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다만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10개의 부족을 이루어 살면서 사용했으나, 19세기 이후 인구 감소와 부족 간 통혼 등으로 인해 멸망 위기에 처했다. 현재는 제루어를 기반으로 한 혼합어 형태의 언어가 사용되며, 언어학적으로는 옹간어족과 구분되며, 고립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대안다만어는 남부, 중부, 북부 3개 그룹으로 분류되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안다만어족 - 아카보어
아카보어는 1부터 10까지의 수를 리디기, 와시, 에데, 룰라, 쿠무기, 길무게리, 듀마시, 운게르토시, 우나켈라, 차랄리와 같은 고유한 명칭으로 표현하는 언어이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드라비다어족
드라비다어족은 인도 아대륙의 토착 언어군으로, 타밀어 등을 포함하며, 인도-아리아어 확산 이전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4개 그룹으로 분류되며, 교착어의 특징과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른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대안다만어족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대안다만어족 |
민족 | 대안다만인 |
지역 | 안다만 제도 중북부 (대안다만 제도) |
어족 색 | 안다만 |
어족 | 세계의 주요 어족 중 하나 또는 인도태평양어족? |
글롯토로그 | grea1241 |
글롯토로그 참조 | Great Andamanese |
ISO 639-3 | gac (혼합 대안다만어) |
하위 언어 | |
북부 안다만어 | 케데어 |
중앙 안다만어 | 아카베아어 아카르발레어 아카케데어 아카콜어 오코주워이어 |
남부 안다만어 | 아푸치콰르어 아카차리어 아카코라어 아카제루어 아카보어 |
2. 역사
18세기 후반, 영국이 안다만 제도에 처음 정착했을 당시, 대안다만 제도와 주변 섬에는 약 5,000명의 대안다만족이 10개의 부족을 이루어 살았고, 서로 다르지만 밀접하게 연관된 언어들을 각각 사용했다. 19세기 후반, 대영제국은 안다만 제도에 유형지를 설치했다. 이후 인도 아대륙 등지에서 이민자와 계약 노동자들이 유입되면서 대안다만족의 인구는 급격히 감소했다. 1961년, 대안다만족 인구는 19명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51]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크게 대안다만어족과 옹간어족, 그리고 기록이 없는 센티넬어로 나뉜다. 대안다만어족과 옹간어족의 유사성은 주로 형태론적, 유형론적 특징에 있으며, 공통 어휘는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Abbi(2008)와 같은 전문가들은 살아남은 대안다만어를 고립어로 간주하며,[7] 조셉 그린버그와 같은 학자들조차 안다만어족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했다.[17]
이후 인구는 조금 증가해 2010년에는 52명이 되었다.[56] 그러나 1994년에는 10개의 부족 중 7개가 사라졌으며,[52] 살아남은 부족(제루족, 보족, 차리족) 간의 구별은 사실상 사라졌는데,[53] 부족 간 통혼과 스트레이트섬으로의 이주 때문이었다. 일부는 미얀마에서 온 카렌족이나 인도인 이주자와 결혼하기도 했다. 대안다만족은 점차 힌디어를 주된 언어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인구의 절반 가량은 힌디어만 구사한다.[54][55] 아카보어의 마지막 화자는 2010년에 85세로 사망했다.[56]
대안다만족 인구의 절반 가량은 대안다만어족에 속하는 새로운 언어(일종의 혼합어 또는 코이네어)를 사용한다. 이 언어는 주로 아카제루어에 바탕을 두고 있다.[57] 어떤 학자들은 이 언어를 “현대 대안다만어”(Present Great Andamanese영어)라 부르지만,[58][59] “제로어”(Jero) 또는 “대안다만어”(Great Andamanese|Great Andamanese영어)라 부르기도 한다.
3. 언어 분류
대안다만어는 3개의 명확한 그룹으로 나뉜다. 전통적으로 언어로 분류되었던 몇몇 방언들은 사실상 방언에 불과하며, 북안다만섬에서 사용되는 네 가지 방언이 그 예이다.[18][19]
1901년과 1994년 인구 조사에 따른 모집단의 이름과 철자는 다음과 같다.[47]1901년 인구 조사 1994년 인구 조사 |
3. 1. 대안다만어의 하위 분류
조셉 그린버그는 대안다만어가 인도태평양어족에 속하며 서쪽 파푸아어족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지만, 다른 언어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동의하지 않는다. 스티븐 웜은 대안다만어와 서파푸아어족 및 티모르의 특정 언어 간의 어휘적 유사성이 "매우 놀랍고 여러 경우에 사실상 형식적 동일성에 달한다"고 말했지만,[20] 이는 직접적인 관계가 아닌 언어적 기층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4. 문법
대안다만어족의 언어는 교착어이며, 광범위한 접두사와 접미사 체계를 가지고 있다.[35][37] 이들은 주로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류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모든 명사와 형용사는 그것이 어떤 신체 부위와 관련되는지에 따라 (형태적 또는 기능적 관련성에 기반하여) 접두사를 취할 수 있다.[36] 예를 들어, 언어 이름 앞에 있는 *aka-*는 혀와 관련된 사물의 접두사이다.
