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슈칸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슈칸니는 미탄니 왕국의 수도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도시이다. 어원은 고대 인도 아리아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좋은"을 의미하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유프라테스강과 자그자그강 일대가 유력한 후보지로 거론된다. 텔 엘 파카리야, 텔 파르파라, 코클루 테페, 텔 알-하와 등 여러 유적지가 후보로 제시되었으나, 아직 결정적인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기원전 14세기에는 히타이트에게 약탈당했으며, 기원전 13세기에는 아시리아에게 점령당한 후 역사에서 사라졌다. 현재는 2019년 터키의 북동부 시리아 공격으로 발생한 난민들을 수용하기 위한 캠프의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르리인 도시 - 하란 (튀르키예)
하란은 튀르키예와 시리아 국경 근처의 고대 메소포타미아 도시로, 메소포타미아의 중심지이자 아브라함의 거주지였으며, 여러 제국을 거쳐 우마이야 왕조 시대 수도, 중세 학문 중심지로서 중요한 고고학적 가치를 지니고 현재는 벌집형 가옥과 유적지로 터키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 후르리인 도시 - 누지
누지는 현재 이라크 요르간 테페에 위치한 고대 도시 유적으로, 기원전 3천 년기부터 존재했으며 아카드 제국 시대에는 가수르로 번성했고, 후리족에 의해 누지로 개명되었으며, 발굴을 통해 다양한 유물과 4,000여 점의 설형 문자 점토판, 그리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지도가 발견되었다. - 미탄니 - 인드라
인드라는 인도 신화에서 천둥과 번개를 다스리는 신이자 신들의 왕으로, 리그베다에서 영웅적인 면모를 보이며 다양한 종교에서 수용되어 각기 다른 역할과 의미를 지닌다. - 미탄니 - 시칸
시칸은 신아시리아 기록에 등장하는 도시로, 현재 시리아-터키 국경 도시 라스알아인 부근의 텔 엘 파하리야 유적에 위치하며, 다양한 문화의 흔적과 미탄니 왕국 수도 와슈칸니와의 연관성이 논의되는 곳이다.
와슈칸니 | |
---|---|
지리적 위치 | |
일반 정보 | |
위치 | 미탄니 왕국의 수도 |
대체 이름 | 와슈구니 |
역사적 맥락 | |
건설 시기 | 기원전 15세기 |
파괴 시기 | 기원전 13세기 |
파괴 주체 | 히타이트의 수필룰리우마 1세 |
관련된 왕 | 투슈라타 |
점령 시기 | 중아시리아 왕국 시대 |
점령 주체 | 아시리아인 |
2. 어원
와슈칸니(Waššukanni)라는 이름은 고대 인도 아리아어 기원이라는 주장이 있으며, 원래 형태는 인도 용어 vasu|바수inc가 포함된 였을 수 있는데, 이는 '좋은'을 의미하며, 여기에 인도 접미사 -ka-|-카-inc가 추가되고 후르리아어 접미사 -nni|-ㄴ니xhu가 붙었다.[1]
와슈칸니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여러 후보지가 제안되었지만, 고고학적 증거는 부족한 상황이다. 수필룰리우마 1세의 기록에는 와슈칸니로 가는 경로가 언급되어 있는데,[17] 이를 바탕으로 마르딘 근처를 와슈칸니의 위치로 추정하기도 한다.
