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암 (2003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세암은 2003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영화로, 정채봉의 동화 원작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고아인 감이와 길손 남매가 화재로 부모를 잃고 시력을 잃은 감이를 위해 길손이 희생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영화는 플래시백 기법과 일상적인 묘사를 통해 전개되며, 가족애, 희생, 깨달음 등의 주제를 다룬다. 암스테르담 판타스틱 영화제를 비롯한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했으며, 특히 2004년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최우수 애니메이션 영화상을 받았다. 대한민국과 프랑스에서 개봉되었으며, 영어 사용 국가에서는 DVD로만 접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를 소재로 한 영화 - 리틀 부다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1993년 영화 《리틀 부다》는 석가모니의 전생으로 여겨지는 소년 제시와 싯다르타 고타마의 깨달음 과정을 병행하여 보여주며, 네팔과 부탄에서 촬영되었고 사카모토 류이치가 음악을 맡았으나, 평단의 반응은 엇갈렸다. - 불교를 소재로 한 영화 - 나랏말싸미
영화 《나랏말싸미》는 훈민정음 창제 과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며 논란을 일으킨 조철현 감독의 2019년 영화로, 세종대왕, 신미 대사, 불교계의 역할 부각, 유교 세력과의 갈등, 소헌왕후의 희생 등을 극적으로 묘사하지만 역사 왜곡 논란과 법적 분쟁, 감독의 역사관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 2003년 애니메이션 영화 - 명탐정 코난: 미궁의 십자로
《명탐정 코난: 미궁의 십자로》는 교토를 배경으로 고미술품 절도단 연쇄살인 사건과 핫토리 헤이지의 첫사랑 찾기를 다루며, 코난과 헤이지의 추리, 액션, 그리고 헤이지의 검도와 코난의 신이치 변장이 돋보이는 극장판 여섯 번째 작품이다. - 2003년 애니메이션 영화 - 니모를 찾아서
2003년 픽사에서 제작한 컴퓨터 애니메이션 영화 《니모를 찾아서》는 과잉보호적인 흰동가리 아버지 말린이 아들 니모를 찾기 위해 단기 기억상실증을 앓는 도리와 함께 위험한 바다 여정을 떠나는 이야기로, 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상 수상 및 전 세계적인 흥행 성공과 더불어 문화적 영향력을 남겼다. - 동화의 영화화 작품 - 미녀와 야수 (2017년 영화)
엠마 왓슨과 댄 스티븐스 주연의 《미녀와 야수》는 1991년 애니메이션 영화를 실사화한 뮤지컬 영화로, 벨과 야수의 사랑 이야기를 통해 진정한 사랑과 사회적 편견 극복 메시지를 전달하며 흥행에 성공했지만, 르푸 캐릭터의 동성애 묘사 논란도 있었다. - 동화의 영화화 작품 - 인어공주 (1989년 영화)
월트 디즈니에서 제작한 1989년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인어공주는 인간 세계를 동경하는 인어공주 에리얼이 인간 왕자와 사랑에 빠지는 모험을 그리며 큰 인기를 끌었고, 속편과 프리퀄도 제작되었다.
오세암 (2003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성백엽 |
제작 | 성백엽 |
각본 | 최민용 이서경 성백엽 |
음악 | 강호정 |
촬영 | 문성철 |
배급사 | 시나브로 엔터테인먼트 |
상영 시간 | 77분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제작비 | 150만 달러 |
로마자 표기 | Oseam |
영화 정보 | |
제목 | 오세암 |
그림 | 오세암 (2003년 영화) 포스터.jpg |
감독 | 성백엽 |
제작 | 김병헌, 이정호, 윤종윤, 서성진 |
각본 | 최민용, 이서경, 성백엽 |
원작 | 정채봉 |
음악 | 강호정 |
스튜디오 | 마고21 |
배급 | 시나브로 엔터테인먼트 |
시간 | 75분 |
언어 | 한국어 |
2. 줄거리
오세암은 고아인 감이와 남동생 길손을 따라 이야기가 전개된다. 감이는 온순하고 소극적인 시각 장애를 가진 소녀인 반면, 길손은 지나치게 활동적이며 자주 장난을 친다. 두 사람은 몇 년 전 화재 사고로 어머니와 집을 잃었고, 이 사고로 감이는 시력을 잃었다. 이들은 대승 불교 사찰에 피난하여 허드렛일을 돕는다. 너무 어려서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는 길손은, 감이가 어머니가 화재로 죽었다고 말한 적이 없기 때문에 언젠가는 어머니를 찾을 것이라고 믿는다. 길손은 스님과 함께 산에 가서 명상을 하고 누이의 실명을 치료하려 하지만, 결국 감이의 시력을 위해 목숨을 바친다.
