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생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생아는 문화적 환경에서 습득해야 할 사회적 기술이 부족한 사람을 의미하며, 언어 습득의 어려움과 독특한 행동 양상을 보인다. 야생아는 동물에게 길러지거나, 고립된 환경에서 성장하거나, 방치된 경우로 분류되며, 각 유형에 따라 다양한 사례가 보고된다. 이러한 사례들은 언어 발달의 결정적 시기, 사회화의 중요성 등을 보여주는 근거로 활용된다. 야생아는 신화, 전설, 소설, 영화 등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며, 로마 신화의 로물루스와 레무스, 러디어드 키플링의 모글리,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의 타잔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생아 - 로물루스와 레무스
    로물루스와 레무스는 로마 건국 신화 속 쌍둥이 형제로, 늑대의 젖을 먹고 자라 아물리우스를 죽이고 로마 건설 위치 다툼 중 로물루스가 레무스를 살해한 후 로마의 초대 왕이 되었으며, 이 신화는 로마의 기원과 정체성을 설명하는 핵심 이야기로서 예술, 문학,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야생아 - 카스파르 하우저
    카스파르 하우저는 19세기 초 독일에서 유년 시절 기억을 잃은 채 나타나 논란을 일으킨 인물로, 그의 갑작스런 등장과 미스터리한 이야기는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며 대중문화 속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인간과 동물 - 수간
    수간은 인간과 동물 사이의 성적 행위를 지칭하며 종교와 사회에서 금기시되었으나, 역사적으로 발생해 왔고 현대에는 동물학대 및 성적 자기결정권과 관련된 윤리적·법적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인간과 동물 - 애완동물
    애완동물은 인간이 기르는 동물을 의미하며, 고대부터 다양한 종류가 길러졌고, 현대에는 인간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동물 관련 문제점과 과제도 안고 있다.
  • 전형적 등장인물 - 사이보그
    사이보그는 인공 부위를 이식받아 신체 기능이 복원되거나 향상된 개조 생명체로, 보철, 인공 장기 등의 기술을 포함하며 의료, 윤리, 군사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의를 낳고 있다.
  • 전형적 등장인물 - 슈퍼빌런
    슈퍼빌런은 만화, 영화, 소설 등에서 슈퍼히어로에 대립하는 악당 캐릭터로, 초인적인 힘, 지능, 기술, 재력 등을 가지고 세계 정복이나 복수와 같은 악한 목적을 추구하며, 조커, 렉스 루터 등이 대표적이다.
야생아
개요
정의어린 시절부터 인간과의 접촉 없이 고립되어 자란 아이
다른 이름늑대 아이
길러진 아이
격리된 아이
원인유기
감금
사회적 고립
특징언어 능력 부족
사회성 부족
인간과의 관계 형성 어려움
특이한 행동 양식 (동물 흉내 등)
역사적 사례
빅토르 아베롱18세기 프랑스에서 발견된 야생아. 장 마르크 가스파르에 의해 교육받았으나 완전한 사회화에는 실패함.
카말라와 아말라1920년 인도에서 발견된 두 소녀. 늑대에게 길러진 것으로 추정됨.
지니1970년 미국에서 발견된 소녀. 유아기부터 심한 격리 상태에서 자라 언어 발달에 심각한 장애를 보임.
사회학적 관점
사회화의 중요성인간 발달에 있어 사회적 상호작용과 학습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
사회적 고립의 영향사회적 고립이 개인의 정신적,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강조
윤리적 고려 사항
연구 윤리야생아 연구 과정에서 개인의 존엄성과 권리 보호의 중요성
치료 및 교육사회 복귀를 위한 치료 및 교육 접근 방식에 대한 논의
관련 용어
사회화개인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해가는 과정
격리사회적 접촉을 차단하거나 제한하는 행위
아동 학대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복지를 해치는 행위

2. 정의 및 분류

야생아는 인간 사회와 격리되어 성장한 아이들을 말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문화화 과정에서 습득하는 기본적인 사회적 기술이 부족하다.[3] 예를 들어 화장실 사용법을 배우지 못하거나, 네 발로 걷다가 똑바로 걷는 것을 배우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주변 사람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야생아는 언어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데, 이는 언어 학습에 결정적 시기가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4][5]

야생아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동물에게 양육된 아이: 동물에 의해 양육된 경우이다. 늑대, 곰, 원숭이 등 다양한 동물들이 아이를 키운 사례가 보고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아마라와 카말라가 있다.
  • 고립된 환경에서 성장한 아이: 숲 등에서 조난당하거나 버려져 인간과의 접촉 없이 생존한 경우이다. 아베론의 야생아가 대표적인 예이다.
  • 방치되거나 유폐된 아이: 유년기에 적절한 양육을 받지 못하고 장기간 유폐되거나 방치된 경우이다. 카스파 하우저가 이에 해당한다.


아마라와 카말라, 아베론의 야생아, 카스파 하우저는 야생아 연구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하지만, "동물에게 양육된 아이"의 경우, 대부분의 이야기가 실제로는 발달 장애 등으로 인해 버려진 "고립된 환경에서 성장한 아이"를 동물과 결부시킨 창작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정설이다.

2. 1. 동물에 의해 양육된 아이

디나 사니차르, 1889–1894년경


카스파 하우저


동물에게 길러진 아이들은 해당 동물의 행동 양식을 모방하며, 인간 사회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다음은 동물에게 양육된 아이들의 몇 가지 사례이다.

이름발견 연도양육 동물국가비고
아마라와 카말라1926년늑대인도[6]
로물루스와 레무스-늑대-신화 속 인물
루카스1903년개코원숭이남아프리카 공화국[8][9][10]
마리나 채프먼-흰뺨원숭이콜롬비아5세에서 9세까지 아마존 열대우림에서 삶[11]
1974년회색 원숭이부룬디[12][13]
로버트 마얀자1982년검은털원숭이우간다우간다 내전 당시 부모를 잃고 3년간 생존[14]
사터데이 음티야네 (미푸네)1987년원숭이남아프리카 공화국 콰줄루나탈주2005년 화재로 사망[15][16]
존 세부냐-검은털원숭이우간다스페셜 올림픽에 두 번 출전[17][18]
헤센 늑대 아이들1304년, 1341년, 1344년유라시아 늑대헤세 숲[19][40]
하순푸르 늑대 소년1843년늑대-이후 운명은 불명[20]
디나 사니차르1872년인도 늑대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말을 배우지 못함[22][23]
마르코스 로드리게스 판토하-이베리아 늑대스페인 시에라 모레나12년 동안 산맥에서 삶[24]
옥사나 말라야1991년검은 러시아 테리어우크라이나지적 장애가 있음[28][29]
이반 미슈코프1998년야생견러시아 레우토프러시아 육군에서 복무[31]
칠레 개 소년2001년길거리 개칠레말을 거의 하지 않음[32]
트라이안 컬더라르2002년-루마니아"루마니아 개 소년", "모글리"로 불림[33]
안드레이 톨스틱2004년시베리아[30]
마디나2013년러시아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25]
덴마크 소년1619년-[20]
리투아니아 곰 소년1663년유라시아불곰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37]
아일랜드 소년1672년-니콜라스 튤프의 《관찰 의학》에 기록[19][35][36]
키르기스스탄 양 소년2009년키르기스스탄8년 동안 양에게 길러짐[38]
밤베르크 소년16세기 말-[19][40]
안데스 염소 소년 (다니엘)1990년비쿠냐 또는 라마 (염소)페루[39]
장 드 리에주---1644년 두 논문에서 묘사
안나 마리아 제나르트1717년--크라넨부르크 근처 츠볼레에서 붙잡힘[20]
오라니엔부르크 소녀1717년--[19][40]
두 명의 피레네 소년1719년--프랑스 쪽에서 발견[19][40]
이소의 소녀1719년?--[20][43]
피레네 산맥의 야생인1723년--사냥꾼들에게 붙잡혔지만 탈출[21]
야생 소년 페터1724년--피트-홉킨스 증후군을 앓는 정신 지체 소년[19][40]
피레네 산맥의 남자1774년--이바리 숲에서 발견[43][44]
피레네 산맥의 소년1775년--[21]
아베론의 빅토르1800년--12년 동안 아베론 숲에서 삶[45]
마리-앙젤리크 벰미 레 블랑--프랑스성인이 되어 읽고 쓰는 법을 배움[47]
카푸바르의 하니 이스토크1749년-헝가리"습지의 스티브"
카스파 하우저19세기 초--초기 고립에 대한 이야기는 날조 가능성
라마찬드라1970년대-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1982년 사망[51]
캄보디아 정글 소녀2007년-캄보디아2016년 베트남으로 돌아감[52][53]
응 차이디2012년-인도 미조람 근처 사이하38년 만에 귀환[54]
호 반 랑2013년-베트남 꽝응아이베트남 전쟁 피해 40년 고립, 2021년 간암으로 사망[55][58]


