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카만도코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카만도코로는 이케다 쓰네오키의 딸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에 따라 미요시 노부요시(도요토미 히데쓰구)에게 시집갔다. 1593년에는 히데요시로부터 히데쓰구, 그의 어머니 닛슈니와 함께 고려 대구를 받았으며, 1594년에는 히데쓰구의 딸 야오히메의 쾌유를 기원하는 서장을 보냈다. 사망 시점에 대한 기록은 불분명하나, 히데쓰구 사건 이전에 사망했다는 설과 구명되어 친정으로 돌아갔다는 설이 있으며, 1601년에 사망했다는 기록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01년 사망 - 이일
이일은 1538년에 태어나 1601년에 사망한 조선 시대의 무신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제승방략』을 저술했으나 이순신을 모함한 행적으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 1601년 사망 - 모리 히데카네
모리 히데카네는 모리 모토나리의 아홉 번째 아들로 태어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한 인물이다. - 미노 이케다씨 - 이케다 아쓰코
이케다 아쓰코는 쇼와 천황과 고준 황후의 넷째 딸로 태어나 이케다 다카마사와 결혼하며 황족 신분을 떠난 후 이케다 동물원 운영을 돕고 이세 신궁 제주와 신사본청 총재를 역임한 일본의 옛 황족이다. - 미노 이케다씨 - 오카야마성
오카야마성은 일본 오카야마현에 위치하며, 남북조 시대에 축성되어 센고쿠 시대를 거쳐 에도 시대에 이케다 씨의 거성으로 사용되었고, 메이지 시대에 폐성령으로 대부분의 건물이 파괴되었으나 1960년대에 재건되어 현재는 사적으로 지정되어 천수각은 박물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 센고쿠 시대의 여자 - 링 (이누야샤)
만화 《이누야샤》에 등장하는 인간 소녀 링은 셋쇼마루의 천생아로 되살아난 후 그와 동행하며 그의 인간적인 면모를 일깨우고 보호받으며 성장하는 인물로, 셋쇼마루의 성격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센고쿠 시대의 여자 - 호소카와 가라샤
호소카와 가라샤는 아케치 미쓰히데의 딸로 태어나 호소카와 다다오키와 결혼하였으며, 혼노지의 변 이후 남편의 보호 아래 신앙을 지키다 이시다 미쓰나리의 인질이 되려 하자 가신에게 죽임을 당했다.
와카만도코로 | |
---|---|
와카만도코로 | |
유형 | 기구 |
위치 | 무로마치 막부 |
역할 | 쇼군의 가족, 특히 미다이도코로의 업무를 관장하는 곳 |
2. 생애
일반적으로 '''와카만도코로'''는 아버지가 섭정ㆍ관백 직을 겸하고, 자신 또한 공경의 정실에게 사용되는 칭호이다.[22]
여기서는 도요토미 히데쓰구의 정실이었던 이케다 쓰네오키의 딸[23]에 대해 기술한다.[24]
2. 1. 혼노지의 변 이후
혼노지의 변 이후, 아버지 이케다 쓰네오키는 하시바 히데요시에게 둘째 아들 이케다 데루마사를 히데요시의 양자로 보내고, 딸(와카만도코로)을 미요시 노부요시(후의 도요토미 히데쓰구)에게 시집보내기로 약속했다.[25][26]와카만도코로가 히데쓰구에게 시집갈 때, 미코시후쿠(御輿副)를 이케다 가신 코사이 마타이치[27]가 맡았다고 한다.[28][29] 히데쓰구와의 사이에서 자녀는 확인되지 않았다.
