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항동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항동맹은 앵글로-색슨 시대에 기원한 잉글랜드 남동부 해안의 항구 연합체이다. 국왕에게 선박을 제공하는 대가로 특권을 받았으며, 영국의 해군 발전에 기여했다. 초기에는 헤이스팅스, 뉴로머니, 하이쓰, 도버, 샌드위치 등 5개 항구로 시작해 두 개의 고대 도시와 여러 지부를 추가하여 세븐 항구 연맹으로 확장되었다. 이들은 자체적인 회의 시스템과 법정을 운영하며 자치권을 누렸으나, 해안 변화, 역병, 정치적 요인 등으로 인해 쇠퇴했다. 현재는 텐터덴, 리드, 폴크스톤, 페버샴, 마게이트, 딜, 램스게이트 등이 연맹의 구성원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항동맹 - 도버
    도버는 영국 남동부 해안에 위치한 천 년 이상 중요한 항구 도시이며, 로마 시대부터 중요한 요새 항구로 발전하여 영국 해협을 건너 유럽 대륙으로 향하는 관문 역할을 해왔고, 현재도 다양한 문화 유적과 스포츠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 오항동맹 - 헤이스팅스 (이스트서식스주)
    헤이스팅스는 잉글랜드 이스트 서식스주에 있는 해안 도시로, 헤이스팅스 전투가 벌어진 유서 깊은 곳이며, 어업, 관광, 서비스업이 주요 산업이고 역사적인 건축물과 다양한 문화 행사로 관광객을 유치한다.
  • 영국의 항구 도시 - 에든버러
    에든버러는 스코틀랜드의 수도로서 역사 유적과 문화 행사로 유명하며, 구시가지와 신시가지,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 금융·관광·교육 산업, 에든버러 대학교, 스코틀랜드 국립 박물관, 독특한 지형과 해양성 기후가 특징이다.
  • 영국의 항구 도시 - 글래스고
    글래스고는 스코틀랜드 서부의 클라이드 강 유역에 위치한 도시로, 기독교 중심지로 성장하여 산업 혁명 시대에 면직물, 해운, 조선업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스코틀랜드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자랑한다.
오항동맹
지도
개요
유형역사적 읍락 동맹
위치잉글랜드 남동부 해안
중심지샌드위치
롬니
히더
도버
헤이스팅스
관련 위치라이
윈첼시
새포트

포드위치
올드 롬니
역사
형성11세기 이전
해체1986년 (공식적으로)
목적연안 방어, 무역 특권
주요 활동해상 봉사
무역
어업
구성
주요 항구헤이스팅스
롬니
히더
도버
샌드위치
고대 도시라이
윈첼시
부속 항구새포트 (헤이스팅스 소속)
포드위치 (샌드위치 소속)
딜 (샌드위치 소속)
올드 롬니 (롬니 소속)
특징
주요 특권자치권
세금 면제
특정 무역 권리
주요 의무왕에게 선박과 선원을 제공
추가 정보
현재 상태명목상 존재, 의례적 기능 유지

2. 기원 및 역사

오항동맹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앵글로-색슨 시대 말기, 특히 참회왕 에드워드 (1042–1066)의 통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2]

2. 1. 중세 시대

앵글로-색슨 시대 말기, 특히 참회왕 에드워드 (1042–1066)의 통치 시기에 오항동맹의 기원을 추정한다.[2] 특정 남동부 항구는 배를 제공하는 대가로 재판에서 나오는 지역 이익을 얻었다.[3] 둠즈데이 북 (1086)에는 로마니, 도버, 샌드위치의 선박 서비스가 기록되어 있다. 1135년경 오항동맹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1155년 왕실 칙허장에 따라 필요시 국왕을 위해 선박을 유지하도록 항구를 지정했다. 1260년에는 항구에 공통으로 자유를 부여하는 최초의 일반 칙허장이 발행되었다. 이들의 자유는 1297년 마그나 카르타 (9항)에도 언급되어 있다.[4] 항구에 부과된 주요 의무는 기업적 의무로서 매년 국왕에게 15일 동안 57척의 배를 제공하는 것이었으며, 각 항구는 전체 의무의 비율을 이행했다.