3. 위치
3. 1. 유력 후보지
하부르강과 시리아 북부 자지라의 자그자그강으로 정의되는 일반적인 지역에 와슈칸니가 위치했다는 것이 다수설이다.[3] 디트리히 오피츠는 와슈칸니가 시리아 텔 할라프 근처의, 대부분 발굴되지 않은 언덕인 텔 엘 파카리야 아래에 위치해 있다고 제안했다.[4] M. 오펜하임도 이 위치를 지지했으며, 최근에는 다른 사람들도 지지했다.[5][6][7] 그러나 관련된 아마르나 점토판의 점토와 중성자 활성화 비교를 통해 텔 파카리야는 제외된 것으로 보인다.[8] 에드워드 리핀스키 또한 이 아이디어를 거부했다.[9] 하지만 최근 독일 팀의 고고학적 발굴로 인해 스테파노 데 마르티노, 미르코 노바크, 도미니크 보나츠는 이 동일시에 대해 새로운 지지를 보냈다.[10][11][12][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발굴 시즌에도 미탄니 수도의 이름에 대한 문서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14]
수필룰리우마 1세의 기록에 따르면, 그는 와슈칸니를 정복하기 위해 가는 길에 유프라테스 강 굽이 안의 이수와(말라티아 동쪽), 알세(상부 티그리스 계곡), 쿠트마르(바트만-수 강 근처?), 수타(하부 바트만-수 강 근처?)를 거쳐 유프라테스 강과 할파로 돌아갔다. 이후 "피야실리스와 마티와자"가 "이리테와 하란"을 지나 와슈칸니에 도착하기 전에 이리테(이리두)에서 기다렸다. 이 기록은 마르딘 근처의 위치를 시사한다.[15][16]
텔 파르파라와 위치페 횔육(터키 디야르바키르 주 비스밀 근처)도 후보지로 제안되었다.[18][19][20] 비교적 최근에 발견된 코클루 테페 유적지와 자지라의 텔 알-하와 유적지도 후보지로 제안되었다.[21][22]
4. 역사
와슈칸니는 수필룰리우마 1세(재위: ~1322년) 치하의 히타이트에게 통치 초기에 약탈당했다.[23] 이후 기원전 1290년경에는 아시리아 왕 아다드-니라리 1세에게 다시 약탈당했다.[24]
4. 1. 쇠퇴와 멸망
수필룰리우마 1세(재위: 기원전 1344년경~1322년경) 치하의 히타이트에게 통치 초기에 약탈당했으며, 그의 조약 비문[23]에는 그가 후르리계 봉신 왕인 샤티와자를 세웠다고 전한다. 기원전 1290년경에는 아시리아 왕 아다드-니라리 1세에게 다시 약탈당했으며, 한동안 아시리아의 지방 수도가 되었다가 역사에서 사라졌다.[24]5. 유산
오늘날의 와슈칸니 난민 캠프는 2019년 터키의 북동부 시리아 공격으로 인해 국내실향민이 된 세레 카니예와 지르간 주민들을 수용하기 위해 하사케 인근의 북동 시리아 자치 정부에 건설되었으며, 와슈칸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5]
참조
[1]
웹사이트
Waššukanni [1] (SN)
https://oracc.museum[...]
Ludwig Maximilian University of Munich
[2]
간행물
Indo-Aryans in the Ancient Near East
https://brill.com/di[...]
Brill
2023
[3]
문서
Parrot André. Barthel Hrouda, "Waššukanni, Urkiš, Śubat-Enlil", dans MDOG, 90 (janvier 1958) In: Syria. Tome 37 fascicule 1-2, pp. 191-192, 1960
[4]
문서
D. Opitz, "Die Lage von Wassugganni", ZA 37, pp. 299-301, 1927
[5]
문서
Max Freiherr von Oppenheim, "Der Tell Halaf, Eine neue Kultur im ältesten Mesopotamien", F. A. Brockhaus, 1931
[6]
문서
E. Cancik-Kirschbaum, "Die Mittelassyrischen Briefe aus Tall Šēḫ Hamad", BATSH 4, Berlin, 1996
[7]
문서
S. Jakob, "Zwischen Integration und Ausgrenzung. Nichtassyrer im mittelassyrischen 'Westreich'", In: W.H. Van Soldt (ed.), Ethnicity in Ancient Mesopotamia. RAI 48, Istanbul, pp. 181-188, 2005
[8]
문서
Allan Dobel, "Neutron Activation Analysis and the Location of Waššukanni",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Orientalia, vol. 46, no. 3, pp. 375–82, 1977
https://escholarship[...]
