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륙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륙도는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위치한 섬으로, 지명은 보는 위치에 따라 섬의 봉우리가 다섯 또는 여섯 개로 보인다는 데서 유래했다. 지질학적으로는 백악기 안산암질 화산암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랜 기간의 침식 작용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003년에는 오륙도 및 주변 해역이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등대와 스카이워크가 설치되어 관광 명소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한국 사회의 조기 퇴직 문제를 비유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명승 - 태종대
    부산 영도 태종대는 신라 태종 무열왕과 조선 태종의 전설이 깃든 해안 경관지로, 해식 지형과 해송 숲의 절경, 그리고 공룡 발자국 화석으로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부산광역시 기념물에서 대한민국의 명승으로 지정된 곳이다.
  • 부산 남구의 지리 - 황령산
    황령산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산으로, 봉수 전망대, 감로사,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 등의 명소와 문화재가 있으며, 다양한 방송 송신 시설이 설치되어 부산, 울산, 경상남도, 경상북도 일부 지역, 일본 쓰시마시 일부 지역에서 방송을 수신할 수 있고, 1991년에는 황령산레포츠공원이 조성되었다.
  • 부산 남구의 지리 - 장군산 (부산)
  • 부산광역시의 무인도 - 남형제섬
    남형제섬은 독도 등 도서 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특정도서 제138호로 지정되어 있고 주변 해역은 해양수산부 해양보호구역 제7호로 지정되어 해양생물 서식지 보호, 해저경관 및 생태계 보전·관리를 목적으로 다양한 해양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무인도 - 거북섬 (부산)
    거북섬 (부산)은 부산 송도에 위치했던 구름다리였으며, 2020년 태풍과 노후화로 인해 철거되었다.
오륙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한국어 이름오륙도
한자 이름五六島
로마자 표기Oryukdo
면적28,189 제곱미터
최고점68 미터
최고봉굴섬
총 섬 수6
주요 섬등대섬
위치대한해협
국가대한민국
광역시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지리 정보
설명부산광역시 남구에 있는 섬들이다.
별칭우삭도
방패섬
솔섬
수리섬
송곳섬
굴섬
등대섬
특징섬의 수가 5개 또는 6개로 보일 수 있어 오륙도라는 이름이 붙었다.
문화재 정보
지정 유형명승
지정 번호24
지정일2007년 10월 1일
주소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소유국유
문화재청 번호15,00240000,21
문화재 정보 (구)
지정 유형 (구)기념물
지정 번호 (구)22
지정일 (구)1972년 6월 26일
해제일 (구)2007년 10월 1일
문화재청 번호 (구)23,00220000,21
이미지
오륙도
섬들 (2018년)
추가 정보

2. 지명

오륙도라는 지명은 1740년(영조 16) 동래부사 박사창(朴師昌)이 편찬한 동래부지(東萊府誌)의 산천조(山川條)에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동쪽에서 보면 6개 봉우리로, 서쪽에서 보면 5개 봉우리로 보여 오륙도라 불린다고 한다. 보는 위치에 따라 봉우리 수가 다르게 보이는데, 예를 들어 영도에서는 5개 봉우리(방패섬, 솔섬, 수리섬, 송곳섬, 굴섬)로, 해운대 달맞이고개에서는 6개 봉우리(방패섬, 솔섬, 수리섬, 송곳섬, 굴섬, 등대섬)로 보인다.[1]

초량왜관에서 조선어 통역을 한 대마도 출신 오다이 쿠고로오(小田幾五郞, 1755년 출생, 1832년 사망)가 쓴 초량화집(草梁話集, 1825년)에는 밀물과 썰물에 따라 오륙도가 5개 또는 6개로 보인다는 내용이 있다.[1]

"오륙도"라는 이름은 간만의 차에 따라 섬의 개수가 5개 또는 6개로 보이는 데서 유래한다. 우삭도는 방패섬과 솔섬 두 개의 암봉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해수면 근처에서 연결된 부분이 만조 시에 물에 잠겨 두 개의 섬으로 보인다.[1]

행정 구역상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936번지에 속한다.[1]

3. 구성

오륙도는 육지와 가까운 순서대로 다음과 같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 우삭도(, 32m) - 방패섬, 솔섬
  • 수리섬(33m)
  • 송곳섬(37m)
  • 굴섬(68m)
  • 등대섬(28m)


오륙도라는 이름은 간만의 차에 따라 섬의 개수가 5개로 보이기도 하고 6개로 보이기도 하는 데서 유래한다. 우삭도는 방패섬과 솔섬, 두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지만, 해수면 근처에서 연결된 부분이 만조 때 물에 잠기기 때문에 두 개의 섬으로 보인다. 오륙도에서 가장 바깥쪽에 있는 등대섬에는 등대가 설치되어 있다.