2. 2. 고립된 환경에서 성장한 아이

인간과의 접촉 없이 성장한 아이들은 문화화 과정에서 습득하는 기본적인 사회적 기술이 부족하여 언어 및 사회성 발달에 심각한 지장을 받는다. 예를 들어, 화장실 사용법을 배우지 못하거나, 평생 네 발로 걷다가 똑바로 걷는 것을 배우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주변의 인간 활동에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을 수 있다.[3]

인간 언어를 배우는 데에는 거의 극복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겪는다.[3] 수년 동안 격리된 후 자연어를 배우는 능력이 손상되는 것은 언어 학습에 대한 결정적 시기가 존재하기 때문이며, 이는 결정적 시기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여겨진다.[4][5]

아베론의 빅토르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빅토르는 12년 동안 아베론 숲에서 야생아로 살았다.[45] 이 사례는 프랑수아 트뤼포의 1970년 영화 ''야생 소년''(영국: ''The Wild Boy'', 미국: ''The Wild Child'')에서 다루어졌는데, 야생 소년을 재활시키려는 과학자의 노력이 큰 어려움에 부딪히는 모습을 보여준다.[46]

2. 3. 방치되거나 유폐된 아이

카스파 하우저와 지니처럼, 부모에게 방치되거나 학대받아 사회와 격리된 아이들은 심각한 정서적, 신체적 발달 지연을 보인다.[5] 이러한 사례는 언어 습득과 같은 특정 발달 단계에 '결정적 시기'가 존재함을 시사한다.[4][5]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이름발견 연도설명
이자벨1938거의 7살까지 청각 장애가 있는 어머니와 어두운 방에 격리되어 자랐다. 발견 후 7개월 만에 1,500~2,000 단어의 어휘를 습득하고 정상적인 언어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62][63]
안나19386살에 발견될 때까지 창고에 갇혀 지냈다. 영양실조와 근위축증을 겪었으며, 발견 당시에는 움직이거나 말하거나 인지 능력을 보이는 어떤 행동도 할 수 없었다. 위탁 가정에서 점차 개선되었으나, 10세에 황달로 사망했다.[65]
지니197013년 7개월 동안 방에 갇혀 변기에 묶이거나 아기 침대에 묶여 지냈다. 아버지에게 학대를 당했으며, 언어 발달에 어려움을 겪었다.[66][67]
수지트 쿠마르1979피지의 닭 소년으로 불린 그는 뇌성마비와 간질을 앓았다. 어머니의 자살 후 아버지에 의해 닭장 아래에 갇혀 살았다. 구조 후에도 말을 배우지 못하고 심각한 장애를 가졌다.[73]
다니엘 크로켓2005플로리다주 출신으로, 7년간 방에 갇혀 인간과의 교류를 박탈당했다. 발견 후 입양되었으며, 현재 그룹 홈에서 살고 있다. 말을 배우지 못했지만, 다른 사람과의 접촉, 눈 맞춤, 수영 등에서 진전을 보였다.[74][75][76][77]
바냐 유딘2008러시아 새 소년으로 불린 7세 소년. 어머니에게 애완동물처럼 취급받으며 새들과 함께 살았다. 발견 당시 날갯짓과 지저귀는 소리로만 소통했다.[78]
나타샤2009자바이칼 지방 치타 출신의 5세 소녀. 고양이, 개와 함께 난방, 물, 하수 시설이 없는 방에 갇혀 지냈다. 말을 할 수 없었고, 동물의 행동을 보였다.[79][80]
사샤 T.20122세 된 러시아 소년으로, 어머니에 의해 염소와 함께 방에 갇혀 지냈다. 인간과의 접촉이 없어 말을 배우지 못했다.[81]


3. 야생아의 특징

야생아는 인간 사회와 격리된 환경에서 성장하면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일반적으로 문화화 과정에서 습득하는 기본적인 사회적 기술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화장실 사용법을 배우지 못하거나, 평생 네 발로 걷다가 똑바로 걷는 것을 배우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주변의 인간 활동에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을 수 있다.
  • 종종 정신적으로 손상된 것처럼 보이며, 거의 극복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겪으며 인간 언어를 배우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3] 수년 동안 격리된 후 자연어를 배우는 능력이 손상된 것은 종종 언어 학습에 대한 결정적 시기의 존재에 기인하며, 이는 결정적 시기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여겨진다.[4][5]
  • 린네는 저서 『자연의 체계』에서 야생아의 특징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했다.[103]
  • 네 발로 걷는다.
  • 말을 하지 못한다.
  • 털로 덮여 있다.
  • 이 중 털로 덮여 있다는 특징은 타당하지 않지만,[104] 정상적인 보행이 어렵고, 음성 언어를 가지지 못한다는 특징은 많은 사례에 부합한다.[105]
  •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
  • 더위나 추위를 느끼지 못하는 등 감각 기능이 저하되어 있다.
  • 정서가 빈약하고 인간 사회를 피한다.
  • 수치심이 없고 의복을 착용하려 하지 않는다.
  • 해당하는 나이가 되어도 성적 욕구가 잘 나타나지 않거나 나타나도 적절한 대상과 연결하지 못한다.
  • 생고기, 내장 등 조리되지 않은 식품을 선호한다.[106]

4. 주요 사례

1600년대 이전에는 야생아에 대한 이야기가 주로 신화와 전설에 국한되었으며, 18세기와 19세기에 과학이 인간 발달을 연구하면서 야생아에 대한 관심이 진지하게 받아들여졌다. 20세기 심리학자들은 생물학적 행동과 문화를 구분하려 했으며, 고립된 환경에서 자란 야생아는 이러한 딜레마에 대한 사례를 제공했다.