아카베아어에서 "부드러운, 유연한"을 뜻하는 ''yop''의 다양한 형태는 다음과 같다.[37]
- ''ot-yop'': 쿠션이나 스펀지처럼 머리나 심장과 관련된 단어에 붙는 접두사 "둥근-부드러운"
- ''ôto-yop'': 지팡이와 같이 "유연한"이라는 의미의 긴 것에 붙는 접두사
- ''aka-yop'': 막대나 연필처럼 혀에 붙는 접두사 "뾰족한"
- ''ar-yop'': 쓰러진 나무와 같이 손발이나 직립하는 것에 붙는 접두사 "썩은"
마찬가지로, ''beri-nga'' "좋은"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 ''un-bēri-ŋa'': "똑똑한" (손-좋은)
- ''ig-bēri-ŋa'': "선견지명이 있는" (눈-좋은)
- ''aka-bēri-ŋa'': "언어 능력이 뛰어난" (혀-좋은)
- ''ot-bēri-ŋa'': "고결한" (머리/마음-좋은)
접두사는 다음과 같다.
베아어(Bea) | 발라와어(Balawa)? | 바지겨스어(Bajigyâs)? | 주워이어(Juwoi) | 콜어(Kol) | |
---|---|---|---|---|---|
머리/마음 | ot- | ôt- | ote- | ôto- | ôto- |
손/발 | ong- | ong- | ong- | ôn- | ôn- |
입/혀 | âkà- | aka- | o- | ókô- | o- |
몸통(어깨부터 정강이까지) | ab- | ab- | ab- | a- | o- |
눈/얼굴/팔/가슴 | i-, ig- | id- | ir- | re- | er- |
등/다리/엉덩이 | ar- | ar- | ar- | ra- | a- |
허리 | ôto- |
신체 부위는 소유가 양도 불가능하며, 소유 형용사의 접두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머리"만을 단독으로 말할 수 없고, "나의 머리, 그의 머리, 너의 머리" 등과 같이 표현해야 한다.[36]
기본적인 대명사는 대안다만어족 언어 전체에서 거의 동일하다. 여기서는 아카베아어를 대표적인 예로 한다 (대명사는 기본적인 접두사 형태로 제시된다).
나, 나의 | d- | 우리(의) | m- |
너(의) | ŋ- | 너희(의) | ŋ- |
그(의), 그녀(의), 그것(의) | a | 그들(의), 그녀들(의), 그것들(의) | l- |
"이것"과 "저것"은 각각 ''k-''와 ''t-''로 구별된다.
입수 가능한 정보원에 따르면, 대안다만어족에는 1과 2 두 개의 기수만 존재하며, 숫자 어휘는 '하나', '둘', '하나 더', '몇 개 더', '모두' 등으로 구성된다.[37]
4. 1. 신체 부위 접두사 (Abbi, 2013)
큰안다만어족 언어는 교착어이며, 광범위한 접두사와 접미사 체계를 가지고 있다.[8][21] 이 언어들은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하는 독특한 명사류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모든 명사와 형용사는 어떤 신체 부위와 관련되어 있는지에 따라 (모양이나 기능적 연관성에 따라) 접두사를 취할 수 있다.[9] 예를 들어, 언어 이름 앞에 붙는 *aka-*는 혀와 관련된 사물에 대한 접두사이다.[21]Abbi (2013)는 큰안다만어족에서 다음과 같은 신체 부위 접두사를 제시한다.
