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는 조직 내부 시스템에 구축되어 하드웨어 및 인프라를 직접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형태를 의미한다.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와 비교하여 설치 위치, 비용, 운영 및 유지보수, 데이터 백업 및 보안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는 과거 대규모 기업의 전사적 자원 관리(ERP) 자동화를 위해 주로 사용되었으나,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전과 함께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로 변화하며 시장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 현재 소프트웨어 시장은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며,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의 장점을 결합한 형태도 등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프트웨어 배포 - 셰어웨어
    셰어웨어는 일정 기간 무료 사용 또는 기본 기능 무료 제공 후 추가 기능 유료 구매 방식으로 배포되는 소프트웨어의 한 종류이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인터넷을 통해 배포되어 라이선스 키를 통해 정식 버전을 사용할 수 있다.
  • 소프트웨어 배포 - 디지털 배급
    디지털 배급은 온라인을 통해 콘텐츠를 유통하는 방식으로, 음악, 비디오, 도서,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전통적인 소매업에 영향을 미치며, 신인 아티스트에게 기회를 제공하지만, 호환성 문제와 검열 가능성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
개요
종류소프트웨어
배포 방식온프레미스
특징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서버, 하드웨어 등의 설비가 고객의 데이터 센터나 서버 룸과 같이 물리적으로 소유한 장소에 위치함
상세 내용
장점보안 및 데이터 프라이버시 강화
규제 준수 용이
네트워크 지연 감소
사용자 정의 및 제어 향상
단점높은 초기 투자 비용
유지 보수 및 관리 부담
확장성 제한
기술 지원 필요
관련 용어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인프라형 서비스(IaaS)
플랫폼형 서비스(PaaS)
데이터 센터
서버 룸
고려 사항
도입 결정기업의 특정 요구 사항
보안 요구 사항
예산
기술 전문성
주요 고려 사항총 소유 비용 (TCO)
확장성
유지 관리
보안
규정 준수
관련 기술
서버물리 서버 또는 가상 머신
운영 체제Windows Server, Linux 등
데이터베이스Oracle, Microsoft SQL Server, MySQL 등
네트워크LAN, WAN

2.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SaaS) 비교

SaaSPaaS로 사업화된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과 비교했을 때, 온프레미스 방식은 초기 비용이나 고정적인 유지 보수 비용이 더 들 수 있지만, 반응 속도, 보안, 커스터마이징, 가시성 등 다른 측면에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금융업이나 방위 산업 등 사업 모델에 따라서는 온프레미스가 선호되기도 한다.[14] 따라서 실제 운영에서는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를 연계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15]

항목온프레미스클라우드(SaaS)
설치 위치조직 내부 시스템에 구축[3][4][5]인터넷을 통해 접근, 별도 설치 불필요[3][4][5]
비용초기 구축 비용(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설치)이 높고, 유지보수 비용 발생[3][4][5]초기 비용은 낮으나, 장기적으로는 사용량에 따라 비용 증가 가능성[3][4][5]
운영 및 유지보수사용자가 직접 운영 및 유지보수 책임[3][4][5]소프트웨어 제공업체가 운영 및 유지보수 책임[3][4][5]
백업 및 데이터 저장사용자가 직접 백업 및 데이터 저장 책임[3][4][5]클라우드 제공업체가 백업 및 데이터 저장 책임
데이터 보안사용자가 데이터 관리 책임, 보안 수준은 논쟁의 여지 있음[3][4][5]클라우드 제공업체가 데이터 관리 책임, 보안 수준은 논쟁의 여지 있음



최근에는 온프레미스에서 풀 클라우드로의 이행이 계속되고 있지만,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온프레미스로 운영하는 방법도 있다.

2. 1. 설치 위치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기타 인프라와 함께 조직의 내부 시스템 내에 구축된다.[3][4][5]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며, 시간과 위치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온라인으로 접속할 수 있다.[3][4][5]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와 달리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사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이나 웹 브라우저를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

2. 2. 비용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는 초기 구축 비용이 많이 든다. 여기에는 하드웨어 및 기타 인프라 구매, 소프트웨어 설치 및 검사 비용이 포함된다.[3][4][5] 또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구매 비용과 준비 및 절차에 필요한 시간도 소요된다. 소프트웨어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유지 관리 및 운영 비용도 발생한다.

반면,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는 초기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아 자본이 많지 않은 소규모 기업에 적합하다.[3][4][5] 소프트웨어 공급업체가 라이선스 비용 및 유지 관리, 운영 비용을 부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에 대한 부담이 없다. 또한, 서비스 접근을 위해 전자 장치만 있으면 되므로 인프라 구축 비용도 적게 든다.

