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데사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데사주는 우크라이나 남서부에 위치한 주로, 면적은 약 33,314 km²이며, 흑해 저지대의 일부인 평평한 스텝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1991년 독립 국민투표에서 독립 선언에 찬성했으며, 2021년 기준 인구는 약 237만 명이다. 오데사주는 7개의 라이온(지역)으로 행정 구역이 개편되었으며, 오데사 시, 빌호로드드니스트로프스키 요새, 포템킨 계단, 오데사 오페라 하우스 등 다양한 문화 명소가 있다. 주요 산업은 정유, 화학, 운송, 농업 등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가리아어권 - 타라클리아구
    타라클리아구는 몰도바 남부에 위치한 불가리아 소수 민족 중심지로, 가가우지아 자치구와 인접하며 자치권 확대 요구와 친러시아 성향, 그리고 유럽 연합과의 관계 강화 지지 등 정치적 변화를 겪고 있다.
  • 불가리아어권 - 동트라키아
    동트라키아는 터키 북서부에 위치하여 그리스, 불가리아와 국경을 접하고, 다르다넬스 해협 등을 통해 아시아와 유럽을 구분하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현재는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박물관, 모스크 등 관광 명소가 있고, 공화 인민당이 지배적인 지역이다.
  • 오데사주 - 리포반인
    리포반인은 18세기 러시아 정교회에서 분리되어 몰도바의 강 삼각주에 정착한 고의식파 신자들로, 니콘 총대주교의 종교 개혁 이전 전통을 고수하며 러시아 정부와 정교회의 박해를 피해 이주했고, 우크라이나 빌코베 마을을 주요 거점으로 독특한 건축 양식을 유지하며 살아가며, 그 이름의 기원은 피나무, 필리프라는 인물, 또는 성 필립 축일 등 다양한 설이 있다.
  • 오데사주 - 포딜스크
    포딜스크는 우크라이나 오데사주의 도시로, 비르줄라에서 코토프스크를 거쳐 2016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주요 기차역이 위치하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 유럽 영토 분쟁 - 북아일랜드
    북아일랜드는 아일랜드 섬 북동부에 위치한 영국령으로, 오랜 영국 지배와 종교 갈등, 아일랜드 분할을 거쳐 형성되었으며, 개신교와 가톨릭 간 갈등으로 인한 분쟁 후 평화 프로세스가 진행 중이나 정치적 쟁점이 남아있고, 권한이 이양된 정부와 분권화된 정치 시스템을 운영한다.
  • 유럽 영토 분쟁 - 압하지야
    압하지야는 흑해 연안 캅카스 남서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압하지야 공화국과 압하지야 자치 공화국 정부가 병존하며 국제적으로는 조지아 영토로 간주되지만 일부 국가는 독립국으로 인정하고 있다.
오데사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및 위치 정보
오데사 주의 우크라이나 내 위치
오데사 주의 우크라이나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오데스카 오블라스티
로마자 표기Odeska oblast
행정 중심지오데사
국가우크라이나
지리
면적33,313.69 km²
면적 순위1위
인구
총인구 (2022년)2,351,392명
인구 순위6위
인구 밀도auto
행정 구역
라욘 수26
도시 수 (총)19
지역 도시 수7
도시형 정착촌 수33
마을 수1138
정치 및 정부
주지사올레흐 키페르
주의회 의석 수84석
주의회 의장흐리호리 디덴코
경제
총 GDP₴ 2720억 (70억 유로)
1인당 GDP₴ 115,129 (3,000 유로)
사회 및 기타 정보
HDI (2022년)0.740 (높음)
기타 정보
시간대동유럽 표준시(EET)
UTC 오프셋+2
서머타임동유럽 서머타임(EEST)
UTC 오프셋 (서머타임)+3
우편번호65000-68999
지역 번호+380-48
ISO 코드UA-51
FIPS 10-4UP17
공식 웹사이트오데사 주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오데사주 지역은 신석기 시대부터 여러 문화가 교차하는 오랜 역사를 지닌 곳이다. 고대에는 그리스인들이 흑해 연안에 티라스, 니코니움과 같은 식민 도시를 건설했으며, 이후 스키타이, 사르마티아인 등 다양한 민족의 영향을 받았다.

