다.[9] OHAL은 레반트의 경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9][5]

  • 북쪽: 토러스 산맥[9] 또는 '아무크 평원'[5]
  • 동쪽: 동쪽 사막, 즉 (북쪽에서 남쪽으로) 북부 레반트의 유프라테스 강과 제벨 엘-비쉬리 지역, 뒤이어 반레바논 산맥 동부 내륙 동쪽의 시리아 사막(가장 남쪽 부분은 헤르몬 산), 그리고 트랜스요르단의 고지대와 동쪽 사막(시리아 사막에서도 논의됨, 바디아 지역으로도 알려짐)이다.[5] 다시 말해, 메소포타미아와 북부 아라비아 사막이다.[9]
  • 남쪽: 시나이 반도의 와디 알-아리쉬[5]
  • 서쪽: 지중해[9]


레반트의 주요 하위 지역인 북부와 남부는 구분된다.[5]

  • 리타니 강은 북부 레반트와 남부 레반트의 경계를 나타낸다.[5]

키프로스 섬은 레반트의 고고학 지역에서 세 번째 하위 지역으로 포함된다.[5]

  • 레반트와 지리적으로 구분되는 키프로스는 그 근접성과 천연자원(특히 구리)으로 인해 긴밀한 문화적 유대를 맺었기 때문에 포함된다.[5]

5. 인구

레반트의 인구[65][66][67][68]
14년164년500년900년1200년1700년1897년1914년1922년
4,300,0004,800,0004,127,0003,120,0002,700,0002,028,0003,231,8743,448,3563,198,951



이 지역에는 알아크사 모스크, 성묘 교회, 예루살렘통곡의 벽, 다마스쿠스의 사이이다 자이나브 모스크, 하타이의 안티오크 등 아브라함 종교에서 종교적으로 중요한 유적지가 많이 있다.

5. 1. 민족 구성

레반트에서 가장 큰 종교 집단은 이슬람교이고 가장 큰 인종 집단은 아랍인이다. 레반트인들은 주로 레반트 아랍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이슬람 이전 아랍어 방언과 헤자즈 아랍어가 혼합된 것이다. 이들은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에 고대 근동 지역에 거주했던 많은 고대 셈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조상이다. 시리아 사막과 나캅에 거주하는 베두인 아랍인은 아라비아 반도에서 유래한 베두인 아랍어로 알려진 방언을 사용한다. 레반트의 다른 소수 민족으로는 체르케스인, 체첸인, 투르크인, 유대인, 투르크멘인, 아시리아인, 쿠르드족, 나와르인, 아르메니아인이 있다.

이슬람교는 7세기에 이슬람교도가 레반트 지역을 정복한 이후 이 지역의 주요 종교가 되었다. 레반트 무슬림의 대다수는 수니파이며, 알라위파시아파(트웰버 및 니자리 이스마일리) 소수파를 포함한다. 알라위파와 이스마일리 시아파는 주로 하타이와 시리아 해안 산맥에 거주하며, 12이맘파는 주로 레바논 일부에 집중되어 있다.

레반트의 기독교 그룹은 그리스 정교회(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시리아 정교회, 동방 가톨릭(시리아 가톨릭, 멜카이트 및 마론파), 로마 가톨릭(라틴), 네스토리안, 개신교를 포함한다. 아르메니아인은 대부분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 속해 있다. 로마 가톨릭을 고수하는 레반트인이나 프랑코-레반트인도 있다. 동방 아시리아 교회와 칼데아 가톨릭 교회에 속한 아시리아인들도 있다.

레반트의 다른 종교 집단으로는 유대교, 사마리아인, 야지디, 드루즈파가 있다.

5. 2. 종교 구성

레반트에서 가장 큰 종교 집단은 이슬람교이며, 7세기 레반트의 이슬람 정복 이후 이 지역의 주요 종교가 되었다.[39] 레반트 무슬림의 대다수는 수니파이며, 알라위파시아파 (12이맘파 및 니자리 이스마일리) 소수파도 있다. 알라위파와 이스마일리 시아파는 주로 하타이와 시리아 해안 산맥에 거주하며, 12이맘파는 주로 레바논 일부에 집중되어 있다.