역사학자 헤로도토스는 이집트의 파라오 프삼티크 1세언어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 두 아이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고 기록했다. 갓 태어난 두 아기를 양치기에게 맡겨 아무도 말을 걸지 못하게 하고, 첫 마디를 들어보라고 지시했다. 아이들이 ''베코스''(bekos)라고 외치자, 양치기는 그 단어가 프리지아어로 빵을 뜻하는 단어라고 결론 내렸다.

2008년 벨기에 신문 ''르 수아르''[82]가 ''미샤: 홀로코스트의 기억'' 및 영화 Survivre avec les loups프랑스어가 미디어 사기극이라고 폭로한 이후, 프랑스 언론은 수많은 야생아 사건들의 신뢰성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 세르주 아롤레스(L'Enigme des Enfants-loups프랑스어)에 따르면, 많은 주장된 사건들은 허구적인 이야기이다.

다음은 주요 야생아 사례를 정리한 표이다.

이름발견 연도발견 장소특징비고
데블스 강의 로보 늑대 소녀1845미국 텍사스늑대 무리와 함께 발견, 1846년 포획 후 탈출, 1852년 마지막 목격 [60]텍사스 민속
빈센테 카우카우1948칠레퓨마에게 길러졌다고 전해짐 [61]
크론슈타트의 10대 소년1781헝가리정신 장애, 갑상선종을 앓고 있었으며, 돈을 받고 전시됨 [19][40][83]사기극
시리아 가젤 소년1946시리아가젤 무리 속에서 발견, 시속 50km로 달릴 수 있었다고 함사기극 추정
아말라와 카말라1920인도 콜카타 지역 미드나푸르선교사들에 의해 발견되었다고 주장싱 목사의 고아원 기부금 모금을 위한 사기극으로 밝혀짐[37][84]
인도 러크나우의 라무1954인도늑대에게 잡혀 정글에서 7살까지 자람[85]세르주 아롤레스에 의해 사기극으로 분류
슬로바키아 크루피나의 곰 소녀1767슬로바키아세르주 아롤레스는 크루피나 기록에서 흔적을 찾지 못함 [19][40]


4. 1. 역사적 사례


  • 리에주의 장. 케넘 딕비 경은 저서 ''두 논문''(1644)에서 그를 묘사했다. 장은 다섯 살 때 종교 전쟁 중 마을 사람들과 숲 속에 숨었다. 전투 후에도 16년 동안 인간과의 접촉 없이 숲에서 살았다. 21세에 "나체에, '머리카락이 온통 뒤덮인 채' 말을 할 수 없는" 상태로 발견되었다. 인간 사회에 재통합되어 말하는 법을 배웠지만 예민한 감각은 잃었다.[36]
  • 안나 마리아 제나르트 (1717), 크라넨부르크 근처 츠볼레에서 붙잡혔다. 1698년 앤트워프에서 태어나 1700년 16개월 때 납치되었다. 최근 사망한 상인의 정부가 데려갔는데, 상인은 정부의 (역시 사망한) 아기에게 5000USD를 유증했다. 정부는 돈을 받기 위해 제나르트를 자신의 아이인 척 데려갔다. 말을 할 수 없고 잎과 풀로 연명하는 상태로 발견되었다. 1718년 1월, 신문에서 그녀의 이야기를 다룬 후 신원이 확인되어 어머니와 재회했다. 말을 배우지 못했지만 어머니를 알아보고 인간 사회에 적응했다.[20]
  • 오라니엔부르크 소녀 (1717).[19][40]
  • 두 명의 피레네 소년 (1719).[19][40] "사족보행으로 산을 뛰어다니고, 샤무아처럼 바위에서 바위로 뛰어넘었다"고 보고되었다. 프랑스 쪽에서 발견되었지만 붙잡히지는 않았다.[41][42]
  • 이소의 소녀 (1719?)는 8세에 친구들과 피레네 산맥의 숲에서 길을 잃었고 16세에 양치기 무리에 의해 발견되었다. 인간 사회를 싫어했고 숲으로 돌아가고 싶어했다.[20][43]
  • 피레네 산맥의 야생인 (1723). 사냥꾼들에게 붙잡혔지만 인간 사회에 재통합되기 전에 탈출했다.[21]
  • 야생 소년 페터 (1724)[19][40] – 피트-홉킨스 증후군을 앓는 정신 지체 소년.
  • 피레네 산맥의 또 다른 남자 (1774). 이바리 숲에서 양치기들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바위에 살았고" "온순한 성격"과 "고독하지만 쾌활한 존재"로 묘사되었으며, 인근 노동자들의 오두막을 해롭게 방문하지 않았다. 어떤 동물도 해치려고 시도하지 않았고, 양치기 개들이 쫓아오면 항상 앞질러 달아났다. 30세 정도로 보였으며, 유아기에 길을 잃고 "풀로 연명했다"고 추정되었다.[43][44]
  • 피레네 산맥의 또 다른 소년 (1775).[21]
  • 아베론의 빅토르 (1800) – 12년 동안 아베론 숲에서 야생아로 살았다.[45] 이 주제는 프랑수아 트뤼포의 1970년 영화 ''야생 소년''에서 다루어졌다.[46]
  • 마리-앙젤리크 벰미 레 블랑은 프랑스에서 18세기의 유명한 야생아였으며, 샹파뉴의 야생 소녀, 샬롱의 메이드, 또는 송이의 야생 소녀로 알려졌다. 9세에서 19세 사이에 프랑스 숲에서 10년 동안 야생에서 살다가 1731년 9월 샹파뉴의 송이에서 마을 사람들에게 붙잡혔다. 1712년 메스쿼키 (또는 "폭스") 부족의 아메리카 원주민으로 태어나 1720년에 프랑스로 데려왔을 가능성이 높다.[47] 1775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문서에 따르면 성인이 되어 읽고 쓰는 법을 배웠는데, 이는 그녀를 야생아들 중에서 독특하게 만든다.
  • 카푸바르의 하니 이스토크 (일명 습지의 스티브), 헝가리 (1749). 카푸바르 가톨릭 교구에 보관된 문서에 따르면, 버려진 아이가 두 명의 어부에 의해 습지 호숫가 숲에서 발견되었다. 카푸바르 마을로 데려와 세례를 받고 스티븐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지역 총독이 자신의 성으로 데려가 키우려고 했지만, 소년은 탈출하여 숲으로 되돌아갔다. 이후 그의 인물에 대한 수많은 민담이 발전했는데, 그를 근처 호수에 사는 "반은 물고기, 반은 인간의 존재"로 묘사했다.[49]
  • 카스파 하우저 (19세기 초), 1974년 베르너 헤어초크 영화 ''카스파 하우저의 수수께끼''에 묘사되었다.[50] 그는 실제로 존재했지만 초기 고립에 대한 이야기는 날조되었을 수 있다.
  • 라마찬드라 (1970년대와 1980년대) – 1973년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약 12세였고 쿠와노 강에서 수생 생물 생활을 했다. 1979년에 구조되어 인근 마을로 데려갔다. 부분적으로만 재래식 생활에 적응했으며, 여전히 날 음식을 선호하고, 어색한 걸음걸이로 걷고, 대부분의 시간을 인근 강과 시내에서 혼자 보냈다. 1982년 두려워하는 여인에게 접근한 후 끓는 물에 심하게 화상을 입고 사망했다. 역사학자 마이크 대시[51]는 라마찬드라의 이례적으로 대담한 여인 접근이 문화적 도덕과 금기에 대한 무지와 결합된 성적 매력의 싹틈에 의해 촉발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 캄보디아 정글 소녀 (2007) – 19년 동안 캄보디아 정글에서 산 로촘 픙니엥으로 추정된다.[52] 2016년 8월, 이민 관리들이 2주 동안 조사를 벌인 후, 여성은 가족과 함께 캄보디아를 떠나 베트남으로 돌아갔다. 베트남 언론은 친부가 페이스북 사진을 통해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캄보디아에서 양부모와 함께 사는 동안 말을 배우지 못했고, 베트남 친가에 따르면 태어날 때부터 그랬다.
  • 응 차이디, 근처 사이하, 미조람, 인도 (2012) – 네 살 때 정글에서 실종되어 38년 만에 돌아왔다. 처음 발견되었을 때, 옷을 입지 않고, 머리카락이 길고, 손톱이 길어 "야생인"으로 여겨졌다.[54]
  • 호 반 랑 (2013)은 꽝응아이, 베트남에서 발견되었다.[55] 아버지 호 반 탄은 베트남 전쟁을 피해 그를 정글로 데려갔고 (형 호 반 트리 남김) 40년 동안 고립된 채 길러졌다. 발견 당시 코족 소수 민족의 방언을 거의 말하지 못했다.[56] 형에 따르면, 아이처럼 발달이 멈췄고 좋고 나쁨을 구별할 수 없었다.[57] 2021년 9월 7일 52세의 나이로 간암으로 사망했다.[58]


