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쿨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쿨루스는 건축 용어로, 둥근 형태의 창이나 개구부를 의미한다. 고대 로마 건축에서 로마 판테온 돔의 오쿨루스가 대표적이며, 비잔틴 제국 건축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돔 건설이 활성화되면서 쿠폴라와 채광창 등으로 대체되었으며, 바로크 건축과 신고전주의 건축에서 다시 사용되었다. 오쿨루스는 다양한 건축 양식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빛을 들이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붕 - 시카라
    시카라는 힌두 사원 건축에서 탑 또는 성소 위의 첨탑을 지칭하는 용어로, 라티나, 세카리, 부미자의 세 가지 주요 형태로 나뉘며, 그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고대 메소포타미아 건축과 불교 스투파의 영향을 받아 6세기경부터 다양한 양식으로 발전해왔다.
  • 지붕 - 피뢰침
    피뢰침은 낙뢰로부터 건물이나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낙뢰를 안전하게 접지로 유도하는 장치이며, 벤자민 프랭클린이 널리 알리고 피뢰 시스템의 이해와 적용을 발전시켰다.
  • 창 (건축) - 깨진 유리창 이론
    깨진 유리창 이론은 사소한 무질서가 방치되면 더 큰 범죄로 이어진다는 이론으로, 1982년 제시되었으며, 뉴욕시 치안 정책에 반영되어 범죄율 감소에 기여했으나, 과잉 단속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창 (건축)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 돔 - 성묘교회
    성묘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 매장, 부활이 이루어진 곳으로 여겨지는 예루살렘의 기독교 성지이며, 여러 교파가 공동 관리하고 건축 양식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종교적·역사적 의미가 큰 건축물이다.
  • 돔 - 그리피스 천문대
    그리피스 천문대는 1935년 개관하여 대중에게 천문학을 소개하고 항공 및 우주비행사 훈련에도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로스앤젤레스의 랜드마크로서 대중문화적으로도 인기가 높은 천문대이다.
오쿨루스
개요
정의돔 또는 벽의 중앙에 있는 원형 개구부
어원라틴어 oculus(눈)에서 유래
그리스어ὀπαῖον(opaeon, (연기) 구멍)
건축적 특징
기능빛을 실내로 들임
환기
위치돔의 정상
벽의 상부
형태원형
역사적 맥락
용도고대 로마 건축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건축 양식에서 사용됨
주요 예시
로마 판테온돔 중앙의 오쿨루스 (채광 및 환기 역할)
빌라 알메리코 카프라 (Villa Almerico Capra, 라 로톤다)돔 천장의 오쿨루스
디자인 요소
디자인 목적건축물의 시각적 초점 형성
자연광을 활용한 공간 분위기 조성
문화적 의미
상징성하늘과의 연결
신성함
기타
참고 문헌Geneviève Bresc-Bautier, The Louvre, a Tale of a Palace, 2008, Musée du Louvre Éditions, ISBN 978-2-7572-0177-0, page 122
五十嵐太郎、東北大学五十嵐太郎研究室、市川紘司, 窓から建築を考える, 2014, 彰国社, page 112

2. 역사

오이 드 뵈프(프랑스어: œil-de-bœuf)는 '황소의 눈'이라는 뜻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타원형 창문을 말한다. 영어로는 ''옥스아이 윈도우''(ox-eye window)로 번역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상층부에 위치하며, 때로는 다락방 창처럼 지붕 경사면에 설치되거나 문 위에 설치되어 자연 채광을 들이는 역할을 한다.[3]

이 창문들은 비교적 작으며, 전통적으로 타원형이다. 이 용어는 점점 더 원형 창문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 오쿨루스라고도 할 수 있다), 돔이나 천장의 구멍에는 사용되지 않는다.[3]

바로크 건축에서 흔히 발견되며, 영국 조지 왕조 양식 건물, 북미의 그리스 부흥 건축 및 콜로니얼 부흥 건축 양식에서 발견되는 둥근 창문에도 적용된다. 처음에는 수평 타원형 창문에 적용되었지만, 수직형 창문에도 사용된다.[4]

교회 건축뿐만 아니라, 프리드리히 2세의 성(카스텔 델 몬테, 팔라초 산 제르바시오, 루체라 성의 돈존 등)과 같은 세속 건축물, 르네상스 건축 시대의 궁전과 빌라, 바로크 시대에도 발견된다.

프랑스 샹보르성의 ''oeil-de-boeuf'' 창


리옹 (프랑스)의 "œil de bœuf" 창



2. 1. 고대

고대 로마 건축에서 오쿨루스가 사용되었으며, 가장 훌륭한 예시 중 하나는 로마 판테온 돔에 있는 것이다. 오쿨루스는 날씨에 개방되어 빗물과 공기가 들어와 바닥으로 떨어지도록 하며, 배수구를 통해 흘러나가게 한다. 이 개구부는 작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지름이 8.7m로 건물 내부를 밝게 비춘다.