특권을 부여하고 여러 세기에 걸쳐 이를 유지하고 확장한 배경에는 왕실이 전쟁 시에 인력과 선박을 보장받아야 할 필요성이 있었으며, 오항동맹이 영국 해군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5][6] N. A. M. 로저는 이 협정이 진정으로 효과적인 해군 제공을 목표로 했는지 의문을 제기하며, 오항동맹이 다른 비슷한 규모의 잉글랜드 항구보다 해상에서 영국 전력에 크게 기여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그는 오히려 에드워드 참회왕이 해협 횡단 교통 통제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던 문제의 소지가 있는 항구 집단의 충성을 구매할 필요성 때문에 최초의 특권을 부여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3세기와 14세기에 이 항구들은 왕국의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그 이후 중요성은 감소했다.

3. 구성

오항동맹은 중세 시대 잉글랜드 남동부 해안의 항구 도시 연합체이다. 11세기경 헤이스팅스, 뉴로머니, 하이스, 도버, 샌드위치의 다섯 항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이후 윈첼시와 라이가 '고대 도시(Antient Towns)'로 합류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도시와 항구가 '지부(Limbs)' 또는 '회원(Members)'으로 추가되어 연맹이 확장되었다. 이들은 법인 지부와 비법인 지부로 나뉘었다. 법인 지부는 왕실 칙허장을 통해 자치권을 얻었고, 비법인 지부는 모항에 더 의존했다. 해안 변화 등의 이유로 일부 구성원은 사라지거나 규모가 축소되기도 했다.

3. 1. 초기 구성

원래의 다섯 개 항구는 다음과 같았다.

중세 문서에서 헤이스팅스는 때때로 항구들 중에서 우선순위를 부여받는 것으로 나타난다(예: 1155년 헨리 2세가 라이와 윈첼시에 부여한 헌장에서는 "헤이스팅스 남작과 친퀘 포르"에 대해 언급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은 아마도 단순히 지리적 편의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며, 항구는 관례적으로 서쪽에서 동쪽 순으로 나열되었다.[1]

3. 2. 고대 도시 (Ancient Towns)

1190년까지 두 개의 마을이 오항동맹에 합류했는데, 원래는 헤이스팅스가 선박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들은 번영했고, 14세기에는 최초의 다섯 개 항구와 동일한 "본항" 지위를 인정받았다. 그러나 "Cinque Ports"의 문자적 의미에 경의를 표하여, 이 두 추가 구성원은 항상 "고대 마을"(종종 "Antient Towns"로 표기)이라는 명칭으로 구별되었다. 따라서 동맹은 때때로 "다섯 칭크 포트와 두 고대 마을"이라고 불린다. 고대 마을은 다음과 같다.

  • 윈첼시
  • 라이

3. 3. 지부 (Limbs)

오항동맹은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도시와 항구를 "지부" 또는 "회원"으로 추가하여 연맹을 확장했다. 이들은 선박 운항 부담과 연맹의 특권을 공유했다.[7] 지부는 왕실 칙허장으로 지위가 확립되고 상당한 자치권을 누린 "법인 지부"와, 모항에 더 의존하고 통제받는 "비법인 지부"로 구분되었다.[7] 는 제거되었다.

3. 3. 1. 법인 지부 (Corporate limbs)

페번시 (헤이스팅스의 지체)[1][2]

시포드 (헤이스팅스의 지체)[1][2]

텐터덴 (라이의 지체)[1][2]

리드 (뉴 로머니의 지체)[1][2]

폴크스톤 (도버의 지체)[1][2]

페버샴 (도버의 지체)[1][2]

포드위치 (샌드위치의 지체)[1][2]

딜 (샌드위치의 지체, 원래는 법인이 아닌 지체였으나 1699년에 법인으로 편입)[1][2]

3. 3. 2. 비법인 지부 (Non-corporate limbs)

비법인 지부는 여러 날짜에 걸쳐 다음과 같은 곳을 포함했다.[8][7]

