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대수는 명나라 말기, 청나라 초기의 무장으로, 명나라와 청나라를 오가며 활동했다. 그는 요동의 명문가 출신으로, 명나라에서 후금과의 전투에서 활약하며 영금대첩을 이끌었다. 그러나 기사지변 이후 원숭환이 처형되자 청나라에 투항했다가 다시 명나라로 돌아가는 등 변절의 행보를 보였다. 대릉하성 전투에서 청에 항복한 후, 금주성을 지키며 청의 공격에 맞섰으나, 결국 청에 두 번째로 항복했다. 청나라에서 한군 정황기에 소속되어 총병관을 지냈으며, 1656년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그의 무덤은 캐나다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으며, 2013년에는 묘비 파편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루다오시 출신 - 양리웨이
중국의 우주비행사이자 중국인민해방군 소장인 양리웨이는 2003년 선저우 5호를 타고 중국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에 성공하여 중국 우주 개발 역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현재 중국 유인 우주 공정 사무소 주임으로 활동하고 있다.
| 조대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인물 정보 | |
| 이름 | 조대수(祖大壽) |
| 원명 | 조천수(祖天壽) |
| 자 | 복우(復宇) |
| 출생 | 미상 |
| 출생지 | 명(明) 요동(遼東) 영원(寧遠, 오늘날 요녕성(遼寧省) 흥성(興城)) |
| 사망 | 1656년 |
| 사망지 | 청(淸) 북경(北京) |
| 부모 | 조승훈(祖承訓) |
| 형제자매 | 친동생 조대필(祖大弼), 조대성(祖大成), 사촌동생 조대락(祖大樂) |
| 자녀 | 친자 조택윤(祖澤潤), 조택부(祖澤溥), 조택홍(祖澤洪), 조택청(祖澤淸), 양자 조가법(祖可法) |
| 친척 | 오삼계(吳三桂) (조카, 누이의 아들) |
| 직업 | 총병관, 장군 |
| 가계 | |
| 부 | 조승훈(祖承訓) |
| 형제 | 조대필(祖大弼) (동생), 조대성(祖大成) (동생), 조대락(祖大樂) (사촌 동생) |
| 조카 | 오삼계(吳三桂) (누이의 아들) |
| 자녀 | 조택윤(祖澤潤), 조택부(祖澤溥), 조택홍(祖澤洪) |
2. 명나라에서의 활약
1628년 (숭정 원년), 조대수는 영원(현재 싱청 시) 방어의 공으로 전봉 총병관에 발탁되어 금주에 주둔했다. 1630년 (숭정 3년), 손승종 등과 합류하여 영평의 사성을 탈환했다. 같은 해, 친구 원숭환이 숭정제의 지시로 능지형에 처해지자 슬픔과 두려움에 떨었다.[5]
1631년 (숭정 4년) 음력 8월, 조대수는 대릉하성에 주둔하고 있었는데, 홍타이지(청 태종)의 군대에 포위되었다.[6][7] 홍타이지는 포탄이 닿지 않는 거리에 보루를 축조하고 참호를 파서 성 안의 병사와 백성을 압박했다. 후금 군의 식량 공격으로 성 안은 식량과 땔감이 떨어져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는 혼란에 빠졌다. 결국, 같은 해 12월 조대수는 어쩔 수 없이 투항하고 무혈 개성했다.[8]
그러나 조대수는 곧 도망쳐 금주를 굳게 지켰고, 이후 홍타이지에게 여러 번 항복을 권유받았지만 따르지 않았다.
2. 1. 초기 생애와 배경
조대수는 명(明) 요동(遼東) 영원(寧遠, 오늘날 요녕성(遼寧省) 호로도시(葫蘆島市) 흥성(興城))에서 태어났다. 출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자는 복우(復宇)이다.[9] 그의 집안은 대대로 요동의 명문가였다. 조대수, 사촌동생 조대락(祖大樂), 친동생 조대필(祖大弼)은 모두 요동의 무장이었다. 조대수는 처음 웅정필(熊廷弼)과 왕화정(王化貞)의 부장이었으나, 이후에 손승종(孫承宗)을 따라 참장(參將) 김관(金冠)을 보좌하여 섬을 지켰다. 천계(天啓) 3년(1623) 영원성(寧遠城) 수축을 감독하였다.아버지는 요양 부총병으로서 임진왜란에 명나라 군 측의 장수로 참전한 조승훈이며, 여동생은 오상의 후처이자 오삼계의 어머니였다.