헤로도토스는 이집트의 파라오 프삼티크 1세언어의 기원을 밝히고, 이집트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민족임을 증명하기 위해 두 아이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고 기록했다. 갓 태어난 두 아기를 양치기에게 맡기면서 아무도 말을 걸지 말고, 양치기는 아이들에게 먹을 것을 주고 돌보면서 첫 마디를 들어보라고 지시했다. 가설은 첫 마디가 모든 사람의 근본 언어로 발화될 것이라는 것이었다. 두 아이 모두 팔을 뻗으며 ''베코스''(bekos)라고 외치자, 양치기는 그 단어가 프리지아어라고 결론 내렸다. 빵을 뜻하는 프리지아어 단어의 소리가 그것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리지아인이 이집트인보다 더 오래된 민족이라고 결론 내렸다.

  • 데블스 강의 로보 늑대 소녀 (1845) – 텍사스 민속에서 등장하는 인물로, 1846년에 붙잡혔지만 탈출했다. 1852년 17세의 나이로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60] 1835년 5월 사냥꾼 부부 몰리 덴트와 존 덴트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존은 몰리의 출산을 돕기 위해 근처의 멕시코 염소 목장에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떠났다. 돌아온 존은 몰리가 죽어있는 것을 발견했고, 아기는 늑대에게 잡아먹힌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1845년 늑대 무리가 염소 떼를 공격하는 것을 돕는 모습이 목격되었고, 이듬해에는 생 염소 고기를 먹는 모습이 목격되었다. 잠시 목장에 갇혔지만, 목장이 늑대들의 공격을 받았고, 혼란 속에 탈출했다. 1852년 엘파소 근처 강가에서 두 마리의 늑대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모습이 마지막으로 목격되었지만, 그 후 사라졌다.[20]
  • 빈센테 카우카우 (1948) – 12세의 나이에 야생 상태로 발견된 칠레 소년으로, 퓨마에 의해 길러졌다고 전해진다.[61]

4. 2. 동물에게 양육된 사례


  • 디나 사니차르는 1872년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 아그라 인근 시칸드라의 동굴에서 인도 늑대와 함께 발견되었으며, 발견 당시 6세였다. 그는 20년 넘게 인간과 함께 살면서 흡연을 배우는 등 여러가지를 했지만, 말을 배우지 못했고 평생 심각한 장애를 겪었다.[22][23]

  • 마르코스 로드리게스 판토하(시에라 모레나, 스페인)는 12년 동안 스페인 남부 산맥에서 이베리아 늑대와 함께 살았다. 그는 19세에 발견되었다.[24] 로드리게스의 이야기는 2010년 스페인-독일 영화 ''Entrelobos''에 묘사되었다. 젊은 배우 마누엘 카마초는 로드리게스 역을 연기하여 2011 고야상에서 ''신인 배우상'' 후보에 올랐다.
  • 옥사나 말라야는 1991년 6년 동안 검은 러시아 테리어와 함께 산 8살 우크라이나 소녀로 개들과 함께 개집에서 발견되었다. 알코올 중독자였던 부모에게 방치되었던 그녀는 세 살 때, 위안을 찾던 중 농장에 기어 들어가 개들과 비볐다. 그녀의 행동은 인간보다 개를 더 많이 모방했다. 그녀는 네 발로 걷고, 이를 드러내고, 짖었다. 사회 복지사에 의해 부모의 보호에서 벗어난 그녀는 인간과의 접촉이 부족했기 때문에 '예'와 '아니오' 외에는 어떤 단어도 몰랐다.[25] 성인이 된 후, 옥사나는 개의 행동을 억제하도록 배웠다. 그녀는 유창하고 지적으로 말하는 법을 배웠고[26] 농장에서 소젖을 짜는 일을 하지만,[27][26] 여전히 약간 지적으로 장애가 있다.[28][29]
  • 이반 미슈코프는 1998년 러시아 레우토프에서 태어난 6살 소년으로, 2년 동안 함께 살았던 야생견으로부터 경찰에 의해 구조되었다. 그는 4살 때 어머니와 알코올 중독자인 그녀의 폭력적인 남자친구에게서 도망쳤다. 그는 개들에게 음식을 줌으로써 그들의 신뢰를 얻었고, 그 대가로 개들은 그를 보호했다.[30] 그 소년은 무리에서 "알파 수컷"이 되었다.[30] 경찰이 그를 발견했을 때, 그들은 음식점에서 음식을 남겨 그와 개들을 함정에 빠뜨렸다.[30] 그는 개들 사이에서 2년 동안 살았기 때문에, 언어를 비교적 빠르게 다시 배웠다.[31] 그는 군사 학교에서 공부했고 러시아 육군에서 복무했다.[31]
  • 우간다 출신의 존 세부냐는 아버지에 의해 어머니가 살해당하고 아버지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을 때 유아였다. 보호 시설에 들어가는 대신, 그는 검은털원숭이들과 함께 살게 되었다. 2년 동안 그는 먹이를 구하고 이동하는 법을 배웠다. 원숭이들은 야생에서 그를 보호했다. 그가 일곱 살쯤 되었을 때 그는 문명 사회로 돌아왔다. 한 지역 주민에 따르면, 그가 어렸을 때 그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소통 방식은 울음과 음식을 요구하는 것이었고, 그는 모든 사람이 두려워하는 "야생 소년"이었다.[17] 그는 그 이후 완전한 언어 능력을 습득했으며, 우간다 대표로 스페셜 올림픽에 두 번 출전하기도 했다.[18]
  • 호 반 랑 (2013)은 꽝응아이 베트남에서 발견되었다.[55] 그의 아버지 호 반 탄은 베트남 전쟁을 피해 그를 정글로 데려갔고 (형 호 반 트리 남김) 40년 동안 고립된 채 길러졌다. 발견 당시 그는 코족 소수 민족의 방언을 거의 말하지 못했다.[56] 그의 형에 따르면, 그는 아이처럼 발달이 멈췄고 좋고 나쁨을 구별할 수 없었다.[57] 그는 2021년 9월 7일 52세의 나이로 간암으로 사망했다.[58]