지부상세
헤이스팅스 지부그레인지(현재 길링엄의 일부), 베크스본, 불버하이드, 노세이 (서식스에 있던 옛 마을[9]), 이스트본, 하이드니(현재 햄프던 파크, 이스트본의 일부), 폽샴(불버하이드와 벡스힐온시 사이의 작은 마을[당시에는 벡스힐]), 페티 이함(윈첼시 근처의 정착지)
뉴 로마니 지부올드 로마니, 브롬힐(윈첼시 근처), 덴제마시, 오르왈드스톤
하이쓰 지부웨스트 하이쓰[10]
도버 지부마게이트, 세인트 존스(마게이트의 일부), 고어센드(현재 버싱턴), 버싱턴 우드(현재 우드처치), 세인트 피터스, 링우드, 킹스다운
샌드위치 지부레큘버, 사르, 월머, 스토너(리치보로 근처), 램스게이트, 브라이틀링시 (에식스에 위치)[11]


3. 3. 3. 현재 구성원

다음은 현재 오항 동맹의 구성원이다:[8]

  • 텐터덴 (라이의 구성원)
  • 리드 (뉴 로메니의 구성원)
  • 폴크스톤 (도버의 구성원)
  • 페버샴 (도버의 구성원)
  • 마게이트 (도버의 구성원)
  • 딜 (샌드위치의 구성원)
  • 람스게이트 (샌드위치의 구성원)

4. 특권

오항 동맹은 선박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가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특권을 받았다.[1]


  • 과세 및 공세 면제
  • 사크 앤 소크의 권리 (자유구역 내 형사 및 민사 사건에 대한 사법권)
  • 통행세와 재판의 권리 (자유구역 내 가축 및 기타 재산의 판매 또는 통과에 대한 권한)
  • 피의 보상 및 도주죄의 권리 (피를 흘린 자와 정의를 피해 도주하려다 붙잡힌 자를 처벌할 권한)
  • 가두 및 오리 의자의 권리 (비행자를 처벌할 권한)
  • 인방시프와 아웃방시프의 권리 (도둑 또는 기타 흉악범을 투옥하거나 처형할 권한)
  • 문드브라이스 권리 (바다를 방어하기 위해 둑 또는 제방을 설치하기 위해 사유지에 들어갈 권리)
  • 미아 및 유기물의 권리 (주인이 없는 재산과 길 잃은 동물을 사용할 권리)
  • 표류물, 투하물, 인양물 및 유실물의 권리 (난파된 선박의 잔해와 화물을 사용할 권리)


이는 사실상 자치, 사법권, 재정적 이점을 부여받았음을 의미한다.[2] 여러 면에서 이 연합은 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것으로 여겨졌다.[3][4]

5. 제도

오항동맹의 영주는 도버 성의 도버 성 치안 판사 직책과 영구적으로 결합되었으며,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현재는 명예직으로 월머 성에 공식 관저가 있다.[1]

오항동맹은 자체적인 회의 시스템과 공동 법정을 가지고 있었다.


  • 셰프웨이 법정 (Court of Shepway)
  • 브로드헐 (Brotherhood)
  • 게스트링 (Guestling)
  • 남작 (Barons)

5. 1. 셰프웨이 법정 (Court of Shepway)

오항동맹 항구민들은 어부였으며, 매년 청어를 잡기 위해 노퍽 해안으로 가서 야머스에서 열리는 청어 축제를 규제하는 데 관여했다. 이는 개별 항구들이 연합하여 협력하게 된 주요 동기였을 것이다. 오항동맹은 자체적인 회의 시스템과 공동 법정을 가지고 있었는데, 셰프웨이 법정은 그중 하나였다.

셰프웨이 법정은 12세기 후반에 처음 언급되었다. 왕실의 지역 재판소(실질적으로 순회 재판소와 동일)로, 왕실 관리자가 주재했으며 연합을 중앙 정부에 연결했다. 여러 연합 회원들의 관리들이 소환되는 림프네 근처의 셰프웨이 크로스에서 열렸다. 법정은 불규칙한 간격으로 열렸고, 15세기 동안 서서히 쇠퇴한 것으로 보인다. 17세기 초에는 실제로 기능을 멈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목상으로 계속 존재했는데, 오항동맹의 영주가 임명되는 특별 회의가 바로 이 법정에서 열렸기 때문이다. 헨리 브룩, 코밤 경이 영주로 임명되기 위해 소환된 1598년 법정은 그의 베크스번 영지에서 열렸고, 17세기 후반에는 법정이 도버로 이전되었다. 원래 회의 장소의 대략적인 위치는 현재 1923년에 세워진 전쟁 기념비로 표시되어 있으며, 셰프웨이 크로스로도 알려져 있다.[1]