영화는 플래시백의 순간과 짧고 강렬한 장면이 있지만, 매우 느리게 진행되며 접근 방식에서 종종 일상물처럼 느껴진다. 캐릭터, 특히 고아에 많은 중점을 두고 이야기가 전개된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등장인물
3. 2. 조연
김서영은 길손 역을 맡았고, 박선영은 감이 역을 연기했다. 배정민은 아이1(종철) 역, 오주연은 아이2 역을 맡았다. 손종환은 일지스님 역, 표영재는 설정스님 역을 담당했다.
4. 제작진
- 제공: (주)신보창업투자, (주)디스커버리리창업투자
- 배급: (주)시나브로 엔터테인먼트
- 제작: (주)마고21
- 원작: 정채봉
- 각본: 최민용, 이서경, 성백엽
- 캐릭터 디자인: 홍원택
- 배경 디자인: 최현주
- 칼라 디자인: 김미선
- 원화감독: 양진철
- 미술감독: 송규환, 이윤호
- 촬영감독: 문성철
- 사운드 슈퍼바이저: 이영빈
- 음악감독: 강호정
- 주제가: 윤도현, 이소은 - 마음을 다해 부르면
- 프로듀서: 이정호, 윤종윤
- 총감독: 성백엽
- 기획/제작: (주)마고21
- 제작투자: 신보창업투자, 디스커버리리창업투자, 손오공,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 제작지원: 영화진흥위원회,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경기디지털아트, 하이브종합지원센터
- 투자지원: 최신규, 김종완, 정상관, 최준환
- 책임프로듀서: 김병헌
- 제작프로듀서: 윤종윤
- 제작진행: 서성진
- 타이틀전각: 고암, 정병례
- 연출감독: 양진철
- 녹음: 레전드사운드
- 필름레코딩: 헐리우드필름레코더
- 현상: 한국문화진흥HIT
;애니메이션 제작
- 레이아웃: 정주왕, 정명섭, 구자국
- 원화: 이강용, 정주왕, 이건혜, 임종철, 유지훈, 권종원, 김중호, 유재하, 최경석, 최훈철, 장준경, 김동남, 박민
- 원화 클린업: 김은영, 김경희, 박진경, 이세희, 전병곤
- 원화작감: 권은경
- 배경: 황재덕, 고민아
- 동화: R&A프로덕션, 뮤즈프로덕션, 시노드애니메이션, 유니동화, 몬스터애니메이션, AD21애니메이션, 윤종호 (작감), 임혁 (작감), 황민철 (작감), 임종열 (작감), 백진영, 김은화, 김복순, 김경희, 정인애, 안효정, 송진희, 김윤정, 정대성, 윤은주, 양순매, 이세희, 김정우, 김현정, 김혜성, 최윤선, 황선희, 이은아, 박문희, 박미영, 김미연, 한명희, 김희영, 서남숙, 유상희, 윤혜오, 박혜연, 정진영, 박은아, 정혜경, 서은정, 박경아, 허수정, 김정순, 김두숙, 전진희, 김지숙, 정재연, 한형갑, 김현주, 장영선, 이채원, 조영경, 박지영, 황재희, 장준이, 변영준, 양성아, 홍미선, 이흥수, 문수정, 김병대, 박영애, 오윤수, 추혜민, 김은희, 민흥이, 방순이, 김수현, 예용준, 조혜진, 고연희, 최진희, 이현미, 이성진, 김승미, 최정인, 이보름, 김수진, 김현연, 이영미, 홍승희, 김복심, 남설희, 박윤식, 김미련, 민현숙, 고은주, 조윤희, 이승미, 한수정
- 스캔 채색: ANITOON KOREA, TOO TOO, 시노드애니메이션, R&A프로덕션, 뮤즈프로덕션, 엄성춘, 최영주, 나애자, 김은주, 문미선, 양미원, 이건우, 권미숙, 김병희, 김경욱, 김명훈, 이은정, 김한일, 김대균, 이미자, 김부감, 이은감, 한경호, 최은희, 손은정, 남숙한, 공문애, 이향현, 조원희, 이명현, 박성미, 김은경, 황선희, 김혜선, 김진, 조순옥, 윤혜엽, 백상희, 김애경, 고은이, 김애란, 김서영, 최희정, 최은미, 배정자, 문봉준, 박정네, 박혜선, 류선임, 정희진, 황보혜련, 최희정, 전명일, 이상진
- 총작감: 윤종호
- 화이날: 최순철, 윤종운
- 칼라검사: 이효
- 촬영: 신효철, 박준민, 성시대
- 3D: 황지환, 정우영, 이경식
- 서버관리: 김환섭
;필름
- 필름레코더: 홍진기, 차호준
- 내가현상: 강명훈, 한충구, 권순홍