2. 2. 영원성 전투와 영금대첩
조대수는 명나라 요동(遼東) 영원(寧遠, 오늘날 요녕성(遼寧省) 호로도시(葫蘆島市) 흥성(興城))에서 태어났다. 출생 연도는 미상이며, 자는 복우(復宇)이다.[9] 그의 집안은 대대로 요동의 명문가였다. 조대수와 사촌동생 조대락(祖大樂), 친동생 조대필(祖大弼)은 모두 요동의 무장이었다. 조대수는 처음 웅정필(熊廷弼)과 왕화정(王化貞)의 부장이었으나, 이후에 손승종(孫承宗)을 따랐다.천계(天啓) 6년(1626) 정월, 누르하치(努爾哈赤, Nurhaci)가 영원성을 공격하자(제1차 영원성 전투), 조대수는 원숭환(袁崇煥)을 도와 성을 지켰고, 후금 군대를 격파하여 부총병(副總兵)으로 승진하였다. 천계 7년(1627) 정월, 홍타이지(皇太極, Hong Taiji)가 다시 영원성을 공격하자, 조대수는 만계(滿桂)와 함께 후금 군대와 격전을 벌였다. 같은 해 6월, 후금 군대는 다시 패배하였는데, 이를 영금대첩(寧錦大捷)이라 한다.
2. 3. 기사지변과 북경 방어
1629년(인조 7년) 11월, 홍타이지가 이끄는 청군은 만리장성 북쪽 영원성 전투에서 그의 아버지 누르하치가 3년 전에 패배했던, 명나라의 견고한 요새를 우회하여 명나라를 침공했다. 몽골의 우호적인 영토를 통해 만주족은 허베이성의 시펑커우 관문을 통과하여 서쪽으로 공격하여 베이징을 목표로 했다. 닝위안 수비대 사령관 원숭환은 조대수 휘하의 2만 명의 병력을 파견해 베이징을 구원하게 했다. 조대수는 산해관을 통해 만리장성을 넘어 베이징으로 진격하여 성벽 밖에서 만주족을 격파했다.[1]2. 4. 난주 탈환과 대릉하 포위전
1629년 원정에서 홍타이지 군은 오늘날 하북성 준화, 천안, 난주와 영평을 함락하였지만 철군해야 했다. 1630년, 홍타이지는 조카 아민을 영평에 남겨두어 방어하게 하였다. 조대수는 반격에 나섰고 난주를 수복하였다. 이에 대한 응전으로 아민은 천안과 영평의 민간인을 학살할 것을 지시하였고, 도시를 약탈하고 나서 도시를 명에게 넘겨주었다. 한인 주민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어 함락시킨 도시를 안정화하고 명의 관료들을 귀순하게 하고자 하였던 홍타이지는 학살 소식을 듣고 분개하였다. 홍타이지는 아민을 체포하여 투옥시켰고, 이 기회를 통하여 아민의 양람기를 자신과 친하였던 아민의 동생 지르갈랑에게 주었다.[10]1631년, 조대수는 금주의 지휘관이 되었다. 조대수는 군대를 이끌고 대릉하성을 사찰하고 있었다. 이때 홍타이지는 만주·몽골·한군으로 구성된 군사 2만 명을 거느리고 9월 1일에 대릉하를 공격하였다. 대릉하에서 조대수는 14,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있었다. 이들은 절반은 보병 나머지 절반은 기병이었으며, 대부분 만주군과의 전투 경험이 풍부하였다. 조대수가 나타났다는 소식을 들은 홍타이지는 군대를 성밖에 파견하여 명측 주민들을 포위하고 있었다. 이때 홍타이지는 성을 직접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포위전을 준비하고 있었다. 성 주변에는 해자를 팠고, 한인 출신 동양성이 이끄는 포르투갈 대포로 무장하였으며 새롭게 조직된 포병으로 길목을 지키게 하였다.[10]
만주군은 대릉하 주변 여러 성들을 장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 사신을 보내어 항복을 종용하였다. 또한 이들은 조대수에게도 항복을 요청하였다. 동시에 성밖에서는 만주군이 명의 보급군 일부를 패배시켰다. 10월, 조대수의 처남 오양이 이끄는 4만의 명군이 금주성 인근에 도착하였다. 홍타이지는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명군과 야전을 펼쳤고 승리하였다. 10월 13일, 홍타이지는 조대수에게 항복을 요청하는 서신을 다시 보내었지만 조대수는 대응하지 않았다. 10월 14일, 금주성 밖의 요새 중 하나를 탈환하기 위하여, 홍타이지는 조대수의 부하를 유인하여 성밖으로 나오게 하였다. 그러나 조대수의 공격이 실패하면서 이들은 성안으로 후퇴하였고, 이후에 포위전이 길어지면서 조대수군은 만주군을 공격하지 않았다. 10월 19일, 장춘이 이끄는 명군이 도착하였다. 홍타이지는 동양성의 포병을 이용하여 명군의 전선을 격파하였다. 만주군은 장춘의 군대를 격파하였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장춘은 생포되어 후금에 귀순하였다.[11]
3. 청나라로의 투항과 배신
요동 출신 군인 집안의 조대수는 1628년 영원(현재 싱청 시) 방어전에서 공을 세워 총병관에 발탁되어 금주에 주둔했다. 1630년에는 손승종 등과 함께 영평의 사성을 탈환했으나, 친구 원숭환이 능지형에 처해지자 슬픔과 두려움을 느꼈다.
