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글로색슨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앵글로색슨족은 고대 영어로 'Angul-Seaxan'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앵글족과 색슨족을 포함한 게르만 민족 집단을 가리킨다. 400년대 로마 제국이 브리타니아에서 물러난 후, 앵글로색슨족은 현재의 잉글랜드 지역으로 이주하여 정착했다. 앵글로색슨족은 7개의 왕국(칠왕국)을 형성하며 기독교로 개종하고 독자적인 문화와 법 체계를 발전시켰다. 8세기에는 메르시아 왕국이 패권을 장악했으나, 9세기 바이킹의 침략과 웨섹스 왕국의 부상을 겪었다. 10세기에는 잉글랜드 왕국이 통일되었지만, 1066년 노르만 정복으로 앵글로색슨 문화는 쇠퇴했다. 현대에는 영어 사용 국가들을 앵글로색슨 국가로 지칭하기도 하지만, 역사적인 앵글로색슨족과의 혈통적 연관성은 희박하며, 앵글로색슨이라는 용어는 주로 유럽 대륙과 일본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앵글로색슨인 - 에딩턴 전투
878년 알프레드 대왕이 이끄는 웨스트 색슨 군대와 구스룸이 이끄는 데인족 간에 벌어진 에딩턴 전투는 웨식스를 지켜내고 잉글랜드 통일의 전환점이 되었으며, 구스룸의 개종과 웨드모어 조약 체결, 앨프레드의 군사 개혁으로 이어졌다. - 잉글랜드의 민족 - 잉글랜드인
잉글랜드인은 잉글랜드를 기원으로 하는 사람들이지만, 역사적 맥락과 개인적 정체성에 따라 그 정의가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으며, 앵글로색슨족 후손 이상의 복합적인 정체성을 반영하고, 영국인과의 혼용 및 소수민족 정체성 인식 등 사회적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는 다층적인 문제이다. - 잉글랜드의 민족 - 앵글인
앵글인은 1세기경 게르마니아에 처음 등장한 게르만족의 일파로, 엘베 강 근처에 거주하다 5세기경 브리튼 섬으로 이주하여 잉글랜드와 잉글랜드인의 어원이 되었으며, 현재 독일 북부 앙겔른 반도에 흔적이 남아있다. - 후로마 브리튼 - 앵글로색슨인의 브리타니아 정착
앵글로색슨인의 브리타니아 정착은 5세기부터 잉글랜드 문화와 사회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게르만 민족의 이주, 정착, 융합 과정을 통해 앵글로색슨 문화를 발전시키고 잉글랜드의 언어, 법률, 문화, 사회 구조에 유산을 남겼다. - 후로마 브리튼 - 둠노니아
둠노니아는 켈트족의 역사, 사회, 문화, 언어 등을 다루는 문서이며, 켈트족의 기원, 사회 구조, 경제, 종교, 예술, 언어, 현대 켈트족의 국가와 지역, 문화 부흥 운동 등을 포함한다.
앵글로색슨족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앵글로색슨족 |
![]() | |
기원 | 앵글족, 색슨족, 주트족 |
민족 계통 | 서게르만족 |
근연 민족 | 프리슬란트인 |
언어 | |
언어 | 앵글로색슨어 |
종교 | |
종교 | 앵글로색슨 이교 → 기독교 |
역사 | |
관련 항목 | 정착 역사 군주와 왕국 |
문화 | |
문화 | 건축 미술 매장 화폐 복식 유리 무기 언어 문학 룬 문자 |
사회 | |
사회 | 여성 |
권력 및 조직 | |
권력 및 조직 | 헌장 정부 법 전쟁 군사 |
2. 명칭
고대 영어식 민족 명칭 ''"Angul-Seaxan"''은 라틴어 ''Angli-Saxones''에서 유래했으며, 비드가 ''Angli''라 부르고[222] 길다스가 ''Saxones''라 부르던 민족의 명칭이 되었다.[223] 앵글로색슨이라는 용어 자체는 앵글로색슨족들 사이에선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ængli'', ''Seaxe'' 또는 ''Mierce'', ''Cantie'', ''Gewisse'', ''Westseaxe'', ''Norþanhymbre'' 같은 지역 명칭이나 부족 명칭으로 인식했을 것이다. 바이킹 시대 이후엔, 앵글로스칸디나비아 정체성이 데인로에서 발전하기도 하였다.[224]
''Angli Saxones''이라는 라틴어 용어는 8세기의 유럽 대륙 문서에서 처음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파울루스 디아코누스는 이 용어를 잉글랜드의 색슨족과 유럽 대륙의 색슨족 (''Ealdseaxe'', 글자 그대로 '구 색슨족')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였다.[225] 따라서 앵글로색슨이라는 명칭은 "잉글랜드의" 색슨인을 뜻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기독교 교회에서는 앵글족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와 그의 발언에 관한 이야기에서 "''Non Angli sed angeli''" (앵글족이 아니라 천사)라는 표현이 등장한다.[226][227]
'''앵글로색슨'''은 "앵글리아의 색슨족"이라는 뜻이다.[211] '''앵글리아'''(현재 덴마크 남부)는 원래 "앵글족의 땅"이라는 의미였지만, 가톨릭 교회가 이 지역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했기 때문에, 후에 색슨족도 이를 자칭하게 되어 지역명으로 자리 잡았다.
3. 역사
앵글로색슨족은 덴마크 제도(諸島)·유틀란트반도·북독일 지역에서 브리튼섬으로 건너와, 칠왕국 시대를 거쳐 에그버트 왕의 시대에 통일 왕조를 세웠다. 잉글랜드, 이스트앵글리아와 같은 명칭은 앵글족의 이름에서 비롯된 것이며, 웨식스, 서식스 등의 명칭은 "색슨족"에서 나왔다. 양자는 지역적·문화적으로 구별이 뚜렷하지 않으며, 두 부족이 브리튼섬 이주 전에 이미 동화하여 한 종족을 형성했다는 설도 있다. DNA 테스트 결과 오늘날 잉글랜드인들의 사분의 일만이 이 혈통에 해당된다.