계급 | 인체의 부분론 | 신체 계급 표시 |
---|---|---|
1 | 입과 그 의미 확장 | a= |
2 | 주요 외부 신체 부위 | ɛr= |
3 | 신체의 극단 (예: 발가락과 손톱) | oŋ= |
4 | 신체 생성물과 부분-전체 관계 | ut= |
5 | 신체 내부 기관 | e= |
6 | 둥근 모양이나 성기를 나타내는 부분 | ara= |
7 | 다리와 관련 용어에 대한 부분 | o= ~ ɔ= |
5. 음운론
현대 대안다만어(PGA)의 음운 체계는 다음과 같다.[60][61]
colspan="2" | | 양순음 | 순치음 | 치음 | 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파열음 | 기본 | |||||||||||
유기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비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R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마찰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설측음 | colspan="2" | | colspan="2" | | l | colspan="2" | | colspan="2" | | |||||||
접근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최근 화자들은 힌디어의 영향으로 일부 소리가 변화했을 수 있다. 고령 화자들은 젊은 화자들과 다르게 발음하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고령 화자들은 자음 을 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았다. 설측음 은 로 발음되었을 수도 있다. 양순 연구개 접근음 같은 소리는 단어 중간이나 끝에만 나타나고, 단어 첫머리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는 각각 의 변이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5. 1. 모음
5. 2. 자음
보다 최근의 화자들의 경우 어떤 소리들은 어쩌면 힌디어의 영향으로 변화를 겪었을 수도 있다.[61][60] 고령 화자의 발음은 저령 화자와 차이가 있는 경향이 있었다. 자음 을 로 발음하는 것은 고령자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설측음 은 로 발음되기도 한다. 양순 연구개 접근음 와 같은 음은 단어 내부 또는 단어 말음에서만 나타나며, 단어 첫머리 자음으로는 나타나지 않는다. 음 는 의 변이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6. 인구
18세기 후반 영국이 대안다만 제도에 처음 정착했을 때, 대안다만족은 약 5,000명으로 10개의 부족으로 나뉘어 있었고, 각 부족은 서로 다르지만 밀접하게 연관된 언어를 사용했다. 1860년대부터 대영제국의 영구적인 유형지가 설치되고, 주로 인도 아대륙에서 온 계약 노동자 등 이민 정착자들이 유입되면서, 대안다만족 인구는 1961년에 19명으로 최저치까지 감소했다.[51]
이후 인구는 다소 증가하여 2010년에는 52명이 되었다.[56] 그러나 1994년에는 10개 부족 중 7개가 이미 사라졌으며,[52] 살아남은 부족(제루족, 보족, 차리족) 간의 구분은 사실상 사라졌다.[53] 이는 부족 간의 통혼과 스트레이트섬이라는 훨씬 좁은 영역으로의 이주 때문이었다. 일부는 미얀마에서 온 카렌인이나 인도인 이주자와 결혼하기도 했다. 대안다만족은 점차 힌디어를 주된 언어로 사용하며, 인구의 절반 가량은 힌디어만 할 줄 안다.[54][55] 아카보어의 마지막 화자는 2010년에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6]
대안다만족 인구의 절반 가량은 대안다만어족에 속하는 새로운 언어(혼합어 또는 코이네어의 일종)를 구사하는데, 이 언어는 주로 아카제루어에 바탕을 두고 있다.[57] 어떤 학자들은 이 언어를 "현대 대안다만어"(Present Great Andamanese영어)라 부르지만,[58][59] "제로어"(Jero) 또는 "대안다만어"(Great Andamanese creole|Great Andamanese영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1901년과 1994년 인구조사에 따른 부족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24]
6. 1. 1901년 인구조사
부족 이름 | 1901년 인구 조사 |
---|---|
아카-카리 | 39 |
아카-코라 | 96 |
아카-보 | 48 |
아카-제루 | 218 |
아카-케데 | 59 |
아카-콜 | 11 |
오카-주워이 | 48 |
아카-푸치크와르 | 50 |
아카-발레 | 19 |
아카-베아 | 37 |
6. 2. 1994년 인구조사
1994년 인구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24]부족명 | 인구 |
---|---|
아카제루 | 19 |
아카보 | 15 |
아카카리 | 2 |
(현지) | 4 |
1994년에는 북부 방언을 제외하고는 다른 방언을 기억하는 사람이 없었고,[3] 살아남은 부족 (제루, 코라, 보, 카리) 간의 구분은 스트레이트 섬의 훨씬 작은 지역으로의 재정착과 혼혈로 인해 사실상 사라졌다.[4] 일부는 카렌(미얀마)과 인도 정착민과도 혼혈이 되었다. 힌디어가 그들의 주요 언어로 사용된다.[5][6] 인구 중 일부는 주로 제루 방언을 기반으로 하는 ''코이네''를 사용했지만, 이것조차도 부분적으로만 기억될 뿐이며 더 이상 일상 언어로 사용되지 않았다.[7][8][9]
7. 예시
대안다만어족의 예시로는 아카베아어 시와 오코주워이어 창세 신화가 있다. 아카베아어 시는 족장 잠부가 지은 시로, 운율 효과를 위해 단어와 문장 구조가 다소 생략되거나 도치된 특징을 보인다.[25] 오코주워이어 창세 신화는 프로메테우스를 연상시키는 내용으로, 비둘기씨가 신이 잠든 사이 불을 훔쳐 인간에게 전해주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25][48]
7. 1. 아카베아어 시
다음은 족장 잠부(Jambu)가 과실치사로 6개월간의 징역형을 마치고 석방된 후 지은 시이다.[25]: ''ngô:do kûk l'àrtâ:lagî:ka,''
: ''mō:ro el:ma kâ igbâ:dàla''
: ''mō:ro el:mo lê aden:yarà''
:: ''pō:-tōt läh.''
