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부르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부르강은 시리아 북동부를 흐르는 강으로, 알하사카 북쪽의 상부 하부르 지역과 중·하부 하부르 지역으로 구분된다. 고대 작가들에게 차보라스, 아보르라스 등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메소포타미아의 중요한 강으로 여겨졌다. 하부르강 유역은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했으며, 텔 할라프, 텔 브라크 등 중요한 고고학 유적지가 발견되었다. 또한, 하부르 토기 문화를 통해 기원전 2천년 초 북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의 문화를 보여주며, 미탄니 왕국의 부상과도 관련이 있다. 현대에는 댐 건설을 통한 관개 시설이 조성되었으며, 시리아의 주요 밀 재배 지역이자 석유 생산 중심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샨르우르파주의 지형 - 유프라테스강
    유프라테스강은 터키에서 발원하여 시리아와 이라크를 거쳐 페르시아만으로 흘러드는 서아시아의 가장 긴 강으로,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발상지이며 댐 건설 등으로 유량 변화와 물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유프라테스강 - 바빌론
    바빌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이자 여러 왕조의 수도로,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의 번영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명의 흔적을 간직한 채 현재 이라크에 위치,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문화적, 종교적 상징성이 커 현대 예술 및 대중문화에서도 중요한 모티프로 사용된다.
  • 유프라테스강 - 아사드호
    아사드호는 시리아 북부 유프라테스 강에 타브카 댐을 건설하여 조성된 인공 호수로, 농업 관개, 식수 공급, 수력 발전에 활용되며 철새 서식지이자 알레포 지역 식수 공급원이지만, 내전으로 수위가 감소해 영향을 받고 있다.
  • 이라크의 강 - 티그리스강
    티그리스강은 터키에서 발원하여 시리아와 이라크를 거쳐 유프라테스강과 합류하는 총 길이 약 1,850km의 강으로,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수송로였으며 현재는 댐 건설과 물 분쟁의 대상이 되고, 수많은 종교와 신화에서 언급된다.
  • 이라크의 강 - 유프라테스강
    유프라테스강은 터키에서 발원하여 시리아와 이라크를 거쳐 페르시아만으로 흘러드는 서아시아의 가장 긴 강으로,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발상지이며 댐 건설 등으로 유량 변화와 물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하부르강
개요
알하사카 남쪽의 하부르 강
알하사카 남쪽의 하부르 강
원어명아랍어: نهر الخابور (Nahr al-Khabur)
시리아어: ܢܗܪܐ ܚܒܪ (Nahrā Ḥābur)
쿠르드어: Çemê Xabûr
튀르키예어: Habur Nehri
지리 정보
위치시리아, 튀르키예
도시라스알아인, 알하사카, 부사이라
길이486km
유역 면적37,081km2
수문 정보
평균 유량45m3/s
최소 유량2m3/s
최대 유량57m3/s
발원지
발원지라스알아인
발원지 해발 고도350m
하구
하구유프라테스 강
하구 좌표35°8′33″N 40°25′51″E

2. 지리

하부르 강의 흐름은 알하사카 북쪽의 상부 하부르 지역(하부르 삼각주)과 알하사카와 부사이라 사이의 중·하부 하부르 지역으로 나뉜다. 텔 할라프, 텔 엘 파하리야(미탄니의 수도 와슈칸니로 추정), 나가르(현재의 텔 브라크), 셰프나(아시리아의 샴시 아다드 1세의 왕도 '''슈바트 엔릴'''이며, 현재의 텔 레이란), 우르케슈(현재의 텔 모잔) 등 신석기 시대의 중요한 고고학 유적이 하부르 강 유역에 있다.[1] 이 주변은 야생 밀 채집이 시작된 곳이며, 후에 밀은 레반트에서 인위적으로 재배되어 메소포타미아 남부에서 관개 농업으로 대량 생산되었다.[1]

1960년대부터 하부르 강 계획으로 많은 댐과 관개용 운하가 건설되었지만, 유적 수몰 우려로 발굴도 진행되었다.[1] 현재 하부르 강 상류 유역(터키 및 시리아에 걸쳐 있는 지역, 쿠르디스탄의 일부)은 16000km2에 달하는 비옥한 농촌 지대이며, 시리아의 주요 밀 생산 지대이다.[1] 또한 하부르 강 유역 북동부의 카미실리 부근은 시리아의 석유 생산 중심지이다.[1]

2. 1. 지류

하부르강의 지류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나열되어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와디로 일 년 중 일부 기간 동안만 물을 운반한다.