중세 시기에는 슬라브족이 정착하여 키예프 루스(Kievan Rus')의 일부가 되었으며, 몽골 제국, 제노바 공화국,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지배를 차례로 경험했다.

근세에 들어서는 오스만 제국과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영향력 아래 있었으며, 특히 오스만 제국은 이 지역에 Özü Eyaleti|외지 주ota를 설치하기도 했다.[7] 18세기 후반 러시아-튀르키예 전쟁을 거치며 러시아 제국의 영토로 편입되었고, Новороссия|노보로시야ru 지역의 일부로 개발되었다. 이 과정에서 1794년 오데사 시가 건설되었다.

20세기에는 러시아 혁명우크라이나 독립 전쟁의 혼란기를 거쳐 우크라이나 SSR의 일부가 되었다. 1932년 공식적으로 오데사주가 설치되었으나, 홀로도모르(1932-1933)와 NKVD의 폴란드 작전(1937)과 같은 소비에트 정권 하의 비극을 겪기도 했다.[10]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추축국에 의해 점령되어 루마니아가 관리하는 트란스니스트리아 총독부에 속했으며, 전후 소비에트 통치가 복원된 후 1954년 남부의 이즈마일주와 통합되었다.

1991년 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서 오데사주는 독립 우크라이나의 일부가 되었으며,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국민투표에서 주민 대다수가 독립을 지지했다.[11][12]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는 전쟁의 피해를 겪었으며, 국제 사회의 복구 지원 대상이 되었다.[13]

2. 1. 고대 및 중세

티라스(Tyras)


오데사주 지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는 증거는 신석기 시대의 구멜니차(Gumelnița), 쿠쿠테니-트리필리아, 우사토보 문화 유적과 매장지에서 발견된다. 또한 청동기 시대 프로토-인도-유럽인들이 남긴 고분과 매장품에서도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기원전 1천년기에는 밀레투스 출신 그리스인들이 흑해 북부 해안을 따라 식민지를 건설했는데, 현재 오데사주에 위치한 티라스(Tyras)와 니코니움(Niconium) 도시가 대표적이다. 그리스인들은 채색된 그릇, 도자기, 조각, 비문, 예술 공예품 등을 남겨 고대 문명의 번영을 보여준다.

같은 시기 흑해 연안 초원에 살았던 스키타이 부족의 문화는 유적과 매장지에서 발견된 유물, 무기, 청동솥, 기타 용기, 장신구 등을 통해 엿볼 수 있다. 서기 1천년기 초에는 사르마티아인들이 스키타이인을 대체했다. 서기 3~4세기에는 체르냐호프 문화(Chernyakhov culture) 유물로 대표되는 부족 연합이 발전했으며, 1천년기 중반부터는 슬라브인의 형성이 시작되었다. 9세기에 동슬라브인들은 키예프(Kyiv)를 중심으로 키예프 루스(Kievan Rus')라는 국가를 세웠다. 이 시기 카자르(Khazars), 폴로브치(Polovtsy), 페체네그(Pechenegs) 등 다양한 민족들이 슬라브인들과 이웃하며 살았다. 9세기부터 14세기에 이르는 키예프 루스 시대의 고고학적 증거는 벨고로드, 카파-테오도시아(Theodosia), 베레잔 섬(Berezan Island)의 정착지와 도시 유물에서 확인된다.

13세기에 몽골이 흑해 연안을 장악했다.

1290년경부터 이 지역 일부는 제노바 공화국(Republic of Genoa)의 영토가 되어 적어도 14세기 중반까지 제노바 상업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6]

15세기 초에는 리투아니아 대공국(Grand Duchy of Lithuania)이 이 지역을 차지했다.

1593년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은 이 지역에 드니프로 주(외쥐 주)를 설치했는데, 비공식적으로는 '우크라이나 칸국(Khanate of Ukraine)'으로 불리기도 했다.[7] 한편, 현재 오데사주의 북쪽 변두리 지역은 포돌리아(Podolia)의 일부로서 리투아니아 영토로 남아 있다가 1569년 폴란드 왕국에 귀속되었다. 이 지역은 소폴란드 주의 브라츠라우 군에 속하게 되었다. 사브란, 코디마(Kodyma), 요제프그루트(Józefgród)는 폴란드의 사유도시(private town)였으며,[8] 특히 코디마와 요제프그루트는 루보미르스키 가문(Lubomirski family)에 의해 건설되었다.

