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게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옹게어족은 옹게어와 자라와어로 구성된 언어 가족이다. 옹게어는 소안다만섬의 옹게족이 사용하며, 자라와어는 중안다만섬과 남안다만섬 일부 지역의 자라와족이 사용한다. 옹게어족은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신체 부위에 기반한 명사 부류 체계를 갖는다. 옹게어족은 대안다만어족, 센티넬어와 함께 안다만어족을 구성하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의 관계가 제기되었으나 논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다만 제어 - 센티널어
센티넬어는 인도 센티넬 섬의 센티넬족이 사용하는 안다만어족 추정 언어로, 자라와어와 관련 가능성이 있지만 의사소통은 불가능하며, 고립된 생활로 인해 연구와 보존이 어려워 심각한 언어 위기에 처해 있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옹게어족 | |
---|---|
언어 정보 | |
이름 | 온간어족 |
다른 이름 | 남안다만어족 |
지역 | 안다만 제도 |
어족 색상 | 안다만 |
어족 | 안다만 제어 또는 오스트로네시아-온간 어족 |
글롯토코드 | jara1244 |
글롯토코드 참조 | Jarawa–Onge |
하위 언어 | 옹게어 자라와어 장길어 (소멸) (센티널어?) |
![]() |
2. 언어
옹게어족은 계통관계가 확인된 옹게어와 자라와어 두 언어로 이루어진다. 1900년 전후 인도인의 유입으로 옹게족과 자라와족의 인구가 급감했으나, 현재는 당국에 의해 외부와 거의 단절되어 보존되고 있다.
안다만어족은 대안다만어족과 옹게어족, 그리고 미연구 상태인 센티넬어로 구성된다. 대 안다만어족은 대 안다만인의 언어로, 옹게어족과는 계통이 다르다. 대안다만어족과 옹게어족의 유사성은 주로 언어 유형적, 형태적인 성질이며, 공통 어휘는 거의 없다. 조셉 그린버그와 같은 대어족주의 언어학자도 안다만 제어를 유효한 어족으로 인정하지 않는다.[11] 그 이후, 옹게어족(대안다만어족은 포함하지 않음)은 오스트로네시아조어와 멀리 연관되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2. 1. 옹게어
소안다만섬의 원주민 옹게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약 100명의 화자가 남아있다.[12]옹겐조어 | *p | *b | *t | *d | *kʷ | *k | *ɡ | *j | *w | *c | *ɟ | *m | *n | *ɲ | *ŋ | *l | *r |
---|---|---|---|---|---|---|---|---|---|---|---|---|---|---|---|---|---|
옹게어 | b | b | t, d | d, r | kʷ, h | k, ɡ | ɡ, Ø | j | w | c, ɟ | ɟ | m | n | ɲ | ŋ | l, j | r/j/l, Ø |
2. 2. 자라와어
중안다만섬과 남안다만섬의 일부 지역에 사는 자라와족이 사용하며 약 200명의 화자가 남아있다.[12]러틀랜드 섬의 내륙에 살던 장길족(Jangil)이 사용했을 장길어는 자라와어와 일부 말이 통했다는 기록이 있다. 장길족은 19세기 중반에 처음 외부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1900년대 이후 인적이 드문드문하다가 1920년대에 탐험대가 섬에 갔을 때는 사람을 찾을 수 없었으며, 아마 외부에서 들어온 전염병에 의하여 멸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옹겐조어와의 자음 대응은 다음과 같다.[12]
옹겐조어 | *p | *b | *t | *d | *kʷ | *k | *ɡ | *j | *w | *c | *ɟ | *m | *n | *ɲ | *ŋ | *l | *r |
---|---|---|---|---|---|---|---|---|---|---|---|---|---|---|---|---|---|
자라와어 | p, b | b | t | d | hʷ, h | h | ɡ, j | j | w | c | ɟ | m | n | ɲ | ŋ | l | r |
옹게어 | b | b | t, d | d, r | kʷ, h | k, ɡ | ɡ, Ø | j | w | c, ɟ | ɟ | m | n | ɲ | ŋ | l, j | r/j/l, Ø |
옹겐조어 | *i | *u | *a | *e | *o | (*ə) |
---|---|---|---|---|---|---|
자라와어 | i | u | a | e, ə, o | o | (ə) |
옹게어 | i | u | a | e, ə, o | o | (ə) |
2. 3. 장길어
