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는 1954년 일본 도쿄에서 '동남아시아 영화제'로 시작하여, 아시아 태평양 지역 영화 발전을 위해 매년 개최되는 영화제이다. 초기에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다양한 국가들이 참여하는 국제적인 영화제로 성장했다.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시상 부문을 운영하며, 대한민국은 1957년부터 꾸준히 작품을 출품하여 여러 차례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영화 - 아시아영화진흥기구
아시아영화진흥기구는 아시아 영화의 발전과 예술성을 알리기 위해 넷팩(NETPAC)상을 수여하며, 독립 영화 발굴과 국제 영화제 출품 등을 지원하는 기구이다. - 1954년 시작된 영화제 - 시드니 영화제
시드니 영화제는 1954년 시작되어 국제 및 지역 영화를 상영하며 시드니 도심에서 개최되는 호주의 영화제이다. - 1954년 시작된 영화제 - 마르델플라타 국제 영화제
마르델플라타 국제 영화제는 1954년 아르헨티나에서 시작된 라틴 아메리카의 주요 영화제 중 하나로, 황금 아스토르상을 포함한 여러 부문의 시상을 하며 매년 약 14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한다. - 1954년 설립 - 주한 미군
주한미군은 1945년 인천 상륙 후 한반도에 주둔하며 일본군 무장해제, 한국 전쟁 참전을 거쳐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후 대한민국 안보에 기여하고 육군, 공군, 해군, 해병대 등 다양한 병과로 구성되어 활동 중이나, 규모, 역할, 주둔 비용, SOFA 개정 등 여러 쟁점이 있다. - 1954년 설립 -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은 원자폭탄 투하로 파괴된 히로시마 시의 부흥을 상징하며, 원폭 돔, 평화기념자료관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시설과 매년 8월 6일 평화 기념식 및 등롱 띄우기 행사가 열리는 곳이다.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
로마자 표기 | Asia-Tae Pyeong-yang Yeonghwa Je |
영어 이름 | Asia Pacific Film Festival |
다른 이름 | 아시아 영화제 아시아 영화 경연 대회 |
유형 | 영화제 |
개최지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창립 연도 | 1954년 |
주최 | 아시아 태평양 영화 제작자 연맹 (Federation of Motion Picture Producers in Asia-Pacific, FMPPA) |
웹사이트 | 아시아 태평양 영화 제작자 연맹 공식 웹사이트 |
역사 | |
시작 | 1954년, 도쿄에서 아시아 영화제로 시작 |
주요 변경 | 1955년, 자카르타에서 아시아 영화 경연 대회로 명칭 변경 |
범위 확대 | 아시아 태평양 지역으로 확장 |
기타 | 1984년, 29회 영화제 이후 중단 1988년, 타이페이에서 재개 |
특징 | |
목표 | 아시아 태평양 영화 산업 발전 및 문화 교류 증진 |
심사 | 출품된 영화들을 대상으로 심사 진행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 |
수상 부문 |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각본상 촬영상 음악상 미술상 등 |
논란 및 문제점 | |
정치적 문제 | 개최국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영화제 개최에 어려움 발생 특정 국가의 영화 출품 제한 |
재정적 어려움 | 영화제 운영 자금 부족 문제 발생 영화제 규모 축소 또는 중단 |
기타 | 영화제 권위 하락 대중의 관심 저하 |
2. 역사