4. 지질

오륙도는 지질학적으로 중생대 백악기 말의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안산암질 화산암류복합체 안산암질 화산각력암으로 구성되어 있다.[1]

약 7~8천만 년 전 유천층군 화산활동에 의한 안산각력암, 안산암류, 안산암질 응회암과 응회질 퇴적암이 퇴적되어 만들어졌으며, 오륙도 상부에 있던 약 6km 두께의 화산 분출암 및 퇴적암은 오랜 기간 동안 삭박(削剝) 작용에 의해서 제거되었다.[1] 이 섬들은 약 12만 년 전에는 하나의 산 능선으로 일직선상에 연결되어 있었으나, 오랜 세월에 걸쳐 암석 내에 발달한 균열대를 따라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산 능선은 여러 덩어리로 분리되었고 3회의 융기운동으로 돌계단, 즉 파식대지로 된 돌섬들로 분리되었다.[1] 파식작용은 곳곳에 해식동굴을 형성하고 파식대지(해안단구)를 형성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이 수없이 반복되면서 현재의 오륙도의 모습이 갖춰졌다.[1]

오륙도는 지질학적으로 중생대 백악기 말의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안산암질 화산암류복합체 안산암질 화산각력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5. 오륙도 및 주변해역 생태계보전지역

2003년 12월 31일 자연환경보전법 제18조에 따라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소재 오륙도 및 주변 해역을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고시하였다.[8]

항목내용
지정 번호해양수산부 생태계보전지역 제3호
명칭오륙도 및 주변 해역 생태계보전지역
지정 연월일2003년 12월 31일
지정 목적기암괴석의 무인도서로 남해안의 수직 암반 생물상 보호 및 주변 육역의 개발 압력에 따른 해양 생태계 훼손 예방
근거 법령자연환경보전법 제18조
관리청해양수산부
행정 구역부산광역시 남구 용호2동 936번지~941번지(방패섬, 솔섬, 수리섬, 송곳섬, 굴섬, 등대섬 포함) 및 주변 해역
면적0.35km2
경위도 좌표다음의 각 점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 안에 있는 방패섬, 솔섬, 수리섬, 송곳섬, 굴섬 및 등대섬 등 무인도서를 포함한 해역


6. 오륙도 등대

오륙도 등대는 육지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등대섬에 있다. 1937년 11월 일제강점기에 처음 설치된 등대는 당시 6.2m 높이였으나, 1998년 시민 현상 설계 공모를 통해 '자연과 인공의 극적인 만남'이라는 주제로 27.5m 높이의 등탑이 건립되었다.[9] 등대에서 10초에 한 번씩 반짝이는 흰색 섬광은 40km(약 33.80km)까지 도달하며, 대마도에서도 보인다.[9] 등대는 해가 뜰 때는 태양열로 충전하고, 흐린 날이나 장마철에는 발전기 2대를 교대로 가동한다.[9] 등대 내부에는 등대 전시관이 있어 누구나 관람할 수 있으며, 국내외 등대 역사 관련 사진과 1930년대 등대 공사 자재 일부가 전시되어 있다.[9] 또한 관광객과 낚시꾼을 위해 화장실을 개방하고 있다.[9]

7. 오륙도 스카이워크

오륙도 스카이워크


오륙도 해맞이공원에 만들어진 전망대이다. 투명 유리로 만들어져 절벽 아래 바다를 구경할 수 있다. 2011년 2월부터 공사를 시작해 2013년 9월에 완공됐다. 스카이워크와 더불어 해파랑길 관광안내소도 개관했다.[10]

8. 사회적 의미

부산의 관광 명소인 오륙도는 한국 사회의 조기 퇴직(早老早退) 문제와 관련된 속어 "오륙도(56泥)"의 유래이기도 하다. 이는 56세까지 일하면 도둑이라는 뜻으로, "오륙도"와 발음이 같은 "56泥"를 이용한 말장난이다.[7] "사오정(45定)"(45세 정년)과 함께 쓰이기도 한다.[7]

참조

[1] 웹사이트 부산 오륙도 http://www.cha.go.kr[...] 2015-01-24
[2] 뉴스 부산의 상징 '오륙도' 바다 속 대청소 http://news.naver.co[...] Yonhap News Agency 2012-03-29
[3] 백과사전 부산 오륙도 (釜山 五六島)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7-04
[4] 웹사이트 Oryukdo Island (부산 오륙도) https://english.visi[...]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9-10-30
[5] 웹사이트 Oryukdo Islets: Stories of the sea https://www.visitbus[...]
[6] 웹사이트 Busan Destinations: Oryukdo Skywalk https://hapskorea.co[...] Haps Magazine Korea 2019-10-30
[7] 웹사이트 asahi.com : 国際 : AAN https://www.asahi.co[...] 2023-07-27
[8] 간행물 오륙도및주변해역생태계보전지역지정고시 관보 2003-12-31
[9] 뉴스인용 시가 있는 부산 등대 1. 오륙도등대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2-12-31
[10] 뉴스인용 오륙도 짜릿하게 감상… '스카이워크' 18일 개장 https://n.news.naver[...] 부산일보 2013-10-15
[11]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