2. 2. 근세

13세기 몽골의 유럽 침략 이후 흑해 연안 지역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1290년경부터 이 지역 일부는 제노바 공화국의 영토가 되어 적어도 14세기 중반까지 제노바 상업 활동의 중심지로 기능했다.[6]

15세기 초에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이 지역을 획득했다. 그러나 15세기 말(1480년대)에는 오스만 제국의 속국인 크림 칸국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특히 남부의 부자크(Budjak) 지방은 몰다비아 공국을 거쳐 오스만 제국의 직접적인 지배하에 놓이기도 했으며, 이후 약 300년간 우크라이나-폴란드 왕국으로 향하는 이슬람 세력의 주요 침략 거점이 되었다. 1593년 오스만 제국은 이 지역에 Özü Eyaleti|외지브 주ota를 설치했는데, 이는 비공식적으로 '우크라이나 칸국'으로 불리기도 했다.[7]

한편, 현재 오데사주의 북쪽 변두리는 포돌리아의 일부로서 리투아니아 영토로 남아 있다가, 1569년 루블린 연합 이후 폴란드 왕국에 편입되어 브라츠라우 주의 일부가 되었다. 이 지역의 사브란, 코디마, 요제프그루트(Józefgród) 등은 폴란드의 사유도시였으며, 특히 코디마와 요제프그루트는 루보미르스키 가문에 의해 건설되었다.[8]

18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은 흑해 방면으로의 남하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이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여러 차례의 러시아-튀르크 전쟁(1768년~1774년, 1787년~1791년)을 거치면서 오데사주 대부분의 영토는 1791년 러시아 제국의 통제하에 들어갔다. 러시아 측 기록에서는 이 지역을 오차코프 주(Ochakov Oblast)라고 칭했다.[9] 북쪽 변두리 지역은 1793년 폴란드 제2분할 과정에서 러시아에 최종 합병되었다.

러시아 제국은 새로 획득한 영토를 신러시아(Novorossiya)로 명명하고 개발을 시작했으며, 1794년에는 현대 오데사 시의 기초가 되는 항구 도시를 건설했다. 18세기 말부터 19세기에 걸쳐 러시아의 지배 아래 코자크와 농민 등 우크라이나인들의 이주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2. 3. 근대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15세기 초에 이 지역을 획득하였다. 그러나 1480년대에 이르러서는 오스만 제국의 속국인 크림 칸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Буджак|부자크uk(Budjak) 지방은 몰도바 공국을 거쳐 오스만 제국의 직접 지배하에 놓였다. 이 지역은 이후 약 300년간 폴란드 왕국으로의 이슬람 세력 침략 거점으로 이용되었다.

1569년 루블린 연합 이후, 현재 오데사주의 북쪽 변두리 지역은 포돌리아의 일부로서 폴란드 왕국에 귀속되어 소폴란드 주의 브라츠라우 주에 속하게 되었다. 사브란, 코디마, 발타(과거 Józefgród|요제프그루트pl) 등은 폴란드의 사유도시였으며, 특히 코디마와 요제프그루트는 루보미르스키 가문에 의해 건설되었다.[8] 한편, 1593년 오스만 제국은 이 지역에 드니프로 주(Özü Eyalet)를 설립했는데, 이는 비공식적으로 '우크라이나 칸국'으로도 불렸다.[7]

18세기 후반, 흑해를 향한 러시아 제국의 남진 정책 과정에서 여러 차례의 러시아-튀르키예 전쟁(1768년-1774년, 1787년-1791년, 1806년-1812년)이 벌어졌고, 그 결과 오데사주 대부분의 영토는 러시아의 통제하에 들어갔다. 1791년에는 흑해 연안 지역이 러시아에 합병되었으며(러시아 측은 이 지역을 오차코프 주(Ochakov Oblast)라고 불렀다[9]), 1793년 폴란드 제2분할을 통해 북쪽 변두리 지역마저 러시아에 합병되었다. 이 지역은 러시아 제국의 신러시아( Новороссия|노보로시야ru, Novorossiya)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오데사(Odesa)


1794년에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항구 도시 오데사가 건설되었다. 18세기 말부터 19세기에 걸쳐 러시아 지배 하의 우크라이나 중북부 지역에서 코사크와 농민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해 왔다.