4. 3. 방치 및 유폐 사례


  • 안나 (1938): 미국 펜실베이니아에서 태어났으며, 사생아라는 이유로 창고에 갇혀 지내다 6살에 발견되었다.[64] 발견 당시 영양실조와 근위축증을 겪고 있었으며, 말을 하거나 걷지 못했다.[65] 위탁 가정에서 지내며 조금씩 나아지는 모습을 보였으나, 10세에 출혈성 황달로 사망했다.[65]
  • 이자벨 (1938): 미국에서 청각 장애가 있는 어머니와 함께 어두운 방에 격리되어 자랐다. 거의 7살에 발견되었으며, 7개월 만에 약 1,500~2,000 단어의 어휘를 습득하고 정상적인 언어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62][63]
  • 지니 (1970):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13년 이상 방에 갇혀 지내다 발견된 소녀에게 붙여진 가명이다.[66] 아동용 변기에 묶이거나 아기 침대에 묶여 지냈으며, 아버지는 지니가 소리를 내면 때리고 개처럼 으르렁거렸다.[68][66] 언어 교육을 받았으나 제한적인 결과만 얻었다.[66][71]
  • 다니엘 크로켓 (2005): 미국 플로리다에서 방에 갇혀 지내다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 심각한 발달 지연을 겪었으나, 입양 후 인간적인 환경에 적응하며 나아지고 있다.[74][75][76][77]
  • 나타샤 (2009): 러시아 자바이칼 주 치타에서 태어난 5살 소녀로, 개, 고양이와 함께 난방, 물, 하수 시설이 없는 방에 갇혀 지내다 발견되었다.[79][80] 발견 당시 말을 할 수 없었고, 동물의 행동을 보였다.[80]

5. 한국의 야생아 관련 사례 및 사회적 관심

한국에서는 야생아 사례가 공식적으로 보고된 바는 없지만, 아동 학대 및 방임 사례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한국 사회는 아동 학대와 방임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피해 아동 보호 및 지원 시스템 강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다.

6. 사회 복귀 및 윤리적 문제

사회적 기술 습득의 어려움은 야생아들이 겪는 대표적인 문제점이다. 이들은 화장실 사용과 같은 기본적인 생활 습관을 익히지 못하거나, 직립 보행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주변 사람들의 행동에 무관심한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3]

야생아들은 언어 습득에도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다. 오랜 기간 고립된 생활을 한 탓에 자연어를 배울 기회를 놓치기 때문이다. 이는 언어 습득에는 결정적인 시기가 존재한다는 결정적 시기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여겨진다.[4][5]

야생아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1926년 인도에서 발견된 아말라와 카말라 자매의 사례가 잘 알려져 있지만, 이는 세르주 아롤에 의해 조작된 사건으로 밝혀졌다. 브루노 베텔하임은 아말라와 카말라가 선천적인 정신적, 신체적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고 주장한다.[6] 그러나 지니의 사례와 같이 신뢰할 만한 연구도 존재한다.[5]

17세기 이전에는 야생아에 대한 이야기가 주로 신화나 전설 속에 등장했다. 이들은 음식을 찾아 사냥하고, 네 발로 달리며, 말을 하지 못하는 존재로 묘사되었다. 18세기와 19세기를 거치며 과학이 발달하고 자연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야생아에 대한 관심은 진지한 연구 주제로 떠올랐다.[7] 20세기 심리학자들은 생물학적 행동과 문화적 행동을 구분하려 노력했으며, 야생아는 이러한 딜레마를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졌다.

역사 속에서 다양한 야생아 사례가 보고되었다.

발견 연도이름발견 장소특징 및 비고
1644장 드 리에주리에주 (추정)5세 때 종교 전쟁으로 숲에 숨어 16년간 고립. 21세에 발견되어 사회에 복귀했으나 예민한 감각은 잃음.[36]
1717안나 마리아 제나르트크라넨부르크 근처 츠볼레1698년 앤트워프 출생, 16개월 때 납치. 말을 하지 못하고 잎과 풀로 연명. 1718년 신원 확인 후 어머니와 재회, 사회 적응.[20]
1717오라니엔부르크 소녀오라니엔부르크[19][40]
1719두 명의 피레네 소년프랑스사족보행으로 산을 뛰어다님.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음.[19][40],[41],[42]
1719?이소의 소녀피레네 산맥8세에 길을 잃고 16세에 발견. 인간 사회를 싫어하고 숲으로 돌아가고 싶어함.[20][43]
1723피레네 산맥의 야생인피레네 산맥사냥꾼에게 붙잡혔으나 탈출.[21]
1724야생 소년 페터독일피트-홉킨스 증후군을 앓는 정신 지체 소년.[19][40]
1774피레네 산맥의 또 다른 남자피레네 산맥 이바리 숲30세 정도로 추정, 유아기에 길을 잃음. "풀로 연명"했으며, 붙잡혔으나 "껄껄 웃으며" 탈출.[43][44]
1775피레네 산맥의 또 다른 소년피레네 산맥[21]
1800아베론의 빅토르프랑스 아베론 숲12년간 야생 생활. 프랑수아 트뤼포의 영화 야생 소년의 소재.[45],[46]
18세기마리-앙젤리크 벰미 레 블랑프랑스 샹파뉴9세에서 19세 사이 10년간 야생 생활. 1731년 발견. 성인이 되어 읽고 쓰기 습득.[47],[48]
1749카푸바르의 하니 이스토크헝가리습지 호숫가 숲에서 발견. "반은 물고기, 반은 인간"으로 묘사되는 민담 존재.[49]
19세기 초카스파 하우저독일베르너 헤어초크의 영화 카스파 하우저의 수수께끼의 소재. 초기 고립 이야기는 날조 가능성.[50]
1970년대, 1980년대라마찬드라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1973년 쿠와노 강에서 발견. 수생 생활. 1982년 사망.[51]
2007캄보디아 정글 소녀캄보디아로촘 픙니엥으로 추정. 19년간 정글 생활. 2016년 베트남 친가로 돌아감.[52],[53]
2012응 차이디인도 미조람주 근처 사이하4세 때 실종, 38년 만에 귀환. "야생인"으로 여겨짐.[54]
2013호 반 랑베트남 꽝응아이베트남 전쟁 중 아버지와 함께 정글로 피신, 40년간 고립. 코족 방언 사용. 2021년 간암으로 사망.[55],[56],[57],[58]



헤로도토스이집트의 파라오 프삼티크 1세언어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 두 아이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고 기록했다. 이 실험에서 아이들이 처음 말한 ''베코스''(bekos)는 프리지아어로 빵을 의미하는 단어였고, 이를 근거로 프리지아인이 이집트인보다 오래된 민족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2008년 벨기에 신문 ''르 수아르''[82]는 ''미샤: 홀로코스트의 기억''이 사기극임을 폭로했다. 이후 프랑스 언론은 야생아 사건의 신뢰성에 대한 논쟁을 벌였다. 세르주 아롤레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많은 야생아 사건들이 허구라고 주장했다.