그러나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는 서비스 사용에 대한 정기적인 결제(예: 월간 구독료)가 필요하므로, 장기적인 총비용은 사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3][4][5] 클라우드 컴퓨팅형 서비스는 초기 비용과 유지 보수 비용을 낮출 수 있지만, 반응 속도, 보안, 커스터마이징, 가시성 등 다른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사업 모델에 따라서는 온프레미스가 선호되는 경우도 있다.

2. 3. 운영 및 유지보수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주체는 자체적으로 시스템의 일상적인 운영 및 유지 관리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진다. 이는 시스템 운영에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며, 시스템 관리에 특화된 IT 인력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낳는다.[3][4][5]

반면에,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의 경우, 시스템 운영 및 유지 관리에 대한 책임은 소프트웨어 제공업체에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운영을 목적으로 특정 IT 전문가를 고용할 필요가 없다.[3][4][5]

2. 4. 백업 및 데이터 저장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주체는 유지 관리 및 운영과 관련하여 소프트웨어 데이터의 백업 및 저장에 대한 책임도 진다. 이는 해당 주체가 데이터와 보안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3][4][5]

2. 5. 데이터 보안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데이터 관리를 책임지는 반면,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제공업체가 책임을 진다.[3][4][5]

하지만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와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간의 데이터 보안 수준 차이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3][4][5] 일부 전문가들은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가 일반적인 사업체보다 데이터 보안 시스템에 투자할 자본과 기타 자원이 더 많기 때문에 더 안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반면, 다른 전문가들은 소프트웨어 공급업체가 시스템 내에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버 공격자들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더 높아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3.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 기반으로의 발전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는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SaaS) 이전에 주로 대규모 기업의 전사적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해 개발되었다.[6] SaaS는 2000년대 초에 등장했으며, 초기에는 특정 기업 기능 자동화에 대한 수요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6] 그러나 1900년대에도 이미 소프트웨어의 주문형 서비스 제공을 시도한 사례가 있었다.[6] 당시 이 비즈니스 모델이 널리 알려지지 않은 이유는 광대역 보급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2000년대에 광대역 인터넷 보급과 함께 SaaS 시장이 발전하면서, 중소기업 및 대기업을 포함한 다양한 기업들이 SaaS를 채택하기 시작했다.[6] SaaS는 고객이 각 고객의 필요와 경제적 상황에 따라 많은 기능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6]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가 각 비즈니스 요구에 맞게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맞춤화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졌었지만, SaaS 또한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시장이 발전함에 따라 어느 정도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진화했다.[6]

2013년에는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가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주류를 이루었지만, 점점 더 많은 고객과 소프트웨어 공급업체가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로 전환하고 있다.[6] 1990년대 말 - 2000년대 초반 광대역 인터넷 접속이 보급되면서 정보 설비 구축 및 유지를 아웃소싱하는 방법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외부 서버 팜을 자원으로 하고 자사 정보 시스템 규모에 따라 온디맨드로 활용하는 새로운 운영 형태가 실현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기존 운영 방식과 구분하기 위해 "온프레미스"라는 용어가 2010년경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클라우드 컴퓨팅형 서비스는 초기 비용이나 고정적인 유지 보수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응 속도, 보안, 커스터마이징, 가시성 등 다른 측면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금 체계가 온디맨드, 즉 종량제인 경우에는 사업의 신장성에 따라 경제 효율을 판단할 필요도 생긴다. 금융업이나 방위 산업 등, 사업 모델에 따라서는 온프레미스가 선호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따라서 실제 운영에서는 온디맨드로의 단순한 이행이 아니라, 사용자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면서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의 연계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14]

3. 1. 주요 ERP 시스템 기업

ERP 시스템 변화에 기여한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다.[7]

기업설명
오라클
세이지
마이크로소프트온프레미스 협업 플랫폼(SharePoint2010)과 함께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Azure, Microsoft Dynamics LCS)를 출시했다.[8]
SAP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였으나, 시장 변화에 따라 클라우드 기반 ERP 제공업체로 전환했다.[7]
세일즈포스클라우드 기반 CRM 솔루션(Sales Cloud)을 통해 CRM 프로세스에 혁신을 가져왔다.[7]


4. 현재 소프트웨어 시장 상황

현재 소프트웨어 시장은 전통적인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에서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로 전환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변화는 기업들의 정보 관리 시스템과 가치 창출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1. 시장 동향

지난 10년간 소프트웨어 시장에서는 전통적인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에서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로의 전환 추세가 나타났으며, 그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다.[2][6][7]