2. 4. 현대

1917년 러시아의 2월 혁명 이후, 오데사 지역은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1917년~1918년)의 일부가 되었다. 그러나 곧 러시아 자원군(백군의 일부)과 볼셰비키 적군에게 차례로 점령당했다. 1918년에는 남부의 부자크 지방이 루마니아에 의해 점령되어 1940년까지 통치되었다.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이어진 우크라이나 독립 전쟁 끝에, 1920년 소비에트 당국이 오데사주 영토를 완전히 장악하여 우크라이나 SSR에 편입시켰다.

1932년 2월 27일, 오데사 구(Okruha), 페르보마이스크 구, 키로보흐라드 구, 미콜라이우 구, 헤르손 구의 5개 구를 통합하여 오데사주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하지만 이 시기 오데사주는 1932년~1933년의 홀로도모르(대기근)와 1937년 NKVD의 폴란드 작전과 같은 소비에트 정권에 의한 인명 피해를 겪었다.[10] 1937년 소련 중앙집행위원회는 오데사주의 동쪽 지역을 분리하여 미콜라이우주를 신설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추축국 세력이 이 지역을 점령했으며, 루마니아가 오데사주를 점령하여 트란스니스트리아 총독부 (1941년~1944년)의 일부로 관리했다. 전쟁이 끝난 후 소비에트 정부는 전쟁 이전의 경계로 오데사주를 다시 복구했다.

1954년 오데사주는 남쪽에 위치한 이즈마일주를 흡수하며 확장되었다. 이즈마일주는 베사라비아부자크 지역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1940년 소비에트 연방이 루마니아로부터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를 점령한 결과, 베사라비아의 북부와 남부가 우크라이나 SSR에 편입되면서 형성된 지역이었다.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국민투표에서 오데사주 투표자의 85.38%가 우크라이나 독립 선언에 찬성하며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지지했다. 2014년 12월 키예프 국제 사회학 연구소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오데사주 인구의 2.3%만이 러시아와의 합병을 지지했고, 91.5%는 이에 반대했으며, 나머지는 의견을 정하지 못했거나 응답하지 않았다.[11] 같은 해 9월 알렉세이 나발니가 보도한 여론조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12]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7월 4일부터 5일까지 스위스 루가노에서 열린 국제 우크라이나 복구 회의(URC 2022)에서는 오데사 지역의 재건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13]

3. 지리

오데사주는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넓은 면적(약 33314km2)을 가진 주로, 국가 남서부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빈니차주키로보흐라드주, 동쪽으로는 미콜라이우주, 서쪽으로는 몰도바, 남서쪽으로는 루마니아와 국경을 접하며 남쪽으로는 흑해에 면한다.

지형은 주로 평탄한 스텝 지대(흑해 저지대의 일부)이며, 드니스터강 하구가 주를 가로지르고 남쪽 경계는 다뉴브강과 접한다. 흑해 연안에는 모래 해변, 하구, 석호 등이 발달해 있다. 주 북부에는 포딜리아 고지대의 일부가, 남부에는 연못과 호수가 있는 평야 지대가 나타난다.

비옥한 흑토를 바탕으로 집약적인 농업이 이루어지며, 이는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남서부에는 과수원과 포도밭이 많다. 몰도바 방향으로 돌출된 남부 지역은 부자크라 불리며, 역사적으로 베사라비아의 일부였다.

기후는 전반적으로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3. 1. 지형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진 오데사주는 약 33314km2의 면적을 차지한다. 이 주는 우크라이나 남서부, 남부그강, 드니스테르강, 도나우강 하구 지역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빈니차주키로보흐라드주, 동쪽으로는 미콜라이우주, 서쪽으로는 몰도바, 남서쪽으로는 루마니아와 국경을 접하고 남쪽으로는 흑해에 면해 있다.