1631년, 조대수는 대릉하성에서 홍타이지(청 태종)가 이끄는 후금 군에 포위되었다.[5] 후금군의 식량 공격으로 성 안은 극심한 혼란에 빠졌고, 결국 조대수는 항복했다.[6][7] 그러나 조대수는 곧 금주로 도망쳤다.
1642년, 청군은 1년 동안 금주를 포위했고, 홍승주의 원군마저 패배했다. 결국 조대수는 다시 청에 항복했다. 홍타이지는 조대수를 비난하지 않고 총병관에 임명하여 한군 정황기에 소속시켰으며, 후대했지만 중용하지는 않았다.
3. 1. 첫 번째 항복과 금주로의 탈출
양력 11월 5일, 동양성은 홍이포를 이용하여 며칠 동안 맹공을 퍼부은 끝에 대릉하성 인근에서 가장 큰 요새인 우자장대(于子章臺)의 항복을 받아내었다.[5] 곧바로 남은 요새들도 하나 둘 항복하였다. 11월 중순, 후금군의 보급품이 바닥을 보였지만, 대릉하성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었다. 성내에서는 사람들이 식인까지 하기에 이르렀다. 명군과 후금군 사이에서 항복을 둘러싸고 사신들이 오고 갔다. 조대수의 양자 조가법은 후금군 진영에 들어갔다. 후금측에서 명군이 텅 빈 성을 무의미하게 지키고 있는 이유에 대하여 묻자, 조가법은 아민이 영평에서 저지른 학살을 명의 관료들이 모두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대답하였다.[5]사신이 여러 차례 왕래한 후, 홍타이지가 조대수의 가족과 부하들이 살고 있는 금주를 공격할 군대를 즉시 보낼 것을 조건으로, 조대수는 항복 의사를 밝혔다. 이를 통하여 조대수 군사들은 가족과 재회할 수 있었다. 자신의 군대가 새로운 공격을 할 수 있는 조건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던 홍타이지는 대릉하성에서 탈출했다는 명목으로 여전히 금주의 지휘관 지위에 있었던 조대수가 직접 금주로 돌아가는 계획에 동의하였다. 금주성 입성 후, 조대수는 홍타이지에게 성을 넘겨줄 터였다. 이러한 계획이 결정되자, 양력 11월 21일, 조대수 군대는 마침내 대릉하성을 들어 항복하였다.[6]
홍타이지에게 항복한 직후, 조대수는 26명의 하인과 함께 금주로 파견되어 금주성 함락 계획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11월 26일, 금주성에서 조대수는 반란을 일으킬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내용의 서신을 홍타이지에게 보내었다. 이에 대한 홍타이지의 답신에 대한 대답은 없었다. 비록 자신의 여러 아들과 조카가 홍타이지 휘하에 남겨졌지만, 조대수는 다시 금주성 지휘관으로 복귀하였던 것이다. 다음해, 조대수의 아들들은 후금의 중요한 관료가 되었다. 조택윤은 정황기 장군이 되었고, 조가법은 명 원정 계획 수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7]
3. 2. 두 번째 항복과 송금 전투
1636년, 홍타이지는 국호를 청(淸)으로 바꾸고 황제 자리에 올랐다. 조선과 내몽골 일대를 항복시킨 후, 홍타이지는 다시 금주로 눈을 돌렸다. 1639년과 1640년, 청은 금주를 공격하였지만 두 차례 모두 조대수에게 패배하였다. 1641년, 홍타이지는 군대를 파견하여 금주와 송산을 포위하였다. 송산성 지휘관은 홍승주였다. 1642년 3월 18일, 송산성은 함락되었고, 조대수의 사촌형제 조대락, 조대명, 조대성도 이에 따라 청군에 붙잡혔다. 1642년 4월 8일, 긴 포위로 인하여 대릉하성처럼 금주성에서도 식인이 만연하였을 때에, 조대수의 사촌동생 조대락은 조대수의 아들들과 함께 금주성에 보내져 조대수에게 항복을 권유하였다. 홍타이지는 대릉하에서의 첫 항복 이후 배반을 한 조대수를 꾸짖었다. 그럼에도 조대수는 사면되었고 자신의 가족과 함께 청의 신하가 되는 것을 허락받았다. 그의 가족은 항복 이후 많은 공훈을 쌓았다.4. 청나라에서의 생애