5. 2. 브로드헐 (Brotherhood)

오항동맹의 많은 항구민들은 어부였으며, 청어를 잡기 위해 매년 노퍽 해안으로 항해하여 야레강 어귀의 모래톱에 "den and strand"의 권리를 주장했다. 그곳의 정착지는 점차 야머스 타운으로 발전했다. 따라서 항구들은 매년 가을 야머스에서 열리는 청어 축제의 규제에 밀접하게 관여하게 되었고, 이는 아마도 개별 항구들이 연합하여 집단적으로 협력하게 된 주요 동기였을 것이다.

이 연합은 자체적인 회의 시스템과 공동 법정을 가지고 있었는데, '''브로드헐'''은 다섯 개의 주요 항구와 두 개의 고대 도시의 대표자들이 모이는 일반 회의였다. "브로드헐"은 원래 지명이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아마도 딤처치 근처의 원래 회의 장소였을 것이다. 이 회의는 그 후 딤처치에서 열렸지만, 1357년 이후에는 뉴 로머니에서 정기적으로 열리게 되었다. 브로드헐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야머스 축제를 감독하고 이를 관리할 집행관을 임명하는 것이었다. 1432년까지는 연 2회 정기적으로 열렸다. 회의는 의회 방식을 따랐고 "의장"이 주재했다. 의장직은 매년 5월 21일에 변경되었고, 임명 권한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지리적 순서에 따라 항구에서 항구로 이동했다. 15세기와 16세기에는 "브로드헐"이라는 이름이 점차 잘못된 어원으로 인해 "브라더후드"로 변질되었고, 중세 이후 시대에는 이 법정이 '''브라더후드'''로 더 일반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663년 야머스 서비스가 무기한 중단된 이후 브라더후드는 쇠퇴했다. 1866년 이후부터는 브라더후드 법정과 게스트링 법정이 합동으로 열리고 있다.

5. 3. 게스트링 (Guestling)

오항동맹의 많은 항구민들은 어부였으며, 청어를 잡기 위해 매년 노퍽 해안으로 항해하여 야레강 어귀의 모래톱에 "den and strand"의 권리를 주장했다. 그곳의 정착지는 점차 야머스 타운으로 발전했다. 항구들은 매년 가을 야머스에서 열리는 청어 축제의 규제에 관여하게 되었고, 이는 개별 항구들이 연합하여 협력하게 된 주요 동기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합은 자체적인 회의 시스템과 공동 법정을 가지고 있었다. 그 중 '''게스트링'''은 서부 항구(헤이스팅스, 윈첼시, 라이, 그리고 아마도 그 부속 도시들)의 지역 회의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게스트링이라는 이름은 원래 회의 장소였을 수 있는 윈첼시에서 몇 마일 서쪽에 있는 마을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16세기 동안에는 모든 주요 항구, 고대 도시 및 법인 부속 도시들의 보다 일반적인 회의로 발전하여, 일반적으로 매년 열리고 종종 브라더후드와 함께 열렸다. 브라더후드보다 더 많은 항구 그룹을 대표했기 때문에, 결국 최고의 회의가 되었다. 그러나 1663년 야머스 서비스가 무기한 중단되었고, 그 이후 브라더후드와 게스트링 모두 쇠퇴했다. 두 법정은 명목상으로 계속 존재하지만, 1866년 이후부터는 합동으로 열리고 있다.[4]

5. 4. 남작 (Barons)