앵글로색슨족이 영국에 정착하고 정치적으로 발전한 세부 사항은 아직도 불분명하다. 하지만 8세기까지는 원주민이었던 로마-브리튼인과 교류하기 시작했다. 원래 통일된 명칭을 가지고 있지 않았던 그들은 브리튼인에게서 "앵글로색슨"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한편, 이 시기의 앵글로색슨족은 통일된 문화적 정체성인 "Englisc"를 가지고 있었다. 1066년에는 영국 주민 대부분이 이미 고대 영어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스스로를 "앵글로색슨인"이자 동시에 "영국인"이라고 인식하기 시작했다.
고대 영어로 된 작자 미상의 영웅 서사시인 베오울프는 고트족인 에즈데오우의 아들이며 히옐락왕의 신하인 베오울프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처럼 앵글로색슨은 다양한 게르만족 집단을 포괄하고 있는 명칭이다.
10세기에는 노르만족의 영향으로 그들의 언어(노르만 프랑스어)가 영어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되며, 앵글로색슨족이 노르만 왕조에 대항하는 여러 전설이 구전된다. 앵글로색슨족은 영국을 상징하는 단어로 알려져 있으나, 모든 영국인이 앵글로색슨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찰스 다윈의 가계를 조사한 결과, 그의 조상은 약 4만 5천년 전 아프리카를 떠나 중동으로 이주한 초기 현대 인류의 크로마뇽인의 일원이었으며, 1만 2천년 전 영국에서 새 터전을 잡았다. 따라서 앵글로색슨은 10세기 이전 노르만족의 지배를 받기 전의 영국 사람을 가리키는 범용 용어라고도 할 수 있다.
앵글로색슨의 물질문화는 매우 다양하며, 목조건축, 의복, 장식사본, 금속제품 등의 고도의 예술에 그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특징에는 "부족 연맹" 및 "주종 관계"의 요소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었다. 지배층은 스스로를 왕이라고 칭하며, 견고한 방어 시설이 있는 마을 "burhs"를 발전시켰다. 또한, 성경의 용어를 사용하여 스스로와 동족의 역할, 그리고 지배하에 있는 사람들의 의무도 정의했다. 고고학자 헬레나 하메로우(Helena Hamerow)의 연구에 따르면, "가정, 그리고 그 지역에 퍼져 있는 대가족은 앵글로색슨 시대를 통해 기본적인 단위였으며, 하나의 가정을 하나의 단위로 하는 농업과 도구 생산이 계속되었다"고 한다.
'''앵글로색슨'''은 "앵글리아의 색슨족"이라는 뜻이다.[211] '''앵글리아'''(현재 덴마크 남부)는 원래 "앵글족의 땅"이라는 의미였지만, 가톨릭 교회가 이 지역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했기 때문에, 후에 색슨족도 이를 자칭하게 되어 지역명으로 자리 잡았다.
3. 1. 앵글로색슨족의 기원 (4세기-6세기)
4세기부터 6세기에 걸쳐 로마 제국과 브리튼인 작가들은 색슨족을 북해에서 온 습격자나 용병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후대의 기록에서는 이러한 초기 색슨족은 현대 독일 북서부의 니더작센주 출신이라고 믿어졌지만, 명확한 증거는 없고, 이름이 비슷할 뿐일 가능성도 있다. 또한 앵글로색슨족은 독일 기원의 민족이지만, 현재 독일어권 국가의 국민을 앵글로색슨족이라고 부르는 것은 원칙적으로 없다. 하지만 독립된 작센 왕국(Sachsen)은 20세기 초까지 독일 제국 내에 존속했으며, 현재는 작센주나 니더작센주로 남아 있다.[210]
앵글족(Angle)은 본래 발트해 인접 지역에서 나타났으며, 4세기~5세기무렵에 덴마크 제도, 독일 북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옮겨가 살았고, 이 지역에 '앵글'이라는 지명이 남아 있다. 앵글인은 이 지역에서 덴마크 제도 북부에 살던 주트인과 남쪽에 있는 색슨인과 교섭하였다. 여러 설에 따르면, 독일 지역에 살던 앵글족과 이웃한 색슨족은 프랑크 왕국의 기독교 강제 정책을 피해 함께 잉글랜드로 이주했다고 생각된다.[210]
색슨인(Saxon)은 고대 게르만족의 한 무리로 그들은 현재 독일인 니더작센과 베스트팔렌 지역에 살았던 인종이다. 그 가운데 일부가 영국으로 함께 이주하였으며, 앵글인과 함께 잉글랜드를 구성하였다.
주트인(Jutes, 유트인)은 덴마크 제도 북부에 살았으며, 5세기 브리튼 최남부 색슨 왕국 아래에 들어왔다. 앵글로색슨족에 포함되었고 잉글랜드를 구성하였다. 주트인은 스칸디나비아의 데인인, 스비아인과 유사한 게르만계 민족이다.
5세기 무렵 앵글인, 주트인, 색슨인은 덴마크 제도, 독일 북부에 살았다. 앵글인은 영국 동쪽 중부, 색슨인은 영국 동쪽 남부, 주트인은 영국 동부 최남부에 처음 정착하였다. 후에 이들 앵글, 주트, 색슨이 사는 땅을 잉글랜드라고 하였으며 이들을 가리켜 앵글로색슨족이라고 하였다. 명칭에는 빠져 있으나 주트인도 들어간다.
8세기 초, 베다 베네라빌리스(Beda Venerabilis)(735년 사망)는 세계 최초로 앵글로색슨족의 기원을 연구한 인물로 여겨지며, 몇몇 기록을 남겼다. 베다에 따르면, 앵글로색슨족은 "대륙의 소규모 지역 왕국이나 공국으로 나뉘어 있던 민족"이었으며, 이들 왕국은 각각 유럽 대륙에 다른 기원을 가지고 있었지만, 잉글랜드에서 하나로 융합되었다고 한다. "앵글로색슨(Anglo-Saxon)"이라는 복합어는 현대의 역사가들에 의해 1066년 이전 시대를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되지만, 이 용어가 명확하게 기록된 것은 베다 시대였다. "앵글로색슨족=잉글랜드인의 조상"이라는 인식은 유럽 근대 이후에 널리 보급된 것으로 생각된다.
409년에 로마 제국이 브리타니아(Britannia)를 버린 후, 현재 덴마크와 북부 독일 주변에 살던 게르만족이 그레이트브리튼섬으로 건너왔다. 그들은 원주민인 켈트계 브리튼족을 지배하고 켈트 문화를 몰아냈다. 이것이 영국에서 최초의 앵글로색슨족이다. 그들의 언어가 영어의 기초가 되었다.