레반트의 기독교 그룹은 그리스 정교회(안티오키아 그리스), 시리아 정교회, 동방 가톨릭(시리아 가톨릭, 멜키트, 마로니트), 로마 가톨릭(라틴), 네스토리우스파, 개신교등 다양하다. 아르메니아인들은 대부분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 속해 있다. 레반트인 또는 프랑코-레반트인들은 로마 가톨릭교회를 따른다. 아시리아인들은 동방 아시리아 교회와 칼데아 가톨릭 교회에 속하기도 한다.[41]

레반트의 다른 종교 집단으로는 유대교, 사마리아인, 예지디, 드루즈파가 있다.[42]

또한 이 지역에는 알아크사 모스크, 성묘 교회, 예루살렘통곡의 벽, 다마스쿠스의 사이이다 자이나브 모스크, 하타이의 안티오크 등 아브라함 종교에 있어 종교적으로 중요한 유적지가 많이 있다.

6. 현대의 레반트

오늘날 "레반트"는 고고학자와 역사학자들이 이 지역의 역사를 언급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학자들은 시리아-팔레스타인이라는 용어가 지닌 "정치적 함의" 없이 "더 넓지만 관련성 있는 문화적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레반트라는 용어를 채택했다.[26][27][28][29] 이 용어는 키프로스, 이집트, 이라크, 이스라엘, 요르단, 레바논, 팔레스타인, 시리아, 터키와 같이 동일 지역의 현대 사건, 민족, 국가 또는 국가의 일부에 대해서도 사용된다. 여러 연구자들은 키프로스 섬을 레반트 연구에 포함시키는데, 여기에는 영국 레반트 연구 위원회, UCLA 근동 언어 및 문화학과, ''레반트 연구 저널(Journal of Levantine Studies)'', 그리고 UCL 고고학 연구소가 포함되며, 마지막 연구소는 키프로스와 레반트 본토 간의 연관성을 초기 철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밝혀냈다. 성서적이거나 국가적인 것이 아닌 중립적인 방향을 추구하는 고고학자들은 레반트 고고학과 남부 레반트 고고학과 같은 용어를 사용했다.[30][31]

학계에서 "레반트"라는 용어의 사용이 고고학과 문학 분야에 국한되어 있었지만, 최근에는 정치 및 사회 과학에서 분석 범주로서 레반트의 개념을 되찾으려는 시도가 있다. 2010년대 초에 이 단어를 사용하는 두 개의 학술지가 출범했는데, 바로 반 리어 예루살렘 연구소가 발행하는 ''레반트 연구 저널(Journal of Levantine Studies)''과 보스턴 칼리지가 발행하는 ''레반트 리뷰(The Levantine Review)''이다.

"레반트(Levant)"라는 단어는 이슬람 국가(ISIL, ISIS 및 기타 명칭)로 알려진 조직에서 사용하는 "아쉬샴(ash-Shām)"이라는 용어의 일부 번역에 사용되었지만, 이 번역이 정확한지에 대한 의견 차이가 있다.[34]

'''옥스퍼드 레반트 고고학 핸드북: 기원전 8000~332년'''(OHAL; 2013)에서, 이 책의 특정 목적을 위한 레반트의 정의는 아랍어 "bilad al-sham, '샴의 땅 [시리아]'"와 동의어이며, 서구 용어로는 대시리아로 번역된다.[9] OHAL은 레반트의 경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9][5]

방위경계
북쪽토러스 산맥 또는 아무크 평원
동쪽동쪽 사막, 즉 (북쪽에서 남쪽으로) 북부 레반트의 유프라테스 강과 제벨 엘-비쉬리 지역, 뒤이어 반레바논 산맥 동부 내륙 동쪽의 시리아 사막(가장 남쪽 부분은 헤르몬 산), 그리고 트랜스요르단의 고지대와 동쪽 사막(시리아 사막에서도 논의됨, 바디아 지역으로도 알려짐). 다시 말해, 메소포타미아와 북부 아라비아 사막.
남쪽시나이 반도의 와디 알-아리쉬
서쪽지중해



; 하위 지역

레반트의 주요 하위 지역인 북부와 남부는 구분된다.[5]


  • 리타니 강은 북부 레반트와 남부 레반트의 경계를 나타낸다.[5]


키프로스 섬은 레반트의 고고학 지역에서 세 번째 하위 지역으로 포함된다.[5]

  • 레반트와 지리적으로 구분되는 키프로스는 그 근접성과 천연자원(특히 구리)으로 인해 긴밀한 문화적 유대를 맺었기 때문에 포함된다.[5]