  • 크론슈타트의 10대 소년 (1781): 세르주 아롤레스는 이 사건이 갑상선종을 앓는 정신 지체 소년을 이용한 사기극이라고 밝혔다.[19][40][83]
  • 시리아 가젤 소년 (1946): 1950년대 시리아 사막에서 발견되었다고 알려졌으나, 사기극으로 추정된다.
  • 아말라와 카말라: 콜카타 지역에서 발견되었다고 주장되었으나, 세르주 아롤레스에 의해 사기극으로 밝혀졌다.[37][84]
  • 러크나우의 라무 (1954): 늑대에게 길러졌다고 알려졌으나, 아롤레스는 이를 사기극으로 분류했다.[85]
  • 슬로바키아 크루피나의 곰 소녀 (1767): 세르주 아롤레스는 기록에서 흔적을 찾지 못했다.[19][40]

7. 대중문화 속 야생아

카피톨린 늑대가 로물루스와 레무스에게 젖을 먹이다


로마 신화에 따르면 레아 실비아와 마르스의 쌍둥이 아들인 로물루스와 레무스는 암늑대에게 젖을 먹고 자랐다.[86] 레아 실비아가 여사제였기 때문에, 형의 왕위를 빼앗은 아물리우스 왕은 그녀가 임신하여 아이를 낳았다는 사실을 알고 산 채로 묻고 아이들을 죽이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명령을 받은 하인은 아이들을 테베레 강에 바구니에 담아 띄워 보냈고, 아이들은 강신 티베리누스에 의해 강둑으로 옮겨졌다. 그곳에서 암늑대가 그들을 발견하여 젖을 먹여 길렀다. 이후 파우스툴루스라는 양치기가 아이들을 발견하여, 아이를 원했지만 갖지 못했던 아내 아카 라렌티아와 함께 쌍둥이를 키웠다. 이 쌍둥이는 훗날 로마 건국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로마는 팔라티노 언덕아벤티노 언덕 중 어디에 도시를 건설할지를 놓고 로물루스가 레무스를 죽인 사건에서 유래되었다.[86]

전설이나 소설 속 야생아는 종종 비교적 정상적인 인간 지능과 기술, 문화나 문명에 대한 타고난 감각을 가지고 자라며, 생존 본능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래서 인간 사회에 적응하는 것이 비교적 쉬운 일로 그려진다. 하지만 러디어드 키플링의 정글북에 등장하는 모글리는 인간과 함께 사는 것이 극도로 어려웠던 예외적인 경우이다.

천사의 지식이라는 책은 마요르카를 배경으로 한 가상의 섬에서 발견된 야생 소녀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소녀는 신에 대한 지식이 학습되는 것인지, 아니면 타고나는 것인지 알아보는 실험 대상이 된다. 수녀원에 보내진 소녀는 수녀들로부터 신에 대해 배우거나, 심지어 신에 대한 언급조차 금지된다. 이는 섬에 표류해 온 무신론자를 소녀가 비난해야 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었다.

어스시 시리즈의 어슐러 K. 르 귄은 어린 시절 외딴 섬에 버려져 야생아로 자란 남매를 언급한다. 어스시의 마법사에서 게드는 그들의 섬에 표류하게 되지만, 그들이 모국어로 몇 마디밖에 할 줄 몰라 거의 소통할 수 없었다. 그들은 모두 노인이었고 게드를 매우 두려워했지만, 여동생은 그가 떠날 때 자신의 몇 안 되는 소지품 중 하나를 그에게 준다. 나중에 아투안의 무덤에서 게드는 테나에게 여동생과 오빠(각각 안틸과 엔사르)에 대해 이야기하고, 테나는 그들의 이름, 혈통, 그리고 그들의 고향에서 버려진 사실이 어떻게 알려졌는지 설명한다. 테나와 게드는 버려진 것이 아이들이 죽음을 맞이했을 것보다 더 자비로운 행동이었다는 데 동의하지만, 게드는 그것이 여전히 매우 잔인했고 "그들은 인간의 언어를 거의 몰랐다"고 말한다.

크리스틴 한나의 2006년 소설 ''매직 아워''는 올림픽 국립 삼림의 동굴 안에서 성장한 6살 야생아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 소녀는 어느 날 먹을 것을 찾아 워싱턴의 가상 소도시 레인 밸리로 들어온다. 소녀는 애완 늑대 강아지를 데리고 다녔으며 말을 할 수 없었다. 경찰서장은 소녀에게 말을 가르치고 소녀의 가족을 찾기 위해 여동생인 정신과 의사를 부른다.

정글 북의 모글리


다음은 야생아를 소재로 한 대중문화 작품들이다.

작품명장르원작자/감독내용
야생 소년영화프랑수아 트뤼포아베론의 야생아의 기록을 바탕으로 제작
카스파 하우저의 수수께끼영화베르너 헤어초크카스파 하우저의 사례를 바탕으로 제작
Mockingbird Don't Sing영어독립 제작 영화고립 아동 지니의 사례를 바탕으로 제작
정글북소설, 애니메이션러디어드 키플링늑대에게 키워진 소년 모글리의 이야기
타잔소설, 영화, 애니메이션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유인원에게 키워진 소년 타잔의 이야기
늑대 소년 켄애니메이션츠키오카 사다오늑대에게 키워진 소년 켄의 이야기
괴수왕자특촬공룡 브론토사우루스에게 키워진 소년이 주인공
타이거 마스크만화, 애니메이션카지와라 잇키(원작), 츠지 나오키(만화)타이거 마스크와 대결하는 레슬러 중 마운틴 고릴라에게 키워진 고릴라맨, 늑대에게 키워진 론 울프 등장
페르시아가 좋아!만화아오누마 타카코아프리카의 야생 소녀 페르시아의 이야기 (마법의 요정 페르샤의 원안)
정글의 왕자 타짱만화토쿠히로 마사야아프리카에서 자란 청년 타짱의 이야기
토토의 세계만화, 드라마사소 아키라야생아 토토와의 교류를 그린 이야기
영화조디 포스터 주연
원령공주애니메이션미야자키 하야오산개에게 키워진 소녀 산의 이야기
The Music of Dolphins영어소설카렌 헤스돌고래에게 키워진 소녀의 이야기
이 부실은 귀가하지 않는 부가 점거했습니다.히로인 사쿠라에 유스라는 늑대와 함께 생활했던 야생아
붉은 어금니 시리즈만화시바타 마사히로늑대에게 키워진 소녀 코마츠자키 란의 이야기
가면라이더 아마존가면라이더 시리즈주인공 야마모토 다이스케/가면라이더 아마존은 아마존에서 자란 야생아
배틀 피버 J슈퍼 전대 시리즈아케보노 시로/배틀 케냐는 케냐 출신의 야생아
수권전대 게키레인저슈퍼 전대 시리즈주인공 칸도 쟝/게키 레드는 호랑이에게 키워진 야생아
진격의 거인크리스타 렌즈(히스토리아 레이스)는 생후 10년간 목장 안에 갇혀 인간 사회로부터 격리됨
스트리트 파이터 II블랑카 (스트리트 파이터)는 아마존의 오지에서 자란 야생아
건슬링거 스트라토스반 오드너는 붕괴된 일본의 정글에서 생활했던 야생아
우라라 미로첩주인공 치야는 산에서 자란 야생아 소녀
바다의 아이만화, 영화이가라시 다이스케작중에 등장하는 중요 인물인 바다와 하늘은 듀공에게 키워짐
귀멸의 칼날하시비라 이노스케는 15세 무렵까지 멧돼지에게 키워짐
극장판 포켓몬스터: 코코작중 주요 인물인 코코는 포켓몬에게 키워진 야생아
B-전설! 배틀 비다맨주인공 오와리 야마토는, 키워준 부모에게 주워지기 전까지 고양이와 함께 생활


8. 결론

야생아는 인간 본성과 사회화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극단적인 사례이다. 한국 사회는 야생아 문제를 통해 아동 권리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한다.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야생아와 같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포용과 지원은 건강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 데 필수적이다.