3. 2. 칠왕국 시대와 기독교화 (7세기-8세기)
409년에 로마 제국이 브리타니아(Britannia)를 버린 후, 현재 덴마크와 독일 북부 주변에 살던 게르만족이 그레이트브리튼섬으로 건너왔다.[1] 그들은 원주민인 켈트계 브리톤족을 지배하고 켈트 문화를 몰아냈다.[1] 이것이 영국에서 최초의 앵글로색슨족이다.[1] 그들의 언어가 영어의 기초가 되었다.[1]
앵글로색슨족은 잉글랜드 각지에 소왕국을 건설했다.[1] 7세기경에는 잉글랜드가 7개의 왕국(칠왕국)으로 통합되었으나, 9세기 초 웨식스 왕 에그버트 치하에서 색슨족의 웨식스 왕국이 강대해져 잉글랜드 전역을 지배하게 되었다.[1]
3. 3. 바이킹 시대와 웨섹스의 성장 (8세기-9세기)
8세기에서 9세기 사이, 앵글로색슨족의 칠왕국 중 하나인 웨섹스 왕국은 에그버트 왕의 통치 아래 성장했다. 9세기 초, 에그버트 왕은 색슨족의 웨섹스를 강대하게 만들어 잉글랜드 전역을 지배하게 되었다.[1] 그러나 이후 앵글로색슨족은 데인족에게 지배당하며 덴마크 왕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1]
3. 4. 잉글랜드 왕국의 형성과 발전 (10세기-11세기)
앵글로색슨족은 잉글랜드 각지에 소왕국을 건설했다. 7세기경에는 잉글랜드가 7개의 왕국(칠왕국)으로 통합되었으나, 9세기 초 웨섹스 왕 에그버트 치하에서 색슨족의 웨섹스 왕국이 강대해져 잉글랜드 전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그 이후, 한때 데인족에게 지배당해 덴마크 왕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앵글로색슨족은 그 후 다시 잉글랜드를 지배했다. 이는 1066년, 윌리엄 1세의 노르망디 정복까지 이어졌다.[209]
3. 5. 노르만 정복과 앵글로색슨족의 쇠퇴 (1066년)
1066년, 윌리엄 1세(=윌리엄 2세)의 노르망디 정복 이전까지 앵글로색슨족은 잉글랜드를 지배했다. 바이킹이나 노르만족과 같은 이민족의 침략은 영국의 정치와 문화에 큰 변화를 가져왔지만, "앵글로색슨인으로서의 정체성"은 크게 손상되지 않았고, 노르만 정복 이후에도 여전히 영국 전역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209] 앵글로색슨 시대 말기의 정치와 언어는 중세 영국 왕국과 중세 영어의 직접적인 전신으로 여겨지며, 현대 영어에서 고대 영어에서 유래한 단어는 전체의 26% 미만에 그치지만, 일상적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209]
4. 문화
앵글로색슨족은 브리튼 섬에 정착하면서 원주민이었던 로마-브리튼인과 교류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원래 통일된 명칭이 없었으나, 브리튼인에게서 "앵글로색슨"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한편, 이 시기의 앵글로색슨족은 통일된 문화적 정체성인 "Englisc"를 가지고 있었다. 1066년에는 영국 주민 대부분이 이미 고대 영어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스스로를 "앵글로색슨인"이자 동시에 "영국인"이라고 인식하기 시작했다.
바이킹이나 노르만족과 같은 이민족의 침략은 영국의 정치와 문화에 큰 변화를 가져왔지만, "앵글로색슨인으로서의 정체성"은 크게 손상되지 않았고, 노르만 정복 이후에도 여전히 영국 전역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209] 앵글로색슨 시대 말기의 정치와 언어는 중세 영국 왕국과 중세 영어의 직접적인 전신으로 여겨진다.[209]
4. 1. 사회와 생활
앵글로색슨족의 물질문화는 매우 다양하며, 목조건축, 의복, 장식사본, 금속제품 등의 고도의 예술에 그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특징에는 "부족 연맹" 및 "주종 관계"의 요소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었다. 지배층은 스스로를 왕이라고 칭하며, 견고한 방어 시설이 있는 마을 "burhs"를 발전시켰다. 또한, 성서의 용어를 사용하여 스스로와 동족의 역할, 그리고 지배하에 있는 사람들의 의무도 정의했다.[209] 고고학자 헬레나 하메로우(Helena Hamerow)의 연구에 따르면, "가정, 그리고 그 지역에 퍼져 있는 대가족은 앵글로색슨 시대를 통해 기본적인 단위였으며, 하나의 가정을 하나의 단위로 하는 농업과 도구 생산이 계속되었다"고 한다.4. 2. 건축
앵글로색슨족의 물질문화는 매우 다양하며, 목조건축, 의복, 장식사본, 금속제품 등의 고도의 예술에 그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특징에는 "부족 연맹" 및 "주종 관계"의 요소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었다. 지배층은 스스로를 왕이라고 칭하며, 견고한 방어 시설이 있는 마을 "burhs"를 발전시켰다.[209] 고고학자 헬레나 하메로우(Helena Hamerow)의 연구에 따르면, "가정, 그리고 그 지역에 퍼져 있는 대가족은 앵글로색슨 시대를 통해 기본적인 단위였으며, 하나의 가정을 하나의 단위로 하는 농업과 도구 생산이 계속되었다"고 한다.[209]4. 3. 예술
앵글로색슨의 물질문화는 매우 다양하며, 목조건축, 의복, 장식사본, 금속제품 등에서 고도의 예술성이 나타난다. 이러한 문화적 특징에는 부족 연맹 및 주종 관계의 요소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209]4. 4. 언어
앵글로색슨족의 언어는 고대 영어로, 서게르만어군에 속한다. 베오울프는 고대 영어로 쓰여진 영웅 서사시로, 작자 미상이며, 고트족 등 다양한 게르만족 집단을 포괄하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적 배경을 보여준다.[209]10세기에는 노르만족의 영향으로 노르만어(노르만 프랑스어)가 영어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앵글로색슨족은 노르만 왕조에 대항하는 여러 전설을 구전하기도 했다.