  • 와디 라드
  • 와디 크네지르
  • 와디 자라
  • 자흐자흐 강
  • 와디 칸지르
  • 와디 아베지


하사카 남쪽의 테르 셰이크 하마드에서의 하부르 강

3. 역사

하부르강 유역은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1930년대부터 수많은 고고학 발굴과 조사가 이루어졌다.[8] 텔 할라프, 텔 브라크, 텔 레이란 등 주요 유적지가 발굴되었으며, 이 지역은 기원전 2천년 초 메소포타미아 북부와 시리아에서 발견된 독특한 채색 토기인 하부르 토기로 유명하다. 또한, 기원전 1500–1300년경에 번성했던 미탄니 왕국과도 관련이 있다.

히브리 성경에는 하부르 강이 하보르 강으로 언급되며,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이스라엘 왕국 백성을 포로로 잡아간 곳으로 기록되어 있다.[9] 크세노폰의 기록에 따르면, 키루스 2세가 방문했던 고대 도시 코르소테는 하부르 강과 유프라테스 강의 합류점에 위치해 있었다.[10] 하부르 강은 에제키엘서에 등장하는 케바르 강과 동일시되기도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케바르 강이 니푸르 근처의 수로로 밝혀졌다.[12]

3. 1. 고대

이 강은 고대 작가들에게 잘 알려져 있었으며, 작가마다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프톨레마이오스와 대 플리니우스는 이 강을 ''차보라스''(Χαβώρας|카보라스grc)라고 불렀고,[3] 프로코피우스는 ''차부라''라고 불렀으며,[4] 스트라보, 조시무스, 아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아보르라스''(Ἀβόρρας)라고 불렀으며,[5] 카락스의 이시도르는 ''아부라스''(Ἀβούρας)라고 불렀다.[6] 이 강은 몬스 마시우스에서 발원하여 니시비스에서 약 40km 떨어진 메소포타미아의 큰 강으로 묘사되었으며, 키르케시움 (케르케시아)에서 유프라테스강으로 흘러 들어갔다. 프로코피우스는 이 강을 중요한 강이라고 언급했으며, 아미아누스는 율리아누스 황제가 "per navalem Aborae pontem"에서 이 강을 건넜다고 언급했다. 스트라보는 이 강이 안테무시아스 마을 근처에 있다고 묘사한다.

이 강은 스키르투스 (Procop. ''de Aedif.'' 2.7), 코르데스 (Procop. ''de Aedif.'' 2.2), 미그도니우스 (율리아누스. ''Or.'' i.) 등 여러 작은 지류에 의해 공급되며, 이 지류의 이름은 후기 고전 작가들에 의해 언급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5.18.6)는 유프라테스강에 있는 차보라 (Χαβώρα)라는 마을을 언급하며, 이를 니케포리온 근처에 위치시키고 있으며, 아마도 이 강에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테오필락투스 시모카타는 Ἀβορέων φρούριον을 언급하는데, 이것은 분명히 같은 장소이다.[7]

1960년대에 시작된 하부르 강 계획에서는 많은 댐과 관개용 운하가 건설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유구(遺丘)의 수몰 등도 우려되어 발굴이 진행되었다. 현재 하부르 강과 그 지류의 상류 유역(터키 및 시리아에 걸쳐 있는 지역, 쿠르디스탄의 일부)은 16,000제곱킬로미터에 달하는 비옥한 농촌 지대가 되어 있으며, 특히 시리아에서는 주요 밀 생산 지대이기도 하다. 또한 하부르 강 유역 북동부의 카미실리 부근은 시리아의 석유 생산 중심지이기도 하다.

1930년대부터 하부르 계곡에서 수많은 고고학 발굴과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이 지역이 구석기 시대부터 점령되었음을 나타낸다.[8] 발굴된 주요 유적지로는 텔 할라프, 텔 브라크, 텔 레이란, 텔 마쉬나카, 텔 모잔, 텔 바리가 있다. 이 지역은 기원전 2천년 초 메소포타미아 북부와 시리아에서 발견된 독특한 채색 토기인 하부르 토기의 이름을 따왔다. 하부르강 지역은 또한 기원전 1500–1300년경에 번성했던 미탄니 왕국의 부상과도 관련이 있다.

현재 발견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인 하모우칼(텔 하모우칼, Hamoukar)을 비롯하여 텔 할라프(Tell Halaf), 텔 엘 파하리야(Tell el Fakhariya, 미탄니의 수도 와슈칸니로 보는 설이 있음), 나가르(Nagar, 현재의 텔 브라크 Tell Brak), 셰프나(Shekhna, 아시리아의 샴시 아다드 1세의 왕도 '''슈바트 엔릴'''이며, 현재의 텔 레이란 Tell Leilan), 우르케슈(Urkesh, 현재의 텔 모잔 Tell Mozan) 등 시리아 북동부에 있는 신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중요한 고고학 유적은 하부르 강과 그 지류의 유역에 흩어져 있다.