2016년 당시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기업들은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를 통해 전통적인 정보 관리 시스템을 유지했다.[6] 이는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 기반으로 점진적으로 전환함에 따라 소프트웨어 시장의 추세 변화가 느린 속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2020년에는 약 70%의 기업 고객들이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에서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로의 신규 또는 추가 전환을 계획하고 있다.[2]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으로의 이러한 소비자 이동에 따라,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SAP 등 업계 선두 소프트웨어 기업을 포함한 점점 더 많은 공급업체들이 비즈니스 모델을 전환하고 제품을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으로 이전하고 있다.[7]

4. 2. 시장 적응 속도

B2C 시장이 B2B 시장보다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 기반으로 더 빠르게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기업이 개인 사용자보다 복잡한 정보 관리 구조와 시스템을 요구하고, 데이터 보안에 대한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2]

4. 2. 1. 기업 모델

SaaS와 같은 비교적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주요 고객은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의 비사용자였다. 앞서 언급된 낮은 설치 비용과 낮은 시스템 관리 비용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서비스를 구매, 설치 및 구현하기가 더 쉬웠기 때문이다.[6]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이러한 기능의 편리함이 널리 알려지면서, 더 많은 고객(주로 기업)이 SaaS가 정보 및 시스템 관리에 더 많은 효율성을 가져다준다는 것을 깨닫고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6] 특히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고도로 표준화되어 업계 내에서 공유되는 경우 더욱 그러하다.

4. 2. 2. 법규 및 제약

데이터 보안에 대한 우려와 관련 법규의 정도 또한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시장 적응 속도의 차이를 낳는 요인이 되었다.[6] 실제로 데이터 보안 및 레거시 관리에 대한 규제가 덜한 개발도상국들은 소프트웨어 시장 트렌드 변화에 비교적 더 빠르게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4. 2. 3. 공급업체의 반응

일부 공급업체, 특히 기존에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를 제공해 온 업체들은 비즈니스 모델을 완전히 바꿔야 하고, 이 과정에 막대한 비용, 시간,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전환하려 하지 않는다.[2] 수요 측면(또는 고객 측면) 요인 외에도, 이러한 공급업체의 반응은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의 느린 전환의 또 다른 이유가 될 수 있다.

4. 3. 트렌드 변화의 영향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로의 이동은 기업의 정보 관리 시스템 변화뿐만 아니라 가치 창출 과정의 잠재적 변화를 초래한다.[7]

4. 3. 1. 플랫폼 역할의 변화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은 여러 이해 관계자가 동시에 접근할 수 있어 고객과 생산자 간의 상호 작용 및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는 기능을 통합한다. 반면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 다른 개인 그룹을 배제하고 플랫폼 소유자에게만 접근을 제한한다.[9]

4. 3. 2. 온-플랫폼 서비스의 다양성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는 비교적 더 유연한 방식으로, 더 다양한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유연성은 서로 다른 전문 분야와 기능을 가진 여러 플랫폼으로 구성된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아키텍처에 기인한다. 이러한 플랫폼의 가장 대표적인 예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이다.[9] 이 소프트웨어는 여러 개의 개별적인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구성된다.[9]

5.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

온-프레미스 솔루션과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고객의 비즈니스 모델, 재정 상황, 비즈니스 전략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더 나은 선택이 달라진다. 두 소프트웨어 모두 사용자에게 모든 기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어떤 선택도 고객에게 '완벽한' 솔루션을 제공하지 못한다.[2][6]

정보 관리를 위해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으로 전환할 때 고객의 우려는 데이터 보안, 개인 정보 보호 등 전통적인 온-프레미스 솔루션이 더 잘 제공할 수 있는 사항들을 포함한다.[3]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시장은 온-프레미스 솔루션과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및 그 최고의 기능을 결합하는 새로운 솔루션을 내놓았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는 맞춤형이자 주문형으로 동시에 제공될 것이다.

클라우드 컴퓨팅형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초기 비용이나 고정적인 유지 보수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응 속도, 보안, 커스터마이징, 가시성 등 다른 측면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금 체계가 온디맨드, 즉 종량제인 경우에는 사업의 신장성에 따라 경제 효율을 판단할 필요도 생긴다. 금융업이나 방위 산업 등, 사업 모델에 따라서는 온프레미스가 선호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따라서 실제 운영에서는 온디맨드로의 단순한 이행이 아니라, 사용자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면서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의 연계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14], 또한 일본 국내의 후발 벤더는 그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에 주력할 것이라는 예측이 각 애널리스트로부터 제시되고 있다[15]. 하드웨어를 구입하여 사내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간편하기 때문에 온프레미스에서 풀 클라우드로의 이행이 계속되고 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라고 불리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설을 온프레미스로 운영하는 방법도 있다.

6. 소프트웨어 산업

1990년대 초부터 소프트웨어는 진화하기 시작했으며, 2000년대 초에는 비즈니스 시장의 트렌드가 소프트웨어 사용으로 크게 변화했다.[10] 이 시기에 IT 산업 전체는 시장 호황을 누리며 급격하게 성장했지만, 소프트웨어 시장은 IT 산업 제품 지출의 약 25%를 차지했다.