: 후렴: ''aden:yarà pō:-tōt läh.''
직역:
: 너 마음 슬픔이니라,
: 하늘-표면 거기에 보면서,
: 하늘-표면의 물결에 보면서,
:: 대나무 창에 기대니라.
번역:
: 너는 마음이 슬프구나,
: 하늘의 표면을 거기서 바라보면서,
: 하늘 표면의 물결을 바라보면서,
:: 대나무 창에 기대고 있구나.
하지만 안다만 제도의 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처럼, 원하는 운율 효과를 얻기 위해 단어와 문장 구조가 다소 생략되거나 도치된 것으로 보인다.
7. 2. 오코주워이어 창세 신화
프로메테우스를 연상시키는 오코-주워이어의 창세 신화 일부는 다음과 같다.[25][48]: ''Kuro-t'on-mik-a Mom Mirit-la, Bilik l'ôkô-ema-t, peakar at-lo top-chike at laiche Lech-lin a, kotik a ôko-kodak-chine at-lo Karat-tatak-emi-in.''
직역:
: “쿠로=톤=믹의 비둘기씨, 신, ?-잠자고-있었-다, 나무, 불-함께-훔치고-있었-다, 불, 고 레흐에게, 그, 그리고 나서, 그, ?-불-만들고-있었-다, 불-함께, 카라트=타타크=에미-에서”
번역(포트먼에 의한):
: 비둘기씨는 신이 잠자는 동안 쿠로=톤=미카에서 횃불을 훔쳤다. 그는 그 횃불을 고 레흐에게 주었고, 레흐는 카라=타타크=에미에서 불을 만들었다.
참조
[1]
논문
A Long Lost Sister of Proto-Austronesian? Proto-Ongan, Mother of Jarawa and Onge of the Andaman Islands
http://email.eva.mpg[...]
[2]
서적
The Jarawa
https://books.google[...]
Anthropological Survey of India
1990
[3]
서적
Tribal Development in the Andaman Islands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4]
서적
The Andaman Islanders: A study in social anthrop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Anosh Malekar, "The case for a linguisitic survey," Infochange Media
https://web.archive.[...]
2011-08-01
[6]
논문
Where Have All The Speakers Gone? A Sociolinguistic Study of the Great Andamanese
[7]
논문
Is Great Andamanese genealogically and typologically distinct from Onge and Jarawa?
[8]
서적
Endangered Languages of the Andaman Islands
Lincom GmbH
[9]
논문
Deep linguistic prehistor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Andamanese
http://cts.lub.lu.se[...]
Lund University: Department of Linguistics
2016-07-08
[10]
뉴스
Andamanese tribes, languages die
http://www.thehindu.[...]
2010-02-05
[11]
기타
Mixed Great Andamanese
[12]
뉴스
Lives Remembered
https://www.telegrap[...]
2010-02-10
[13]
웹사이트
The last speaker of the Sare language has died
https://medium.com/@[...]
2020-06-01
[14]
뉴스
Mourning the death of a language amid the pandemic
https://www.straitst[...]
2020-06-03
[15]
기타
Aka-Jeru
[16]
뉴스
The Pandemic Also Threatens Endangered Languages
https://blogs.scient[...]
Scientific American
2020-04-30
[17]
논문
The Indo-Pacific hypothesis
Mouton
[18]
서적
A grammar of Akajeru: fragments of a traditional North Andamanese dialect
https://discovery.uc[...]
