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흉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흉류(Thoracica)는 따개비 강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유병목(Pedunculata)과 무병목(Sessilia)으로 나뉜다. 유병목은 자루가 있는 따개비 무리이며, 털부처손아목, 조개삿갓아목, 부처손아목 등이 포함된다. 무병목은 자루가 없고 몸이 직접 바위 등에 붙어 있으며, 따개비아목, 베루카아목 등이 해당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악강 - 따개비
따개비는 바다에 서식하며 단단한 표면에 붙어사는 갑각류로, 석회질 껍데기로 덮여 있고 만각을 이용해 플랑크톤을 섭취하며, 조간대에서 저조선까지 분포, 암수한몸이지만 교미를 통해 번식하며, 다양한 종이 존재하고 해안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기후 변화와 해양 오염으로 위협받고 있다. - 소악강 - 새미류
새미류는 어류나 개구리류에 기생하여 체액을 섭취하는 작은 갑각류 외부 기생 생물로, 원반 모양의 몸과 흡반, 유영 부속지를 가지며 양어장에서 어류에게 피해를 주기도 하고, 한국에서는 새우라고도 불리지만 갑각류 새우와는 다른 종류이다.
| 완흉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 |
| 아문 | 갑각류 |
| 강 | 소악강 |
| 아강 | 초갑아강 |
| 하강 | 만각류 |
| 상목 | 완흉상목 (Thoracica) |
| 상목 명명 | Darwin, 1854 |
| 하위 분류 | 목 |
| 하위 분류 (목) | |
| 이미지 | |
![]() | |
2. 분류
따개비는 완흉강(Thecostraca)에 속하며, 크게 유병목(Pedunculata)과 무병목(Sessilia)으로 나뉜다. 2021년 Chan et al.의 연구와 WoRMS(세계 해양 생물종 등록소)의 분류 체계에 따르면, 따개비의 최신 분류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 '''완흉상목''' (Thoracica) Darwin, 1854
- * 유병목 (Pedunculata) Lamarck, 1818
- ** 털부처손아목 (Iblomorpha) Newman, 1987
- ** 조개삿갓아목 (Lepadomorpha) Pilsbry, 1916
- ** 부처손아목 (Scalpellomorpha) Newman, 1987
- * 무병목 (Sessilia) Lamarck, 1818
- ** †Brachylepadomorpha Withers, 1923
- ** 베루카아목 (Verrucomorpha) Pilsbry, 1916
- ** 따개비아목 (Balanomorpha) Pilsbry, 1916
| 상위 목 | 목 | 과 |
|---|---|---|
| Phosphatothoracica | Iblomorpha | 털부처손과(Iblidae) |
| Idioiblidae | ||
| †Eolepadomorpha | †Eolepadidae | |
| †Praelepadidae | ||
| Thoracicalcarea | Balanomorpha | 따개비과(Balanidae) |
| Pyrgomatidae | ||
| Catophragmidae | ||
| Chionelasmatidae | ||
| Pachylasmatidae | ||
| Waikalasmatidae | ||
| Austrobalanidae | ||
| Bathylasmatidae | ||
| Chelonibiidae | ||
| Coronulidae | ||
| Tetraclitidae | ||
| Elminiidae | ||
| †Pachydiadematidae | ||
| Calanticomorpha | Calanticidae | |
| †Cretiscalpellidae | ||
| †Titanolepadidae | ||
| Pollicipedomorpha | Lithotryidae | |
| Pollicipedidae | ||
| †Zeugmatolepadidae | ||
| Scalpellomorpha | Heteralepadidae | |
| Lepadidae | ||
| Poecilasmatidae | ||
| Rhizolepadidae | ||
| Verrucomorpha | Verrucidae | |
| †Eoverrucidae | ||
| †Brachylepadomorpha | †Brachylepadidae |
Scalpellomorpha 목의 Neolepadoidea 상과, Scalpelloidea 상과, Archaeolepadomorpha 목은 표에서 제외되었다.