현대 영어에서 고대 영어에서 유래한 단어는 26% 미만이지만,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사용되고 있다.[209]
4. 5. 법
앵글로색슨족의 물질문화는 목조건축, 의복, 장식사본, 금속제품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고도의 예술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문화적 특징에는 "부족 연맹" 및 "주종 관계" 요소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었다. 지배층은 스스로를 왕이라 칭하며, 견고한 방어 시설을 갖춘 마을인 "burhs"를 발전시켰다. 또한, 성서의 용어를 사용하여 자신과 동족의 역할, 그리고 지배하에 있는 사람들의 의무를 정의했다.[209]5. 현대의 앵글로색슨
앵글로색슨족은 덴마크 제도, 유틀란트반도, 북독일 지역에서 브리튼섬으로 건너와 칠왕국 시대를 거쳐 에그버트 왕 시대에 통일 왕조를 세웠다. 잉글랜드, 이스트앵글리아와 같은 명칭은 앵글족의 이름에서, 웨식스, 서식스 등의 명칭은 색슨족에서 유래했다. 두 부족은 지역적, 문화적으로 뚜렷하게 구별되지 않으며, 브리튼섬 이주 전에 이미 동화되어 하나의 종족을 형성했다는 설도 있다. DNA 테스트 결과 오늘날 잉글랜드인의 1/4만이 이 혈통에 해당한다.
5세기 무렵 앵글인, 유트인, 색슨인은 덴마크 제도, 독일 북부에 살았다. 앵글인은 영국 동쪽 중부, 색슨인은 영국 동쪽 남부, 주트인은 영국 동부 최남부에 처음 정착하였다. 후에 이들이 사는 땅을 잉글랜드라고 하였으며 이들을 앵글로색슨족이라고 불렀다. 명칭에는 빠져 있으나 주트인도 포함된다.
앵글인은 본래 발트해 인접 지역에서 나타났으며, 4~5세기 무렵 덴마크 제도, 독일 북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로 옮겨가 살았고, 이 지역에 '앵글'이라는 지명이 남아 있다. 색슨인은 고대 게르만족의 한 무리로, 현재 독일 니더작센과 베스트팔렌 지역에 살았던 인종이다. 그 가운데 일부가 영국으로 함께 이주하였으며, 앵글인과 함께 잉글랜드를 구성하였다. 주트인은 스칸디나비아의 데인인, 스비아인과 유사한 게르만계 민족으로 덴마크 제도 북부에 살았으며, 5세기 브리튼 최남부 색슨 왕국 아래에 들어와 앵글로색슨족에 포함되었고 잉글랜드를 구성하였다.
앵글로색슨족은 잉글랜드뿐만 아니라 브리튼 제도(브리튼섬과 부속도서), 아일랜드, 아이슬란드에도 살고 있다. 아일랜드 인구 가운데 최소 30%는 앵글로색슨계에 속한다고 한다. (특히 잉글랜드계와 스코틀랜드계가 식민 이주한 북아일랜드 지역에서 현저하다.) 따라서 이들은 앵글로 아이리쉬, 앵글로 스코트 등으로 정체성을 구분하고, 또한 앵글로 아메리칸이란 말도 사용하는데 대체로 색슨이라는 표현은 생략한다.
베오울프는 고대 영어로 된 작자 미상의 영웅 서사시이다. 베오울프는 에즈데오우의 아들이며 히옐락왕의 신하로 설명되고 있는데, 이들은 고트인이다. 이처럼 앵글로색슨은 다양한 게르만족 집단을 포괄하는 명칭이다.
10세기에는 노르만인의 영향으로 그들의 언어(노르만 프랑스어)가 영어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되며, 앵글로색슨족이 노르만 왕조에 대항하는 여러 전설이 구전된다.
앵글로색슨족은 영국을 상징하는 단어로 알려져 있으나, 모든 영국인이 앵글로색슨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찰스 다윈의 가계를 조사한 결과, 그의 조상은 약 4만 5천년 전 아프리카를 떠나 중동으로 이주한 초기 현대 인류의 크로마뇽인의 일원이었으며, 1만 2천년 전 영국에서 새 터전을 잡았다. 따라서 앵글로색슨은 10세기 이전 노르만인의 지배를 받기 전의 영국 사람을 가리키는 범용 용어라고도 할 수 있다.
앵글로색슨족이 영국에 정착하고 정치적으로 발전한 세부 사항은 아직도 불분명하다. 하지만 8세기까지는 원주민이었던 로마-브리튼인(로마-브리튼 문화)과 교류하기 시작했다. 원래 통일된 명칭을 가지고 있지 않았던 그들은 브리튼인에게서 "앵글로색슨"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한편, 이 시기의 앵글로색슨족은 통일된 문화적 정체성인 "Englisc"를 가지고 있었다. 1066년에는 영국 주민 대부분이 이미 고대 영어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스스로를 "앵글로색슨인"이자 동시에 "영국인"이라고 인식하기 시작했다.[209]
그 후 바이킹이나 노르만인과 같은 이민족의 침략은 영국의 정치와 문화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왔지만, "앵글로색슨인으로서의 정체성"은 크게 손상되지 않았고, 노르만 정복 이후에도 여전히 영국 전역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앵글로색슨 시대 말기의 정치와 언어는 중세 영국 왕국과 중세 영어의 직접적인 전신으로 여겨지며, 현대 영어에서 고대 영어에서 유래한 단어는 전체의 26% 미만에 그치지만, 일상적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앵글로색슨의 물질문화는 매우 다양하며, 목조건축, 의복, 장식사본, 금속제품 등의 고도의 예술에 그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특징에는 "부족 연맹" 및 "주종 관계"의 요소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었다. 지배층은 스스로를 왕이라고 칭하며, 견고한 방어 시설이 있는 마을 "burhs"를 발전시켰다. 또한, 성서의 용어를 사용하여 스스로와 동족의 역할, 그리고 지배하에 있는 사람들의 의무도 정의했다. 고고학자 헬레나 하메로우(Helena Hamerow)의 연구에 따르면, "가정, 그리고 그 지역에 퍼져 있는 대가족은 앵글로색슨 시대를 통해 기본적인 단위였으며, 하나의 가정을 하나의 단위로 하는 농업과 도구 생산이 계속되었다"고 한다.