청에 항복한 이후, 조대수는 영원성 지휘관이자 조카인 오삼계에게 서신을 작성하여 청으로 귀순할 것을 종용하였다.[5] 1644년, 이자성의 군대가 북경을 함락하고 숭정제가 자살하자, 오삼계는 청에 항복하였다. 오삼계는 산해관의 문을 열었고, 도르곤이 지휘하는 청군이 산해관을 넘어와 북경의 반군을 몰아내었다.[6] 이로 인해 청군은 북경을 점령하였다. 명과 청 사이의 전쟁은 수십 년간 지속되었으나, 결국 명은 멸망하였다.
조대수는 1656년 북경에서 사망하였다. 그는 정황기인으로서 성대한 장례를 치렀다.[7]
5. 무덤과 묘비

1921년, 캐나다 토론토에 있는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 고고학 감독 찰스 트릭 커렐리는 모피상 조지 크로프츠에게서 중국식 인공건축물을 구입하였다. 이 구조물 가운데 가장 화려한 것은 베이징 북쪽 한 마을에서 온 '명의 무덤(Ming Tomb)'이었다. 조대수의 무덤이라는 소문만 있었을 뿐 실체는 밝혀지지 않다가, 90년이 지난 이후 연구를 통하여 무덤이 조대수와 세 아내의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12] 조대수묘는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에서 지정한 '상징물(iconic objects)' 가운데 하나이다.
2013년, 25조각으로 나뉘어진 조대수의 묘비 파편이 고향 흥성(興城)에서 발견되었다. 가장 큰 파편은 200kg 이상이었다. 파편들은 묘비 상반부에 해당하며 81개의 한자가 새겨져 있었다. 묘비는 최소 3m 높이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의 후손은 여전히 이곳에 살고 있다.[9]
6. 평가 및 논란
조대수에 대한 평가나 논란은 원본 소스에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그러나 그의 행적을 통해 몇 가지 평가 및 논란의 여지가 있는 부분을 추론할 수 있다.
- 원숭환과의 관계 및 명나라에 대한 충성심: 조대수는 친구 원숭환이 숭정제의 지시로 능지형에 처해지자 슬픔과 두려움에 떨었다고 한다.[5] 이는 조대수가 원숭환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명나라에 대한 충성심이 강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후 후금에 투항하고, 다시 도망쳐 금주를 지키는 등 복잡한 행보를 보였다.
- 대릉하성 전투와 투항: 1631년 대릉하성 전투에서 후금군에 포위되어 식량 부족과 혼란 속에 결국 투항했다.[6][7] 이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을 수도 있지만, 명나라 입장에서는 배신으로 비춰질 수 있는 부분이다.
- 청나라에 대한 투항: 1642년 금주성 전투에서 다시 청군에 포위되자 항복했다.[8] 홍타이지는 조대수를 비난하지 않고 총병관에 임명했지만, 중용하지는 않았다. 이는 조대수의 능력을 인정하면서도, 명나라 출신이라는 점에서 완전히 신뢰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참조
[1]
뉴스
http://big5.chinanew[...]
2013-08-23
[2]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웹사이트
Toronto Feature: Royal Ontario Museum
https://www.thecanad[...]
The Canadian Encyclopedia
2014-09-26
[5]
서적
明實錄附錄崇禎實錄
[6]
서적
明實錄附錄崇禎實錄
[7]
서적
太宗文皇帝實錄
[8]
서적
朝鮮王朝實錄
[9]
뉴스
http://big5.chinanew[...]
2024-06-04
[10]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웹인용
Toronto Feature: Royal Ontario Museum
https://www.thecanad[...]
The Canadian Encyclopedia
2014-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