분로쿠 2년 (1593년) 12월 16일, 히데요시로부터 히데쓰구, 히데쓰구의 어머니 닛슈니와 와카만도코로에게 고려 대구가 보내졌다.[30][31]
분로쿠 3년 (1594년), 히데쓰구의 딸인 야오히메(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약혼자였다고 한다)의 병이 낫기를 기원하는 서장을 보낸 것으로 보인다.[32]
사망 연도는 표기되어 있지 않으나, 야오히메의 기일이 7월 13일이라는 사료가 있어, 히데쓰구의 할복 사건 이전에 사망한 것으로 추측된다.[33]
와카만도코로도 히데쓰구 사건 이전에 사망했다는 사료도 있지만,[34] 구명되어 친정으로 돌려보내졌다는 사료[35]가 더 일찍 성립되어 신빙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게이초 6년 (1601년) 8월 20일에 사망했다.[36]
2. 2. 히데쓰구에게 시집가다
혼노지의 변 이후, 아버지 이케다 쓰네오키는 하시바 히데요시에게 둘째 아들 이케다 테루마사를 히데요시의 양자로 삼고, 딸(와카만도코로)을 미요시 노부요시(후의 도요토미 히데쓰구)에게 시집보낼 것을 약속했다.[25][26] 와카만도코로가 히데쓰구에게 시집갈 때, 이케다 가신 코사이 마타이치[27]가 가마 부관을 맡았다고 한다.[28][29] 히데쓰구와의 사이에서 자녀는 확인되지 않았다.2. 3. 도요토미 가문과의 관계
1593년(분로쿠 2년) 12월 16일, 히데요시로부터 히데쓰구, 히데쓰구의 어머니 닛슈니, 와카만도코로에게 고려 대구가 보내졌다.[30][31]1594년(분로쿠 3년), 히데쓰구의 딸이자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약혼녀로 알려진 야오히메의 쾌유를 비는 기도를 위해 서장을 보낸 기록이 있다.[32]
2. 4. 사망 시점에 대한 논란
와카만도코로의 사망 연도는 명확하게 기록되지 않았으나, 야오히메의 기일이 7월 13일이라는 사료를 바탕으로 도요토미 히데쓰구의 할복 사건(1595년) 이전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있다[15]. 와카만도코로가 히데쓰구 사건 이전에 사망했다는 사료[16]와, 구명되어 친정으로 돌려보내졌다는 사료[17]가 대립하고 있는데, 구명되었다는 사료의 성립 시기가 더 빨라 신빙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1601년(게이초 6년) 8월 20일에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다[1][18].참조
[1]
서적
『池田氏家譜集成』九巻所収『池田家年譜』
https://clioimg.hi.u[...]
[2]
서적
『東西歴覧記』
[3]
문서
京都妙心寺[[塔頭]]の盛岳院の[[過去帳]]による。
[4]
문서
『九条家歴世記録』において関白・[[九条幸家]]の次男[[九条道房]]の正室・[[廉貞院]]に対し若政所という呼称が使用されている。
[5]
문서
『[[系図纂要]]』では次女とする。
[6]
문서
[[今出川晴季|菊亭晴季]]の娘の[[一の台]]が正室で、若政所を側室ないし死去していたとすることがあるが、少なくとも若政所([[北政所]]に比べて若い政所という字義と思われる)という呼称をされていることから、若政所が正室であることは間違いないと思われる。
[7]
서적
『池田軍記』
http://digioka.libne[...]
[8]
문서
谷口克広著『織田信長家臣人名辞典』で、池田恒興の娘婿とされる[[織田勝長|織田信房]]が本能寺の変の前年に"恒興の次女"と結婚したとする記述がある。もしその恒興の次女が若政所なら、秀次とは再婚ということになる。
[9]
문서
[[香西氏]]の庶流の出身。[https://dl.ndl.go.jp/info:ndljp/pid/1191564/251 『香西史』]の香西家系図の香西縫殿助が[https://dl.ndl.go.jp/info:ndljp/pid/1913034/41 『吉備群書集成』]によると又市の兄にあたるため、両者の記述が合っているならば香西元定の大甥にあたる。
[10]
서적
『吉備群書集成. 第六輯』
https://dl.ndl.go.jp[...]
