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사나 말라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옥사나 말라야는 1983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난 여성으로, 부모의 알코올 중독으로 인해 3세 때부터 개와 함께 생활하며 '개 소녀'로 알려졌다. 7세 반에 발견되었을 당시에는 개와 유사한 행동을 보였으나, 사회 복지 기관의 도움을 받아 치료와 교육을 받았다. 이후 농장에서 소를 돌보며 생활하며, 2013년에는 TV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자신을 보통 사람처럼 대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녀는 학습 장애는 있지만 자폐증은 보이지 않으며, 스트레스를 받으면 과거 개와 함께 살았던 시절의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생아 - 로물루스와 레무스
로물루스와 레무스는 로마 건국 신화 속 쌍둥이 형제로, 늑대의 젖을 먹고 자라 아물리우스를 죽이고 로마 건설 위치 다툼 중 로물루스가 레무스를 살해한 후 로마의 초대 왕이 되었으며, 이 신화는 로마의 기원과 정체성을 설명하는 핵심 이야기로서 예술, 문학,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야생아 - 카스파르 하우저
카스파르 하우저는 19세기 초 독일에서 유년 시절 기억을 잃은 채 나타나 논란을 일으킨 인물로, 그의 갑작스런 등장과 미스터리한 이야기는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며 대중문화 속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1983년 출생 - 김석우
김석우는 대한민국의 직업/분야이며,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며 대한민국의 진보적 가치 실현을 위해 노력한다. - 1983년 출생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옥사나 말라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옥사나 올렉산드리우나 말라야 |
로마자 표기 | Oksana Oleksandrivna Malaya |
출생일 | 1983년 11월 4일 |
출생지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노바 블라고비셴카 |
국적 | 우크라이나 |
알려진 이유 | 페럴 차일드 |
2. 생애
옥사나 말라야는 1983년 11월, 당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현재의 우크라이나) 호르노스타이우카 구 노바 블라호비시첸카 마을에서 태어났다.[3] 출생 시에는 정상적인 아이였으나,[3] 알코올 사용 장애가 있던 부모에게 방치되어 3살 때부터 집 근처 개들과 함께 살게 되었다.[2][4]
약 5년 후인 7살 반(일부 기록에는 8살) 무렵 발견되었을 당시, 옥사나는 말을 거의 하지 못하고 네 발로 기어 다니며 짖는 등 개와 유사한 행동을 보였다.[3] 기본적인 생활 기술과 사회성이 부족한 상태였다. 발견 후 사회 복지 기관에 의해 부모와 분리되어[5] 오데사주 오비디오폴 구 바라볼에 있는 정신 지체 아동을 위한 위탁 가정으로 옮겨졌다.
그곳에서 수년간 전문적인 치료와 교육을 받으며 사람의 언어를 배우고 개와 같은 행동을 상당 부분 교정했다. 성인이 된 후에는 개와 같은 행동을 억제하고 유창하게 말하는 법을 배웠으며,[8] 2006년부터는 정신 장애인 자립을 위한 시설(목장)에서 소를 돌보는 일을 하며 지내고 있다.[1][8] 그러나 여전히 어느 정도의 지적 장애와 학습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6] 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과거의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9]
그녀의 이야기는 영국 채널 4, 포르투갈 SIC, 러시아 NTV 등 여러 방송사의 다큐멘터리를 통해 알려졌으며,[7] 언론에도 여러 차례 보도되었다. 2013년에는 우크라이나 TV 토크쇼 ''호보리트 우크라이나''에 출연하여[8][10] 자신을 "개 소녀"로 부르는 것에 대한 불쾌감을 표현하고 평범한 사람으로 대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생모를 찾고 싶다는 소망을 밝히기도 했다.[8] 전문가들은 그녀가 일반적인 사회 구성원으로 완전히 재활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2. 1. 어린 시절
옥사나 말라야는 1983년 11월, 당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현재의 우크라이나) 호르노스타이우카 구 노바 블라호비시첸카 마을에서 태어났다.[3] 의사와 의무 기록에 따르면, 그녀는 출생 시 정상적인 아이였다.[3] 그러나 알코올 사용 장애가 있던 부모는 그녀를 제대로 돌보지 못했고,[2][4] 결국 3살 때 집 뒤편 개집에서 개들과 함께 살기 시작했다.[2][4]약 5년간 개의 무리 속에서 살면서, 옥사나는 개처럼 짖고 네 발로 기어 다녔으며, 음식을 먹기 전에는 냄새를 맡는 습관을 보였다. 그녀가 7살 반 혹은 8살 무렵 당국이나 인근 주민에게 발견되었을 때,[2][4] 말을 거의 하지 못했고 기본적인 생활 기술이 부족했으며, 신체적으로 네 발로 걷고, 짖으며, 바닥에서 자고, 개처럼 먹고 위생 관리를 하는 등 개와 유사한 행동을 보였다.[3] 또한 인간적인 사회성이나 정서 발달도 부족한 상태였다.
