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 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토 쿰은 독일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친위대에서 복무했다. 1909년 함부르크에서 태어난 그는 활자공으로 일하다가 1934년 친위대에 입대하여 여러 부대를 거치며 지휘관으로 활약했다. 동부전선에서 뛰어난 전공을 세워 기사 철십자 훈장 등을 받았으며, 제1 SS 기갑사단 LSSAH의 사단장을 역임했다. 종전 후 미군에게 포로로 잡혔으나 탈주에 성공했고, 전직 무장친위대원 상호부조협회(HIAG)의 창설을 맡았다. 2004년에 사망했으며, 저서로는 '전진, 프린츠 오이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S여단지도자 - 프리츠 비트
프리츠 비트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SS 소장으로, 제12 SS 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사단장으로 활동하며 폴란드 침공, 프랑스 침공 등 여러 전투에 참전했지만, 노르망디 상륙 작전 중 연합군 포격으로 전사한 독일 군인이다. - SS여단지도자 - 하인츠 하르멜
하인츠 하르멜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 장교로, 여러 전투에 참전하여 훈장을 받았으나 명령 불복종으로 해임되었고, 전후에는 판매 대리점 일을 하다 사망했으며, 그의 경력으로 인해 전쟁 범죄 연루 논란이 있다. - 곡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 프리츠 바이에를라인
프리츠 바이에를라인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독일 군인으로, 하인츠 구데리안과 에르빈 롬멜의 참모로 북아프리카, 동부, 서부 전선에서 활약하며 기갑교도사단장 등을 역임했고 철십자훈장 기사십자장과 떡갈잎 및 검을 수여받았으며, 종전 후에는 전쟁 포로로 수감되었다가 석방되어 군사 관련 저술 활동을 했다. - 곡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 참전한 독일 군인이자 원수로, 프로이센 귀족 출신으로 엘리트 군사 교육을 받고 제1차 세계 대전 참모 장교, 바이마르 공화국 고위직, 나치 시대 주요 전투 지휘관을 역임했으나, 나치 정권과의 관계 및 전쟁 범죄 책임에 대한 논란이 있다. - 무장친위대원 - 귄터 그라스
1999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귄터 그라스는 『양철북』을 비롯한 단치히 삼부작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나치즘의 영향을 다룬 독일의 소설가, 시인, 극작가, 조각가이며, 무장친위대 복무 논란에도 불구하고 나치 과거 청산과 사회 정의를 위해 활동하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 무장친위대원 - 프리츠 비트
프리츠 비트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SS 소장으로, 제12 SS 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사단장으로 활동하며 폴란드 침공, 프랑스 침공 등 여러 전투에 참전했지만, 노르망디 상륙 작전 중 연합군 포격으로 전사한 독일 군인이다.
오토 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09년 10월 1일 |
사망일 | 2004년 3월 23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함부르크 |
사망지 |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오펜부르크 |
군 경력 | |
소속 | 무장친위대 |
복무 기간 | 1934년 – 1945년 |
최종 계급 | 친위대 여단지도자 겸 무장친위대 소장 |
참전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
주요 지휘 | 친위대 제7사단 프린츠 오이겐 친위대 제1사단 라이프슈탄다르테 아돌프 히틀러 |
훈장 | 백엽 검 기사 철십자 훈장 |
기타 정보 | |
이후 활동 | HIAG 창립자 |
2. 생애
1944년 1월 30일 친위대 상급대령이 된 쿰은 프린츠 오이겐 사단의 사단장이 되었다. 쿰의 사단은 발칸반도에서 소련군에게 밀려 헝가리로 후퇴했는데, 1944년 11월 9일 친위대 소장 및 무장친위대 소장으로 임명되었다. 1945년 2월 6일부터 패전까지 제1SS기갑사단 LSSAH의 사단장을 지냈다.
1945년 3월 17일 기사철십자 훈장 백엽검 훈장을 수상한 쿰은 1945년 5월 8일 미군의 포로가 되었다. 전범으로 유고슬라비아에 넘겨질 예정이었지만 탈주하여 전후 인쇄소에서 일했다. 쿰은 후에 전직 무장친위대원 상호부조협회(HIAG)의 창설을 맡기도 했다. 2004년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 및 SS 경력
함부르크의 상인 집안에서 태어난 쿰은 활자공으로 훈련을 받았고, 신문사에서 일했다. 1934년 친위대 특무부대인 게르마니아 연대에 입대해 나치당에 입당 후 친위대에 가입하였다.1935년 7월에 친위대 중위, 1936년 9월에 친위대 대위가 된 쿰은 1936년 12월에 뮌헨에서 도이칠란드 연대에 입대하였다가 1938년 3월에 데어 퓌러 연대에서 중대장이 되었다.