몇 가지 야생아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아베론의 빅토르
  • 데블스 강의 로보 늑대 소녀 (1845): 텍사스 민속에서 등장하는 인물로, 1846년에 붙잡혔지만 탈출했다. 1852년 17세의 나이로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60] 1835년 5월 사냥꾼 부부 사이에서 태어났으나, 어머니가 출산 중 사망하고 아기는 늑대에게 잡아먹힌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1845년 늑대 무리와 함께 염소 떼를 공격하는 모습이 목격되었고, 생 염소 고기를 먹는 모습도 발견되었다. 잠시 목장에 갇혔지만 늑대들의 공격으로 탈출, 1852년 엘파소 근처 강가에서 두 늑대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모습이 마지막으로 목격된 후 사라졌다.[20]
  • 빈센테 카우카우 (1948): 12세에 야생 상태로 발견된 칠레 소년으로, 퓨마에 의해 길러졌다고 전해진다.[61]

참조

[1] 서적 Cambridge IGCSE® sociology coursebook Cambridge, United Kingdom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 서적 Assessing and Treating Low Incidence/High Severity Psychological Disorders of Childhood Springer 2022-06-09
[3] 웹사이트 Mind Blowing Cases of Children Raised by Animals http://www.zmescienc[...] 2015-02-20
[4] 서적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서적 Genie: A Psycholinguistic Study of a Modern-Day Wild Child https://books.google[...] Elsevier Science 2014-05-10
[6] 간행물 Feral Children and Autistic Children https://autisticacad[...] 2018-05-23
[7] 백과사전 Feral children https://www.britanni[...] 2018-07-02
[8] 뉴스 The Baboon Boy http://nla.gov.au/nl[...] 2024-08-29
[9] 간행물 The 'Baboon Boy' of South Africa https://www.jstor.or[...] 1940-01
[10] 간행물 Brought Up by the Baboons 1940-06
[11] 뉴스 Was Marina Chapman really brought up by monkeys? https://www.theguard[...] 2013-04-13
[12] 뉴스 Tarzan child found in Africa 1976-05-16
[13] 서적 The Wild Boy of Burundi: A Study of an Outcast Child Random House 1978
[14] 뉴스 Raised by monkeys, struggling to be human https://www.newvisio[...] 2013-02-17
[15] 뉴스 Child of the wild still spurns life as a human https://mg.co.za/art[...] 2017-11-04
[16] 웹사이트 Saturday Mthiyane {{!}} The Child Of The Wild {{!}} KwaZulu Natal https://www.mysterie[...] 2019-09-01
[17] 뉴스 Raised in the wild: tales of survival https://www.independ[...] 2018-07-02
[18] 뉴스 Accounts of girl raised by monkeys in India questioned https://www.washingt[...] 2024-07-14
[19] 서적 Homo sapiens ferus: oder, die Bustände der verwilderten und ihre bedeutung für wissenschaft, politik und schule https://books.google[...] Julius Bregse
[20] 서적 The Children Of Winter https://books.google[...] Long Trail Acres Publishing
[21] 서적 The Mothers: A Study of the Origins of Sentiments and Institutions https://books.google[...] Macmillan 1927
[22] 서적 Wolf children and the problem of human nature https://archive.org/[...] Monthly Review Press 1972
[23] 간행물 Feral man and extreme cases of isolation 1940
[24] 문서 Lupine Lore by Walter Tarello http://www.veterinar[...]
[25] 웹사이트 Feral: The children raised by wolves http://www.bbc.com/c[...] 2018-07-02
[26] Youtube Oxana Malaya on Ukrainian TV show https://www.youtube.[...] 2013-08-14
[27] 뉴스 Cry of an infant savage https://www.telegrap[...] 2007-07-14
[28] 뉴스 У героини публикации «фактов» оксаны малой, которая выросла в… Собачьей конуре, нашлись родной брат и маленькая племянница, тоже оксана
[29] 뉴스 Cry of an enfant sauvage https://www.telegrap[...] 2021-06-21
[30] 뉴스 Siberian boy, 7, raised by dogs after parents abandoned him https://www.independ[...] 2018-07-02
[31] Youtube Raised by Dogs. Ukrainian TV show https://www.youtube.[...] 2013-08-14
[32] 웹사이트 'Dog Boy' of Chile Rescued https://abcnews.go.c[...] 2018-07-02
[33] 뉴스 Wolf boy is welcomed home by mother after years in the wild https://www.telegrap[...] 2002-04-14
[34] 웹사이트 Modern day Feral children https://sociologychi[...] 2018-07-02
[35] 서적 Observationes medicae Apud Ludovicum Elzevirium
[36] 서적 Three Men Seeking Monsters: Six Weeks in Pursuit of Werewolves, Lake Monsters, Giant Cats, Ghostly Devil Dogs, and Ape-Men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4-03-24
[37] 서적 L'énigme des enfants-loups : une certitude biologique mais un déni des archives, 1304–1954 https://books.google[...] Publibook
[38] 뉴스 Boy raised by sheep for 8 years https://www.express.[...] 2018-07-02
[39] 뉴스 Raised by animals https://www.dawn.com[...] 2018-07-02
[40] 간행물 The Child and Childhood in Folk-Thought https://zenodo.org/r[...] Macmillan and Co. 1896
[41] 서적 The Shepherd https://books.google[...] 1835
[42] 서적 Wild Enlightenment: The Borders of Human Identity in the 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03
[43] 서적 Monthly Review; Or New Literary Journal https://books.google[...] R. Griffiths. 1777
[44] 서적 Encounters with Wild Children: Temptation and Disappointment in the Study of Human Nature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2006-04-05
[45] 서적 The Wild Boy of Aveyron Appleton-Century-Crofts 1962
[46] 서적 François Truffaut : The Lost Secret Indiana University Press (Ind.)
[47] 서적 Marie-Angélique : Haut Mississippi, 1712-Paris, 1775 : survie et résurection d'une enfant perdue dix années en forêt Terre-éd
[48] 서적 Histoire d'une jeune fille sauvage trouvée dans les bois à l'âge de dix ans Gallimard 2017-05-04
[49] 웹사이트 Hany Istók legendája http://www.kapuvar.h[...]
