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구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옥구군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옥구군 전 지역을 관할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군산시 선거구와 통합되어 군산시·옥구군 선거구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이요한, 지연해, 양일동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산시의 정치 - 군산시장 선거
군산시장 선거는 1995년부터 2022년까지 군산시장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선거로, 민주당 계열과 무소속 후보들이 경쟁하며 김길준, 강근호, 문동신, 강임준 등이 시장을 역임했고, 정치적 상황, 후보 역량, 지역 여론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여왔다. - 군산시의 정치 - 군산시 (2000년 선거구)
군산시 (2000년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계기로 군산시 갑, 군산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군산시 전역을 관할하다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산시 (2000년 선거구)
군산시 (2000년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계기로 군산시 갑, 군산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군산시 전역을 관할하다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옥구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옥구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전라북도 |
연도 | 1948 |
폐지 | 1963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군산시·옥구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옥구군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옥구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군산시 선거구와 통합, 군산시·옥구군 선거구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wikitable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wikitable
4. 역대 선거 결과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이요한 후보가 48.57%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당의 강유진 후보는 23.27%를 득표하였고, 한국민주당 임희철, 조남윤 후보는 각각 16.96%, 11.17%를 득표하였다. 무소속 김제욱, 고길모 후보는 득표를 하지 못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요한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20,453 | 48.57 |
강유진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9,801 | 23.27 |
임희철 | 한국민주당 | 7,143 | 16.96 |
조남윤 | 한국민주당 | 4,706 | 11.17 |
김제욱 | 무소속 | 0 | 0 |
고길모 | 무소속 | 0 | 0 |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지연해 후보가 7,582표(16.00%)를 얻어 당선되었다. 이요한 후보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으로 5,563표(11.74%), 무소속 양일동 후보는 5,328표(11.24%)를 얻었다. 그 외에, 대한국민당 강유진 후보는 4,825표(10.18%), 무소속 이종록 후보는 3,872표(8.17%), 무소속 한이석 후보는 3,267표(6.89%)를 기록했다. 무소속 황연규 후보는 3,006표(6.34%), 무소속 채중묵 후보는 2,853표(6.02%), 무소속 전세종 후보는 2,591표(5.47%)를 얻었다. 한국독립당 문정태 후보는 2,037표(4.30%), 무소속 이충노 후보는 1,816표(3.83%)를 기록했으며, 무소속 고평곤 후보는 1,748표(3.69%), 무소속 최만보 후보는 1,326표(2.79%), 무소속 문영섭 후보는 756표(1.59%), 무소속 문은철 후보는 560표(1.18%), 무소속 김선태 후보는 231표(0.48%)를 얻었다. 전체 투표수는 47,361표였다.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옥구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양일동 후보가 14,663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자유당 지연해 후보는 13,269표, 민주국민당 노긍식 후보는 9,120표, 무소속 강정태 후보는 6,623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두준창 후보는 4,601표를 얻는데 그쳤다.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양일동 후보가 52.41%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자유당 이을식 후보는 35.56%, 통일당 노긍식 후보는 12.02%를 득표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양일동 | 무소속 | 26,262 | 52.41 | |
이을식 | 자유당 | 17,818 | 35.56 | |
노긍식 | 통일당 | 6,023 | 12.02 | |
합계 | 50,103 |
4.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양일동 후보가 61.63%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3선에 성공하였다. 무소속 전평배 후보는 21.87%, 무소속 강근호 후보는 11.79%, 무소속 장수성 후보는 4.68%를 득표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