[9]
서적
The Aramaeans: Their Ancient History, Culture, Religion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10]
문서
De Martino, Stefano, 2018. "Political and Cultural Relations between the Kingdom of Mittani and its Subordinated Polities in Syria and Southeast Anatolia", in Changing Faces of Kingship in Syria-Palestine 1500-500 BCE, Ugarit Verlag, 2018
https://iris.unito.i[...]
[11]
문서
D. Bonatz, "Tell Fekheriye – Renewed Excavations at the 'Head of the Spring.'", In: D. Bonatz and L. Martin (eds.), 100 Jahre archäologische Feldforschungen in Nordost-Syrien – Eine Bilant. Schriften der Max Freiherr von Oppenheim-Stiftung 18, Wiesbaden, pp. 209-234, 2013
[12]
문서
D. Bonatz, "Tell Fekheriye in the Late Bronze Ag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into the Structures of Political Governance in the Upper Mesopotamian Piedmont", In: D. Bonatz (ed.), The Archaeology of Political Spaces. The Upper Mesopotamian Piedmont in the Second Millennium BCE. Topoi Berlin Studies of the Ancient World 12, Berlin/Boston, pp. 61-84, 2014
[13]
문서
A. Tenu, "Building the Empire. Settlement Patterns in the Middle Assyrian Empire", In: B.S. Düring (ed.), Understanding Hegemonic Practices of the Early Assyrian Empire. Essays dedicated to Frans Wiggermann. PIHANS, vol. 125, Leiden, pp. 75-87, 2015
[14]
문서
Bonatz, Dominik, "Middle Assyrian Seal Motifs from Tell Fekheriye (Syria)", Berlin, Boston: De Gruyter, 2021
[15]
문서
Goetze, Albrecht", On the Chronology of the Second Millennium B. C. (Concluded)", Journal of Cuneiform Studies, vol. 11, no. 3, pp. 63–73, 1957
[16]
문서
Crasso, Daniela, "The Region of the Upper Euphrates: The Hittite Perspective", Entre les fleuves–I. Untersuchungen zur historischen Geographie Obermesopotamiens im 2, pp. 211-231, 2009
[17]
문서
Goetze, Albrecht", "Hittite Historical Texts",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with Supplement, edited by James B. Pritchard,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318-319, 1995
[18]
문서
Buccellati, Federico, "Learning New Styles, Quickly: An Examination of the Mittani–Middle Assyrian Transition in Material Culture", Values and Revaluations: The Transformation and Genesis of “Values in Things” from 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edited by Hans Peter Hahn et al., Oxbow Books, pp. 29–46, 2002
[19]
문서
Köroğlu, K., "Yeni kazı ve yüzey bulguları işığında Diyarbakır. Üçtepe ve çevresinin yeni Assur dönemi tarihi coğrafyası, Türk tarih kurumu yayınları 5, 45, Ankara, 1998
[20]
문서
Ristvet, L. and Weiss, H., :The Hābūr region in the late third and early second millennium BC. In: W. Orthmann (ed.), The History and Archaeology of Syria I (Saarbrücken), pp. 1–26, 2005
[21]
문서
Casana, Jesse, "Remote sensing-based approaches to site morphology and historical geography in the northern fertile crescent", New Agendas in Remote Sensing and Landscape Archaeology in the Near East, pp. 154-174, 2020
[22]
문서
W. Ball, "Tell al-Hawa and the Development of Urbanization in the Jazira, al-Râfïdïn 9, pp. 1-26, 1990
[23]
문서
Devecchi, Elena, "Details That Make the Difference: The Akkadian Manuscripts of the 'Šattiwaza Treaties.'", Die Welt Des Orients, vol. 48, no. 1, pp. 72–95, 2018
[24]
문서
Grayson, Albert Kirk, "Assyrian Royal Inscriptions: From the beginning to Ashur-resha-ishi I", Vol. 1. Otto Harrassowitz Verlag, 1972
[25]
뉴스
New tent city for displaced people from Serêkaniyê
https://anfenglish.c[...]
Firat News Agency
2019-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