러틀랜드 섬의 내륙에 살던 장길족(Jangil)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장길어는,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으나 자라와어와 일부 말이 통했다는 기록이 있다.[1] 장길족은 19세기 중반에 처음 외부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1900년대 이후 인적이 드문드문하다가 1920년대에 탐험대가 섬에 갔을 때는 사람을 찾을 수 없었다. 아마 외부에서 들어온 전염병에 의하여 멸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2. 4. 센티넬어
센티넬어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나 옹게어족에 속할 가능성이 상정되지만 확인되지 않았다. 안다만어족은 대안다만어족과 옹게어족, 그리고 미연구 상태인 센티넬어로 구성된다.[11] 센티넬어는 센티넬족의 언어이다. 미접촉 부족이므로 언어는 미지수이다.3. 문법
옹게어족 언어들은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전치사 및 후치사가 널리 쓰인다. 광범위한 접두사와 접미사 체계를 가진다.[7][8] 이 언어들은 신체 부위에 기반한 명사 부류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모든 명사와 형용사는 그것이 어떤 신체 부위와 연관되어 있는지에 따라 (형태 또는 기능적 연관성에 근거하여) 접두사를 취할 수 있다.[9] 신체 부위 용어의 또 다른 특징은 불가분 소유로, 이를 완성하기 위해 소유 형용사 접두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머리"만으로는 말할 수 없고, "나의, 그의, 너의 등 머리"와 같이 표현해야 한다.[9]
옹게어족의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나, 나의 | m- | 우리, 우리의 | et-, ot- |
---|---|---|---|
너, 너의 | ŋ- | 너희, 너희의 | n- |
그, 그의, 그녀, 그녀의, 그것, 그것의 | g- | 그들, 그들의 | ekw-, ek-, ok- |
또한 "누군가의"라는 뜻의 불특정 접두사 ''ən-, on-''도 있다. 자라와어는 복수형이 없지만, 단수형은 매우 유사하다: ''m-, ŋ-'' 또는 ''n-, w-, ən-''. 이를 바탕으로 블레빈스는 원시 옹게어 *m-, *ŋ-, *gw-, *en-을 재구성했다.
3. 1. 수사 체계
현재까지 밝혀진 바로는 기수(cardinal)는 1과 2만이 존재하며 수 표현은 '1', '2', '하나 더', '많이 더', '전부'만으로 이루어진다.[7][8] 이용 가능한 자료에 따르면, 안다만어는 단 두 개의 기수를 가지고 있으며, 하나와 둘 그리고 그들의 전체 수사 어휘는 하나, 둘, 하나 더, 몇 개 더, 그리고 전부이다.[8]4. 외부 관계
확인된 안다만어족은 대안다만어족과 옹게어족의 두 어족으로 나뉜다. 대안다만어족과 옹게어족 간의 유사성은 주로 유형론적 및 형태론적 성격을 띠며, 공통 어휘는 거의 입증되지 않았다. 조지프 그린버그와 같은 장거리 연구자들은 안다만어를 어족으로 묶는 것에 대한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했다.[2]
4. 1.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의 관계
안다만어족은 대안다만어족과 옹게어족의 두 어족으로 나뉜다. 대안다만어족과 옹게어족 간의 유사성은 주로 유형론적 및 형태론적 성격을 띠며, 공통 어휘는 거의 입증되지 않았다. 조지프 그린버그와 같은 언어학자들은 안다만어를 어족으로 묶는 것에 대한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했다.[2]이후 옹게어족(대안다만어족 제외)이 오스트로네시아어와 멀리 연관되어 있으며, 이를 오스트로네시아-옹간어족이라고 부른다는 주장이 줄리엣 블레빈스(2007)에 의해 제기되었다.[3] 그러나 이 주장은 다른 언어학자들에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조지 반 드리엠(2011)은 블레빈스의 증거가 "설득력이 없다"고 평가했지만, 일부 유사성은 접촉/차용의 결과일 가능성을 열어두었으며, 이는 호게르보르스트(2012)도 지지하는 입장이다.[4][5] 로버트 블러스트(2014)는 블레빈스의 결론이 그녀의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으며, 그녀의 첫 25개의 재구성은 비교 방법을 사용하여 재현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블러스트는 문법적 비교가 타당하지 않으며, 블레빈스의 가설에 반대하는 비언어학적(문화적, 고고학적, 생물학적) 증거도 제시한다.[6]
옹게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자음 대응과 모음 대응은 다음 표와 같다.[12]
옹겐조어 | *p | *b | *t | *d | *kʷ | *k | *ɡ | *j | *w | *c | *ɟ | *m | *n | *ɲ | *ŋ | *l | *r |
---|---|---|---|---|---|---|---|---|---|---|---|---|---|---|---|---|---|
