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양 (명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양은 명나라 숭정제 시기 요동총병으로 조대수의 부하였으며, 매부였다. 1631년 대릉하 전투에서 후금군에 패배한 후 파면되었으나, 이자성의 난으로 인해 제독경영으로 복직되었다. 갑신의 변으로 이자성에게 생포된 후 아들 오삼계가 청군을 끌어들이자 이자성은 오양을 참수하고 오씨 가문을 멸족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군인 - 원숭환
    원숭환은 명나라 말기에 활약한 장군으로, 닝위안 전투에서 후금 군대를 격퇴하고 요동 방어에 기여했으나 모반 혐의로 처형된 인물이다.
  • 명나라의 군인 - 양호 (명나라)
    양호는 명나라의 군인이자 관료로, 임진왜란 당시 경리로서 조선에 파병되었으며, 요동 경략으로 후금 토벌에 나섰으나 사르후 전투에서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오양 (명나라)
기본 정보
오상의 초상
오상의 초상
이름오상
로마자 표기Wu Xiang
시대명나라
출생1583년
사망1644년
관직
직위총독
병부상서
봉작광녕백
가족 관계
아버지오영
아들오삼계
오조
오륵
오량
오응웅
손자오세번
기타 정보
활동 시기숭정제 치세
주요 활동명-청 전쟁

2. 생애

오양은 숭정제 시기 요동총병(遼東總兵)으로 복무했으며 조대수의 부하이자 매부였다. 1631년 대릉하 전투에서 명군을 지원하러 갔으나 도주하여 전군이 패퇴하였고, 이후 아들 오삼계가 총병으로 발탁되었다. 1644년 이자성의 난으로 이자성의 세력이 확장되자 제독경영(提督京營)으로 복직되었으나, 갑신의 변으로 이자성에게 생포되었다. 오삼계가 청군을 끌어들여 산해관 전투에서 승리하자, 이자성은 오양을 참수하고 오씨 가문을 멸족시켰다. 그는 누르하치와의 전투에 참여하지 않아 명나라 조정으로부터 질책을 받았고,[1] 이자성에게 처형당했다.[2] 이는 오삼계순나라에 반대하는 결정을 내리게 했고, 명나라 멸망을 가속화시켰다.[3]

2. 1. 명나라 시기 활동

숭정제 시기 요동총병(遼東總兵)으로 복무했으며 조대수의 부하이자 매부였다.[1]

1631년, 후금의 홍타이지가 명나라의 대릉하성을 공격하자(대릉하 전투), 오양은 명군을 지원하러 갔으나 도주하여 전군이 패퇴하였다. 조대수가 청나라로 이동하자 손승종은 파면되고 오양은 하옥되었으며, 아들인 오삼계가 총병으로 발탁되었다.

1644년 3월 초, 이자성의 난을 일으킨 이자성의 세력이 확장되자 명나라 조정은 오양을 제독경영(提督京營)으로 복직시켰다. 이후 갑신의 변으로 이자성이 연경(베이징)을 점령하자 오양은 생포당했으며, 이자성은 부장을 보내 오삼계 군을 항복시키게 하였다.[2] 같은 해 4월 22일, 오삼계가 청군을 끌어들였고 아지거와 도도가 산해관 전투에서 패하자 도르곤은 오삼계를 평서왕(平西王)으로 봉하였다.

이후 평서왕이 된 오삼계가 이자성 군을 추격하자 이자성은 분노하여 영평(永平)[4] 서범가(西范家)에서 오양을 참수하였고, 오양의 머리를 장대에 걸어 대중에게 알렸다. 이후 26일 이자성은 회군하여 오씨 가문의 34명을 멸족하였다.[3]

2. 2. 이자성의 난과 최후

1644년 3월 초, 이자성의 난을 일으킨 이자성의 세력이 확장되자 명 조정은 오양을 제독경영(提督京營)으로 복직시켰다. 이후 갑신의 변으로 이자성이 연경(베이징)을 점령하자 오양은 생포되었으며, 이자성은 부장을 보내 오삼계군을 항복시키려 하였다.[4] 같은 해 4월 22일, 오삼계가 청군을 끌어들였고 아지거와 도도가 산해관 전투에서 패하자 도르곤은 오삼계를 평서왕(平西王)으로 봉하였다.

이후 평서왕이 된 오삼계가 이자성군을 추격하자 이자성은 분노하여 영평(永平) 서범가(西范家)에서 오양을 참수하였고, 오양의 머리를 장대에 걸어 대중에게 알렸다.[4] 이후 26일 이자성은 회군하여 오씨 가문의 34명을 멸족하였다.[4] 단명했던 순나라의 통치 세력은 그의 집을 점령했고, 이자성이 그를 처형한 것은[2] 오삼계가 해당 정권에 반대하는 결정을 내리도록 했으며, 이미 붕괴 직전이었던 명나라의 멸망을 가속화시켰다.[3]

참조

[1] 서적 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9
[2] 서적 Notable Women of China: Shang Dynast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M.E. Sharpe 2000
[3] 서적 Cultural Centrality and Political Change in Chinese History: Northeast Hena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4] 문서 하북성 노룡현 쌍망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