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멘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멘의 대통령은 예멘 공화국의 국가 원수 직책으로, 1990년 5월 22일부터 1994년 10월 1일까지 알리 압둘라 살레가 대통령평의회 의장을 역임한 것을 시작으로 한다. 알리 압둘라 살레는 1994년부터 2012년까지 여러 차례 대통령직을 수행했으며,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재임했다. 2015년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가 사임한 후 무함마드 알리 알후티를 시작으로 후티 반군의 최고 지도자가 등장했고, 하디는 사우디아라비아로 망명하여 복귀를 선언했으나 2022년 4월 7일 사임하고 라샤드 알 알리미가 대통령 지도 위원회 의장직을 승계했다. 대통령은 1999년부터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2012년 선출된 대통령의 임기는 2년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멘 정부 - 예멘의 총리
예멘의 총리는 1990년 통일 이후 예멘 공화국의 정부 수반으로서, 내전과 인도적 위기 등 복잡한 정치적 상황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여러 총리가 임명되었고, 2016년부터는 후티 반군 장악 지역에서 별도의 총리가 임명되었다. - 예멘의 대통령 - 알리 압둘라 살레
알리 압둘라 살레는 북예멘 대통령과 통일 예멘의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아랍의 봄 시위로 퇴진 후 후티 반군과 연대하여 내전에 개입하다가 사망했다. - 예멘의 대통령 - 무함마드 알리 알후티
무함마드 알리 알후티는 2015년 예멘 대통령을 축출하고 최고 혁명 위원회를 구성하여 예멘을 통치한다고 선언했으나, 국제 사회의 인정을 받지 못했고, 이후 최고 정치 평의회에 권력을 이양했으며, 미국은 그의 운동을 테러 조직으로 지정했다. - 예멘의 역사 - 사바 왕국
사바 왕국은 고대 예멘 지역에서 기원전 1200년경 또는 기원전 8세기 이후에 존재하며 향신료 무역으로 번성했고, 아시리아와 교류했으며, 힘야르 왕국에 멸망했다. - 예멘의 역사 - 남아라비아 연방
남아라비아 연방은 남아라비아 토후국 연방에 속한 토후국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아덴 식민지 등이 합류하며 확대되었으나,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 수립으로 해체되었고 아덴 우표를 발행하기도 했다.
예멘의 대통령 | |
---|---|
직위 개요 | |
직위 명칭 | 대통령 지도 평의회 의장 |
소속 국가 | 예멘 |
소속 기구 | 대통령 지도 평의회 |
영어 명칭 | Chairman of the Presidential Leadership Council of the Republic of Yemen |
아랍어 명칭 | (라이스 알야만) |
![]() | |
관저 | 마시크 궁전 (대통령 지도 평의회) |
소재지 | 아덴 (대통령 지도 평의회) 사나 (최고 정치 위원회) |
월급 | 280,000 YER (2011년) |
임명 | 대통령 지도 평의회 |
설립일 | 1990년 5월 22일 |
초대 의장 | 알리 압둘라 살레 |
부의장 | 대통령 지도 평의회 부의장 |
웹사이트 | 대통령 지도 평의회 공식 웹사이트 (대통령 지도 평의회) 공식 트위터 (최고 정치 위원회) |
현직 | |
현 의장 | 라샤드 알알리미 |
임기 시작일 | 2022년 4월 7일 |
주장하는 인물 | 마흐디 알마샤트 (최고 정치 위원회) (2018년 4월 25일~) |
정치 | |
정치 체제 | 예멘의 정치 |
2. 역대 대통령
번호 | 대 | 사진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선거 | 정당 / 직위 |
---|---|---|---|---|---|---|---|