2. 2. 비잔틴

비잔틴 제국 건축에서 오쿨루스는 널리 사용되었다. 5세기와 6세기에 시리아 건물에 적용되었으며, 10세기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미렐라이온 교회(920년경)에서 다시 사용되었다. 미렐라이온 교회에는 양쪽 측면 파사드의 줄무늬 몰딩 위에 두 개의 오쿨루스가 있다.[5]

2. 3. 르네상스

피렌체 대성당의 네이브 고측창과 아케이드 아치 꼭대기에서 르네상스 건축의 오쿨루스 초기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6]

2. 4. 바로크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부터 돔 건설이 부활하면서, 열린 오쿨루스는 빛을 투과하는 쿠폴라와 다른 둥근 창문, 개구부, 채광창으로 대체되었다. 오쿨루스는 팔라디오의 빌라 로톤다의 페디먼트에서는 볼 수 있지만, 돔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오쿨루스 창의 사용은 바로크 건축에서 더욱 인기를 얻었다.[1] 콜린 캠벨을 포함한 신 팔라디안 건축가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으며, 토머스 제퍼슨의 버지니아 대학교 로툰다 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1]

2. 5. 신고전주의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부터 돔 건설이 부활하면서, 열린 오쿨루스는 빛을 투과하는 쿠폴라와 다른 둥근 창문, 개구부, 채광창으로 대체되었다. 오쿨루스는 팔라디오의 빌라 로톤다의 페디먼트에서는 볼 수 있지만, 돔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오쿨루스 창은 바로크 건축에서 더욱 인기를 얻었다. 콜린 캠벨을 포함한 신 팔라디안 건축가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으며, 토머스 제퍼슨의 버지니아 대학교 로툰다 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1]

3. 건축 양식별 특징

오이 드 뵈프는 다양한 건축 양식에서 각기 다른 특징을 보인다. 바로크 건축에서는 웅장하고 화려한 장식과 함께 사용되었으며, 조지 왕조 양식 건물에서는 둥근 형태로 나타난다. 북미의 그리스 부흥 건축 및 콜로니얼 부흥 건축 양식에서도 사용되었다.

이 창문은 교회 건축뿐만 아니라 프리드리히 2세의 성 (카스텔 델 몬테, 팔라초 산 제르바시오, 루체라 성의 돈존 등)과 같은 세속 건축물, 르네상스 건축 시대의 궁전과 빌라에서도 발견된다.[4]

3. 1. 바로크 건축

바로크 건축에서는 웅장하고 화려한 장식과 함께 오이 드 뵈프가 자주 사용되었다. 오이 드 뵈프는 바로크 건축의 웅장한 건축물에서 흔히 발견되는 유형의 창문이다.[3]

3. 2. 조지 왕조 양식

영국 조지 왕조 시대 건물에서 둥근 형태의 오이 드 뵈프가 나타난다.[2] 이러한 창문은 영국 조지 왕조 양식 건물뿐만 아니라 북미의 그리스 부흥 건축 및 콜로니얼 부흥 건축 양식에서 발견되는 유사한 둥근 창문에도 적용된다.[4]

3. 3. 그리스 부흥 건축 및 콜로니얼 부흥 건축

북미의 그리스 부흥 건축 및 콜로니얼 부흥 건축 양식에서도 오이 드 뵈프가 사용되었다.[4] 이 용어는 처음에는 수평 타원형 창문에 적용되었지만, 수직형 창문에도 사용된다.[4]

3. 4. 기타 양식



오이 드 뵈프는 바로크 건축의 웅장한 건축물에서 흔히 발견된다. 이 창문은 교회 건축에만 국한되지 않고, 프리드리히 2세의 성(카스텔 델 몬테, 팔라초 산 제르바시오, 루체라 성의 돈존 등)과 같은 세속 건축물, 그리고 이후 르네상스 건축 시대의 궁전과 빌라, 바로크 시대에도 발견된다.[4]

영국에서는 조지 왕조 양식으로 지어진 건물, 그리고 나중에 북미의 그리스 부흥 건축 및 콜로니얼 부흥 건축 양식에서 발견되는 유사한 둥근 창문에도 이 용어가 적용된다.[4]

4. 갤러리



참조

[1] 서적 The Louvre, a Tale of a Palace Musée du Louvre Éditions 2008
[2] 웹사이트 Sutton Lodge Day Centre website http://home2.btconne[...]
[3] 웹사이트 Oculus window https://web.archive.[...] 2014-03-27
[4] 서적 Illustrated dictionary of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McGraw-Hill Professional 2001
[5] 서적 Approaches to Byzantine Architecture and Its Decoration: Studies in Honor of Slobodan Ćurčić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013-01-24
[6] 웹사이트 The Cathedral of Santa Maria del Fiore, Florence https://web.archive.[...] 2014-03-27
[7] 웹사이트 Daylighting in two centroidal spaces at the University of Virginia: Case Study, The Rotunda and Caplin Pavilion https://web.archive.[...] 2013-01-24
[8] 문서 イタリア[[ルネサンス]]でドーム建築が復活した際、単なる開口部だったオクルスが採光の機能も兼ねたクーポラ(ドーム頂上の小ドームまたは尖塔)になった。
[9] 서적 窓から建築を考える 彰国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