미국은 소프트웨어 사업에서 항상 가장 큰 국가였으며 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보여왔다.[10] 2006년 미국 기업의 소프트웨어 제품은 전 세계 소프트웨어 제품 매출의 약 60%를 차지했다.

기능적 관점과 상업적 관점에서 소프트웨어 제품은 주로 다음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10]


  • '''순수 소프트웨어 제품'''
  • '''내장형 소프트웨어 제품'''
  • '''고객 맞춤형 소프트웨어'''

6. 1. 역사와 발전

1990년대 초부터 소프트웨어는 진화하기 시작했으며, 2000년대 초에는 비즈니스 시장의 트렌드가 소프트웨어 사용으로 크게 변화했다.[10] 이 시기에 IT 산업 전체가 시장 호황을 누리며 급격한 성장을 경험했지만, 소프트웨어 시장은 IT 산업 제품 지출의 약 25%를 차지했다.

미국은 소프트웨어 사업에서 항상 가장 큰 국가였으며 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보여왔다.[10] 2006년, 미국 기업의 소프트웨어 제품은 전 세계 소프트웨어 제품 매출의 약 60%를 차지했다.

6. 2. 소프트웨어 제품 유형

소프트웨어 제품은 기능적 관점과 상업적 관점에서 주로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10]

  • '''순수 소프트웨어 제품'''
  • '''내장형 소프트웨어 제품'''
  • '''고객 맞춤형 소프트웨어'''


''순수'' 소프트웨어는 주로 독립적인 단일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구매되며 다른 제품에 통합되지 않는다.[10]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주요 제품으로 거래되지만, 때로는 공급업체가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결합되거나 제공되는 서비스에서 더 많은 수익을 얻기도 한다.

순수 소프트웨어 제품과 달리, 내장형 소프트웨어 제품은 독립적으로 거래되지 않고 다른 제품에 통합되는 일부로 간주된다. 예로는 휴대 전화, 컴퓨터 및 기타 전자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 유형의 소프트웨어는 기존의 소프트웨어 제품과 비교하여 완전히 다른 방식의 아키텍처와 시스템 구성이 필요하다.[11]

고객 맞춤형 소프트웨어는 시스템과 서비스를 고객의 개별 요구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이러한 맞춤화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 및 플랫폼의 조합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12] 이 소프트웨어 제품의 핵심 목적은 개별 고객의 특정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기술을 통해 고유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반면, 표준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 특정 산업 및/또는 시장 영역 내에서 광범위한 고객에게 표준화된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참조

[1] 웹사이트 on-premises (Webopedia) https://www.webopedi[...]
[2] 웹사이트 A Model for On-Premises ERP System and Cloud ERP Integration http://ieomsociety.o[...] 2020-03-10
[3] 간행물 From On-Premises Software to Cloud Services: The Impact of Cloud Computing on Enterprise Software Vendors' Business Models 2013-08-22
[4] 웹사이트 Cloud vs. On-Premises Software: the Cloud Debate https://www.datamati[...] 2018-03-08
[5] 간행물 Classifying Systemic Differences between Software As A Service and On-Premises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6] 간행물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Absorptive Capacity and Ambidexterity on the Process of Business Model Change – the Case of On-Premises and Cloud-Computing Software 2016
[7] 간행물 The shift to Cloud Computing: The impact of disruptive technology on the enterprise software business ecosystem https://research.utw[...] 2018-04
[8] 서적 Pro SharePoint 2010 Development for Office 365 APRESS
[9] 간행물 Growing Role of Platforms in Cybersecurity https://www.jstor.or[...] 2017
[10] 간행물 Challenges of Software Product Companies: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in Finland https://ieeexplore.i[...] 2015
[11] 서적 Embedded Software
[12] 웹사이트 What Is Custom Software Development? https://www.business[...] 2020-11-20
[13] 웹사이트 オンプレミス − @IT情報マネジメント用語事典 https://www.itmedia.[...] 2010-08-30
[14] 웹사이트 クラウドを企業で利用する際の最大の課題は、業務プロセスの連携だ - インタビュー:ITpro https://xtech.nikkei[...] 2010-08-30
[15] 웹사이트 国内クラウド市場は2015年に7438億円規模に、5年で5倍−矢野経済研究所:ニュース http://pc.nikkeibp.c[...] 2010-08-30
[16] 웹사이트 on-premises (Webopedia) https://www.webopedi[...]
[17] 웹인용 A Model for On-Premises ERP System and Cloud ERP Integration http://ieomsociety.o[...] 2020-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