오데사주의 지형은 주로 평평한 스텝 지대(흑해 저지대의 일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드니스테르강 하구에 의해 나뉘고 남쪽으로는 다뉴브강과 접한다. 주 북부는 깊은 계곡으로 패인 포딜리아 고지대가 특징이며, 남부는 연못과 호수가 있는 평야가 펼쳐진다. 흑해 연안에는 많은 모래 해변, 하구 및 석호가 발달해 있다.

오데사주를 통과하여 흑해로 흘러드는 하천은 200개가 넘으며, 그중 도나우강, 드니스테르강, 코르디마강, 사우란카강(사우라니강)이 대표적이다.

이 지역의 토양, 특히 흑토는 비옥하여 집약적인 농업이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남서부에는 많은 과수원과 포도밭이 있으며, 다양한 작물이 주 전역에서 재배된다.

몰도바 방향으로 돌출된 남부 지역은 부자크라고 불리는데, 역사적으로 베사라비아의 일부였으며 루마니아 영토였던 시기도 있다.

기후는 대륙성 기후로, 1월 평균 기온은 -3.5°C, 7월 평균 기온은 22°C이다.

오데사주의 풍경


오데사주의 풍경


오데사주의 풍경

3. 2. 수계

오데사주는 우크라이나 남서부의 남부그강, 드니스테르강, 다뉴브 강 하구 지역에 위치하며, 남쪽으로는 흑해와 넓게 접한다. 흑해 연안을 따라서는 많은 모래 해변과 강이 바다와 만나는 하구, 그리고 석호들이 발달해 있다. 특히 드니스테르강 하구는 오데사주 내부를 가로지르는 중요한 지리적 특징이며, 주의 남쪽 경계는 다뉴브 강과 맞닿아 있다.

오데사주에는 크고 작은 200여 개의 하천이 흑해로 흘러든다. 이 가운데 규모가 큰 주요 하천으로는 다뉴브 강, 드니스테르강, 코르디마강, 사우란카강(사우라니강) 등이 있다. 이러한 강들은 오데사주의 지형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주 북부의 포딜리아 고지대에서는 강물 침식으로 깊게 파인 계곡들을 볼 수 있으며, 남부 평야 지대에는 강과 관련된 연못과 호수가 다수 분포한다.

3. 3. 기후

기후는 대륙성 기후이다. 1월 평균 기온은 -3.5°C이고, 7월 평균 기온은 22°C이다.

4. 인문 환경

오데사주는 다양한 민족이 공존하는 지역적 특성을 지닌다.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인이 다수를 차지하지만 러시아인, 불가리아인, 몰도바인 등 다양한 소수 민족 집단이 함께 거주하고 있다.[27] 자세한 인구 통계, 민족 구성, 언어 및 종교 현황은 하위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4. 1. 인구

2021년 초 기준 오데사주의 인구는 2,368,107명이었으며, 이 중 약 43%가 주도인 오데사 시에 거주하고 있었다.

우크라이나의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당시 오데사주의 인구 통계는 다음과 같다.[24][25][26]

  • 총인구: 2,469,000명
  • 도시 인구: 1,624,600명 (66%)
  • 농촌 인구: 844,400명 (44%)
  • 성별 인구:
  • * 남성: 1,155,400명 (47%)
  • * 여성: 1,313,600명 (53%)


2001년 인구 조사 기준 오데사주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27]

민족비율 (%)인구 수
우크라이나인62.81,542,300명
러시아인20.7508,500명
불가리아인6.1150,600명
몰도바인5.0123,700명
가가우즈인1.127,600명
유대인0.513,300명
벨라루스인0.512,700명
아르메니아인0.37,400명
로마인0.24,000명


4. 2. 민족 구성 (2001년)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인이 전체 인구의 62.8%를 차지하며 가장 큰 민족 집단이다. 우크라이나인은 오데사 주도를 포함하여 주의 북부, 중부, 남동부 지역에서 우세한 민족 집단으로 나타난다. 인구의 20.7%를 차지하는 러시아인은 이 지역에서 두 번째로 큰 집단이며 주로 도시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다만, 남부 항구 도시인 이즈마일에서는 러시아인이 상대적 다수를 구성한다.

