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령 프로이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령 프로이센은 1466년 제2차 토룬 평화 조약 이후 폴란드 왕국을 군주로 하는 프로이센 지역으로, 그단스크를 중심으로 포메라니아, 헬름노 지역, 프러시아 서부 지역을 포함했다. 1569년 루블린 연합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통합되었으며, 1772년 제1차 폴란드 분할로 프로이센 왕국에 병합될 때까지 자치적인 지위를 유지했다. 15세기 초 프로이센 동맹 결성을 거쳐 13년 전쟁을 겪었고, 폴란드 왕국에 통합된 후에도 프로이센 의회를 통해 자치를 유지했다.

2. 지리

왕령 프로이센은 발트 해 연안의 비스툴라강 하구 지역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지역으로는 포메라니아, 헬름노 지역, 프러시아 서부 지역이 있다.

제2차 토룬 평화 조약으로 성립한 왕령 프로이센(1466년 - 1772년, 폴란드의 영토)의 구분. 파란색은 포메라니아, 빨간색은 쿨머란트, 녹색은 엘빙과 마리엔부르크, 노란색은 바르미아 주교령(에름란트)

2. 1. 포메라니아

단치히 포메라니아(포메라니아 보이보드십 (1466–1772))는 비스툴라강 하구를 포함하며, 그단스크(단치히)시를 포함한다.[6] 라우엔부르크와 뷔토프 지역(지미아 렌보르스코-비토프스카)은 때때로 포메라니아 공국 (포메라니아)에 의해 폴란드에 봉토로 통치되었으며, 나중에는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에 의해 계승되었다.[6]

2. 2. 헬름노 지역

토룬시를 포함하는 헬름노 지역과 미하로프 지역 (헬름노 보이보드십)으로 구성된다.[6]

2. 3. 프러시아 서부

토르노의 두 번째 평화 조약 (1466)에서 튜튼 기사단이 폴란드 왕국에 양도하고 인정한 프러시아의 서부 지역은 다음과 같다.[6]

  • 바르미아 주교령 (에르름란트): 프라우엔부르크 (프롬보르크), 하일스베르크 (리드바르크 바르민스키, 이후 리드바르크), 알렌슈타인 (올슈틴)을 포함한다.
  • 말보르크 지역: 포메사니아와 포게사니아의 북부 지역을 포함하며, 말보르크 (마리엔부르크), 슈툼 (슈툼), 크리스토르크 (키슈포르크, 이후 지에르즈곤), 톨크미트 (톨크미츠코), 엘빙 (엘블롱크)시를 포함한다.


1576년 카스파르 헤네베르크가 그린 프로이센 지도, 왕령 프로이센 (남부 포메라리아 제외)은 흰색으로 표시됨

3. 역사

1466년 제2차 토룬 평화 조약으로 폴란드 국왕을 군주로 하는 프로이센 지역의 영토인 왕령 프로이센이 성립되었다. 1569년 루블린 연합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성립되면서 왕령 프로이센은 폴란드 왕국의 영토가 되었고, 1772년 제1차 폴란드 분할로 프로이센 왕국에 병합될 때까지 존속했다.[1]

15세기 초, 튜튼 기사단의 과도한 세금과 압제적인 통치는 프로이센 사람들의 저항을 불러일으켰다. 1440년 귀족들과 여러 도시들은 마리엔베르더(크비진)에서 튜튼 기사단의 정책에 반대하는 프로이센 동맹을 결성했다.[8]

1454년 프로이센 동맹이 카지미에시 4세에게 충성을 맹세한 후, 13년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 전쟁은 1466년 제2차 토룬 평화 조약으로 종결되었으며, 이 조약으로 기사단은 포메렐리아에 대한 권리와 프로이센 서부 절반을 폴란드 왕국에 양도했다.[9]

1454년 카지미에시 4세 국왕이 서명한 조약에 따라 왕령 프로이센은 폴란드 왕국에 통합되었으며, 엘리트들은 폴란드 왕국의 엘리트들과 동일한 권리와 특권을 누렸다.[1] 동시에 왕령 프로이센은 상당한 정도의 자치를 부여받았다. 토룬그단스크는 화폐 주조권을 유지했다.[3] 1467년 왕령 프로이센의 주요 통치 기구는 프로이센 의회(Landesrat|란데스라트de)였다.[4] 1479년 바르미아는 공식적으로 폴란드에 통합되었다.[6]

1569년 루블린 연합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창설되면서 왕령 프로이센은 폴란드 왕국에 완전히 통합되었고, 의회는 지방 의회로 격하되었으며, 다른 별도의 프로이센 기관들도 해산되었다.[11]

1772년 제1차 폴란드 분할로 왕령 프로이센은 프로이센 왕국에 병합되었고, 1793년 제2차 폴란드 분할로 나머지 지역도 완전히 흡수되었다.