[11]
문서
香西又市は御輿副を務めたことで[[天正]]11年([[1583年]])7月26日に加増されているので、秀次と若政所の結婚はそれ以前ということになる。
[12]
서적
『史籍集覧. 25』収録『駒井日記』
https://dl.ndl.go.jp[...]
[13]
문서
秀次の母と共に秀吉の贈答する対象として選ばれており、このことからも正室であることが分かる。
[14]
서적
『[[兼見卿記]]』
[15]
서적
『黒川道祐近畿游覧誌稿』
淳風房
[16]
서적
『古老物語聞書』
http://digioka.libne[...]
[17]
서적
『[[大かうさまくんきのうち]]』
[18]
문서
『池田家年譜』では若政所を指して"'''秀次公簾中'''"としているが、寛永18年に[[池田光政]]と[[池田光仲]]が江戸幕府に提出するために作成した『池田家系図』では単に"'''秀次室'''"としている。
[19]
서적
『池田氏家譜集成』九巻所収『池田家年譜』
https://clioimg.hi.u[...]
[20]
서적
『東西歴覧記』
[21]
문서
교토 묘신지 탑두의 세이아쿠인(盛岳院)의 과거장(過去帳)에 쓰여있다
[22]
문서
『九条家歴世記録』에서 관백 [[쿠죠 유키이에]]의 차남 [[쿠죠 미치후사]]의 정실・[[렌테이인]]에 대해 와카만도코로라는 호칭이 사용되었다
[23]
문서
『系図纂要』에서는 차녀라 기록되어있다
[24]
문서
[[이마데가와 하루스에|키쿠테이 하루스에]]의 딸의 [[이치노다이]]가 정실로, 와카만도코로를 측실 내지 사망했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적어도 와카만도코로 ([[키타노만도코로]]에 비해 젊은 만도코로라는 뜻으로 여겨진다)라는 호칭을 받은 것으로 보아, 와카만도코로가 정실임은 틀림 없어 보인다.
[25]
서적
『池田軍記』
http://digioka.libne[...]
[26]
문서
타니구치 카츠히로 저 『織田信長家臣人名辞典』에서, [[이케다 츠네오키]]의 사위로 알려진 [[오다 노부후사]]가 혼노지의 변 전년에 "츠네오키의 둘째 딸"과 결혼했다고 하는 기술이 있다. 만약 츠네오키의 차녀가 와카만도코로라면, 히데츠구와는 재혼인 셈이다.
[27]
문서
코사이시 서류(庶流) 출신. [https://dl.ndl.go.jp/info:ndljp/pid/1191564/251 『香西史』]의 코사이 가계도의 코사이 누이도노스케(香西縫殿助)가 [https://dl.ndl.go.jp/info:ndljp/pid/1913034/41 『吉備群書集成』]에 의하면 마타이치의 형에 해당하므로, 양자의 기술이 맞다면, 코사이 모토사다의 대조카에 해당한다.
[28]
서적
『吉備群書集成. 第六輯』
https://dl.ndl.go.jp[...]
[29]
문서
코사이 마타이치는 미코시후쿠(御輿副)를 맡은 것으로 [[덴쇼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덴쇼]] 11년 ([[1583년]]) 7월 26일에 가증되었기 때문에, 히데츠구와 와카만도코로의 결혼은 그 이전이라 할 수 있다.
[30]
서적
『史籍集覧. 25』収録『駒井日記』
https://dl.ndl.go.jp[...]
[31]
문서
히데츠구의 어머니와 함께 히데요시의 증답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를 통해 정실임을 알 수 있다
[32]
서적
『[[兼見卿記]]』
[33]
서적
『黒川道祐近畿游覧誌稿』
淳風房
[34]
서적
『古老物語聞書』
http://digioka.libne[...]
[35]
서적
『[[大かうさまくんきのうち]]』
[36]
서적
池田家年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