1954년 일본의 발의로 시작된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영화 산업 교류와 협력을 목적으로 한다.[49] 한국, 일본, 중화민국, 홍콩,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타이, 베트남 등 아시아 9개국 영화 단체로 구성된 영화제작자연맹(F.P.A)이 주최했다.[49]
초기에는 '''동남아시아 영화제'''로 시작하여 '''아시아 영화제'''를 거쳐 1982년부터 현재의 '''아시아태평양영화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4] 영화제는 매년 회원국을 순회하며 개최되었으나, 행사 경비 부담, 영화제 효과에 대한 의문, 창설 취지 변질 등의 비판에 직면했다.[49] 이에 1970년 일본은 경쟁 제도 폐지와 개혁안을 제안했고, 1972년부터 1976년까지는 비경쟁 방식으로 운영되었다.[4]
2. 1. 창립과 초기 (1954년 ~ 1970년대)
1954년 일본의 발의로 아시아 회원국들이 돌아가며 개최하는 영화제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동남아시아 영화제'''라는 이름으로 개최되었으며, 일본 도쿄에서 처음 열렸다. 당시 참가국은 일본 외에 홍콩, 말라야 연방, 필리핀, 타이완, 태국이었다.[4] 일본 다이에이 대표이사 사장 나가타 마사카즈를 주최로, 필리핀의 마누엘 데 레온, 태국의 반유 유가라, 인도네시아의 오스마르 이스마일, 홍콩, 싱가포르의 록 완 토, 사오 이푸(邵逸夫), 런런 샤오(邵仁枚) 등이 서명하여 영화제가 창설되었다.[49]이후 '''아시아 영화제'''를 거쳐 1982년 제27회 영화제부터 '''아시아태평양영화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4] 1971년에는 캄보디아가 가맹하였고,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가 분리되어 가맹국은 11개국이 되었다. 이후 통일 베트남,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가 새로 가맹하였다.[49]
1970년 제16회 영화제에서 일본이 경쟁 제도 폐지와 영화제 개혁안을 제안했고, 1972년 제18회부터 1976년까지 회원국 간의 과열 경쟁을 막기 위해 일시적으로 비경쟁 영화제로 운영되었다.[4]
2. 2. 변화와 발전 (1980년대 ~ 현재)
1982년 제27회 영화제부터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로 명칭을 변경하고 부분 경쟁을 도입하여 다시 경쟁 영화제로 전환되었다.[49] 초기에는 '동남아시아 영화제', 이후 '아시아 영화제'라는 이름으로 개최되었다.[49]1970년 제16회 영화제에서 일본이 경쟁 제도 폐지와 영화제 개혁안을 제안하여, 1972년 제18회부터 비경쟁 영화제로 바뀌었다가 1982년에 다시 경쟁 부문이 도입되었다.[49] 1971년에는 캄보디아가 가맹하였고,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가 분리되어 가맹국이 11개국이 되었다. 이후 통일 베트남,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가 새로 가맹하여 발족 당시와는 많이 달라졌다.[49]
3. 시상 부문
4. 참가국
참가국 |
---|
5. 대한민국 역대 수상 내역
대한민국은 1957년 도쿄에서 열린 제4회 영화제에 《시집가는 날》, 《백치 아다다》를 출품한 이래 해마다 작품을 출품하고 있다.
5. 1. 1950년대 ~ 1960년대
연도 | 상 | 영화 | 수상자 |
---|---|---|---|
1957 | 특별희극상 | 《시집가는 날》 | |
1960 | 남우주연상 | 《로맨스 빠빠》 | 김승호 |
1962 | 최우수작품상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 |
남우주연상 | 《상록수》 | 신영균 | |
1964 | 감독상 | 《빨간 마후라》 | 신상옥 |
1966 | 최우수작품상(비극영화부문) | 《비무장지대》 | |
남우주연상 | 《청일전쟁과 여걸민비》 | 박노식 | |
여우주연상 | 《청일전쟁과 여걸민비》 | 최은희 | |
1967 | 감독상 | 《안개》 | 김수용 |
1969 | 감독상 | 《이조여인 잔혹사》 | 신상옥 |
5. 2. 1970년대 ~ 1980년대
연도 | 영화 | 감독 | 수상 |
---|---|---|---|