발견 후, 옥사나는 사회 복지 기관에 의해 부모의 양육 환경에서 벗어나[5] 오데사주 오비디오폴 구의 시골 지역인 바라볼에 있는 정신 지체 아동을 위한 위탁 가정(또는 정신 장애자 시설)으로 옮겨졌다.
2. 2. 발견 및 보호
옥사나 말라야는 3살 때 알코올 사용 장애가 있는 부모에게 방치되어 집 뒤 개집에서 개들과 함께 살기 시작했다.[2][4] 그 결과 그녀는 개 무리 속에서 자라며 개처럼 짖고, 네 발로 기어 다니며, 음식을 먹기 전 냄새를 맡는 등의 행동 습성을 갖게 되었다.8살 때(일부 기록에는 7살 반[3]) 인근 주민에게 발견되었는데, 당시 말라야는 말을 거의 하지 못했고 기본적인 인간 사회의 기술이나 사회성, 정서가 결여된 상태였다.[3] 발견 후, 당국은 사회 복지 기관을 통해 말라야를 부모로부터 분리시켰다.[5]
이후 말라야는 오데사주 오비디오폴 구 바라볼에 있는 정신 지체 아동을 위한 위탁 가정으로 옮겨졌고, 정신 장애자를 위한 시설에도 수용되었다. 그곳에서 행동, 사회성,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년간 전문적인 치료와 교육을 받았다. 이 과정을 통해 사람의 언어를 이해하고 말할 수 있게 되었으며, 개와 같은 행동의 많은 부분이 교정되었다. 그러나 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과거 개와 함께 살던 시절의 행동을 보이기도 했다.[9] 2006년에는 정신 장애인의 자립을 돕는 목장 시설로 옮겨져 소를 돌보는 일을 하며 지내게 되었다. 채널 4 다큐멘터리와 포르투갈 SIC 채널 다큐멘터리에서 그녀의 의사들은 말라야가 "정상적인" 사회로 완전히 재활될 가능성은 낮다고 언급했다. 2001년에는 러시아 TV 채널 "NTV"가 그녀의 삶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기도 했다.[7]
2. 3. 치료 및 회복
8살 때 발견된 말라야는 사회 복지 기관에 의해 부모의 양육에서 벗어나게 되었다.[5] 이후 오데사주 오비디오폴 구 바라볼에 있는 정신 지체 아동을 위한 위탁 가정으로 옮겨져, 행동, 사회 및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년간 전문적인 치료와 교육을 받았다. 이 과정을 통해 사람의 언어를 이해하고 말할 수 있게 되었으며, 개와 같은 행동의 많은 부분이 교정되었다. 그러나 심한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과거 개와 함께 살았던 시절의 행동을 보이기도 했다.[9]성인이 된 말라야는 개와 같은 행동을 억제하는 법을 배웠고, 유창하고 이해할 수 있게 말하는 법을 배웠다.[8] 2006년부터는 정신 장애인 자립을 위한 시설(목장)에서 소를 돌보는 일을 하며 지내고 있다.[1][8] 하지만 여전히 어느 정도의 지적 장애와 학습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6] 야생아에게 흔히 나타나는 자폐증 증상은 보이지 않는다.
