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트로네시아조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로네시아조어는 비교언어학을 통해 재구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조상 언어이다. 음운론, 특히 자음 대응 관계를 통해 재구되며, 학자마다 음소의 개수와 종류에 대한 추측이 다르다. 로버트 블러스트는 25개의 자음, 4개의 모음, 4개의 이중모음을, 존 볼프는 19개의 자음, 4개의 모음, 4개의 이중모음과 음절 강세를 재구했다. 블러스트, 볼프, 맬컴 로스 등 여러 학자들의 재구 결과는 설정음 체계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오스트로네시아조어는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오세아니아조어, 폴리네시아조어로 분화되면서 음운 변동을 겪었으며, 어순은 VSO/VOS형에서 SVO형으로 변화했다. 또한, 오스트로네시아 정렬 방식을 사용했으며, 4태 체계와 독특한 격표지 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어휘는 농업, 기술, 신체 부위, 친족, 동물, 색상, 방향, 수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구되었으며, 대명사 체계 또한 재구되었다. 오스트로네시아조어는 약 5000년 전 타이완에서 기원하여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으로 확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2. 음운론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음운 체계는 비교언어학의 방법론을 통해 여러 학자들이 재구해 왔다. 로버트 블러스트와 존 볼프(John Wolff)의 재구가 대표적이다.[28] 이론적으로는 재구 결과가 일관성이 있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언어의 수가 너무 많아 불일치가 많이 나타나며, 학자마다 오스트로네시아조어 음소의 개수 및 종류에 대해 상당히 다른 추측들을 내놓는다.

과거에는 특정 대응 관계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아니면 특정 언어에서 산발적으로 발달한 것인지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대응 관계의 타당성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만, 어디까지가 오스트로네시아조어에서 기원한 것이고 어디부터가 후손 언어들에서 나타난 혁신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르다.

오스트로네시아조어는 현재의 타이완어파와 필리핀어파처럼 많은 접사초점이 존재했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는 개음절 언어가 많지만, 조어는 오히려 폐음절 언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어와의 관계를 지적하는 일부 설에 대해서는 "일본어의 기원#오스트로네시아어족 설" 문서를 참조하라.[24]

2. 1. 블러스트의 재구

로버트 블러스트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에 25개의 자음, 4개의 모음, 4개의 이중모음이 있었다고 재구했다.[28] 블러스트는 재구된 자음 중 일부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오스트로네시아조어 단어 재구에 자주 사용되는 기호는 다음과 같다.

블러스트(2009)가 재구한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자음은 아래 표와 같다.[2]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자음 (Blust, 2009)'''
순음치경음경구개음권설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무성 파열음ptcolspan="2" |colspan="2" |kqcolspan="2" |
유성 파열음bdcolspan="2" |Dg,
j
colspan="2" |colspan="2" |
비음mnñcolspan="2" |ŋcolspan="2" |colspan="2" |
마찰음colspan="2" |Sscolspan="2" |colspan="2" |colspan="2" |h
파찰음colspan="2" |Cc,[29]
z[30]
colspan="2" |colspan="2" |colspan="2" |colspan="2" |
설측음colspan="2" |lNcolspan="2" |colspan="2" |colspan="2" |colspan="2" |
탄음 또는 전동음colspan="2" |r,
R[31]
colspan="2" |colspan="2" |colspan="2" |colspan="2" |
접근음wcolspan="2" |ycolspan="2" |colspan="2" |colspan="2" |colspan="2" |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모음은 a, i, u, ə의 4개였다.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모음 (Blust, 2009)'''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colspan="2" |u
중모음colspan="2" |əcolspan="2" |
저모음colspan="2" |acolspan="2" |



이중모음은 *-ay, *-aw, *-uy, *-iw의 4개였다.

2. 2. 볼프의 재구

2010년 존 볼프(John Wolff)는 자신의 저서 ''Proto-Austronesian phonology with glossary''에서 오스트로네시아조어 재구를 발표했다.[3] 볼프는 19개의 자음, 4개의 모음(*i, *u, *a, *e = ), 4개의 이중모음(*ay, *aw, *iw, *uy) 및 음절 강세를 재구했다.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자음 (Wolff)
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무성 파열음ptckq [32]
유성 파열음bdjgɣ
비음mncolspan="2" |ŋcolspan="2" |
마찰음colspan="2" |colspan="2" |scolspan="2" |h
설측음colspan="2" |lɬcolspan="2" |colspan="2" |
접근음wcolspan="2" |ycolspan="2" |colspan="2" |



아래 표는 볼프와 블러스트가 각각 재구한 오스트로네시아조어 음소 체계의 차이를 보여준다. 일대일 대응이 되지 않는 주요 차이점은 굵은 글씨로 강조했다.