상당한 규모의 불가리아인(6.1%)과 몰도바인(5.0%) 소수 민족도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주의 남동부에 분포한다.[14] 오데사주는 우크라이나의 다른 주들에 비해 유대인 비율이 가장 높지만(수도 키이우보다는 낮다), 오데사 시에는 소규모의 그리스계 공동체도 존재한다.

오데사주 내 부자크 지역의 경우, 인구의 21%는 불가리아인, 13%는 몰도바인이 차지하여 독특한 민족 구성을 보인다.

2001년 오데사주 민족 구성[27]
민족비율 (%)인구 수
우크라이나인62.81,542,300명
러시아인20.7508,500명
불가리아인6.1150,600명
몰도바인5.0123,700명
가가우즈인1.127,600명
유대인0.513,300명
벨라루스인0.512,700명
아르메니아인0.37,400명
로마인0.24,000명


4. 3. 언어 (2001년, 2022년)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오데사주 인구의 46.3%가 우크라이나어를 모어로 사용하며, 42.0%는 러시아어, 4.9%는 불가리아어, 3.8%는 루마니아어를 모어로 사용한다고 응답했다.[16]

2022년 10월 21일부터 27일까지 일코 쿠체리브 민주주의 이니셔티브 재단(Демократичні ініціативиuk)이 실시한 사회학적 조사 결과, 응답자의 57.8%가 우크라이나어를 모어로 꼽았고, 러시아어는 28.8%, 기타 언어는 5.4%였다. 7.9%는 어떤 언어를 모어로 생각하는지 답하기 어렵거나 응답을 거부했다.[17][15]

2023년 7월 10일부터 21일까지 동일 재단이 오데사주에서 실시한 사회학적 조사에 따르면, 집에서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는 응답자의 비율이 2021년 26%에서 42%로 증가한 반면,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54%로 감소했다. 서비스업(상점, 카페, 이발소, 오락시설)에서의 우크라이나어 의무 사용에 대해서는 59%가 긍정적, 13%가 부정적, 17%가 무관심, 12%가 답변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공공장소에서의 러시아어 노래 공연 허용 여부에 대해서는 30%가 반대, 37%가 찬성, 20%가 무관심, 12%가 답변하기 어렵다고 응답하여 의견이 나뉘었다.[18]

4. 4. 종교 (2015년)

2015년 기준으로 오데사주에서 가장 큰 종교는 동방 정교회로, 인구의 84%가 신자이다.[19] 8%는 무종교이며, 6%는 교파에 속하지 않는 기독교인이다.[19] 가톨릭과 개신교 신자는 각각 인구의 0.5%를 차지한다.[19]

오데사주의 정교회 공동체는 2015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9]

  • 무교파 – 46%
  •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관할 우크라이나 정교회 – 31%
  • 키예프 총대주교청 우크라이나 정교회 – 21%
  • 우크라이나 자치 정교회 – 1%
  • 불명 – 1%

