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푸아 제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푸아 제어는 주로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이다. 이 언어들은 계통 관계가 명확하지 않지만, 어순은 주로 SOV 형태를 띤다.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에서 가장 많은 언어가 사용되는 지역 중 하나이며, 서부 다니어, 엥가어 등 10만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들이 존재한다.
파푸아 제어의 계통 분류는 조셉 그린버그, 스테판 웜, 맬컴 로스 등에 의해 시도되었으며, 가장 큰 어족은 트랜스뉴기니어족이다. 윌리엄 폴리는 파푸아 제어를 60여 개의 어족과 다수의 고립된 언어로 분류했으며, 최근 티모시 어셔와 에드가 수터는 새로운 언어 계통을 제시했다. 파푸아 제어는 안다만 제도 언어, 서파푸아어족,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등 다른 어족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푸아 제어 - 아리어
아리어는 자음(무성/유성 파열음, 전비음화된 파열음, 비음, 마찰음, 설측음, 유음)과 모음(전설, 중설, 후설모음) 음소로 구성된 음운 체계를 가진 언어이다. - 파푸아 제어 - 세픽라무어족
세픽-라무어족은 여러 학자들이 세픽어군, 라무어군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하며, 어휘 비교 연구를 통해 내부 관계를 밝히는 어족이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 어족 - 드라비다어족
드라비다어족은 인도 아대륙의 토착 언어군으로, 타밀어 등을 포함하며, 인도-아리아어 확산 이전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4개 그룹으로 분류되며, 교착어의 특징과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른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파푸아 제어 | |
---|---|
지도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파푸아 제어 |
사용 지역 |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솔로몬 제도, 동티모르 |
어족 | 유전적으로 관련 없음 |
사용 범위 | 지리적 |
기타 | |
외부 링크 | Papuan |
2. 분포
파푸아 제어는 주로 뉴기니섬에 분포하며, 동쪽으로는 비스마르크 제도, 부건빌섬, 솔로몬 제도, 서쪽으로는 인도네시아의 할마헤라섬, 티모르섬, 알로르 제도까지 분포한다. 메리암어만이 오스트레일리아(토레스 해협 제도 동부)에 분포한다.
파푸아 제어는 공통 기초 어휘가 없어 계통 관계를 증명하기 어렵지만, 문법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2]
10만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파푸아 제어는 4개이며, 모두 뉴기니섬에서 사용되는 트랜스뉴기니어족에 속한다.
파푸아 제어에 대한 연구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만큼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조지프 그린버그, 스티븐 부름, 맬컴 로스, 티모시 어셔 등에 의해 계통도가 제시되었다. 파푸아 제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어족은 트랜스뉴기니어족인데, 뉴기니섬 고지대 언어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트랜스뉴기니어족의 성립 여부 자체도 논쟁의 대상이다. 현재 파푸아 제어의 약 1/4 정도만이 충분히 기록된 상태이며, 이 언어들에 대한 언어학적 이해는 시간이 지나면서 달라질 것이다.[2]
약 800여 개의 언어가 460만 명의 인구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뉴기니섬은 세계에서 가장 언어학적으로 복잡한 지역 중 하나이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들 외에도 크게는 60개의 독립된 어족들과 다수의 고립된 언어들이 사용된다.
3. 특징
어순은 SOV이다. SVO인 오스트로네시아어족, VSO인 오스트레일리아어족과 다르다.[2]
동사는 복잡하게 격변화한다.[2]
4. 주요 언어
언어 화자 수 지역 다니어 (서부) 18만 명[6] 인도네시아 파푸아주 엥가어 23만 명[6] 파푸아뉴기니 엥가주 멜파어 13만 명[6] 파푸아뉴기니 서부고지주 에카리어 10만 명[6] 인도네시아 파푸아주
뉴기니 서쪽에서는 동티모르의 마카사에어(2010년 10만 명)와 할마헤라의 갈렐라어(1990년 8만 명)가 가장 큰 언어이다. 동쪽에서는 부건빌에서 테레이어(2003년 2만 7천 명)와 나시오이어(2007년 2만 명)가 사용된다.[6]
5. 계통 분류
윌리엄 폴리는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파푸아 제어를 분석하면서, 트랜스뉴기니어족 외에 다음과 같은 어족들을 인정했다.[7]5. 1. 그린버그 (Greenberg)
조지프 그린버그는 안다만어족, 파푸아 제어, 태즈메이니아어족을 포함하는 "인도-태평양어족" 가설을 세웠으나,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오늘날 이 가설을 받아들이는 언어학자는 매우 소수이다.[7]
5. 2. 부름 (Wurm, 1975)
스티븐 부름(Stephen A. Wurm)은 파푸아 제어를 10개의 어족과 여러 고립된 언어로 분류하였다. 에스놀로그에서는 이 분류를 사용한다. 부름의 분류는 유형학적 연구에 기초하며, 언어 간 접촉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부름의 파푸아 제어 분류는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은 소속된 언어의 개수)
부름의 분류는 언어 간 접촉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트랜스뉴기니어족의 많은 어파들은 같은 어족의 다른 언어들과 어휘를 공유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문법적 유사성 때문에 함께 분류되었다. 그러나 일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은 트랜스뉴기니어족과의 접촉으로 인해 이와 유사한 문법 체계를 갖게 되기도 하였다. 또한, 트랜스뉴기니어족 언어들과 유사한 어휘를 가진 여러 언어들이 문법적 구조의 유사성이 없다는 이유로 어족에서 제외되기도 하였다.