볼프와 블러스트의
오스트로네시아조어 음소
볼프블러스트
pp
tC, t
kk
없음c
qq
bb
없음d
dD
jz
gj
없음g
ɣR
mm
nn
ɬñ, N
ŋŋ
ll
없음r
cs
sS
hh
ww
yy


2. 3. 기타 재구

맬컴 로스(Malcolm Ross)는 블러스트(Blust)의 재구에서 논란의 여지가 없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구별하고, 설정음 체계에 대한 다른 의견을 제시했다.[33] 뎀프볼프(Dempwolff), 디엔(Dyen), 쓰치다(Tsuchida), 달(Dahl) 등 여러 학자들이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설정음 체계에 대한 다양한 재구를 제시했다.

로스는 달의 d1, d2, d3과 (블러스트가 기각한) Z를 수용했다. 로스는 d1과 d2, d3 간의 대립이 아미스어, 푸유마조어, 파이완조어에서만 재구 가능하며, 파이완조어에만 d1, d2, d3의 삼중 대립이 존재하고, Z와 d1 간의 대립은 루카이조어와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서만 재구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로스는 여전히 이 음소들 간의 대립이 각각의 분기군에서 혁신으로 나타난 것이 아니라 오스트로네시아조어에서 물려받은 것이라고 보았다.

로스는 d1이 형태소 첫머리에만 나타나고, r은 형태소 내의 나머지 위치에서만 나타나므로 이 둘을 하나의 음소로 통합했다.

로스는 음소 c, z, ñ을 오스트로네시아조어에 포함하지 않았으며, 이 중 어느 음소도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외에는 "바로 재구 가능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또한 로스는 ñ이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의 일반적인 혁신이라고 보았지만, c와 z는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 서부의 상당히 제한적인 지역"에서만 나타나므로 국지적인 발달로 보았다.

로스는 설정음도 약간 다르게 재구했다. 로스는 C, S, l, d3가 모두 권설음(각각 /tʂ/, /ʂ/~/ʃ/, /ɭ/~/ɽ/, /ɖ/)이었고, 블러스트가 각각 치음과 경구개음으로 재구한 s와 L(블러스트의 N)이 모두 치음 /s/와 /l/이었다고 보았다. 로스는 이러한 주장이 타이완 제어와 자와어의 대응형을 근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치음/경구개음으로 발달한 언어가 더 널리 퍼져 있기는 하나,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이다.

3. 음운 변동

오스트로네시아조어에서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오세아니아조어, 폴리네시아조어로 변화하면서 음소 체계가 축소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블러스트와 볼프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와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사이의 음운 변동을 다르게 제시했다. 블러스트는 다음의 변화를 제시했다.[28]

오스트로네시아조어와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간의 음운 변동 (블러스트)
오스트로네시아조어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C/t*t
*N/n*n
*S/h*h
*eS[34]*ah



반면 볼프는 다음 세 가지 변화만을 제시했다.


  • PAn *ɬ > PMP *ñ, l, n
  • PAn *s > PMP *h
  • PAn *h > PMP *Ø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서 오세아니아조어로 변화하면서 더 많은 수의 음소가 합류했다.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와 오세아니아조어 간의 음운 변동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오세아니아조어
*b/p*p
*mb/mp*b
*c/s/z/j*s
*nc/nd/nz/nj*j
*g/k*k
*ŋg/ŋk*g
*d/r*r
*e/-aw*o
*-i/uy/iw*i



이러한 변화로 인해 오세아니아조어에서는 더 많은 수의 음소가 합류했고, 오늘날의 폴리네시아어군 언어들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음소 체계를 가지게 되었다.[28] 예를 들어, 하와이어는 자음이 8개, 마오리어는 10개뿐이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내에서 일어난 특이한 음운 변동은 다음과 같다.[28]


  • 오세아니아조어 *t > 하와이어, 사모아어, 온통자바어 k[35]
  • 폴리네시아조어 *l과 *r > 렌넬어 ŋg
  • 오세아니아조어 *w와 *y > 레베이 케헤크어 p
  •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w 또는 *b > 순다어 c- 또는 -nc-

4. 통사론

오스트로네시아조어는 동사가 문장 첫머리에 오는 VSO형 또는 VOS형 어순을 가진 언어였다.[28] 이는 타이완 제어, 필리핀어군 등 현대의 여러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이다.

4. 1. 어순

현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은 다양한 어순을 보인다. 타이완 제어, 필리핀어군, 일부 보르네오어군, 마다가스카르의 모든 오스트로네시아계 방언, 모든 폴리네시아어군은 동사가 문장 첫머리에 오는 VSO형VOS형 어순을 유지하고 있다.[28]

그러나 인도네시아, 뉴기니섬, 누벨칼레도니, 바누아투, 솔로몬 제도, 미크로네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 (특히 오세아니아어군) 언어들은 SVO형 어순을 보인다. SOV형 어순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내에서 드물며, 솔로몬 제도의 극히 일부와 뉴기니섬의 여러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에서만 나타난다. 이는 SOV형 어순이 비오스트로네시아계 파푸아 제어에서 매우 흔하기 때문이다.[2]

4. 2. 태 체계

타이완, 보르네오, 마다가스카르, 필리핀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은 오스트로네시아 정렬이라는 독특한 형태통사적 정렬 방식을 가진다.[2] 이 방식은 오스트로네시아조어에도 존재했다.