"포트맨"이라고 불리는 모든 항만의 자유민들은 봉건제 시대에 남작으로 간주되었으며, 왕의 의회에 참석할 자격이 있는 남작계급의 일원이었다. 이는 1322년 아버지와 휴 데스펜서 주니어인 데스펜서들을 지지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주어진 특권이었다.[12] "친크 포트 남작"이라고 불린 이들은 바다에서 군사적 복무가 토지 보유권을 구성한다는 초기 개념을 반영하여 per baroniamla으로 그들을 ''준'' 잉글랜드 봉건 남작으로 만들었다. 14세기 초의 논문인 ''Modus Tenendi Parliamentum''은 친크 포트 남작이 세속의 고위 귀족(영주) 아래, 자치구의 대표(셔 기사 및 자치구 대표) 위에 위치한다고 명시했다.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2세의 폐위 동안, 연대기 작가들은 폐위 사절단에 남작들이 참석했다는 점을 특별히 언급했다. ("praecipue de portubus ... barones des Portez"("특히 [친크] 포트 ... 포트의 남작들").[13] 의회에 소환하는 소환장은 감찰관에게 보내졌고, 그 후 친크 포트 선거구의 대표 남작들이 의회에 참석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감찰관의 의무는 셔리프가 셔의 남작들에게 배포하기 위한 소환장을 받는 것과 유사했다. 개별 항만의 남작들의 공동(즉, 공동체) 문장의 존재는 그들이 하나의 몸으로서 그들을 구속하는 헌장과 법적 문서에 부착되도록 설계된 문장과 같은 법인을 형성했음을 시사한다.[14] 이는 의심할 여지 없이 그들의 독점으로서의 특권과 관련이 있었다. 감찰관과 남작들은 종종 관할권 충돌을 경험했다.

21세기에는 "친크 포트 남작"이라는 칭호는 현재 영국 군주의 대관식에 참석하기 위해 항만의 시장, 배심원, 일반 의회에서 선출된 자유민에게만 부여되며, 이는 순전히 명예적인 성격이다. "아득한 옛날부터" 남작들은 웨스트민스터 홀과 웨스트민스터 사원 사이의 도보 행진 동안 군주 위에 캐노피를 들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 이 행진은 1821년 조지 4세의 대관식 이후 중단되었지만, 1902년 에드워드 7세의 대관식을 위해 남작들은 새로운 역할을 찾았다. 그들은 사원 내부에서 성가대까지 행진하여 군주의 왕국의 깃발을 받았다. 이는 20세기의 모든 대관식에서 반복된 역할이다.[15] 2023년 찰스 3세와 카밀라의 대관식에서 14명의 남작이 사원에서 회중과 합류하여 원래의 다섯 항구, 두 개의 고대 도시, 일곱 개의 지부를 대표했다.[16]

6. 문장 (Heraldry)

라이의 스트랜드 게이트에 있는 친퀘 포츠 문장


연맹의 전통적인 문장은 세로로 나뉜 분할된 문장이다. 오른쪽(보는 사람의 왼쪽)에는 빨간색 바탕에 금색 반 사자 통과 세 마리가 그려져 있고, 왼쪽(보는 사람의 오른쪽)에는 파란색 바탕에 금색 반 선체 세 개가 그려져 있다. 이 문장은 문장 깃발로도 사용되며, 친퀘 포츠 영주의 깃발의 기초를 형성한다. 이 문장의 사용에 대한 가장 확실한 증거는 1305년에 제작된 도버의 공용 봉인에서 찾을 수 있지만, 이보다 몇 년 앞선 해스팅스의 공용 봉인에서도 나타난다. 이는 1297년에 처음 도입된 것으로 여겨진다.[20]

이 문장이 문장 축소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다는 추측이 오랫동안 있었다. 즉, 잉글랜드 왕실 문장의 절반(세 마리의 사자)과 세 척의 배를 묘사한 신원 미상의 문장의 절반을 결합했다는 것이다.[20] 그러나 이 문장의 가장 초기의 표현(모두 봉인에 있음)에서는 바탕의 세로 분할이 나타나지 않아, 원래는 단색이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왕실 문장을 암시하는 동시에 친퀘 포츠의 문장은 세 개의 반 사자-반 배를 묘사하는 디자인으로 처음부터 고안되었고, 아마도 빨간색 바탕에 있었으며, 아마도 14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야 바탕이 두 가지 색상으로 분할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

역사적으로 세 척의 배가 금색("''금색''") 또는 은색("''은색''")으로 묘사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혼란이 있었다. 두 변형 모두 중세 후기부터 19세기까지 권위 있는 문장학 자료에서 발견된다. 현대적 합의는 연맹 문장에서 금색으로 묘사하는 것이지만, 개별 회원 항구가 사용하는 일부 파생 문장에서는 은색 배가 나타난다.