5. 행정 구역

(km2)인구
(2015년)[20]행정 중심지도시
인구만*[20]오데사Одеса (місто)139km21,010,490오데사 (시)1,010,490빌호로드드니스트로프스키 ^Білгород-Дністровський (місто)31km257,559빌호로드드니스트로프스키 (시)57,559초르노모르스크Чорноморськ (місто)25km272,553초르노모르스크 (시)67,323이즈마일 ^Ізмаї́л (місто)53km272,266이즈마일 (시)72,266포딜스크Подільськ (місто)25km240,613포딜스크 (시)40,613테플로다르Теплодар (місто)3km210,277테플로다르 (시)10,277피브덴네Південне (місто)9km232,149피브덴네 (시)32,149아나니우 라이온Ананьївський (район)1050km226,999아나니우8,441아르치즈 라이온 ^Арцизький (район)1379km245,274아르치즈14,886발타 라이온Балтський (район)1317km241,666발타18,940베레지우카 라이온Березівський (район)1637km233,930베레지우카12,614빌호로드드니스트로프스키 라이온 ^Білгород-Дністровський (район)1852km260,774빌호로드드니스트로프스키 (시)해당 없음 *빌리아이우카 라이온Біляївський (район)1497km294,083빌리아이우카14,334볼흐라드 라이온 ^Болградський (район)1364km269,148볼흐라드15,451이바니우카 라이온Іванівський (район)1162km226,604이바니우카8,807이즈마일 라이온 ^Ізмаїльський (район)1194km251,584이즈마일 (시)해당 없음 *킬리아 라이온 ^Кілійський (район)1358km252,400킬리아28,434코디마 라이온Кодимський (район)818km229,586코디마11,195리만 라이온Комінтернівський (район)1499km271,158도브로슬라우14,028류바시우카 라이온Любашівський (район)1100km230,688류바시우카10,954미콜라이우카 라이온Миколаївський (район)1093km216,127미콜라이우카2,850오비디오폴 라이온Овідіопольський (район)829km278,941오비디오폴32,486옥니 라이온Окнянський (район)1013km220,186옥니5,338포딜스크 라이온Подільський (район)1037km227,091포딜스크 (시)해당 없음 *레니 라이온 ^Ренійський (район)861km258,352레니25,527로즈딜나 라이온Роздільнянський (район)1368km237,353로즈딜나19,003사라타 라이온 ^Саратський (район)1474km245,057사라타4,351사브란 라이온Савранський (район)617km219,083사브란6,420쉬리아이우에 라이온Ширяївський (район)1502km227,151쉬리아이우에6,781타루티네 라이온 ^Тарутинський (район)1874km241,603타루티네12,932타타르부나리 라이온 ^Татарбунарський (район)1748km238,825타타르부나리10,988벨리카미하일리우카 라이オンВеликомихайлівський (район)1436km231,006벨리카미하일리우카8,472자하리우카 라이온Захарівський (район)956km220,233자하리우카8,881

5. 1. 2020년 이후 행정 구역

오데사주 상세 지도


2020년 7월 18일, 우크라이나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오데사주의 지역(라이온) 수는 기존 26개에서 7개로 축소되었으며, 이전에 주 정부에 직접 속했던 독립시들도 새로운 라이온에 포함되었다.[21][22] 이 7개의 라이온은 총 91개의 흐로마다(자치단체)로 나뉜다.

이름우크라이나어 이름면적
(km2)
인구
(2001년 인구 조사)[23]
행정 중심지인구
(2021년 추정치)
흐로마다 수
베레지우카 라이온Березівський (район)5546km2121,518베레지우카106,49016
빌호로드드니스트로프스키 라이온Білгород-Дністровський (район)5177km2214,211빌호로드드니스트로프스키198,68216
볼흐라드 라이온Болградський (район)4477km2167,464볼흐라드146,42410
이즈마일 라이온Ізмаїльський (район)3505km2239,096이즈마일207,3336
오데사 라이온Одеський (район)3946km21,353,314오데사1,382,54122
포딜스크 라이온Подільський (район)7048km2266,948포딜스크224,16312
로즈딜나 라이온Роздільнянський (район)3568km2106,506로즈딜나102,5849


6. 경제

오데사주 유채꽃밭


오데사주의 주요 산업 분야는 다음과 같다.

이 지역의 산업 능력은 주로 오데사와 그 주변에 집중되어 있다.

7. 문화

(내용 없음)

7. 1. 주요 명소

아케르만 요새


다뉴브강 하구 국립공원

7. 2. 유명 인물

오데사 출신의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한 명은 세르게이 우토츠킨으로, 사이클, 권투, 수영 등 다방면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였으며, 오데사 영국 육상 클럽에서 축구를 했다.[5] 우토츠킨은 달리면서 증기 기관차와 경주를 벌였고, 자전거를 타고는 질주하는 말을 이겼으며, 롤러 스케이트를 타고는 자전거를 타는 사람을 추월하는 등 독특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5] 그의 다음 목표는 하늘을 나는 것이었다.[5] 우토츠킨은 지역 은행가로부터 비행기를 구입하여 수십 차례의 시범 비행을 완료했으며, 결국 자신의 파르망식 비행기를 조립하는 데 성공했다.[5] 키예프에서는 5만 명이 넘는 군중 앞에서 조종 실력을 선보였는데, 이 관중 중에는 헬리콥터의 창시자인 이고르 시코르스키도 있었다.[5]