1971 | 《전쟁과 인간》 | 신상옥 | 감독상[19] |
1973 | 《홍살문》 | 변장호 | 감독상 |
1976 | 《보통 여자》 | 변장호 | 감독상[19] |
1984 | 《적도의 꽃》 | 배창호 | 감독상 |
1985 | 《깊고 푸른 밤》 | 배창호 |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
1987 | 《씨받이》 | 임권택 | 최우수작품상, 감독상[22] |
5. 3. 1990년대 이후
연도 | 상 | 수상자 및 작품 | 감독 |
---|---|---|---|
1990[5] | 작품상 | 《미친 사랑의 노래》 | 김호선 |
1991 | 남우주연상 | 박중훈 (《나의 사랑 나의 신부》) | 이명세 |
최고신인상 | 이명세 (《나의 사랑 나의 신부》) | ||
1993[25] | 남우주연상 | 안성기 (《하얀 전쟁》) | |
1996[28] | 최우수작품상 | 《꽃잎》 | 장선우 |
남우주연상 | 문성근 (《꽃잎》) | ||
여우조연상 | 이영란 (《꽃잎》) | ||
1999[31] | 심사위원특별상 | 《쉬리》 | 강제규 |
편집상 | 박곡지 (《쉬리》) | ||
2000[32] | 심사위원특별상 | 《춘향뎐》 | 임권택 |
2004[36] | 감독상 | 박찬욱 (《올드보이》) | |
2005[37] | 최우수작품상 | 《태극기 휘날리며》 | 강제규 |
감독상 | 강제규 (《태극기 휘날리며》) | ||
2013[43] | 편집상 | 김창주, 최민영 (《설국열차》) |
참조
[1]
뉴스
Reza Rahadian wins Best Actor award at 2017 Asia-Pacific Film Festival
http://www.thejakart[...]
2018-03-05
[2]
웹사이트
아시아태평양영화제(─太平洋映畵祭)
http://encykorea.aks[...]
2018-03-05
[3]
뉴스
South Korea's 'Snowpiercer' Gets 7 Nominations at Asia Pacific Film Fest
https://www.hollywoo[...]
2018-03-05
[4]
서적
Japanese Cinema Goes Global: Filmworkers' Journeys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8-03-09
[5]
웹사이트
1st AWARD AND TROPHY
https://apff.info/in[...]
2023-02-23
[6]
웹사이트
Asia-Pacific Film Festival - 1956 Awards
https://www.imdb.com[...]
2024-08-16
[7]
웹사이트
A guide to Filipino cinema: 10 essential films from the Philippines
https://faroutmagazi[...]
2024-08-16
[8]
웹사이트
Asia-Pacific Film Festival - 1957 Awards
https://www.imdb.com[...]
2024-08-16
[9]
웹사이트
最優秀賞(최우수상)엔『王國(왕국)과美女(미녀)』
https://newslibrary.[...]
2023-02-24
[10]
웹사이트
亞細亞映畵祭(아세아영화제) 3개部門受賞(부문수상)
https://newslibrary.[...]
2023-02-24
[11]
웹사이트
金勝鎬氏男優賞獲得(김승호씨남우상획득) 第八回亞細亞映畵祭(제팔회아세아영화제)
https://newslibrary.[...]
2023-02-23
[12]
웹사이트
아시아태평양영화제
https://encykorea.ak[...]
2023-02-23
[13]
웹사이트
亞洲映畵祭(아주영화제)휩쓴韓國(한국)의演技(연기) 男(남) 金勝鎬(김승호) 女(여) 都琴峰(도금봉)
https://newslibrary.[...]
2023-02-24
[14]
웹사이트
11回(회) 亞洲映畵祭(아주영화제) 閉幕(폐막) 다시 빛낸 邦畵(방화)
https://newslibrary.[...]
2023-02-24
[15]
웹사이트
男優主演賞(남우주연상)에 金振奎(김진규) 아시아映畵祭(영화제)서 또한凱歌(개가)
https://newslibrary.[...]
2023-02-24
[16]
웹사이트
亞洲映畵祭(아주영화제)서作品賞(작품상)탄「藍(남)과黒(흑)」
https://newslibrary.[...]