5. 3. 폴리 (Foley, 2003)
윌리엄 폴리(William Foley)는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파푸아 제어를 60여 개의 소규모 어족 및 다수의 고립된 언어들로 분석하였다.[7] 폴리는 부름(Wurm)의 분류 중 낮은 단계의 계통 분류만을 인정하였다. 폴리가 제시한 분류는 다음과 같다.5. 4. 로스 (Ross, 2005)
맬컴 로스(Malcolm Ross)는 어휘, 특히 대명사 체계를 분석하여 파푸아 제어 분류를 재검토하였다. 로스는 파푸아 제어를 23개 어족과 9개의 고립된 언어로 분류했으며, 맘베라모하류어족이 파푸아 제어가 아닌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7]
5. 5. 어셔 (Usher, 2018)
티모시 어셔는 각 파푸아 어족의 기초 구성 단위를 재구하여 분류를 검증하였다. 어셔는 지리적 위치를 반영하여 새로운 분류군명을 만들었다.[18]5. 6. 파머 (Palmer, 2018)
빌 파머는 43개의 독립 어족과 37개의 고립어를 제안하며, 총 862개의 언어를 포함한다. 남쪽 조류머리 언어군, 동쪽 조류머리 언어군, 파우와시 언어군, 크웜타리-파스 언어군, 중앙 솔로몬 언어군의 일관성은 불확실하다고 표시하였다.[7]
5. 7. 글로토로그 4.0 (Glottolog 4.0, 2019)
글로토로그 4.0은 Usher의 연구를 일부 바탕으로 70개의 독립된 어족과 55개의 고립어를 인식한다.[7]
5. 8. 어셔 & 수터 (Usher & Suter, 2024)
티모시 어셔(Timothy Usher)와 에드가 수터(Edgar Suter)는 뉴기니월드(NewGuineaWorld) 프로젝트에서 새로운 언어 계통을 제시하였다. 다만, 증거가 부족한 카라미어는 분류되지 않았고, 멸종된 탐보라어와 동파푸아 언어는 옐레어를 오스트로네시아어로 확인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루지 않았다.[7]
6. 다른 어족과의 관계
조지프 그린버그는 안다만 제도 언어(혹은 적어도 대안다만어족)가 '''파푸아 제어'''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5] 스티븐 웜은 대안다만어족, 서파푸아어족, 티모르알로르판타르어족의 어휘 유사성이 "매우 두드러지며 많은 경우 사실상 공식적으로 동일하다"고 언급했다.[5] 그러나 웜은 이것이 대안다만어족과 트랜스뉴기니어족의 관련성을 증명하는 것은 아니지만, 오래전 서쪽에서 뉴기니로 이주하면서 생긴 기층 언어의 영향은 증명한다고 생각했다.
그린버그는 태즈메이니아어족과의 관계도 언급했다.[5]
윌리엄 A. 폴리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와 동뉴기니고지대 언어 사이의 어휘 유사성을 지적했다. 그는 뉴기니와 오스트레일리아가 대부분의 인류 역사 동안 단일 대륙이었고, 토레스 해협으로 8000년 전에야 분리되었기 때문에 단일 파푸아어 또는 오스트레일리아어 어족을 찾는 것은 순진한 것이며, 심층적인 재구성에는 양쪽 언어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19]
참조
[1]
웹사이트
Papuan
http://www.languages[...]
2017-10-15
[2]
논문
Wurm 1975
1975
[3]
논문
Explaining the Linguistic Diversity of Sahul Using Population Models
2009-11-17
[4]
논문
Distant Language Relationship: The Current Perspective
http://starling.rine[...]
2009
[5]
서적
The Austronesians
https://press.anu.ed[...]
ANU Press
[6]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endangered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7]
웹사이트
DELP - Papuan Languages
https://sydney.edu.a[...]
[8]
논문
A classification of Papuan languages
Linguistic Society of Papua New Guinea
[9]
간행물
ISO 639-3 codes
[10]
간행물
ISO 639-3 codes
[11]
웹사이트
ASJP World Language Trees of Lexical Similarity: Version 4 (October 2013)
https://asjp.clld.or[...]
[12]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De Gruyter Mouton
2018
[13]
서적
Papuan pasts: cultural, linguistic and biological histories of Papuan-speaking peoples
Pacific Linguistics
[14]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De Gruyter Mouton
2018
[15]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De Gruyter Mouton
2018
[16]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De Gruyter Mouton
2018
[17]
웹사이트
Glottolog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019
[18]
웹사이트
NewGuineaWorld
https://newguineawor[...]
[19]
서적
Australian Languages: Their Nature and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De Gruyter Mouton
2018
[21]
서적
세계의 언어와 나라의 핸드북
大学書林
[22]
서적
Papuan languages and the New Guinea linguistic scene: New Guinea area languages and language study 1
http://www.papuaweb.[...]
Dept. of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1-11-21
[23]
일반
[24]
일반
[25]
웹사이트
NewGuineaWorld
https://site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