존 볼프는 타이완과 필리핀의 여러 언어에서 발견된 증거를 바탕으로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4태 체계를 재구했다.[2] Blust (2009:433)가 제시한 볼프의 오스트로네시아조어 태 체계는 아래 표와 같다.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태 체계
독립절
(비과거)
독립절
(과거)
미래 또는
일반적 행위
종속절가정절
행위자중심태-um--inum-?ø-a
피행위자중심태-en-in-r- -en-a?
장소중심태-an-in-anr- -an-i-ay
도구중심태i-i- -in- (?)?-an (?)?



그러나 로스(Ross, 2009)는 이 재구가 초우어, 루카이어, 푸유마어를 설명할 수 없으므로, 전체 어족의 조상 언어에 이러한 정렬 체계가 있었다고는 주장할 수 없다고 언급한다.[36] 로스는 이 재구가 적용되는 범위를 '''핵심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라고 부른다.

4. 3. 의문사와 격표지

오스트로네시아조어와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의 의문사는 다음과 같이 비교된다.

오스트로네시아조어와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의 의문사
한국어오스트로네시아조어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무엇*(n)-anu*apa
누구*(si)-ima*i-sai
어디*i-nu*i nu
언제*ija-n*p-ijan
어떻게*(n)-anu*ku(j)a



맬컴 로스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격표지 체계를 다음과 같이 재구했다.[28]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격표지
보통명사단수
인간명사
복수
인간명사
중립*[y]a, *u*i
주격*k-a*k-u
속격*n-a, *n-u*n-i*n-i-a
대격*C-a, *C-u*C-i
사격*s-a, *s-u
처격*d-a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중요한 문법어로는 연결사 *na와 처격사 *i가 있다.[28]

5. 형태론

형태론통사론오스트로네시아어족, 특히 필리핀어군 언어들에서 서로 분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28] 이는 동사의 형태가 문장의 나머지 단어들이 어떻게 구성될지(즉, 통사론)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 원시 오세아니아어, 원시 폴리네시아어로의 전환 과정에서 음소 체계는 지속적으로 축소되었다.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로의 전환에서는 세 번의 병합이, 원시 오세아니아어에서 원시 폴리네시아어로의 전환에서는 아홉 번의 병합이 관찰되었다. 예를 들어, 하와이어는 자음이 8개, 마오리어는 자음이 10개뿐으로, 이는 타이완 또는 진먼 섬에서 사용되었던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의 19~25개 자음에서 급격하게 감소한 것이다.

블러스트가 관찰한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와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 사이의 병합과 음운 변화는 다음과 같다.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및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의 음운 변화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
*C/t*t
*N/n*n
*S/h*h
*eS[7]*ah



Wolff (2010:241)에 따르면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가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발전하는 과정에서 다음 세 가지 음운 변화가 있었다.


  • PAn *ɬ > PMP *ñ, l, n
  • PAn *s > PMP *h
  • PAn *h > PMP *Ø


원시 오세아니아어는 더 많은 음소를 병합했으며, 오늘날의 폴리네시아어가 세계에서 가장 제한적인 자음 체계를 가지게 된 이유이다.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 및
원시 오세아니아어의 음운 변화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원시 오세아니아어
*b/p*p
*mb/mp*b
*c/s/z/j*s
*nc/nd/nz/nj*j
*g/k*k
*ŋg/ŋk*g
*d/r*r
*e/-aw*o
*-i/uy/iw*i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내에서 발생한 특이한 음운 변화는 다음과 같다.


  •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 *w 또는 *b > 순다어 c- 또는 -nc-
  • 원시 오세아니아어 *w 또는 *y > 르베이 키에크어 p
  • 원시 오세아니아어 *r 또는 *R > 히우어 g​͡ʟ
  • 원시 폴리네시아어 *l 또는 *r > 레넬어 ŋg ( *ɣ 또는 *ʁ를 거쳐)
  • 원시 폴리네시아어 *t > 하와이어, 사모아어, 옹통자바어 k ( *k > ʔ 이후)