UCL Press
2021
[19]
논문
Subgrouping and lexical distance in the Great Andamanese family
Peter Lang
[20]
서적
New Guinea Area Languages and Language Study, Volume 1: Papuan Languages and the New Guinea Linguistic Scene
http://www.papuaweb.[...]
Pacific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1]
서적
A Grammar of the Andamanese Languages, being Chapter IV of Part I of the Census Report on the Andaman and Nicobar Islands
Superintendent's Printing Press
[22]
서적
A Grammar of the Great Andamanese Language
[23]
서적
Great Andamanese: a preliminary study
Pacific Linguistics
[24]
서적
Tribal Development in the Andaman Islands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25]
서적
Dictionary of the South Andaman Language
British India Press
[26]
논문
A Long Lost Sister of Proto-Austronesian? Proto-Ongan, Mother of Jarawa and Onge of the Andaman Islands
http://email.eva.mpg[...]
[27]
기타
Mixed Great Andamanese
[28]
서적
The Jarawa
https://books.google[...]
Anthropological Survey of India
1990
[29]
서적
Tribal Development in the Andaman Islands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30]
서적
The Andaman Islanders: A study in social anthrop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Anosh Malekar, "The case for a linguisitic survey," Infochange Media
http://infochangeind[...]
2011-08-01
[32]
논문
Where Have All The Speakers Gone? A Sociolinguistic Study of the Great Andamanese
[33]
웹사이트
Lives Remembered
http://www.telegraph[...]
2010-02-10
[34]
논문
Is Great Andamanese genealogically and typologically distinct from Onge and Jarawa?
[35]
서적
Endangered Languages of the Andaman Islands
Lincom GmbH
[36]
논문
Deep linguistic prehistor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Andamanese
http://cts.lub.lu.se[...]
Lund University: Department of Linguistics
[37]
서적
A Grammar of the Andamanese Languages, being Chapter IV of Part I of the Census Report on the Andaman and Nicobar Islands
Superintendent's Printing Press
[38]
서적
A Grammar of the Great Andamanese Language
Brill's Studies in South and Southwest Asian Languages, Volume 4.
[39]
서적
Great Andamanese: a preliminary study
Pacific Linguistics
[40]
논문
The Indo-Pacific hypothesis
Mouton
[41]
논문
Subgrouping Andamanese group of languages
[42]
뉴스
アンダマン諸島の2言語絶滅 最後の話者、相次ぎ死亡
http://www.asahi.com[...]
Asahi.com
2010-02-08
[43]
뉴스
Andamanese tribes, languages die
http://beta.thehindu[...]
The Hindu
2010-02-05
[44]
웹사이트
GA Community
http://www.andamanes[...]
2010-02-08
[45]
웹사이트
Obituary for Boa Sr.
http://www.andamanes[...]
Vanishing Voices of the Great Andamanese (VOGA)
2010-02-08
[46]
서적
New Guinea Area Languages and Language Study, Volume 1: Papuan Languages and the New Guinea Linguistic Scene
http://www.papuaweb.[...]
Pacific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47]
서적
Tribal Development in the Andaman Islands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48]
서적
Dictionary of the South Andaman Language
British India Press
[49]
논문
A Long Lost Sister of Proto-Austronesian? Proto-Ongan, Mother of Jarawa and Onge of the Andaman Islands
http://email.eva.mpg[...]
[50]
웹사이트
Mixed Great Andamanese
https://www.ethnolog[...]
2015
[51]
서적
The Jarawa
https://books.google[...]
Anthropological Survey of India
[52]
서적
Tribal Development in the Andaman Islands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53]
서적
The Andaman Islanders: A study in social anthrop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
웹인용
Anosh Malekar, "The case for a linguisitic survey," Infochange Media, August 1, 2011.
http://infochangeind[...]
2020-01-10
[55]
논문
Where Have All The Speakers Gone? A Sociolinguistic Study of the Great Andamanese
[56]
뉴스
Lives Remembered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0-02-22
[57]
논문
Is Great Andamanese genealogically and typologically distinct from Onge and Jarawa?
[58]
서적
Endangered Languages of the Andaman Islands
Lincom GmbH
[59]
웹인용
Deep linguistic prehistor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Andamanese. Working Papers 45, 5-24. Lund University: Department of Linguistics
http://cts.lub.lu.se[...]
2016-07-08
[60]
서적
A Grammar of the Great Andamanese Language
[61]
서적
Great Andamanese: a preliminary study
Pacific Linguistic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