- 포지현상: 김기덕, 정의용, 안태원, 최재혁
- 사운드현상&시니컬아날라이즈: 최정영, 김성대
- 필름검수: 임진오, 송민
- 프린팅: 김학성, 박용규, 박재감
- 필름색보정: 이시우
- 필름제공: (주)태창엠피필 홍성곤
- 편집: 고임표 편집실
- 믹싱: 김지환
- 사운드 디자인: 박재규, 김지환
- 폴리 아티스트: 폴리워커스
- 작곡: 강호정, 이혜준, 이상유
;마케팅
- 기획실장: 김근식
- 마케팅책임: 정인화
- 홍보: 허준영
- 홍보마케팅지원: 서수연, 이혜진
- 홍보대행: 래핑보아
- 디자인: 색
- 배급: 송원상, 김동영
- 배급마케팅: 명수미
- 온라인마케팅: 얄개 네트워크
- 홈페이지제작: MIND4
- 예고편제작: 도어엔터테인먼트
- 메이킹필름: 조창완
- 엔딩크레딧: (주)코네트미디어
:조창완, 신승태, 박지동
4. 1. 한국어판 제작진
김서영 : 길손이 역박선영 : 감이 역
배정민 : 아이1(종철) 역
오주연 : 아이2 역
손종환 : 일지스님 역
표영재 : 설정스님 역
5. 한국 문화와 불교의 영향
6. 평가 및 수상
이 영화는 암스테르담 판타스틱 영화제를 비롯하여 세계 각 영화제에서 여러 상을 받았다.[3]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4] 와 2004년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최우수 애니메이션 영화상"을 수상했다.[5] 영화는 감동적인 스토리와 아름다운 영상미로 호평을 받았으며, 특히 가족애와 희생, 그리고 깨달음이라는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6. 1. 긍정적 평가
이 영화는 암스테르담 판타스틱 영화제를 비롯하여 세계 각 영화제에서 여러 상을 받았다.[3]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4] 와 2004년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최우수 애니메이션 영화상"을 수상했다.[5] 영화는 감동적인 스토리와 아름다운 영상미로 호평을 받았으며, 특히 가족애와 희생, 그리고 깨달음이라는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었다는 평가를 받는다.6. 2. 수상 내역
이 영화는 암스테르담 판타스틱 영화제를 비롯하여 세계 각 영화제에서 여러 상을 받았다.[3]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4] 와 2004년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최우수 애니메이션 영화상"을 수상했다.[5]7. 개봉
대한민국과 프랑스에만 제한적으로 개봉되었기 때문에, 이 영화는 영어 사용 국가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영어 자막이 있는 DVD가 존재하지만, 이는 지역 코드 3 DVD로만 출시되었다.[2]
8. 기타
참조
[1]
간행물
Oseam
https://archive.org/[...]
Korean Film Commission(KO FIC)
2003
[2]
웹사이트
Oseam DVD
http://www.yesasia.c[...]
yesasia.com
2008-07-30
[3]
웹사이트
Amsterdam Fantastic Film Festival
http://www.afff.nl/
2006-06-14
[4]
웹사이트
Asia-Pacific Film Festival (2004)
http://www.imdb.com/[...]
2020-12-18
[5]
웹사이트
Oseam Selected Best Animated Film at Annecy – Animated Views
https://animatedview[...]
2020-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