영국 채널 4와 포르투갈 SIC 채널 다큐멘터리에서 그녀의 의사들은 말라야가 "정상적인" 사회로 완전히 재활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2001년에는 러시아 TV 채널 NTV가 그녀의 삶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했으며,[7] 언론에서도 그녀에 대한 여러 기사가 실렸다.
2013년, 말라야는 우크라이나 국영 TV의 토크쇼 ''호보리트 우크라이나''에 출연하여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고 질문에 답했다.[8][10] 이 쇼에서 말라야는 자신을 보통 사람처럼 대해주기를 원하며,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개 소녀"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 불쾌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녀는 오빠들이 자신을 더 자주 방문해 주기를 원하며, 인생의 가장 큰 꿈은 생모를 찾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남자 친구, 국립 위탁 가정에서의 삶, 농장에서 동물들과 함께 하는 일에 대해서도 이야기했다.[8]
2. 4. 사회 복귀 노력과 한계
말라야는 사회 복지 기관에 의해 부모로부터 분리되어[5] 오데사주 오비디오폴 구 바라볼에 있는 정신 지체 아동을 위한 위탁 가정으로 보내졌다. 이곳에서 그녀는 행동, 사회 및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년간 전문적인 치료와 교육을 받았다.성인이 된 말라야는 개와 같은 행동을 상당 부분 억제하고, 유창하게 말하는 법을 배웠다.[8] 2006년부터는 정신 장애인의 자립을 돕는 시설인 목장에서 소를 돌보는 일을 하며 지내고 있다.[1][8] 하지만 여전히 어느 정도의 지적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6] 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과거 개와 함께 살던 시절의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9] 또한 학습 장애가 있지만, 야생아에게 흔히 나타나는 자폐증 증상은 보이지 않는다.
영국 채널 4와 포르투갈 SIC 채널의 다큐멘터리에서 그녀를 치료한 의사들은 말라야가 일반적인 사회 구성원으로 완전히 복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2001년에는 러시아 TV 채널 NTV가 그녀의 삶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했으며,[7] 이후 여러 언론에서 그녀의 사연을 다루었다.
2013년, 말라야는 우크라이나 국영 TV 토크쇼 ''호보리트 우크라이나''에 출연하여 자신의 이야기를 직접 전했다.[8] 이 방송에서 그녀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개 소녀"라고 부르는 것에 불쾌감을 표현하며, 평범한 사람으로 대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8] 또한 오빠들이 더 자주 찾아와 주기를 바라고, 생모를 찾는 것이 가장 큰 소원이라고 밝혔다.[8] 이 외에도 남자 친구, 위탁 가정에서의 생활, 농장에서 동물들과 함께하는 일상에 대해 이야기했다.[8]
참조
[1]
뉴스
Cry of an enfant sauvage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6-07-17
[2]
뉴스
Oxana Malaya – the Russian feral child raised by dogs
https://mysteriesrun[...]
2012-07-31
[3]
웹사이트
http://fakty.ua/7145[...]
[4]
웹사이트
Cry of an enfant sauvage
https://www.telegrap[...]
[5]
웹사이트
Cry of an enfant sauvage
https://www.telegrap[...]
[6]
간행물
У героини публикации «фактов» оксаны малой, которая выросла в… Собачьей конуре, нашлись родной брат и маленькая племянница, тоже оксана
http://fakty.ua/7145[...]
Fakty i kommentarii
[7]
웹사이트
http://4sale.ntv.ru/[...]
[8]
Youtube
Меня воспитали собаки
https://www.youtube.[...]
[9]
문서
The continuing story of Oxana Malaya, girl raised by dogs
http://dogsinthenews[...]
[10]
Youtube
Меня воспитали собаки | Говорить Україна - YouTube
https://www.youtube.[...]
[11]
웹인용
23살로 성장한 '개들이 키운 소녀'
https://www.joongang[...]
2022-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