5. 1. 접사

로버트 블러스트접두사, 접요사, 접미사 등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다양한 접사를 재구했다.[28] 예를 들어, *pa-는 비상태(동작) 동사의 사동형을 만드는 데 쓰였고, *pa-ka는 상태 동사의 사동형을 만드는 데 쓰였다.[28] 블러스트는 많은 접사가 p- 형태와 m- 형태를 갖는 p/m 대립 현상을 언급했는데, 이러한 체계는 타이완의 사우어에서 특히 발달해 있다.[28]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접사
접사해석
*ka-기동상 (타이완 제어에서만), 상태형, 과거 시제, 수반되는 행위/사람, 추상명사 형성, 행위의 방식, 과거분사
*ma-상태형
*maka-가능형
*maki/paki청원형 (무언가를 청원할 때)[37]
*maŋ행위자중심태
*paŋ도구중심태
*maʀ-행위자중심태
*paʀ-도구격 명사
*mu-이동[38]
*pa(-ka-)사동형
*paʀi-상호/집단 행위[39]
*qali/kali-영계와의 감각적인 연결[40]
*Sa-도구중심태
*Si-도구중심태
*-an도구중심태: 명령법
*Sika-서수
*ta(ʀ-)갑작스럽고 예상치 못한 우발적 행위
*-um-행위자중심태: 타동성 등
*-in-완결상, 명사화
*-ar-복수
*-an장소중심태
*-i장소중심태: 명령법
*-en피행위자중심태
*-a피행위자중심태: 명령법
*-ay미래 시제
*ka- -an역접 수동태, 추상명사


5. 2. 중첩

중첩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에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 오스트로네시아조어에서는 사람을 셀 때 Ca-중첩형 (자음 + /a/) 수사가 쓰였고, 비중첩형은 비인간 및 무생물을 셀 때 쓰였다.[7] CV-중첩형은 동사를 명사화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일로코어에서는 CV-중첩형이 명사의 복수형을 만드는 데 쓰인다.

블러스트(Blust 2009)에 따르면 중첩 패턴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7]

  • 완전 중첩
  • 접사 부착을 동반한 완전 중첩
  • 어말음을 제외한 완전 중첩
  • 마지막 모음을 제외한 완전 중첩
  • 모음이나 자음 또는 둘 다의 변화를 동반한 완전 중첩
  • 동일한 음절이 연속하는 완전 중첩
  • 접두 음보 (좌향) 중첩
  • 접미 음보 (우향) 중첩
  • CVC-중첩
  • CV-중첩 (부눈어bnn에서는 지속상, 집합성, 강도를 표시, 타갈로그어tl에서는 미래 시제)
  • 접사 부착을 동반한 CV-중첩
  • Ca-중첩 (사우어tsa와 푸유마어pyu에서 인간용 수사와 동사 파생 도구격 명사를 파생시키는 데 사용)
  • 분절음 고정식 확장
  • 중첩형 접요사
  • 접미 음절 중첩


덜 흔한 다른 패턴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Blust 2009).[7]

  • 무의미한 중첩 (파마어pmb에서 나타남)
  • 어두음을 제외한 완전 중첩 (바누아투 남부의 아네좀어aty에서 나타남)
  • 어두 활음을 동반한 완전 중첩 (코스라에어kos에서 나타남)
  • 어두 성문 파열음을 제외한 부분 중첩 (렌넬어ren에서 나타남)
  • 진정한 CV-중첩 (팡아시난어pag에서 나타남)
  • 우향 3음절 중첩 (마남어에서 나타남)
  • 이중 중첩 (월레아이어wya에서 나타남)
  • 삼중첩 (사우어에서만)
  • 연속 중첩 (사우어에서만)

6. 어휘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어휘는 신체 부위, 친족 관계, 동물, 식물, 색상, 방향, 수사 등으로 다양하게 재구되었다.


  • 명사
  • * 로버트 블러스트에 따르면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의 혁신에는 다음이 있다.[28]
  • ** *puqun*: 그루; 근원, 원인
  • ** *sumpit*: 취관
  • ** *haRezan*: 금을 새긴 통나무 사다리 (호상 가옥에 들어갈 때 사용)
  • ** *taytay*: 대나무 현수교 (오세아니아조어 *tete '사다리, 다리')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는 집을 가리키는 여러 단어가 있었다.

  • ** *balay*: 집, 공공 건물
  • ** *Rumaq*: 집, 가정 주택
  • ** *banua*: 땅, 마을, 집, 나라, 하늘, 천국 ("vanua"와 "tangata whenua"에서 "whenua"의 어원)
  • ** *lepaw*: 곡창
  • ** *kamaliR*: 미혼 남자들의 회관

  • 농업 및 기술[28]
  • * *pajay: 벼
  • * *beRas: 쌀
  • * *Semay: 밥
  • * *qayam: 새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PMP)에서는 '가축'을 의미)
  • * *manuk: 닭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PMP)에서 *manu-manuk은 '새'를 의미)
  • * *babuy: 돼지
  • * *qaNuaŋ: 카라바오 물소
  • * *kuden: 도기 솥
  • * *SadiRi: 집 기둥
  • * *busuR: 활
  • * *panaq: 화살을 쏘다
  • * *bubu: 어살
  • * *tulaNi: 대나무 코피리