7. 레반트와 관련된 용어

"레반트"라는 용어는 오늘날 고고학자와 역사학자들이 이 지역의 역사를 언급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이들은 "시리아-팔레스타인"이라는 용어가 가진 정치적 함의 없이 "더 넓지만 관련성 있는 문화적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레반트라는 용어를 채택했다.[26][27][28][29]

학계에서는 "레반트"라는 용어의 사용이 고고학과 문학 분야에 국한되어 있었지만, 최근 정치 및 사회 과학에서 분석 범주로서 레반트의 개념을 되찾으려는 시도가 있다. 2010년대 초, ''레반트 연구 저널(Journal of Levantine Studies)''[32]과 ''레반트 리뷰(The Levantine Review)''[33]라는 두 학술지가 창간되었다.

"레반트"는 ISIL(ISIS 등)이 사용하는 "아쉬샴(ash-Shām)"이라는 용어의 번역 중 하나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 번역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34]

'''옥스퍼드 레반트 고고학 핸드북: 기원전 8000~332년'''(OHAL; 2013)에서는 레반트를 아랍어 "bilad al-sham, '샴의 땅 [시리아]'"과 동의어로 정의하며, 서구 용어로는 대시리아로 번역된다.[9] OHAL은 레반트의 경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9][5]


  • 북쪽: 토러스 산맥[9] 또는 '아무크 평원'[5]
  • 동쪽: 동쪽 사막, 즉 메소포타미아와 북부 아라비아 사막[9]
  • 남쪽: 시나이 반도의 와디 알-아리쉬[5]
  • 서쪽: 지중해[9]


레반트는 리타니 강을 경계로 북부 레반트와 남부 레반트로 나뉜다.[5] 키프로스 섬은 레반트 고고학의 세 번째 하위 지역으로 포함되는데,[5] 지리적으로는 구분되지만, 근접성과 천연자원(특히 구리)으로 인해 긴밀한 문화적 유대를 맺었기 때문이다.[5]

"레반트"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용어와 관련이 있다.

  • 레반트 해
  • Levantine Arabic영어 - 아랍어의 레반트 방언
  • 레반트 레드 (Levant red)
  • Artemisia cina영어 (Levant wormseed)
  • 인진쑥 기름 (Levant wormseed oil)
  • Levant (wind)영어 - 지중해 서부에 부는 동풍(어원이 같음)
  • 레반트 모로코 가죽 (Levant morocco) - 양·염소 등의 가죽
  • 레반트 스토랙스 (Levant storax) - 스토랙스(식물성 수지)의 한 종류
  • ISIL - “이라크와 레반트 이슬람 국가”를 뜻하며, 국제연합, 일본 정부, 미국 연방 정부가 공식적으로 사용한다(2015년 2월 현재). 그러나 이 명칭은 레반트가 터키에서 시리아, 이집트, 팔레스타인, 요르단, 레바논을 포함하는 “대시리아”나 다마스쿠스를 가리킬 때도 사용되기 때문에 비판이 있다. 2015년 2월 9일, 일본 내 이슬람교 관련 단체들은 “극단주의 조직의 행위는 이슬람의 가르침과는 전혀 다른 것”이라며 일본 언론에 “이슬람 국가”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말 것을 요청했다.[55] 이에 따라 NHK, 야후 재팬, 마이니치 신문 등이 명칭을 '''IS (Islamic State)'''로 변경하여,[56] 일본 내에서는 명칭이 혼란스러운 상태이다.