친퀘 포츠 지역 깃발, 2017년 등록


전통적인 문장과 깃발은 연맹 자체의 대표자 또는 회원 항구의 지방 자치 단체에서만 공식적으로 합법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2017년 친퀘 포츠 당국은 영국 깃발 등록소에 파란색 바탕에 금색 선체 세 개가 있는 깃발을 "지역" 또는 "지역 사회" 깃발로 등록하여 친퀘 포츠와 동일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게양할 수 있도록 했다.[21]

여러 회원 항구에는 자체 문장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연맹 문장의 수정되거나 파생된 버전이다.

항구문장 설명
샌드위치연맹의 문장과 동일하지만, 세 척의 배의 선체는 은색이다.
해스팅스중앙의 반 사자-반 배를 완전한 사자로 대체하고, 두 척의 배의 선체는 은색으로 하는 변형 문장을 사용한다.
머리에 영주의 "해군 제독의 노"가 나타나는 것으로 구별되는 연맹 문장의 버전을 사용한다.
뉴 로메니파란색 바탕에 금색 사자 세 마리를 사용한다.



다른 항구들은 연맹 문장의 요소를 통합하거나 암시하는 문장을 사용한다. 연맹의 회원은 아니었지만 청어 어업과 박람회를 통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던 그레이트 야머스는 세 개의 반 배를 세 개의 물고기 꼬리로 대체하는 변형 문장을 사용한다.

7. 쇠퇴

데인족과 프랑스의 침략에서 살아남았지만, 역병의 파괴적인 영향, 13세기 플랜태저넷 왕가의 정치, 그리고 그 이후의 장미 전쟁은 자연적인 요인(항구의 매립, 해안의 후퇴 등)과 더불어 오항동맹 연합의 쇠퇴를 심화시키는 데 기여했다.[17] 사우샘프턴의 부상과 오항의 21명의 인력으로는 운용할 수 없는 더 큰 선박의 필요성 또한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14세기에는 연합이 국왕과 의회에서 국가 정체성이 더욱 강화되면서 더 큰 도전에 직면했지만, 앵글로색슨족의 권위는 여전히 남아있었다. 15세기 이후에도, 고대 마을들은 운송 선박 공급에 계속 기여했다.

15세기 동안, 한때 로더 강 어귀에서 매우 중요한 항구였던 뉴 로머니(1287년 2월 잉글랜드 남부 홍수로 모래가 이동하면서 완전히 막히기 전까지)는 연합의 중심 항구로 여겨졌으며, 솁웨이 및 브로드헐 법원의 집회 장소였다.

헤이스팅스는 13세기에 바다에 의해 상당 부분이 유실되었다. 1339년과 1377년의 해군 작전 동안 이 도시는 프랑스에 의해 약탈당하고 불탔으며, 주요 항구로서의 지위를 잃고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헤이스팅스는 자연적인 방파제가 없었다. 엘리자베스 1세 통치 기간 동안 석조 항구를 건설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폭풍으로 인해 기초가 파괴되었다.

뉴 로머니는 현재 해안에서 약 1.6km 떨어져 있다. 원래 로더 강 어귀에 있는 항구 도시였다. 로더 강어귀는 얕은 수로와 모래톱이 많아 항상 항해가 어려웠다. 13세기 후반에 일련의 심한 폭풍이 로머니 습지의 해안 방어를 약화시켰고, 1287년 2월 잉글랜드 남부 홍수로 마을이 거의 파괴되었다. 항구와 마을은 모래, 실트, 진흙 및 잔해로 채워졌고, 로더 강은 진로를 바꿔서 현재 서식스 주 라이 근처에서 바다로 흘러간다. 뉴 로머니는 항구로서의 기능을 잃었다.

하이드는 여전히 해안에 위치해 있다. 그러나 넓은 만 옆에 있지만, 수 세기 동안의 매립으로 인해 자연 항구가 사라졌다.

도버는 여전히 주요 항구이다.

샌드위치는 현재 바다에서 3km 떨어져 있으며 더 이상 항구가 아니다.