[50] 웹사이트 The Unsolved Mystery of Kaspar Hauser – Wild Child of Europe http://www.mysteriou[...] Mysterious People 2007-07-14
[51] 문서 Borderlands: The Ultimate Exploration of the Unknown Overlook Press
[52] 뉴스 'Wild Cambodia jungle-girl' found http://news.bbc.co.u[...] 2007-07-14
[53] 뉴스 Wild child? https://www.theguard[...] 2010-05-02
[54] 간행물 Mizoram's Wild Flower https://openthemagaz[...] 2012-08-20
[55] 문서 HO VAN LANG. The Vietnamese Tarzan. Discovering the Man
[56] 뉴스 Man and son found in jungle after 40yrs https://www.bangkokp[...] 2020-11-19
[57] 뉴스 The Vietnamese Tarzan https://www.youtube.[...] 2020-11-19
[58] 뉴스 Vietnam's jungle man dies of cancer, eight years on https://e.vnexpress.[...] 2023-08-15
[5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Herodotus http://classics.mit.[...] 2009-11-29
[60] 간행물 The Lobo Girl of Devil's River https://books.google[...] Texas Folklore Society 1937
[61] 뉴스 Los ultimos dias de Vicente Cau Cau, el nino lobo chileno http://www.theclinic[...] 2010-01-02
[62] 서적 First Language Acquis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서적 Social Foundations of education American Book Company
[64] 뉴스 A case study into social isolation – Anna's story https://christopherj[...] 2017-10-12
[65] 간행물 Final Note on a Case of Extreme Isolation 1947
[66] 서적 Genie : a psycholinguistic study of a modern-day "wild child" Academic Press 1977
[67] 서적 Genie : an abused child's flight from silence HarperCollins Publishers 1993
[68] 간행물 Language Development in the Mature (minor) Right Hemisphere 1978
[69] 웹사이트 Wild Child 'Genie': A Tortured Life https://6abc.com/arc[...] ABCnews.com 2013-03-04
[70] episode Secret of the Wild Child https://www.pbs.org/[...] PBS 2009-02-12
[71] 논문 Dissociations between language and cognition: cases and implications 1981-03
[72] 서적 Genie: A Scientific Tragedy HarperCollins Publishers 1994
[73] 간행물 Feral Children 2017-04-25
[74] 뉴스 The Girl in the Window http://www.tampabay.[...] 2008-08-04
[75] 웹사이트 The Girl in the Window https://projects.tam[...] 2008-08-05
[76] 논문 The Girl in the Window: Authorities Had Discovered the Rarest and Most Pitiable of Creatures: A Feral Child. http://www.dispatch.[...] 2008-08-17
[77] 웹사이트 The Story of Danielle Crockett: For 7 Years No One Knew She Existed, Until a Neighbor Saw Her in the Window https://www.buggedsp[...] 2021-08-27
[78] 뉴스 Russian 'bird-boy' discovered in aviary https://www.telegrap[...] 2013-09-27
[79] 뉴스 Feral girl in Siberian city of Chita was brought up by cats and dogs http://www.timesonli[...] 2009-05-27
[80] 뉴스 Russian Police Find Feral Girl In Siberia http://planetark.org[...] Planet Ark 2009-05-30
[81] 뉴스 Every hour could have become his last": Social services rescue neglected toddler found being raised by GOATS https://www.mirror.c[...] Mirror Online 2018-12-20
[82] 웹사이트 Les aveux de Misha Defonseca http://archives.leso[...]
[83] 웹사이트 Chapter 2: Feral Children and Wranitzky's Pantomime-Ballet Das Waldmädchen (1796) http://etd.lib.fsu.e[...] Florida State University 2005-04-01
[84] 서적 De quelques mythes en psychologie : Enfants-loups, singes parlants et jumeaux fantômes Le Seuil 2016
[85] 뉴스 Naked man deepens mystery of jungle girl http://www.smh.com.a[...] 2007-01-22
[86] 웹사이트 Romulus http://classics.mit.[...] 2009-11-29
[87] 문서 遺伝と環境―野生児からの考察
[88] 문서 野生児の世界―35例の検討
[89] 서적 幼児教育を考える 岩波書店 1990
[90] 문서 動物園で犬が虎などの子を育てた記録はあるが、人間の子供は乳離れも歩行も哺乳類の中ではかなり遅い部類で、養親について行くことができなかったり、母乳がすぐに止まるなどして餓死してしまう。また母乳の成分が違う動物だと消化することができず、栄養が採れない。
[91] 웹사이트 FeralChildren.com http://www.feralchil[...]
[92] 문서 野生児―その神話と真実
[93] 문서 野生児―その神話と真実
[94] 문서 野生児の世界―35例の検討
[95] 문서 遺伝と環境―野生児からの考察
[96] 문서 野生児の世界―35例の検討
[97] 문서 南アフリカの「ひひ少年」
[98] 문서 南アフリカの「ひひ少年」への異論
[99] 문서 遺伝と環境―野生児からの考察
[100] 서적 ウルフ・チャイルド―カマラとアマラの物語 福村出版 1984
[101] 문서 遺伝と環境―野生児からの考察
[102] 문서 遺伝と環境―野生児からの考察
[103] 문서 リンネに関する記述
[104] 문서 遺伝と環境―野生児からの考察
[105] 문서 遺伝と環境―野生児からの考察
[106] 서적 遺伝と環境―野生児からの考察
[107] 서적 遺伝と環境―野生児からの考察
[108] 서적 野生児の世界―35例の検討
[109] 서적 野生児の世界―35例の検討
[110] 서적 野生児の世界―35例の検討
[111] 서적 野生児の世界―35例の検討
[112] 서적 野生児の世界―35例の検討
[113] 서적 野生児の世界―35例の検討
[114] 서적 野生児の世界―35例の検討
[115] 서적 野生児の世界―35例の検討
[116] 서적 野生児の世界―35例の検討
[117] 서적 野生児の世界―35例の検討
[118] 서적 野生児の世界―35例の検討
[119] 서적 砂漠の野生児―サハラのカモシカ少年 評論社 1975
[120] 간행물 6歳で救出された虐待女児「成長記録」 読売新聞東京本社 2004-10-10
[121] 뉴스 【虐待はどんな傷を残すのか】(3)“犬小屋”に2児を監禁1年半 「究極のネグレクト」回復の鍵は「愛着」 http://sankei.jp.msn[...] 2022-10-31
[122] 웹사이트 「普段着の小児科医」59. 虐待・隔絶児と言葉の発達;養育不全と心の発達障害 https://www.blog.crn[...] チャイルド・リサーチ・ネット(CRN) 2010-10-08
[123] 뉴스 犬猫に育てられた5歳の少女、ロシアで保護 http://sankei.jp.msn[...] 2022-10-31
[124] 웹사이트 Russian Police Find Feral Girl In Siberia http://planetark.org[...] Planet Ark 2009-05-28
[125] 문서 マルソン
[126] 서적 遺伝と環境―野生児からの考察
[127] 웹사이트 Cross‐genus adoptions in delphinids: One example with taxonomic discussion https://onlinelibrar[...] 2019-09
[128] 웹사이트 ヒョウの赤ちゃんを育てるライオン、インドで見つかる:朝日新聞GLOBE+ https://globe.asahi.[...] 2022-05-28
[129] 웹사이트 Isolated, confined, wolf and wild children http://www.feralch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