8세기 초, 베다 베네라빌리스(735년 사망)는 세계 최초로 앵글로색슨족의 기원을 연구한 인물로 여겨지며, 몇몇 기록을 남겼다. 베다에 따르면, 앵글로색슨족은 "대륙의 소규모 지역 왕국이나 공국으로 나뉘어 있던 민족"이었으며, 이들 왕국은 각각 유럽 대륙에 다른 기원을 가지고 있었지만, 잉글랜드에서 하나로 융합되었다고 한다. "앵글로색슨(Anglo-Saxon)"이라는 복합어는 현대의 역사가들에 의해 1066년 이전 시대를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되지만, 이 용어가 명확하게 기록된 것은 베다 시대였다. "앵글로색슨족=잉글랜드인의 조상"이라는 인식은 유럽 근대 이후에 널리 보급된 것으로 생각된다.
베다 자신도 "앵글로색슨"이라는 명칭 외에, 때로는 "Angles(앵글족)", 때로는 "English(잉글랜드인)"이라는 명칭으로 이 민족들을 표현했다. 이 세 가지 명칭 중 "앵글로색슨"이 가장 공식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궁극적으로 주류 명칭이 되었다. 또한 다른 저술가들과 마찬가지로 베다도 초기 유럽 대륙에서 잉글랜드에 정착한 민족을 "색슨족(Saxon)"으로 인식했다.
3세기부터 6세기에 걸쳐 로마인과 브리튼인의 작가들은 색슨족을 북해에서 온 습격자나 용병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베다와 같은 후대의 기록에서는 이러한 초기 색슨족은 현대 독일 북서부의 "니더작센주" 출신이라고 믿어졌지만, 명확한 증거는 없고, 이름이 비슷할 뿐일 가능성도 있다. 또한 앵글로색슨족은 독일 기원의 민족이지만, 현재 독일어권 국가의 국민을 앵글로색슨족이라고 부르는 것은 원칙적으로 없다. 하지만 독립된 작센 왕국(Sachsen)은 20세기 초까지 독일 제국 내에 존속했으며, 현재는 "작센주"나 "니더작센주"로 남아 있다.
한편, 앵글족(Angle)도 잉글랜드인의 주축이 되어 잉글랜드 문화의 기초를 쌓았기 때문에, 현재도 프랑스어권에서는 영어권 백인을 "Anglais(앙글레, 앵글족의 프랑스어 읽기)"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210] 여러 설에 따르면, 독일 지역에 살던 앵글족과 이웃한 색슨족은 프랑크 왕국의 기독교 강제 정책을 피해 함께 잉글랜드로 이주했다고 생각된다.
5. 1. 현대적 개념

: 유트족
:앵글족
: 색슨족
영국, 미국, 오스트레일리아(AUKUS 국가), 캐나다, 뉴질랜드 등 영어를 국어·공용어로 하는 백인 주류의 선진국을 앵글로색슨 국가들이라고 부른다.[212][213] 그러나 이는 언어가 앵글로색슨인에게서 유래했을 뿐, 역사적인 앵글로색슨인과 현대의 앵글로색슨 국가들 사이에는 혈통적인 관계가 희박하다( 프랑크족과 프랑스인의 관계와 같다). 앵글로색슨인의 고향으로 여겨지는 잉글랜드조차도 유틀란트 반도와 스칸디나비아 반도 등 발트해 연안 지역에 뿌리를 둔 데인족과 노르만족, 그리고 그레이트브리튼섬의 원주민인 브리튼족(켈트족) 등 다양한 민족이 뒤섞여 형성된 국가이다. 정작 앵글로색슨 국가들에서는 일반적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자신들이 앵글로색슨인이라는 의식도 부족하다. 그들은 자신의 전통 문화의 뿌리를 노르만족으로 인식하고 있다. 참고로, 잉글랜드에 앞서는 고향인 독일에서는 앵글족이라는 호칭은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색슨족(작센족)이라는 호칭은 남아 있지만, 적어도 앵글로색슨과 연결하여 부를 경우 독일인과는 별개의 집단으로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거의 어원 발상지에 그치는 정도이다.
주로 유럽 대륙과 일본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앵글로색슨 국가들은 독특한 경제와 사회를 형성하고 있어 오래전부터 연구 대상이 되어 왔다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등). 또한 세계화된 자본주의의 발전과 그것에 대한 반발에 따라, 앵글로색슨 국가들을 "특수한" 국가로 규정하기 위해 다양한 비교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아래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
분야 | 특징 |
---|---|
법 체계 | 관습법 |
정당제 | 양당제 |
민주주의 (아렌트 레이프하르트 연구) | 다수결형 |
자본주의 (규제학파) | 시장 기반형 |
복지 국가론 | 자유주의형 |
철학 | 영국 경험론과 실용주의 |
가족 유형 (에마뉘엘 토드) | 전형적인 절대 핵가족 |
영국 군주제 | 여왕/여계 왕의 존재 (살리카 법의 부정) |
법리 | 국가 친권 사상(아이는 부모가 아니라 공권력에 의해 보호되어야 한다는 법리[214]) |
지정학 (림랜드 이론) | 전형적인 해양력으로, 육지력 국가들(특히 중국·러시아)과 심각한 대립 |
외교 |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라는 명분으로 행해진 권위주의 국가에 대한 침략 전쟁(베트남·이라크·아프가니스탄 등) |
참조
[1]
서적
Origins of the English Language: A Social and Linguistic History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1986
[2]
학술지
English Identity from Bede to the Millenium
2003
[3]
서적
A View of the Irish Language: Language and History in Ireland from the Middle Ages to the Present
[4]
서적
Origins of the English
Duckworth Pub
2003
[5]
학술지
Anglo-Saxon Immigration and Ethnogenesis
2011
[6]
학술지
The 'Saxon Shore' Reconsidered
2023
[7]
서적
Die Sachsen
2004
[8]
서적
Procopius: History of the Wars Books VII and VIII with an English Translation
https://eclass.uoa.g[...]
Harvard University Press
2020-03-01
[9]
서적
Spong Hill IX: Chronology and Synthesis
http://www.mcdonald.[...]