  • 오스트로네시아조어 화자들은 두 가지 방향축을 사용했는데, 한 축은 육지-바다이고 다른 하나는 몬순이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에서 동서남북의 절대방위는 유럽인과의 접촉 후에야 발달했다. 육지-바다 축은 상류/오르막/내륙 방향과 하류/내리막/바다 방향이 동의어 관계이다. 이 사실은 오스트로네시아조어 화자들이 대륙부에 살았었다는 증거로 제시되는데, 작은 섬에서는 어느 방향으로도 바다가 보이기 때문이다.[28]
  • * *daya: 내륙 (상류/오르막) 방향
  • * *lahud: 바다 (하류/내리막) 방향
  • * *SabaRat: 서부 몬순
  • * *timuR: 동부 몬순
  • * *qamiS: 북풍

6. 1. 대명사

로버트 블러스트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와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의 인칭대명사를 다음과 같이 재구했다.[28]

오스트로네시아조어와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의 인칭대명사
대명사 유형한국어오스트로네시아조어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1인칭 단수*i-aku*i-aku
2인칭 단수*i-(ka)Su*i-kahu
3인칭 단수*si-ia*si-ia
1인칭 복수 (청자 포함)(너와) 우리*i-(k)ita*i-(k)ita
1인칭 복수 (청자 제외)(너 빼고) 우리*i-(k)ami*i-(k)ami
2인칭 복수너희*i-kamu*i-kamu, ihu
3인칭 복수그들*si-ida*si-ida



맬컴 로스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대명사 체계에 대해 다른 범주를 제시했다.[41] 로스는 인칭마다 일곱 가지 대명사 범주를 새로 제시했다. 각 범주와 그에 해당하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1인칭 단수형('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중립 (예: PAN *i-aku)

# 주격 1 (예: PAN *aku)

# 주격 2 (예: PAN *=ku, *[S]aku)

# 대격 (예: PAN *i-ak-ən)

# 속격 1 (예: PAN *=[a]ku)

# 속격 2 (예: PAN *(=)m-aku)

# 속격 3 (예: PAN *n-aku)

로스가 2002년에 제시한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대명사 체계는 다음과 같다. 독립형, 공손 독립형, 속격형 셋 총 다섯 가지 범주가 있다.[28]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인칭대명사
독립공손 독립속격 1속격 2속격 3
1인칭 단수*[i-]aku*=ku*maku*n-aku
2인칭 단수*[i-]Su*[i-]ka-Su*=Su*miSu*ni-Su
3인칭 단수*s(i)-ia(*=ia)*n(i)-ia
1인칭 복수 (청자 제외)*i-ami*[i-]k-ami*=mi*mami*n(i)-ami
1인칭 복수 (청자 포함)*([i])ita*[i-]k-ita*=ta*mita*n-ita
2인칭 복수*i-amu*[i-]k-amu*=mu*mamu*n(i)-amu
3인칭 복수*si-da(*=da)*ni-da


6. 2. 명사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명사는 신체 부위, 친족 관계, 동물, 식물, 색상, 방향, 수사 등으로 다양하게 재구되었다.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의 혁신에는 다음이 있다.[28]

  • *puqun*: 그루; 근원, 원인
  • *sumpit*: 취관
  • *haRezan*: 금을 새긴 통나무 사다리 (호상 가옥에 들어갈 때 사용)
  • *taytay*: 대나무 현수교 (오세아니아조어 *tete '사다리, 다리')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는 집을 가리키는 여러 단어가 있었다.

  • *balay*: 집, 공공 건물
  • *Rumaq*: 집, 가정 주택
  • *banua*: 땅, 마을, 집, 나라, 하늘, 천국 ("vanua"와 "tangata whenua"에서 "whenua"의 어원)
  • *lepaw*: 곡창
  • *kamaliR*: 미혼 남자들의 회관