2023-02-23
[17]
웹사이트
金洙容(김수용)씨 監督賞(감독상)
https://newslibrary.[...]
2023-02-24
[18]
웹사이트
女優主演賞(여우주연상)에 金芝美(김지미)내정
https://newslibrary.[...]
2023-02-24
[19]
간행물
Tiga Karakter dalam 'Apa Jang Kau Tjari, Palupi?'
https://imaji.ikj.ac[...]
2023-02-24
[20]
서적
Indonesia Today
https://books.google[...]
2023-02-26
[21]
웹사이트
邦畵(방화),아시아映畵祭(영화제)서 참패 高斗心(고두심) 女優(여우)조연상受賞(수상)에 그쳐
https://newslibrary.[...]
2023-02-23
[22]
웹사이트
아태 영화제, 안성기 남우주연상 수상[박광온]
https://imnews.imbc.[...]
2023-02-23
[23]
뉴스
《牯嶺街少年殺人事件》電影宣傳海報
https://memory.cultu[...]
2023-02-23
[24]
웹사이트
작품賞(상) 臺灣(대만)의「쿵후선생과 아들」
https://newslibrary.[...]
2023-02-23
[25]
웹사이트
'하얀전쟁'안성기씨 최우수 주연남우상 아태영화제
https://newslibrary.[...]
2023-02-24
[26]
뉴스
Sequel to award-winning film "Eat Drink Man Woman" planned
https://web.archive.[...]
2021-04-28
[27]
뉴스
'Yu' dominates awards at Asia-Pacific fest
https://variety.com/[...]
2018-03-05
[28]
웹사이트
A Petal - Awards
https://www.imdb.com[...]
2018-03-05
[29]
웹사이트
Such a Life - Awards
https://www.imdb.com[...]
2018-03-05
[30]
웹사이트
Leaf On A Pillow - Awards
https://www.imdb.com[...]
2018-03-05
[31]
웹사이트
Nang Nak - Awards
https://www.imdb.com[...]
2018-03-05
[32]
웹사이트
Sandy Lives - Awards
https://www.imdb.com[...]
2015-03-05
[33]
뉴스
Film Series: Faces of Tsai Ming-Liang
https://asiasociety.[...]
2018-03-06
[34]
웹사이트
Inochi - Awards
https://www.imdb.com[...]
2015-03-05
[35]
뉴스
'동승' 아태영화제 최우수작품상·촬영상 수상
http://news.khan.co.[...]
2018-03-05
[36]
웹사이트
Big Screen Blues: Making it in Taiwan's difficult film industry
https://taiwantoday.[...]
2018-03-05
[37]
뉴스
Korean pix top Asia fest kudos
2018-03-05
[38]
뉴스
Asia-Pacific fest falls for 'Unwanted Woman'
2018-03-05
[39]
뉴스
Asia Pacific Film Festival cancelled
2018-03-05
[40]
뉴스
Quake fails to shake awards
2018-03-05
[41]
웹사이트
Honour for Buddhadeb
2018-03-05
[42]
뉴스
Johnnie To's 'Life Without Principle' Takes Top Prize At Asia-Pacific Film Festival
2018-03-05
[43]
웹사이트
APFF AWARDS AT THE VENETIAN: Director Hirokazu Koreeda wins top Asia-Pacific 'Oscars'
https://web.archive.[...]
2018-03-05
[44]
뉴스
Asia Pacific Film Festival Postponed Till 2015
2018-03-05
[45]
뉴스
Syamsul Yusof, "Ola Bola" win awards at the Asia Pacific film fest
2018-03-05
[46]
웹사이트
Oggatonama wins best picture at Asia-Pacific Film Festival
2018-03-05
[47]
웹사이트
ORGANIZE COMMITTEE
2023-02-23
[48]
웹사이트
Malaysian film 'Guang' wins Best Film at the 59th Asia Pacific Film Festival in Macau (VIDEO)
https://malaysia.new[...]
2021-02-23
[49]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100.nate.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