McDonald Institute for Archaeological Research
2013
[10]
서적
Ecclesiastical History
Giles
1843
[11]
서적
Ecclesiastical History
Giles
1843
[12]
서적
Essays in Anglo-Saxon history
Hambledon Press
1986
[13]
서적
An English Empire: Bede and the Early Anglo-Saxon Kings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5
[14]
학술지
The Anglo-Saxon migr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early English gene pool
2022
[15]
서적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People
[16]
서적
Earliest Life of Gregory the Great
[17]
서적
The English conquest: Gildas and Britain in the fifth centur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4
[18]
서적
Kings and Kingdoms of Early Anglo-Saxon England
Routledge
2002
[19]
서적
England, 700–900
1995
[20]
서적
Kings and kingdoms of early Anglo-Saxon England
Routledge
2002
[21]
서적
Kings and kingdoms of early Anglo-Saxon England
Routledge
2002
[22]
학술지
The writing of history at King Alfred's court
1996
[23]
서적
Kings and kingdoms of early Anglo-Saxon England
2002
[24]
학술지
The kingdom of the East Saxons
1985
[25]
서적
The Mercian Supremacies
2013
[26]
논문
Imitating fathers: tradition, inheritance, and the reproduction of culture in Anglo-Saxon England
Loyola University of Chicago
1997
[27]
서적
The world of Anglo-Saxon learning
1991
[28]
서적
Historiam ecclesiastica gentis Anglorum: Historiam abbatum; Epistolam ad Ecgberctum; una cum Historia abbatum auctore anonymo
e Typographeo Clarendoniano
1896
[29]
학술지
The school of Theodore and Hadrian
1986
[30]
오디오
Anglo-Saxon World
Audible.com
[31]
서적
Farmers, monks and aristocrats: the environmental archaeology of an Anglo-Saxon Estate Centre at Flixborough, North Lincolnshire, UK
Oxbow Books
2007
[32]
학술지
The Double Monastery in Early English History
1974
[33]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a collaborative edition. MS E
Ds Brewer
2004
[34]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Routledge
1996
[35]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Eyre and Spottiswoode
1965
[36]
서적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People: The Greater Chronicle; Bede's Letter to Egbert
Oxford University Press
[37]
논문
Mercia and Wessex in the ninth century
London
[38]
서적
Illustrated history of the Vikings
Oxford University Press
[39]
논문
The Vikings in Francia and Anglo-Saxon England to 911
[40]
간행물
Anglo-Saxon Chronicle
[41]
서적
Alfred the Great
Penguin
[42]
서적
Alfred the Great
Penguin
[43]
서적
King Alfred
Twayne Publishers
[44]
서적
Wessex in the Early Middle Ages
Pinter Publishers Ltd.
[45]
논문
England, 900–1016
[46]
논문
Edward, King of the Anglo-Saxons
[47]
서적
Wessex and England from Alfred to Edgar: six essays on political, cultural, and ecclesiastical revival
Boydell Press
[48]
서적
King Athelstan's books
University Press
[49]
논문
Athelstan of England: Christian king and hero
[50]
논문
Edgar, King of the English 959–975 New Interpretations
[51]
논문
Between Alfred the Great and Edgar the Peacemaker: Æthelstan, First King of England
[52]
서적
Regularis concordia Anglicae nationis
Siegburg
[53]
논문
Myth, Rulership, Church and Charters: Essays in Honour of Nicholas Brooks
[54]
간행물
ASC
[55]
간행물
EHD
[56]
논문
Timothy Reuter, ed.,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3: C. 900–c. 1024
[57]
서적
Sermo Lupi ad Anglos
Methuen
[58]
논문
Apocalypse and Invasion in Late Anglo-Saxon England
Clarendon Press
[59]
논문
An Edition of Ælfric's Letter to Brother Edward
Arizona Center for Medieval and Renaissance Studies
[60]
서적
The Diplomas of King Æthelred "the Unready"
[61]
서적
Living Through Conquest: The Politics of Early English, 1020–1220
Oxford University Press
[62]
서적
Kings and lords in Conquest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논문
Changing thegns: Cnut's conquest and the English aristocracy
[64]
서적
Orbis Britanniae
Leicester
[65]
논문
Edward the Confessor's Return to England in 1041
Oxford University Press
[66]
서적
The Anglo-Saxon Chronicle
Routledge
[67]
서적
England Under the Norman and Angevin Kings 1075–1225
OUP
[68]
서적
In Search of the Dark Ages
BBC
[69]
서적
From Norman Conquest to Magna Carta: England, 1066–1215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70]
서적
Slaves and Warriors in Medieval Britain and Ireland: 800 - 1200
https://books.google[...]
Brill
[71]
서적
Western Travellers to Constantinople: The West and Byzantium, 962–1204 : Cultural and Political Relations
Brill
1996
[72]
서적
Byzantine Armies AD 1118–1461
Osprey Publishing
1995
[73]
서적
The Norman Conquest: England After William the Conqueror
Rowman & Littlefield
2008
[74]
서적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Orderic Vitalis
Oxford
1968–1980
[75]
간행물
Anglo-Saxon Chronicle 'D'
1069
[76]
논문
Negative adverbs in early Middle English
1978
[77]
서적
JRR Tolkien Encyclopedia: Scholarship and critical assessment
Routledge
2006
[78]
논문
The chronology of the Scandinavian loan-verbs in the Katherine Group
1979
[79]
오디오북
The Modern Scholar: The Anglo-Saxon World
[80]
웹사이트
English: language of government
https://www.bl.uk/le[...]
2013-01-04
[81]
논문
Changing symbols in a changing society. The Anglo-Saxon weapon burial rite in the seventh century
Woodbridge
1992
[82]
논문
The earliest Anglo-Saxon kingdoms'
2005
[83]
논문
Urban centres in Pre-Viking England?
1997
[84]
서적
Dark Age Economics: the origins of towns and trade A.D. 600–1000
Gerald Duckworth & Co.
1982
[85]
학술지
Anglo-Saxon Landscape and Economy: using portable antiquities to study Anglo-Saxon and Viking Age England
https://intarch.ac.u[...]
2009
[86]
논문
Bede, Imperium, and the bretwaldas
1991
[87]
논문
Bernician Transitions: Place-names and Archaeology
2011
[88]
논문
Bede's Reges and Principes. Jarrow Lecture
1979
[89]
서적
An Historical Atlas of Sussex
Phillimore
1999
[90]
서적
The Old English Boethius: with verse prologues and epilogues associated with King Alfred
Harvard University Press
2012
[91]
서적
Alfred the Great: War, Kingship and Culture in Anglo-Saxon England
Routledge
2013-11-26
[92]
논문
From Tribal Chieftains to Christian Kings
2013
[93]
논문
Edgar, King of the English 959–975. New Interpretations
2011
[94]
서적
The Cult of Kingship in Anglo-Saxon England: The Transition from Paganism to Christianit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70
[95]
서적
The Buried Gods
London
1957
[96]
서적
The Horse and its role in Icelandic burial practices, mythology, and society
2006
[97]
학술지
Diversity in Viking Age Horse Burial: A Comparative Study of Norway, Iceland, Scotland and Ireland
2004
[98]
서적
The Four Funerals in Beowulf: And the Structure of the Poem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P
2012-06-25
[99]
서적
Sutton Hoo: Burial Ground of Kings?
https://archive.org/[...]