선택된 식물 이름[18]
번호일반 명칭학명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8465구멍장이버섯Polyporus spp.*kulaC
8795수수Panicum miliaceum*baCaR
10249피마자Ricinus communis*katawa
10710코끼리풀, 억새Themeda gigantea*Caŋelaj
6569타이완단풍Liquidambar formosana*daRa₁
6629비파 나무와 열매Eriobotrya deflexa*Ritu
7254뽕나무 나무와 열매Morus formosensis*taNiud
4614등나무Calamus sp.*quay
6568무환자나무Sapindus mukorossi, Sapindus saponaria*daqu₂
7166쐐기풀Laportea spp.*laCeŋ
4900Imperata cylindrica*Riaq
6689Imperata cylindrica*Rimeja
7070털이 많은 덩굴Pueraria hirsuta*baSay
484거대한 크리넘 백합, 스파이더 백합Crinum asiaticum*bakuŋ₁
4039우레나Urena lobata*puluC
6560중국 옻나무, 오배자나무Rhus semialata*beRuS
6587향기로운 리테아, 메이 창Litsea cubeba*maqaw
6630인도 상추Lactuca indica*Samaq
6630씀바귀Sonchus oleraceus*Samaq
6697식물Aralia decaisneana*tanaq
6818까마귀쪽나무Solanum nigrum*SameCi
7082갈대Phragmites spp.*qaReNu
7084식물Begonia aptera*qanus₁
7418시나풀, 개미취Erechtites spp.*Sina
12731중국 딱총나무Sambucus formosana*Nayad
8455뿌리를 빻아서 강에 넣어 물고기를 기절시키는 식물Derris elliptica*tuba
7191식물, 참깨Sesamum indicum*Samud
12683둥근 녹색 열매를 맺는 작은 나무Ehretia spp.*kaNawaS
611가시 덩굴Smilax spp.*baNaR
619가시 덩굴Smilax spp.*baNaw
4243향기로운 문쟈크Cordia dichotoma*qaNuNaŋ
7114멀구슬나무Melia azedarach*baŋaS
12726비숍우드Bischofia javanica*CuquR
12811나무Zelkova formosana*teRebeS
12773나무, 중국 마호가니 또는 필리핀 마호가니Shorea maxwelliana*buleS
6682나무: 장뇌수Cinnamomum spp.*dakeS
7233상록수Acacia confusa?*tuquN
9776대나무Bambusa spinosa?*kawayan
1046매우 큰 지름의 대나무Dendrocalamus sp.?*betuŋ₁
6559바나나Musa sapientum*beNbeN
6693빈랑 열매Areca catechu의 열매*Sawiki
1223미스칸투스Miscanthus sp.*biRaSu
6620오이Cucumis sativus*baRat₂
6621재배된 토란Colocasia esculenta*Cali
8750 sp.Setaria italica (?)*zawa₂
811조 sp., 아마도 수수Setaria italica*beCeŋ
3089식물 sp.Diospyros discolor*kamaya
2054사탕수수Saccharum officinarum*CebuS
7952사탕수수Saccharum officinarum*tebuS
7304편백Chamaecyparis obtusa*baŋun₁
12687산딸기Rubus parvifolius, Rubus taiwanianus*RiNuk
4722끈적한 열매가 열리는 나무Cordia spp.*quNuNaŋ
1601가느다란 대나무의 일종Schizostachyum spp.*buluq₂
1218야생 토란, 알로카시아 또는 가려움 토란Alocasia spp.*biRaq₁


6. 2. 1. 농업 및 기술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농업 및 기술 관련 어휘는 다음과 같다.[28]

  • *pajay: 벼
  • *beRas: 쌀
  • *Semay: 밥
  • *qayam: 새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PMP)에서는 '가축'을 의미)
  • *manuk: 닭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PMP)에서 *manu-manuk은 '새'를 의미)
  • *babuy: 돼지
  • *qaNuaŋ: 카라바오 물소
  • *kuden: 도기 솥
  • *SadiRi: 집 기둥
  • *busuR: 활
  • *panaq: 화살을 쏘다
  • *bubu: 어살
  • *tulaNi: 대나무 코피리

6. 2. 2. 신체 부위

신체 부위
신체 부위오스트로네시아조어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오세아니아조어폴리네시아조어
*(qa)lima*(qa)lima*lima*lima
다리, 발*qaqay*qaqay*waqe*waqe
머리*qulu*qulu*qulu, *bwatu(k)*qulu
*maCa*mata*mata*mata
*Caliŋa*taliŋa*taliŋa*taliŋa
*mujiŋ*ijuŋ*isuŋ*isu
*ŋusu*baqbaq*papaq*ŋutu
*daRaq*daRaq*draRaq*toto
*qaCay*qatay*qate*qate
*CuqelaN*tuqelaŋ*suri*hui
피부*qaNiC*kulit*kulit*kili
*likud*likud*muri, *takuRu*tuqa
*tiaN*tian, *kempuŋ*tian*manawa
창자*Cinaqi*tinaqi*tinaqi
가슴*susu*susu*susu*susu, *huhu
어깨*qabaRa*qabaRa*(qa)paRa*uma
*liqeR*liqeR*Ruqa, *liqoR*ua
머리카락*bukeS*buhek*raun ni qulu*lau-qulu
*nipen*ipen, *nipen*nipon, *lipon*nifo


6. 2. 3. 친족

친족어
친족오스트로네시아조어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오세아니아조어폴리네시아조어
사람, 인간*Cau*tau*taumataq*taŋata
어머니*t-ina*t-ina*tina*tinana
아버지*t-ama*t-ama*tama*tamana
아이*aNak*anak*natu*tama
남자, 남성*ma-Ruqanay*laki, *ma-Ruqanay*mwaRuqane*taqane
여자, 여성*bahi*bahi*pine, *papine*fafine
*Rumaq*Rumaq, *balay, *banua*Rumwaq*fale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서 등장한 혁신은 다음과 같다.[28]


  • *kaka: 손위 동성 형제자매 (언니/형)
  • *huaji: 손아래 동성 형제자매 (여동생/남동생)
  • *ñaRa: 여자의 형제 (오빠/남동생)
  • *betaw: 남자의 자매 (누나/여동생)