오데사에서 태어난 다른 주목할 만한 인물들로는 시인 안나 아흐마토바, NASA 과학자이자 아폴로 계획에 참여했던 니콜라스 E. 골로빈, 작곡가 타마라 말류코바 시도렌코, 그리고 소비에트 연방 재즈의 창시자 레오니드 우툐소프 등이 있다.[5]

참조

[1] 서적 Toponymic Guidelines for Map and Other Editors for International Use https://unstats.un.o[...] DerzhHeoKadastr and Kartographia 2020-10-06
[2] Wikidata
[3] 웹사이트 Валовии регіональнии продукт https://ukrstat.gov.[...]
[4]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5] Youtube Tell about Ukraine. Odesa Oblast https://www.youtube.[...] 24 Kanal
[6] 백과사전 Asprokastron Oxford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Republic of Moldavia – an Intermezzo on the Signing and the Ratification of the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and Minority Languages http://www.philologi[...] "Alexandru Ioan Cuza" University of Iaşi 2014-09-19
[8] 서적 Воєводства Правобережної України у XVI-XVIII століттях: Статті і матеріали Ukraïns'kij katolickij unìversitet
[9] 서적 Rural Revolutions in Southern Ukraine: Peasants, Nobles, and Colonists, 1774–1905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09-19
[10] 서적 Deportacje ludności polskiej do Kazachstanu w 1936 roku. Zarys historyczny Kancelaria Senatu
[11] 뉴스 http://dt.ua/UKRAINE[...] 2015-01-03
[12] 웹사이트 https://navalny.com/[...] navalny.com 2014-09-23
[13] 웹사이트 Провідні країни Європи відбудовуватимуть Україну, – Гайдай https://lb.ua/econom[...] 2022-07-05
[14] 웹사이트 Results of the 2001 All-Ukrainian population census for the Odesa Region http://2001.ukrcensu[...]
[15] 웹사이트 Більше половини жителів Одещини вважають українську мову рідною — дослідження https://suspilne.med[...] 2024-08
[16] 웹사이트 Рідні мови в об'єднаних територіальних громадах України https://socialdata.o[...]
[17] 웹사이트 Більше половини жителів Одещини вважають українську мову рідною — дослідження https://suspilne.med[...] 2024-08
[18] 웹사이트 Демократія, безпека та соціальне становище: думка респондентів в Одеській області у 2023 році https://dif.org.ua/a[...]
[19] 웹사이트 Religious preferences of the population of Ukraine http://infolight.org[...] Razumkov Centre, SOCIS, Sociological group "RATING", Kyiv International Institute of Sociology 2015
[20] 웹사이트 Населення та міграція, Чисельність населення на 1 грудня 2015 року та середня за січень-листопад 2015 року http://od.ukrstat.go[...]
[21] 뉴스 Про утворення та ліквідацію районів. Постанова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 807-ІХ. http://www.golos.com[...] 2020-07-18
[22] 웹사이트 Нові райони: карти + склад https://www.minregio[...] Міністерство розвитку громад та територій України
[23] 웹사이트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24] 웹사이트 2001年ウクライナ国勢調査。ウクライナの総人口 http://2001.ukrcensu[...] 2001-12-05
[25] 웹사이트 2001年ウクライナ国勢調査。ウクライナの都市人口・農村人口 http://2001.ukrcensu[...] 2001-12-05
[26] 웹사이트 2001年ウクライナ国勢調査。ウクライナの性別人口 http://2001.ukrcensu[...] 2001-12-05
[27] 웹사이트 2001年ウクライナ国勢調査。地域別民族構成 http://2001.ukrcensu[...] 2001-12-05
[28] 웹사이트 The number of the actual population as of January 1, 2009 http://www.ukrcensus[...]
[29] 웹사이트 Порошенко у суботу на Одещині представить Саакашвілі http://www.pravda.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