U of Pennsylvania P
2012-06-25
[100]
서적
Death in England: An Illustrated History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P
2012-06-26
[101]
서적
Cædmon's Hymn and Material Culture in the World of Bede: Six Essays
West Virginia University Press
2007
[102]
논문
The 'Dunstan B'charters
1994
[103]
서적
Ecd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People
Oxford
1969
[104]
간행물
ASC, Anglo-Saxon Chronicle
878
[105]
서적
Anglo-Saxon Military Institutions
Oxford
1962
[106]
간행물
Anglo-Saxon Chronicle in Whitelock 893; also Asser c. 100 for the Organisation of the royal household
ASC
[107]
논문
The Development of Military Obligations in Eighth-and Ninth-century England
Clemoes, P. and Hughes, K. (ed.), England Before the Conquest (Cambridge)
1971
[108]
서적
The Age of Bede
Harmondsworth
1965
[109]
논문
Richard I and the Science of War in the Middle Ages
J. Holt and J. Gillingham (eds.), War and Government in the Middle Ages (Woodbridge)
1984
[110]
간행물
Anglo-Saxon Chronicle in Whitelock 1979 912, 914, 917
ASC
[111]
서적
The Anglo-Saxons
Oxford
1981
[112]
서적
Viking Age England
The History Press
2013-06-01
[113]
서적
Rural Settlements and Society in Anglo-Saxon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14]
서적
An English Empire: Bede, the Britons, and the Early Anglo-Saxon Kings
[115]
서적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in Anglo-Saxon England: Archaeology, Common Rights and Landscape
Bloomsbury Academic
2013
[116]
논문
The Early Medieval Shires of Yeavering, Bamburgh and Breamish
2002
[117]
서적
The Wealth of Anglo-Saxon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18]
서적
Place-names, Language and the Anglo-Saxon Landscape
Boydell Press
2011
[119]
논문
The Landscape Archaeology of Anglo-Saxon England
2012
[12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nglo-Saxon Archaeology
OUP Oxford
2011
[121]
논문
Anglo-Saxon women and the law
1982
[122]
논문
Widows' rights in Anglo-Saxon law
1975
[123]
서적
Women in Anglo-Saxon England
British Museum Publications
1984
[124]
법률
Leges Henrici Primi
[125]
서적
Anglo-Saxon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72
[126]
웹사이트
Riddle Ages
https://theriddleage[...]
2024-07-25
[127]
논문
The Thriving of the Anglo-Saxon Ceorl
1970
[128]
웹사이트
Early Medieval Architecture
https://www.english-[...]
2021-01-26
[129]
뉴스
When did the Anglo-Saxons come to Britain?
https://www.bbc.co.u[...]
2021-01-26
[130]
서적
Town Defences in England and Wales: An Architectural and Documentary Study A. D. 900–1500
John Baker
1970
[131]
서적
Timber Castles
B. T. Batsford
1992
[132]
서적
Rural Settlements and Society in Anglo-Saxon England
OUP Oxford
2012-07-05
[133]
서적
Cirencester Anglo-Saxon Church and Medieval Abbey: Excavations Directed by JS Wacher (1964), AD McWhirr (1965) and PDC Brown (1965–6)
Cotswold Archaeological Trust
1998
[134]
서적
The Saxon Church, Escomb
1979
[135]
서적
Carolingian and Romanesque architecture, 800 to 1200
Yale University Press
1993
[136]
서적
The Quoit Brooch Style and Anglo-Saxon Settlement: A Casting and Recasting of Cultural Identity Symbols
Boydell & Brewer
2000
[137]
논문
Rethinking the Sutton Hoo Shoulder Clasps and Armour
British Museum Research Publications
2010
[138]
논문
Anglo-Saxon symbolism
1992
[139]
웹사이트
Magical Mystery Treasure
https://web.archive.[...]
2014-02-20
[140]
웹사이트
The Find
https://web.archive.[...]
Staffordshire Hoard
2011-06-14
[141]
논문
The Canterbury Pendant: A Saxon Seasonal-Hour Altitude Dial
[142]
서적
The Making of England: Anglo-Saxon Art and Culture, AD 600–900
Univ of Toronto Pr
[143]
논문
The Lindisfarne Gospels and two other 8th century Anglo-Saxon/Insular manuscripts: pigment identification by Raman microscopy
[144]
서적
The art of the Codex Amiatinus
Parish of Jarrow
[145]
논문
THE COST OF THE CODEX-AMIATINUS
[146]
논문
Bede, Cassiodorus, and the Codex Amiatinus
[147]
논문
Ceolfrid's gift to St Peter: the first quire of the Codex Amiatinus and the evidence of its Roman destination
[148]
서적
OVERVIEW: CRAFT PRODUCTION AND TECHNOLOGY
[149]
서적
[150]
서적
Early Medieval Art and Archaeology in the Northern World
[151]
논문
Normanising the North: The Evidence of Anglo-Saxon and Anglo-Scandinavian Sculpture
[152]
서적
The Golden Age of Anglo-Saxon Art, 966–1066
British Museum Publications Limited
[153]
서적
The Bayeux tapestry: monument to a Norman triumph
Prestel Pub
[154]
논문
The Origins of the Northern Subject Rule – A Case of Early contact?