2. 1. 유병목 (Pedunculata)
1818년 프랑스의 생물학자 라마르크가 처음 명명한 따개비의 일종으로, 자루가 있는 따개비 무리이다. 털부처손아목, 조개삿갓아목, 부처손아목을 포함한다.| 아목 |
|---|
| 털부처손아목 |
| 조개삿갓아목 |
| 부처손아목 |
2. 1. 1. 털부처손아목 (Iblomorpha)
털부처손아목(Iblomorpha)은 새새류 하위 강인 완흉류에 속하는 목이다. 털부처손과(Iblidae), Idioiblidae과[1] 등이 있다.| 과 |
|---|
| 털부처손과(Iblidae) |
| Idioiblidae |
2. 1. 2. 조개삿갓아목 (Lepadomorpha)
조개삿갓아목(Lepadomorpha)은 조개삿갓과, Heteralepadidae, Lepadidae, Malacolepadidae, Poecilasmatidae, Rhizolepadidae 등을 포함한다.[1]2. 1. 3. 부처손아목 (Scalpellomorpha)
부처손아목 Buckeridge & Newman, 2006은 다음 과들을 포함한다.- '''Lepadoidea''' 상과 Chan et al., 2021
- Heteralepadidae Nilsson-Cantell, 1921
- Lepadidae Darwin, 1852
- Malacolepadidae Hiro, 1937
- Poecilasmatidae Annandale, 1909
- Rhizolepadidae Zevina, 1980
- '''Neolepadoidea''' 상과 Chan et al., 2021
- Neobrachylepadidae Newman & Yamaguchi, 1995
- Neolepadidae Yamaguchi, Newman & Hashimoto, 2004
- Neoverrucidae Newman, 1989 in Hessler & Newman, 1989
- Probathylepadidae Ren & Sha, 2015
- '''Scalpelloidea''' 상과 Chan et al., 2021
- Scalpellidae Pilsbry, 1907
- †Proverrucidae Newman, 1989 in Hessler & Newman, 1989
2. 1. 4. †Eolepadomorpha
::: 목 †에올레파도모르파 Chan et al., 2021:::: 과 †에올레파디데 Buckeridge, 1983
:::: 과 †프라엘레파디데 Chernyshev, 1930
2. 2. 무병목 (Sessilia)
무병목(Sessilia)은 자루가 없고 몸이 직접 바위 등에 붙어 있는 따개비 무리이다. 따개비아목(Balanomorpha), 베루카아목(Verrucomorpha) 등이 여기에 속한다.무병목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Brachylepadomorpha
- 베루카아목 (Verrucomorpha)
- 따개비아목 (Balanomorpha)
2. 2. 1. 따개비아목 (Balanomorpha)
따개비아목(Balanomorpha)은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따개비 종류이다. 따개비상과 (Balanoidea), 조무래기따개비상과 (Chthamaloidea), 거북따개비상과 (Coronuloidea), 사각따개비상과 (Tetraclitoidea) 등이 있다.따개비아목에 속하는 과는 다음과 같다.
| 과 | 학명 | 명명자 및 명명년도 |
|---|---|---|
| 따개비과 | Balanidae | Leach, 1817 |
| Pyrgomatidae | Pyrgomatidae | Gray, 1825 |
| Catophragmidae | Catophragmidae | Utinomi, 1968 |
| Chionelasmatidae | Chionelasmatidae | Buckeridge, 1983 |
| Pachylasmatidae | Pachylasmatidae | Utinomi, 1968 |
| Waikalasmatidae | Waikalasmatidae | Ross & Newman, 2001 |
| Austrobalanidae | Austrobalanidae | Newman & Ross, 1976 |
| Bathylasmatidae | Bathylasmatidae | Newman & Ross, 1971 |
| Chelonibiidae | Chelonibiidae | Pilsbry, 1916 |
| Coronulidae | Coronulidae | Leach, 1817 |
| Tetraclitidae | Tetraclitidae | Gruvel, 1903 |
| Elminiidae | Elminiidae | Foster, 1982 |
| †Pachydiadematidae | †Pachydiadematidae | Chan et al., 2021 |
2. 2. 2. 베루카아목 (Verrucomorpha)
베루카과 (Verrucidae)와 †Eoverrucidae 과가 있다.2. 2. 3. †Brachylepadomorpha
Brachylepadomorpha영어 Withers, 1923 목에는 †Brachylepadidae과 등이 있다.참조
[1]
웹사이트
Thoracica
http://www.marinespe[...]
WoRMS
2019-01-16
[2]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