- | - | ![]() | 알리 압둘라 살레 علي عبدالله صالح|알리 압둘라 살레ar | 1990년 5월 22일 | 1994년 10월 1일 | 국민전체회의 (대통령평의회 의장) | |
1 | 1 | 알리 압둘라 살레 علي عبدالله صالح|알리 압둘라 살레ar | 1994년 10월 1일 | 1999년 9월 23일 | 1994년 대선 - 96.2% 3,584,399표 | 국민전체회의 | |
2 | 2 | 알리 압둘라 살레 علي عبدالله صالح|알리 압둘라 살레ar | 1999년 9월 23일 | 2006년 9월 20일 | 1999년 대선 - 96.2% 3,584,399표 | 국민전체회의 | |
3 | 3 | 알리 압둘라 살레 علي عبدالله صالح|알리 압둘라 살레ar | 2006년 9월 20일 | 2011년 6월 4일 | 2006년 대선 - 77.17% 4,149,673표[16] | 국민전체회의 | |
- | - | ![]() |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 عبد ربه منصور هادي|압드 라보 만수르 하디ar | 2011년 6월 4일 | 2011년 9월 23일 | 국민전체회의 (대통령 대행) | |
4 | 3 | 알리 압둘라 살레 علي عبدالله صالح|알리 압둘라 살레ar | 2011년 9월 23일 | 2012년 2월 27일 | 국민전체회의 (대통령 복귀) | ||
5 | 4 |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 عبد ربه منصور هادي|압드 라보 만수르 하디ar | 2012년 2월 27일 | 2015년 1월 22일 (사임) | 2012년 대선 - 99.8% 6,621,921표 | 국민전체회의 | |
쿠데타로 압둘 말리크 알후티 안사르 알라 지도자가 최고 지도자 (2015년 1월 22일 ~ 현재) | |||||||
6 | 1 | 무함마드 알리 알후티 محمد علي الحوثي|무함마드 알리 알후티ar | 2015년 2월 6일 | 2016년 8월 15일 | 2015년 신헌법 선언 | 최고혁명위원회 의장[17] | |
7 | 1 | ![]() | 살레 알리 알사마드 صالح علي الصماد|살레 알리 알사마드ar | 2016년 8월 15일 | 2018년 4월 19일 (사망) | 최고정치회의 의장 | |
8 | 2 | 마흐디 알마샤트 مهدي محمد المشاط|마흐디 알마샤트ar | 2018년 4월 19일 | 현재 | 최고정치회의 의장 | ||
사우디아라비아 망명 정부 | |||||||
5 | 4 |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 عبد ربه منصور هادي|압드 라보 만수르 하디ar | 2015년 1월 23일 (복귀) | 2022년 4월 7일[18] (사임) | 대통령 | ||
9 | 1 | 라샤드 알 알리미 رشاد محمد العليمي|라샤드 무함마드 알 알리미ar | 2022년 4월 7일 | 현재 | 대통령 지도 위원회 의장 |
2. 1. 예멘 공화국 (1990년 ~ 현재)
1990년 예멘 통일 이후, 예멘 공화국의 대통령직이 설치되었다. 초기에는 '대통령 평의회 의장'으로 불렸으나, 1994년부터 대통령제로 변경되었다.알리 압둘라 살레는 초대 대통령 평의회 의장을 거쳐 초대 대통령이 되었으며, 2011년 예멘 혁명으로 사임할 때까지 장기간 집권했다. 살레의 뒤를 이어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가 대통령에 취임했으나, 후티 반군과 내전으로 인해 권력 기반이 불안정했다.
하디 대통령은 2015년 1월 22일 사임했다가 복귀했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후티 반군이 장악했다. 후티는 무함마드 알리 알후티를 최고혁명위원회 의장으로, 이후 살레 알리 알사마드를 최고정치회의 의장으로 내세웠다. 2018년 4월 19일 알사마드가 사망한 후에는 마흐디 알마샤트가 최고정치회의 의장직을 승계했다.
한편, 하디는 사우디아라비아로 망명하여 망명 정부를 이끌었으며, 2022년 4월 7일 사임하고 라샤드 알 알리미에게 대통령 지도 위원회 의장직을 넘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