이 주변은 야생 밀 등의 채집이 시작된 곳이며, 후에 밀은 레반트에서 인위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여 메소포타미아 남부에서 관개 농업으로 대량 생산되었다. 북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에서 기원전 2천년기 전반의 유적에서 발견되는 채색 토기는 이 강 이름을 따서 하부르 토기(Khabur ware)라고 불린다. 이 토기를 만든 후리족은 하부르 강 유역을 거점으로 국가를 세웠으며, 그중에서도 '''미탄니 왕국'''은 기원전 1500년대부터 기원전 1300년대에 걸쳐 오리엔트 세계에 강국으로 군림했다.

고대 기록에는 하부르 강은 '''카보라스 강'''(Chaboras)으로 등장한다. 구약성서의 「열왕기」와 「역대기」하에서는, 아시리아의 왕 티글라트 필레세르 3세가 요르단 강 동쪽 강가에서 사로잡은 이스라엘 왕국의 백성 일부를 포로로 잡아 하부르 강 유역으로 이주시킨 기록이 있다. 사제이자 예언자인 에스겔은 칼데아 땅의 「케발 강」(Chebar) 가에서 포로가 된 백성들 속에 있을 때 하늘이 열리고 하나님의 환상을 보았다고 한다. (에스겔서 1장). 이 케발 강은 하부르 강과 동일시되기도 했지만, 바빌로니아니푸르 시 부근의 관개용 운하이며 하부르 강과는 별개로 여겨지고 있다. 열왕기는 아시리아의 살만에세르 5세에 의해 사마리아에서 끌려온 이스라엘 왕국의 포로가 하부르 강 유역의 고산(Gozan, 구자나 Guzana, 현재의 텔 할라프)으로 이주된 것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열왕기하 17장 6절 "...헬라, 하볼, 고산 강, 메디아의 여러 성읍에 거주하게 하였고", 18장 11절 "...헬라, 하볼, 고산 강, 메디아 여러 성읍에 거주하게 하였더라").

하부르강은 히브리 성경에도 언급되어 있다. "티글라트-필레세르... 르우벤 사람, 갓 사람, 므낫세 반 지파를 포로로 잡아가서 할라, 하보르(하부르), 하라, 고산 강으로 데려갔는데, 그들이 오늘날까지 거기에 있다."[9] 하부르가 하보르와 동일하다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없다.

크세노폰의 이야기에 따르면, 키루스 2세가 페르시아에 대항하기 위한 불운한 원정을 떠났을 때 방문했던 고대 도시 코르소테는, 그들에게 '마스카스'로 알려진 하부르강과 유프라테스강의 합류점에 위치해 있었다고 로빈 워터필드는 말한다.[10] 다른 저자들은 그 이후 강들의 이름과 흐름이 바뀌었기 때문에 코르소테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해왔다.[11]

하부르강은 때때로 에제키엘서의 여러 중요한 장면의 배경인 텔 아비브의 위치인 케바르 또는 케바르와 동일시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학문에서는 케바르를 기원전 5세기 니푸르에서 출토된 무루슈 문서에서 언급된 'ka-ba-ru' 수로로 보고 있으며, 이 수로는 니푸르와 바빌론 동쪽으로 퇴적된 운하인 샷 엘-닐에 가깝다.[12]

3. 2. 현대

하부르 강 유역의 동방 아시리아 교회.


1960년대에 시작된 하부르 강 프로젝트는 일련의 운하 건설을 포함했다. 하부르 분지에는 유프라테스 강에 있는 타브카 댐을 포함하는 대규모 관개 계획의 일환으로 3개의 댐이 건설되었다. 텔 타메르 구 내의 하부르 강 구역은 자치 아시리아 영토의 본거지이다. 라스 알-아인과 알-하사카 사이의 하부르 강 지류에 하사카 서부 및 하사카 동부의 두 개의 댐이 건설되었다. 하사카 서부 저수지의 용량은 0.09km3이며, 아시리아 영토의 남동쪽 끝이기도 하다. 하사카 동부의 용량은 0.2km3이다. 세 번째 댐인 하사카 남부는 알-하사카에서 남쪽으로 25km 떨어진 하부르 강에 건설되었다. 이 댐의 저수지 용량은 0.7km3이다.[13] 현재 약 16000km2 (400만 에이커)의 농지가 있는 하부르 계곡은 시리아의 주요 재배 지역이다. 북동부 지역은 시리아 석유 생산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4. 현대 하부르 강 유역