폴란드 침공과 1940년의 프랑스 침공에 종군한 쿰은 유능한 중대장으로 활약했는데, 1940년 10월에 소령으로 진급한 후 1941년 6월부터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동부전선으로 이동하여 1941년 7월에 데어 퓌러 연대장이 되었다. 동부전선에서 공을 세워 1941년 10월에 친위대 중령으로 승진한 쿰은 1941년 11월 29일에 독일 십자 훈장 금장을 받고 1942년엔 기사 철십자 훈장을 받았다. 1943년 4월 6일에 기사 철십자 훈장 백엽 훈장을 받은 쿰은 대령으로 승진 후 1943년 여름부터 제5 SS 산악사단의 참모장으로 일한 후 제7 SS 산악사단으로 이동해 빨치산 토벌작전에 참가했다. 이 사단은 학살로 유명했는데 쿰도 이 학살에 관여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1934년 쿰은 친위대 특무부대인 게르마니아 연대에 입대해 나치당에 입당, 친위대에 가입하였다. 1935년 7월 친위대 중위, 1936년 9월 친위대 대위가 된 쿰은 1936년 12월 뮌헨에서 도이칠란드 연대로 이동하였다가 1938년 3월 데어 퓌러 연대에서 중대장이 되었다.폴란드 침공과 1940년 프랑스 침공에 종군한 쿰은 유능한 중대장으로 활약, 1940년 10월 소령으로 진급한 후 1941년 6월부터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동부전선으로 이동하여 1941년 7월 데어 퓰러 연대장이 되었다. 동부전선에서 전공으로 1941년 10월 친위대 중령으로 승진, 1941년 11월 29일 독일 철십자 훈장을 받고 1942년 기사 철십자장을 받았다. 1943년 4월 6일 기사 철십자장 백엽훈장을 받은 쿰은 대령으로 승진, 1943년 여름부터 제5 SS 산악사단의 참모장으로 일한 후 제7 SS 산악사단으로 이동해 빨치산 토벌작전에 참가했다. 이 사단은 학살로 유명했는데 쿰도 이 학살에 깊이 관여했다.
1944년 1월 30일 친위대 상급대령이 된 쿰은 프린츠 오이겐 사단의 사단장이 되었다. 쿰의 사단은 발칸반도에서 소련군에게 밀려 헝가리로 후퇴했는데 1944년 11월 9일 친위대 소장 및 무장친위대 소장으로 임명, 1945년 2월 6일부터 패전까지 제1 SS기갑사단 LSSAH의 사단장을 지냈다.
1945년 3월 17일 기사철십자 훈장 백엽장 검장을 수상한 쿰은 1945년 5월 8일 미군의 포로가 되었다. 전범으로 유고슬라비아에 넘겨질 예정이었지만 쿰은 그 전에 탈주하여 전후 인쇄소에서 일했다.
2. 3. 전후 활동
1945년 5월 8일 미군의 포로가 된 쿰은 전범으로 유고슬라비아에 넘겨질 예정이었지만 그 전에 탈주하여 전후 인쇄소에서 일했다. 쿰은 후에 전직 무장친위대원 상호부조협회(HIAG)의 창설을 맡기도 했다.전쟁 후 오토 쿰은 "탈나치화"되었고 사업가가 되었다. 쿰은 1951년에 설립된 무장 친위대 재향군인 단체인 HIAG의 창립자이자 초대 대표였으며, 무장 친위대의 역사적 재활과 전후 연금 권리 회복을 위한 로비를 펼쳤다. 단체 회장 겸 초대 대변인으로서 쿰은 출판물과 대중 담론에 반영된 수사법의 기조를 설정했다. 1952년, 오토 쿰은 사내 잡지 ''비킹-루프''("바이킹의 부름")에 단체의 불만을 요약한 사설을 게재했다.
> 전쟁 중에도, 특히 전쟁 후에도 악명 높고 거짓된 선전가들은 제3제국 및 친위대(SS)와 관련된 모든 불행한 사건들을 이용하여 우리에게 신성한 모든 것을 파괴하고 짓밟을 수 있었다. [...] 분명히 하자면, [연합군의] 전투는 제3제국의 권위주의 정권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독일 국민의 힘의 부활을 겨냥한 것이었다.
연구원 대니 S. 파커는 이전에 폐쇄되었던 HIAG 기록 보관소에 접근할 수 있었는데, 쿰은 적어도 1970년대까지 "끊임없이 개혁되지 않은 나치 열광자"로 남아 있었다. 서독 정부는 HIAG를 나치 단체로 인식하여 1992년에 해산했다. 쿰은 2004년 3월 23일에 사망했다.
3. 훈장
훈장 종류 | 수여 날짜 | 직책 (수여 당시 계급) |
---|---|---|
철십자 훈장 2급 | 1940년 5월 30일 | |
철십자 훈장 1급 | 1940년 6월 3일 | |
독일 십자 훈장 금장 | 1941년 11월 29일 | SS 연대 "데어 퓌러" 소속 친위대 중령 |
기사철십자 훈장 | 1942년 2월 16일 | SS 보병 연대 (자동차화) "데어 퓌러" 연대장, 친위대 중령 |
참나무 잎 부착 기사철십자 훈장 | 1943년 4월 6일 | SS 장갑척탄병 연대 "데어 퓌러" 연대장, 친위대 중령 (221번째 수훈) |
검 부착 기사철십자 훈장 | 1945년 3월 17일 | 제7SS 의용 산악 사단 "프린츠 오이겐" 사령관, 친위대 소장 및 무장친위대 소장 (138번째 수훈) |
부상장 흑장 | ||
보병돌격장 은장 | ||
국방군 군보 언급 | 1944년 6월 6일, 1944년 10월 10일 | (2회 언급) |
4. 저작
- Vorwärts, Prinz Eugen! Geschichte der 7. SS-Freiwilligen-Division "Prinz Eugen"|전진, 프린츠 오이겐! 제7 SS 의용 산악 사단 "프린츠 오이겐"의 역사de (2007), 독일 드레스덴: Winkelried Verlag|빈켈리드 출판사de.
- 7. SS-Gebirgs-Division "Prinz Eugen" im Bild|행동하는 제7 SS 산악 사단 프린츠 오이겐de (1983), 독일 오스나브뤼크: Munin Verlag|무닌 출판사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