템스 강 어귀에서 헤이스팅스와 와이트 섬에 이르는 남동 해안을 따라 진행되는 해안선의 지속적인 변화는 오항 마을의 중요성을 필연적으로 감소시켰다. 그러나 조선 및 수리, 어업, 항해, 해상 구조 및 때로는 "난파"까지 지역 사회 활동의 큰 부분을 계속 차지했다.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의 통치 시대에 오항은 실질적으로 어떤 중요한 의미도 갖지 못하게 되었고, 왕국의 일반 행정에 흡수되었다.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은 1569년에 쇠퇴해 가는 오항에 자금을 모으기 위해 열린 최초의 전국적인 복권을 승인했다.[18] 그럼에도 불구하고, 1689년 오항은 명예 혁명 이후 권리 장전을 제정할 국민 의회에 참석할 대표를 선출하기 위해 특별히 소집되었다.[19]

조선 기술의 발달과 함께 브리스톨과 리버풀과 같은 도시의 성장과 런던, 그레이브젠드, 사우샘프턴, 치체스터, 플리머스와 같은 더 넓은 항구의 개발, 그리고 채텀, 포츠머스, 그리니치, 울위치, 뎁트포드의 왕립 조선소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많은 오래된 항구의 쇠퇴의 또 다른 이유는 운하 광풍, 유료 도로, 철도 네트워크의 발달과 18세기부터 개발된 새로운 주요 항구에서 이러한 것들이 분배할 수 있는 해외 무역의 증가 때문일 수 있다.

19세기와 20세기 동안 통과된 지방 정부 개혁 및 의회법(특히 1832년 개혁법)은 오항 연합의 행정 및 사법 권한을 약화시켰다. 뉴 로머니와 윈첼시는 의회에서 선거권을 잃었고, 하이드와 라이의 대표 수는 절반으로 줄었다.

1985년, HMS ''일러스트리어스''는 오항과의 제휴를 맺었다. 2005년에는 제휴가 HMS ''켄트''로 변경되었다.

8. 오항동맹 관련 법률 (Cinque Ports Acts 1811 to 1872)

'''1811년부터 1872년까지 오항법'''은 다음 법률들의 총칭이다.[22]


  • 1811년 오항법영어 (51 조지 3세. c. 36)
  • 1821년 오항법 (1 & 2 조지 4세. c. 76)
  • 1828년 오항법 (9 조지 4세. c. 37)
  • 1853년 도선법 개정법 (16 & 17 빅토리아. c. 129)
  • 1855년 오항법 (18 & 19 빅토리아. c. 48)
  • 1857년 오항법 (20 & 21 빅토리아. c. 1)
  • 1869년 오항법 (32 & 33 빅토리아. c. 53)
  • 1872년 상선법 (35 & 36 빅토리아. c. 73 s 10)

참조

[1] citation Collins English Dictionary
[2] 서적 The Medieval Foundations of England Methuen
[3] 서적 A New Dictionary of British History
[4] 웹사이트 Magna Carta (1297) https://www.legislat[...] The National Archives 2022-08-29
[5] 서적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ume VII: Decline of Empire and Pap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The Cinque Ports: Cradle of the Royal Navy https://cinqueports.[...] 2022-08-29
[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inque Ports: Cinque Port Limbs http://www.open-sand[...] 2012-05-14
[8] 웹사이트 Limbs – Past and Present https://cinqueports.[...] 2022-08-29
[9] 웹사이트 Site of the Medieval Village of Northeye (C) Simon Carey :: Geograph Britain and Ireland https://www.geograph[...] 2013-07-17
[10] 웹사이트 Cinque Ports 1155 to 1500 – VillageNet History – History effecting Kent & Sussex http://www.villagene[...] 2013-07-17
[11] 간행물 Parishes http://www.british-h[...] Institute of Historical Research 2014-03-10
[12] 서적 The Plantagenets
[13] 서적 Historical Essays in Honour of James Tait
[14] 문서 Sigillum commune baronum
[15] 서적 Coronation: A History of Kingship and the British Monarchy https://books.google[...] Harper Collins
[16] 웹사이트 Barons attend the coronation https://www.ryenews.[...] Rye News 2023-05-18
[17] 서적 A New Dictionary of British History
[18]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UK National Lottery: 1992-96 1997
[19] 서적 Select Documents of English Constitutional History https://books.google[...]
[20] 서적 A Complete Guide to Heraldry https://archive.org/[...] T. C. & E. C. Jack
[21] 웹사이트 Cinque Ports https://www.flaginst[...] Flag Institute 2022-08-29
[22] 문서 The Short Titles Act 18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