자라와어 | p, b | b | t | d | hʷ, h | h | ɡ, j | j | w | c | ɟ | m | n | ɲ | ŋ | l | r |
옹게어 | b | b | t, d | d, r | kʷ, h | k, ɡ | ɡ, Ø | j | w | c, ɟ | ɟ | m | n | ɲ | ŋ | l, j | r/j/l, Ø |
옹겐조어 | *i | *u | *a | *e | *o | (*ə) |
---|---|---|---|---|---|---|
자라와어 | i | u | a | e, ə, o | o | (ə) |
옹게어 | i | u | a | e, ə, o | o | (ə) |
5. 재구
입증된 두 개의 옹게어족 언어는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역사적인 음운 재구성은 대부분 간단하다.[12]
5. 1. 자음
입증된 두 개의 옹게어족 언어는 비교적 가깝고, 역사적인 음운 재구성은 대부분 간단하다.원시 옹게어족 | *p | *b | *t | *d | *kʷ | *k | *ɡ | *j | *w | *c | *ɟ | *m | *n | *ɲ | *ŋ | *l | *r |
---|---|---|---|---|---|---|---|---|---|---|---|---|---|---|---|---|---|
자라와어 | p, b | b | t | d | hʷ, h | h | ɡ, j | j | w | c | ɟ | m | n | ɲ | ŋ | l | r |
옹게어 | b | b | t, d | d, r | kʷ, h | k, ɡ | ɡ, Ø | j | w | c, ɟ | ɟ | m | n | ɲ | ŋ | l, j | r/j/l, Ø |
5. 2. 모음
- ə는 비음 종결 자음 앞의 *e의 변이음으로 보인다.
참조
[1]
서적
A Grammar of the Great Andamanese Language
Brill's Studies in South and Southwest Asian Languages, Volume 4
[2]
간행물
The Indo-Pacific Hypothesis.
Mouton
[3]
논문
A Long Lost Sister of Proto-Austronesian? Proto-Ongan, Mother of Jarawa and Onge of the Andaman Islands
http://julietteblevi[...]
[4]
서적
Dynamics of human diversity: the case of mainland Southeast Asia
Pacific Linguistics
2021-11-13
[5]
간행물
Southeast Asia in the ancient Indian Ocean world: combining historical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approaches
https://ora.ox.ac.uk[...]
University of Oxford
2021-11-13
[6]
논문
Some Recent Proposals Concern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Austronesian Languages
[7]
서적
Endangered Languages of the Andaman Islands
Lincom Europa
[8]
서적
A Grammar of the Andamanese Languages, Being Chapter IV of Part I of the Census Report on the Andaman and Nicobar Islands
Superintendent's Printing Press
[9]
논문
Deep Linguistic Prehistor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Andamanese
http://lup.lub.lu.se[...]
[10]
논문
A Long Lost Sister of Proto-Austronesian? Proto-Ongan, Mother of Jarawa and Onge of the Andaman Islands
http://email.eva.mpg[...]
[11]
간행물
The Indo-Pacific Hypothesis.
Mouton
[12]
문서
[13]
서적
Endangered Languages of the Andaman Islands.
Lincom GmbH
[14]
서적
A Grammar of the Andamanese Languages, Being Chapter IV of Part I of the Census Report on the Andaman and Nicobar Islands
Superintendent's Printing Press
[15]
논문
Deep Linguistic Prehistor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Andamanese.
http://www.ling.lu.s[...]
Lund University: Department of Linguistic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