6. 2. 4. 동물

동물
동물오스트로네시아조어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오세아니아조어폴리네시아조어
*asu*asu*kuli
*qayam*qayam, *manuk[42]*manuk*manu
*SulaR*hulaR, *nipay*mwata*ŋata
*kuCu*kutu*kutu*kutu
물고기*Sikan*hikan*ikan*ika
*manuk



오스트로네시아조어에는 다음과 같은 동물 관련 어휘가 있었다.[28]


  • *qayam: 새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서는 '가축'을 의미)
  • *manuk: 닭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manu-manuk은 '새'를 의미)
  • *babuy: 돼지
  • *qaNuaŋ: 물소


일부 동물 이름[18]
No.일반적인 이름학명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6845타이완 원숭이Macaca cyclopis*luCuŋ
7228사슴 종류Cervus sp., 사슴 또는 얼룩사슴*benan
7187타이완 두더지Talpa insularis*mumu
709비둘기Ducula spp.?*baRuj
7127징조새Alcippe spp.*SiSiN
234흰개미Isoptera*aNay
6861밀림 거머리Haemadipsa spp.*-matek
6862밀림 거머리Haemadipsa spp.*qaNi-matek


6. 2. 5. 색상과 방향

아래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오세아니아조어, 폴리네시아조어의 색채어를 재구한 것이다.[28][43] 첫 세 열은 로버트 블러스트가 재구한 것이고, 폴리네시아조어 열은 앤드류 폴리가 재구한 것이다. 폴리네시아조어는 다른 조어에서 나타나지 않는 혁신을 많이 보여준다.

색상
색상오스트로네시아조어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오세아니아조어폴리네시아조어
하양*ma-puNi*ma-putiq*ma-puteq*tea
검정*ma-CeŋeN*ma-qitem*ma-qetom*quli(-quli)
빨강*ma-puteq*ma-iRaq*meRaq*kula
노랑*ma-kunij*aŋo*reŋareŋa, *felo(-felo)
초록*mataq*mataq*karakarawa*mata (?)



오스트로네시아조어 화자들은 두 가지 방향축을 사용했는데, 한 축은 육지-바다이고 다른 하나는 몬순이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에서 동서남북의 절대방위는 유럽인과의 접촉 후에야 발달했다. 육지-바다 축은 상류/오르막/내륙 방향과 하류/내리막/바다 방향이 각각 동의어 관계이다. 이 사실은 오스트로네시아조어 화자들이 대륙부에 살았었다는 증거로 제시되는데, 작은 섬에서는 어느 방향으로도 바다가 보이기 때문이다.[28]


  • *daya: 내륙 (상류/오르막) 방향
  • *lahud: 바다 (하류/내리막) 방향
  • *SabaRat: 서부 몬순
  • *timuR: 동부 몬순
  • *qamiS: 북풍


크바란어, 아미스어, 타갈로그어에서는 *timuR의 대응형이 '남쪽'이나 '남풍'을 의미하지만, 필리핀 남부와 인도네시아 언어들에서는 '동쪽'이나 '동풍'을 의미한다.

일로코어에서는 dáya와 láud가 각각 '동쪽'과 '서쪽'을 의미하는 반면, 푸유마어에서는 ɖaya와 ɭauɖ가 각각 '서쪽'과 '동쪽'을 의미한다.[44] 이러한 차이는 일로코어의 발원지가 루손섬 북부의 서안인 데 반해, 푸유마어의 발원지는 타이완 남부의 동안에 위치하기 때문에 나타난 것이다. 루손섬 북부의 본톡어, 칸카나에이어, 이푸가우어에서는 *daya의 대응형이 '하늘'을 의미하는데, 이들은 이미 필리핀에서 가장 고도가 높은 축에 드는 지역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다.

  • lahud의 말레이어 대응형인 laut '바다'는 timur laut('북동쪽', timur '동쪽')과 barat laut('북서쪽', barat '서쪽')이라는 방향어에 쓰인다. *daya는 barat daya '남서쪽'에만 쓰인다.

6. 2. 6. 수사

아래는 오스트로네시아 기초 어휘 데이터베이스에서 재구한 오스트로네시아조어,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오세아니아조어, 폴리네시아조어의 수사이다.[45]

수사
수사오스트로네시아조어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오세아니아조어폴리네시아조어
하나*esa, *isa*esa, *isa*sa-kai, *ta-sa, *tai, *kai*taha
*duSa*duha*rua*rua
*telu*telu*tolu*tolu
*Sepat*epat*pat, *pati, *pani*faa
다섯*lima*lima*lima*lima