참조

[1] 서적 (Unspecified) 2009, 2015
[2] 서적 Encarta 2009
[3] 서적 (Unspecified) 2009
[4] 서적 The Government and Politic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2016
[5] 서적 (Unspecified) https://books.google[...] (Unspecified)
[6] 서적 (Unspecified) 2015
[7] 서적 The Levant History and Archaeology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Könemann
[8] 서적 (Unspecified) 2009, 2011, 2004, 2014, 1996, 2012, 1999
[9] 서적 (Unspecified) https://books.google[...] (Unspecified)
[10] 서적 New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2005
[11] 서적 The Penguin Encyclopedia 2004
[12] 서적 Le Nouveau Petit Robert de la langue française 1993
[13] 서적 Historical Biblical Archaeology and the Future: The New Pragmatism Routledge 2016
[14] 서적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in Ancient Israel: When Archaeology and the Bible Intersect 2012
[15] 서적 (Unspecified) 2013
[16] 서적 Levantine Catholic Communities in the Diaspora at the Intersection of Many Identities and Worlds, Scattered and Gathered: Catholics in Diaspora 2017
[17] 간행물 Egyptian Journal of Geology 1998
[18] 웹사이트 Ancient Ashkelon –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http://ngm.nationalg[...] Ngm.nationalgeographic.com 2002-10-17
[19] 뉴스 The state of Israel: Internal influence driving change https://www.bbc.co.u[...] BBC News 2011-11-06
[20] 서적 The Arab Americans: A History Olive Branch Press 2006
[21] 웹사이트 Levant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12-07-27
[22]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2nd edition
[23] 서적 Oxford Latin Course Part III
[24] 웹사이트 Journal of Levantine Studies http://www.levantine[...] The Van Leer Jerusalem Institute 2014-01-30
[25] 서적 (Unspecified) 1974
[26] 웹사이트 Council for British Research in the Levant homepage http://www.cbrl.org.[...] Cbrl.org.uk 2006-11-28
[27] 웹사이트 Biblical and Levantine studies http://www.nelc.ucla[...] UCLA
[28] 웹사이트 About JLS http://www.levantine[...] 2022
[29] 웹사이트 The Ancient Levant http://www.ucl.ac.uk[...] University College London (UCL) Institute of Archaeology 2008-05
[30] 서적 Syro-Palestinian and Biblical Archaeology
[31] 서적 Biblical archaeology Elsevier
[32] 간행물 Editor's Note https://levantine-jo[...] 2011
[33] 간행물 From the Editors https://ejournals.bc[...] 2012
[34] 뉴스 Isis, Isil, IS or Daesh? One group, many names https://www.bbc.co.u[...] BBC 2015-12-02
[35] 웹사이트 Late Ottoman population and its ethnic distribution https://dergipark.or[...]
[36] 서적 Dem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38] 웹사이트 Syria Population - Our World in Data https://ourworldinda[...]
[39] 웹사이트 The Great Arab Conquests: How the Spread of Islam Changed the World We Live In https://archive.org/[...] Da Capo Press 2007
[40] 웹사이트 A History of Islamic Societ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0-13
[41] 웹사이트 Christian Population of Middle East in 2014 http://gulf2000.colu[...] The Gulf/2000 Project, School of International and Public Affairs of Columbia University 2018-08-31
[42] 웹사이트 Ethnic Group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5-26
[43] 웹사이트 "Aramaic in Levantine Dialects" in "Aramaic/Syriac Loanwords" https://referencewor[...] Brill Reference Online 2024-02-07
[44] 웹사이트 Jordan and Syria https://www.ethnolog[...] 2018-07-21
[45] 서적 Encyclopedia of Arabic Language and Linguistics Brill
[46] 서적 Märchen aus Malula Carl Hanser Verlag GmbH & Company KG 2011-07-25
[47] 서적 Grammatical Borrowing in Cross-Linguistic Perspective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07
[48] 서적 Untersuchungen zum Spracherwerb zweisprachiger Kinder im Aramäerdorf Dschubbadin (Syrien) https://www.lit-verl[...] LIT 2022
[49] 서적 Arabisch-aramäische Sprachbeziehungen im Qalamūn (Syrien) Harassowitz 1993
[50] 서적 Arabisch-aramäische Sprachbeziehungen im Qalamūn (Syrien) Harassowitz 1993
[51] 서적 Lehrbuch des Neuwestaramäischen https://www.harrasso[...] Harrassowitz 2006
[52] 서적 Lehrbuch des Neuwestaramäischen Harrassowitz 2006
[53] 논문 A Genetic History of the Near East from an aDNA Time Course Sampling Eight Points in the Past 4,000 Years
[54] 서적 メソポタミアの土 イラク農業研究序説 アジア経済研究所
[55] 뉴스 「イスラム国」やめました https://news.yahoo.c[...] 2015-02-20
[56] 뉴스 NHKが「イスラム国」の呼称変更 メディアごとに呼び方違い、混乱招きかねない https://www.j-cast.c[...] 2015-02-20
[57] 참고자료
[58] 참고자료
[59] 서적 The Government and Politic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60] 서적 https://books.google[...]
[61] 참고자료
[62] 참고자료
[63] 서적 The Levant History and Archaeology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Könemann
[64] 참고자료
[65] 웹인용 Late Ottoman population and its ethnic distribution https://dergipark.or[...]
[66] 서적 Dem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7]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68] 웹인용 Syria Population - Our World in Data https://ourworldin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