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필리아 (위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필리아는 1986년 보이저 2호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발견된 천왕성의 위성이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햄릿』에 등장하는 오필리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S/1986 U 8이라는 가칭과 Uranus VII라는 확정 번호를 부여받았다. 궤도 긴반경은 약 21km이며, 천왕성의 ε 고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양치기 위성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왕성의 위성 - 오베론 (위성)
1787년 윌리엄 허셜이 발견한 천왕성의 가장 바깥쪽 위성인 오베론은, 충돌구와 협곡으로 뒤덮인 표면을 가진 천왕성 위성 중 가장 오래된 표면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며, 보이저 2호가 촬영한 사진 자료가 유일하다. - 천왕성의 위성 - 미란다 (위성)
미란다는 1948년 제러드 카이퍼가 발견한 천왕성의 위성으로, 셰익스피어의 작품 등장인물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독특한 지형과 과거 지질 활동의 흔적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 1986년 발견한 천체 - 벨린다 (위성)
인용은 저작권 보호와 표절 방지를 위해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나 저작물을 자신의 글에 가져다 쓰는 행위로, 정보 출처를 밝혀 신뢰성을 높이고 학문적 논쟁 참여와 협력에 기여하며, 한국 학계에서는 인용 문화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1986년 발견한 천체 - 크레시다 (위성)
1986년 보이저 2호에 의해 발견된 크레시다는 셰익스피어 희곡 등장인물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η환과의 궤도 공명, 어두운 표면, 그리고 데스데모나와의 충돌 가능성을 지닌 천왕성의 위성이다.
오필리아 (위성) | |
---|---|
개요 | |
![]() | |
명칭 | 오필리아 |
영어 명칭 | Ophelia |
MPC 명칭 | Uranus VII |
형용사 | 오필리아의 (Ophelian) |
발견 | |
발견자 | 리처드 J. 테릴 / 보이저 2호 |
발견일 | 1986년 1월 20일 |
궤도 특성 | |
반장축 | 53,763.390 ± 0.847 km |
궤도 이심률 | 0.00992 ± 0.000107 |
공전 주기 | 0.37640039 ± 0.00000357일 |
평균 공전 속도 | 10.39 km/s |
궤도 경사 | 0.10362 ± 0.055° (천왕성 적도 기준) |
위성 | 천왕성 |
군 | 링 셰퍼드 |
물리적 특성 | |
크기 | 54 × 38 × 38 km |
표면적 | ~5900 km2 |
부피 | 40800 ± 50.4 km3 |
질량 | 3.57 ± 0.32 × 1016 kg |
밀도 | 0.87 +0.89/-0.30 g/cm3 |
표면 중력 | ~0.0000357 m/s2 |
탈출 속도 | ~0.019 km/s |
자전 | 동기 자전 |
자전축 기울기 | 0 |
반사율 | 0.065 ± 0.01 |
단일 온도 | ~65 K |
2. 발견과 명명
오필리아는 1986년 1월 20일 보이저 2호가 촬영한 이미지 중에서 보이저의 이미지 분석 팀에 의해 발견되었다. 같은 해 1월 27일 국제 천문 연맹의 서큘러를 통해 발견이 공표되었고, '''S/1986 U 8'''이라는 가칭이 주어졌다. 이후 1988년 6월 8일,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햄릿에 등장하는 폴로니어스의 딸 오필리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Uranus VII'''라는 확정 번호도 부여받았다.
오필리아는 궤도 긴반경이 약 21 km이고, 기하 알베도는 0.08이다. 보이저 2호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오필리아는 장축이 천왕성을 향한 길쭉한 물체로 나타났다. 오필리아의 장축과 단축의 비율은 0.7 ± 0.3으로 매우 가늘고 긴 형태를 하고 있다.
오필리아는 천왕성의 동기 궤도보다 안쪽을 공전하고 있어, 조석력에 의해 궤도가 점차 감쇠하고 있다.
[1]
서적
The Century Dictionary and Cyclopedia
3. 물리적 특징
4. 궤도 및 고리와의 관계
오필리아와 코델리아는 천왕성의 ε 고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양치기 위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ε 고리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오필리아와 14:13 궤도 공명 위치에 있다.
참조
[2]
OED
Ophelian
[3]
논문
The Orbits of the Inner Uranian Satellites From Hubble Space Telescope and Voyager 2 Observations
[4]
논문
Voyager's Eleventh Discovery of a Satellite of Uranus and Photometry and the First Size Measurements of Nine Satellites
[5]
웹사이트
Uranian Satellite Fact Sheet
http://nssdc.gsfc.na[...]
NASA
2007-11-23
[6]
논문
Comprehensive Photometry of the Rings and 16 Satellites of Uranus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7]
논문
Satellites and Rings of Uranus
http://www.cbat.eps.[...]
1986-01-27
[8]
논문
Satellites of Uranus
http://www.cbat.eps.[...]
2003-09-03
[9]
웹사이트
Planet and Satellite Names and Discoverers
http://planetaryname[...]
USGS Astrogeology
2006-08-06
[10]
논문
Planetary rings
[11]
논문
The Uranus system from occultation observations (1977–2006): Rings, pole direction, gravity field, and masses of Cressida, Cordelia, and Ophelia
https://www.scienced[...]
2024-03-15
[12]
웹사이트
衛星日本語表記索引
http://planetary.jp/[...]
日本惑星協会
2019-03-09
[13]
웹사이트
太陽系内の衛星表
https://www.kahaku.g[...]
国立科学博物館
2019-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