오스트로네시아조어는 비인간("A형")과 인간("B형")을 세는 수사의 형태가 서로 달랐다.[45] 인간을 세는 기수사는 비인간 수사에서 Ca-중첩을 통해 파생되었다. 이러한 이중 수사 체계는 사우어, 푸유마어, 야미어, 차모로어 등의 여러 언어에서 나타난다(그러나 파이완어는 "ma-"와 "manə-"로 인간 수사를 파생시킨다). 타갈로그어 등 많은 필리핀 언어에서는 두 수사 체계가 합쳐졌다.[45]

기본 수사와 인간 수사
수사A형B형타갈로그어
하나*isa*?isa (A)
*duSa*da-duSadalawa (B)
*telu*ta-telutatlo (B)
*Sepat*Sa-Sepatapat (B)
다섯*lima*la-limalima (A)
여섯*enem*a-enemanim (B)
일곱*pitu*pa-pitupito (A)
여덟*walu*wa-waluwalo (A)
아홉*Siwa*Sa-Siwa(siyam)
*sa-puluq*?sampu



오스트로네시아조어는 *Sika-를 통해 서수사를 파생시켰다.[45]

6. 3. 동사

https://web.archive.org/web/20170503020518/http://language.psy.auckland.ac.nz/austronesian/ 오스트로네시아 기초 어휘 데이터베이스에서 재구한 오스트로네시아조어,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오세아니아조어, 폴리네시아조어의 동사는 다음과 같다.

동사
동사오스트로네시아조어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오세아니아조어폴리네시아조어
걷다*Nakaw*lakaw, paNaw*lako, pano*fano
헤엄치다*Naŋuy*naŋuy*kakaRu*kaukau
알다*bajaq*taqu*taqu*qiloa
생각하다*nemnem*demdem*rodrom*manatu
자다*tuduR*tuduR*turuR*mohe
서다*diRi*diRi, *tuqud*tuqur*tuqu
꿰메다*taSiq*tahiq, *zaqit*saqit, *turi*tui
죽다*m-aCay*m-atay*mate*mate
고르다*piliq*piliq*piliq*fili
날다*layap*layap, Rebek*Ropok*lele


7. 기원

오스트로네시아조어는 약 5,000년 전 타이완에서 기원하여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지로 확산되었다고 추정된다.[26][27]

참조

[1]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Revised Edition http://hdl.handle.ne[...] Pacific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Pacific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3] 간행물 Proto-Austronesian Phonology with Glossary Cornell Southeast Asia Program Publications
[4] 문서
[5] 간행물 The Sound of Proto-Austronesian: An Outsider's View of the Formosan Evidence 1992-Summer
[6] 간행물 Reconstruction of proto-Tsouic phonology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and Africa
[7] 문서
[8] 간행물 Phonotactics and the prestopped velar lateral of Hiw: Resolving the ambiguity of a complex segment https://www.academia[...]
[9] 학술지 "*t to k: An Austronesian Sound Change Revisited" 2004
[10] 간행물 "Proto Austronesian verbal morphology: A reappraisal." Pacific Linguistics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학술지 Some problems in Proto-Oceanic grammar 1973
[16] 간행물 Reconstructing the case-marking and personal pronoun systems of Proto Austronesian Institute of Linguistics, Academia Sinica
[17] 문서
[18] 문서
[19] 웹사이트 Proto-Oceanic and Proto-Polynesian Reconstructions for Modified Swadesh 200 Meaning List, Without Supporting Cognate Sets http://language.psy.[...]
[20] 간행물 Dictionnaire Puyuma–Français Ecole française d'Extrême Orient
[21] 웹사이트 Austronesian Basic Vocabulary Database http://language.psy.[...] 2008-03-01
[22] 간행물 The Higher Phylogeny of Austronesian and the Position of Tai-Kadai
[23] 간행물 "The monosyllabic roots of Proto-Austronesian." Academia Sinica
[24] 간행물 "日本語における南島語的要素"
[25] 간행물 "On the Origins of Taiwan Austronesians" University of Hawai'i Press
[26] 간행물 "太平洋 ―東南アジアとオセアニアの人類史―" 法政大学出版局
[27] 간행물 "農耕起源の人類史"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8]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Pacific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간행물 The Sound of Proto-Austronesian: An Outsider's View of the Formosan Evidence 1992-Summer
[34] 문서
[35] 학술지 "*t to k: An Austronesian Sound Change Revisited" 2004
[36] 논문 Proto Austronesian verbal morphology: A reappraisal Pacific Linguistics 2009
[37] 문서
[38] 문서
[39] 문서
[40] 문서
[41] 논문 Reconstructing the case-marking and personal pronoun systems of Proto Austronesian Institute of Linguistics, Academia Sinica 2006
[42] 문서
[43] 웹사이트 Proto-Oceanic and Proto-Polynesian Reconstructions for Modified Swadesh 200 Meaning List, Without Supporting Cognate Sets http://language.psy.[...] 2009
[44] 서적 Dictionnaire Puyuma–Français Ecole française d'Extrême Orient 1991
[45] 웹인용 Austronesian Basic Vocabulary Database https://web.archive.[...] 2019-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