1960년대에 시작된 하부르 강 프로젝트는 일련의 운하 건설을 포함했다. 하부르 분지에는 유프라테스 강에 있는 타브카 댐을 포함하는 대규모 관개 계획의 일환으로 3개의 댐이 건설되었다. 텔 타메르 구 내의 하부르 강 구역은 자치 아시리아 영토의 본거지이다. 라스 알-아인과 알-하사카 사이의 하부르 강 지류에 하사카 서부 및 하사카 동부의 두 개의 댐이 건설되었다. 하사카 서부 저수지의 용량은 0.09km3이며, 아시리아 영토의 남동쪽 끝이기도 하다. 하사카 동부의 용량은 0.2km3이다. 세 번째 댐인 하사카 남부는 알-하사카에서 남쪽으로 25km 떨어진 하부르 강에 건설되었다. 이 댐의 저수지 용량은 0.7km3이다.[13] 현재 약 16000km2의 농지가 있는 하부르 계곡은 시리아의 주요 재배 지역이다. 북동부 지역은 시리아 석유 생산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하모우칼(텔 하모우칼, Hamoukar)을 비롯하여 텔 할라프, 텔 엘 파하리야(미탄니의 수도 와슈칸니로 보는 설이 있음), 나가르(현재의 텔 브라크), 셰프나(아시리아의 샴시 아다드 1세의 왕도 '''슈바트 엔릴''', 현재의 텔 레이란), 우르케슈(현재의 텔 모잔) 등 시리아 북동부에 있는 신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중요한 고고학 유적이 하부르 강과 그 지류 유역에 흩어져 있다.

이 주변은 야생 밀 등의 채집이 시작된 곳이며, 후에 밀은 레반트에서 인위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여 메소포타미아 남부에서 관개 농업으로 대량 생산되었다. 북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에서 기원전 2천년기 전반의 유적에서 발견되는 채색 토기는 이 강 이름을 따서 하부르 토기(Khabur ware)라고 불린다. 이 토기를 만든 후리족은 하부르 강 유역을 거점으로 국가를 세웠으며, 그중에서도 미탄니는 기원전 1500년대부터 기원전 1300년대에 걸쳐 오리엔트 세계에 강국으로 군림했다.

4. 1. 아시리아인

아시리아의 왕 티글라트 필레세르 3세는 요르단 강 동쪽 강가에서 이스라엘 왕국 백성 일부를 포로로 잡아 하부르 강 유역으로 이주시켰다. 사제이자 예언자인 에스겔은 칼데아 땅의 '케발 강'(Chebar) 가에서 포로가 된 백성들 속에 있을 때 하늘이 열리고 하나님의 환상을 보았다고 한다(에스겔서 1장). 이 케발 강은 하부르 강과 동일시되기도 했지만, 바빌로니아니푸르 시 부근의 관개용 운하이며 하부르 강과는 별개로 여겨지고 있다. 열왕기는 아시리아의 살만에세르 5세에 의해 사마리아에서 끌려온 이스라엘 왕국의 포로가 하부르 강 유역의 고산(Gozan, 구자나 Guzana, 현재의 텔 할라프)으로 이주된 것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열왕기하 17장 6절 "...헬라, 하볼, 고산 강, 메디아의 여러 성읍에 거주하게 하였고", 18장 11절 "...헬라, 하볼, 고산 강, 메디아 여러 성읍에 거주하게 하였더라").

참조

[1] 논문 Policies, plans, practice, and prospects: irrigation in northeastern Syria
[2] 논문 Ras-el-Ain: the great karstic spring of Mesopotamia. An hydrogeological study
[3] 문서 Geography (Ptolemy) Pliny the Elder
[4] 문서 B.P.
[5] 문서 Historia Nova Zosimus (historian)
[6] 문서
[7] 문서 The History of Theophylact Simocatta
[8] 논문 Preliminary results of the prehistoric survey in the Khabur Basin, Syria: 1990–91 seasons http://www.persee.fr[...] 2010-07-07
[9] 기타 Chronicles HE
[10] 서적 Xenophon's retreat : Greece, Persia, and the end of the Golden Age https://books.googl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17-01-20
[11] 서적 Illustrations, chiefly geographical, of the history of the expedition of Cyrus, From Sardis to Babylonia and the retreat of the 10,000 Greeks https://books.google[...] Bulmer 2017-01-21
[12] 서적 "Chebar", in ABD Doubleday
[13] 논문 Le Tigre et l'Euphrate de la discorde http://vertigo.revue[...] 2009-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