[155]
서적
The Celtic Roots of English
University of Joensuu, Faculty of Humanities
[156]
서적
The Celtic Englishes
Winter
[157]
서적
Language Contact and the Origins of the Germanic Languages
Routledge
[158]
논문
Reviewed Work(s): A History of the English Language by Elly van Gelderen; A History of the English Language by Richard Hogg and David Denison; The Oxford History of English by Lynda Mugglestone
[159]
논문
Britons and Anglo-Saxons
De Gruyter
[160]
논문
English in the 'transition period': the sources of contact-induced change
Edinburgh University Press
[161]
서적
Reviewed Work: English and Celtic in Contact
[16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English: a linguistic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Wardja Press
2008-01-30
[163]
서적
The English Language: A Historical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4]
논문
English in the 'transition period': the sources of contact-induced change
[165]
논문
Middle English: Language Contact
[166]
논문
Kingdom and community in early Anglo-Saxon eastern England
Springer US
[167]
서적
Christianizing kinship: ritual sponsorship in Anglo-Saxon England
Cornell University Press
[168]
논문
Wergild
[169]
서적
Anglo-Saxon Thegn AD 449–1066
Osprey Publishing
[170]
서적
Women in Anglo-Saxon England
Blackwell
[171]
논문
The Laws of Ethelbert
[172]
서적
An Introduction to English Legal History
Butterworths
[173]
서적
Historical Foundations of the Common Law
Butterworths
[174]
서적
Anglo-Saxon Chart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5]
서적
Historical Foundations of the Common Law
Butterworths
[176]
서적
A History of English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8 # 재출판 연도를 사용. 원본 출판 연도는 1898년임.
[177]
논문
Judicial culture and social complexity: a general model from Anglo-Saxon England
2014
[178]
서적
Trial by ordeal: the key to proof in the early common law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179]
논문
Ordeals
2012
[180]
서적
The Anglo-Saxon World
Yale University Press
2013
[181]
서적
The Art of Anglo-Saxon England
Boydell Press
2011
[182]
논문
Making Old English New: Anglo-Saxonism and the Cultural Work of Old English Literature
2013
[183]
논문
Poetic language and the Paris Psalter: the decay of the Old English tradition
http://journals.camb[...]
1991
[184]
웹사이트
Early-Medieval-England.net : The Wanderer
http://www.anglo-sax[...]
[185]
서적
Anglo-Saxon Poetry
Everyman Paperbacks
1995
[186]
서적
The Earliest English Poems
Penguin Classics
1992
[187]
서적
Anglo Saxon Poetry
Hachette UK
2012
[188]
서적
An Anglo-Saxon reader in prose and verse: with grammar, metre, notes and glossary
At the Clarendon Press
1908
[189]
논문
Sighted surfaces. Ocular Agency in early Anglo-Saxon cremation burials
2012
[190]
논문
Grave goods in early medieval burials: messages and meanings
2014
[191]
서적
Symbolism, social relations and the interpretation of mortuary remains
Oxford
1982
[192]
서적
Indirect evidence for glass bead manufacture in early Anglo-Saxon England
2000 # 추정
[193]
서적
The glass beads of Anglo-Saxon England c. AD 400–700: a preliminary visual classification of the more definitive and diagnostic types
Rochester
1999
[194]
서적
Glass beads from Anglo-Saxon graves: a study of the provenance and chronology of glass beads from early Anglo-Saxon graves, based on visual examination
Oxbow
2004
[195]
서적
Dress in Anglo-Saxon England
Boydell Press
2004
[196]
서적
The Anglo-Saxon Cemetery at Edix Hill (Barrington A), Cambridgeshire
Council for British Archaeology
1998
[197]
서적
Heathen Gods in Old English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12-11
[198]
서적
The Iconography of Early Anglo-Saxon Coinage: Sixth to Eighth Centu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3-04-24
[199]
뉴스
Cambridge University study finds Anglo-Saxon kings were mostly vegetarian
https://www.bbc.com/[...]
BBC News
2022-05-12 # access-date 사용
[200]
뉴스
Anglo-Saxon kings 'were mostly vegetarian', before the Vikings new study claim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22-05-12 # access-date 사용
[201]
서적
Rule of Darkness: British Literature and Imperialism, 1830–1914
Cornell University Press
1990
[202]
서적
Race and Empire in British Politics
CUP Archive
1990
[203]
서적
Race and Manifest Destiny: The Origins of American Racial Anglo-Saxonism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204]
웹사이트
Message from the Advisory Board
https://www.isasweb.[...]
The Advisory Board of ISSEME
2019-09-19
[205]
뉴스
Showdown with the 'Anglosaksy'
https://www.asianews[...]
Asianews.it
2023-09-02 # access-date 사용
[206]
뉴스
Kremlin again points to 'Anglo-Saxons' over Nord Stream pipeline blasts
https://www.reuters.[...]
Reuters
2023-09-02 # access-date 사용
[207]
뉴스
What do the pro-Kremlin media mean by "Anglo-Saxons"?
https://euvsdisinfo.[...]
EU vs Disinfo
2023-09-02 # access-date 사용
[208]
웹사이트
コトバンク:アングロサクソンとは
https://kotobank.jp/[...]
[209]
서적
Origins of the English Language: A Social and Linguistic History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1986
[210]
웹사이트
コトバンク:アングロ・サクソン人とは
https://kotobank.jp/[...]
[211]
웹사이트
世界史用語解説:授業と学習のヒント
https://www.y-histor[...]
[212]
웹사이트
WASPとロータリー
https://genryu.org/t[...]
[213]
웹사이트
WASPとロータリー2
https://genryu.org/r[...]
[214]
웹사이트
世界ところかわれば
http://www.yuki-enis[...]
2022-04-15
[215]
서적
Origins of the English Language: A Social and Linguistic History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1986
[216]
서적
The Anglo-Saxon World
Yale University Press
2013
[217]
서적
The Anglo-Saxon World
Yale University Press
2013
[21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English Language: Vol 1: the Beginnings to 1066
1992
[219]
서적
The Anglo-Saxon World
Yale University Press
2013
[220]
서적
Rural Settlements and Society in Anglo-Saxon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21]
뉴스
Britons still live in Anglo-Saxon tribal kingdoms, Oxford University finds
https://www.telegrap[...]
Daily Telegraph
2015-03-18
[222]
논문
Bede's Angli: Angles or English?
1984
[223]
서적
Two Lives of Gildas by a Monk of Ruys, and Caradoc of Llancarfan
https://books.google[...]
Llanerch
2020-09-06
[224]
서적
The Northern Conquest: Vikings in Britain and Ireland
https://books.google[...]
Signal Books
2007
[225]
논문
Paul the Deacon and the Franks
1999
[226]
서적
Origins of the English
Duckworth Pub
2003
[227]
서적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
http://www.palgrave.[...]
Palgrave Macmillan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