3. 1. 프로이센 동맹 결성

15세기 초, 튜튼 기사단의 과도한 세금과 압제적인 통치는 프로이센 사람들의 저항을 불러일으켰다.[8] 프로이센의 대도시 시민들은 조직적인 저항 운동을 시작했는데, 1397년 헬름노 땅 귀족들이 도마뱀 동맹을 결성한 것이 그 시작이었다.[8]

1410년 그룬발트 전투에서 튜튼 기사단이 패배하면서 그들의 위신은 크게 떨어졌다. 대부분의 도시와 성, 그리고 세 명의 프로이센 주교들은 폴란드 왕에게 충성을 맹세했다.[8] 그러나 기사단은 곧 영토 대부분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았지만, 1411년 토룬 평화 조약에 따라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고, 이는 시민들에게 큰 재정적 부담을 안겨주었다.[8]

귀족과 시민들은 자신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1412년에 공동 의회를 만들었다.[8] 이후 폴란드와의 평화 조약(1422년 및 1435년)에서 기사단이 조약을 위반할 경우, 기사단의 신민들은 주권을 포기할 권리를 부여받았다.[8]

1440년, 세금 부담이 증가하자 귀족들과 여러 도시들은 마리엔베르더(크비진)에서 튜튼 기사단의 정책에 반대하는 프로이센 동맹을 결성했다. 동맹은 귀족과 시민들을 대표하는 양원제 자치 기구를 구성하고 만장일치로 결정을 내렸다.[8] 곧 더 많은 귀족들과 도시들이 이 조직에 합류했다.[8]

3. 2. 13년 전쟁 (1454-1466)

프로이센 동맹이 1454년 3월 6일 카지미에시 4세에게 충성을 맹세한 후, 13년 전쟁("도시 전쟁")이 시작되었다.[9] 카지미에르 4세 야기에우워 국왕은 바진스키를 왕령 프로이센의 초대 전시 총독으로 임명했다. 1454년 5월 28일, 국왕은 토룬을 포함한 헬름노 지역의 시민들로부터 충성 서약을 받았고, 6월에는 엘블롱크쾨니히스베르크 시민들로부터 비슷한 서약을 받았다.

이 전쟁에는 크네이프호프를 포함한 오르덴 영토 동부 지역의 주요 도시들도 참여했다. 기사단은 1454년 호이흐니체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반란군이 점령한 성을 탈환하기 위해 더 많은 기사를 지원할 재정적 여력이 없었다. 13년간의 소모전은 1466년 10월, 제2차 토룬 평화 조약으로 종결되었으며, 이 조약으로 기사단은 포메렐리아에 대한 권리와 프로이센 서부 절반(엘블롱크와 말보르크 지역)을 폴란드 왕국에 양도했다.

3. 3. 폴란드 왕국으로의 통합

1454년 카지미에시 4세 국왕이 서명한 조약에 따라 왕령 프로이센은 폴란드 왕국에 통합되었으며, 엘리트들은 폴란드 왕국의 엘리트들과 동일한 권리와 특권을 누렸다.[1] 동시에 왕령 프로이센은 상당한 정도의 자치를 부여받았다. 제정된 법률은 유지되었고, 프로이센인만이 공직에 임명될 수 있었으며(''ius indigenatus''), 주의 경계는 그대로 유지되었고 프로이센과 관련된 모든 결정은 프로이센 의회와 상의해야 했다.[2] 토룬그단스크는 화폐 주조권을 유지했다.[3]

폴란드의 정치 및 행정 조직 모델이 도입되었다. 1454년 왕령 프로이센은 포메라니아, 헬름노, 엘블롱크 (1467년부터 말보르크), 크로레비에츠 (쾨니히스베르크)의 네 개 voivodeship로 분할되었다. voivodeships는 이후 powiat로 나뉘었다.[3]

1467년 폴란드 세임의 결정에 따라[4] 왕령 프로이센의 주요 통치 기구는 프로이센 의회(Landesrat|란데스라트de)였으며, 이는 프로이센 연맹의 비밀 의회에서 유래했다. 세 명의 voivode, 세 명의 castellan (헬름노, 엘빙, 단치히), 세 명의 chamberlain (podkomorzy|포트코모지pl), 그리고 토른, 단치히, 엘빙의 각 주요 도시에서 온 두 명의 대표가 의회에 참여했다.[4] 이후 바르미아 (1479)와 헬름노 (1482)의 주교가 의회에 참여하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17명의 구성원으로 구성되었다.[5] 의회는 평민의 동의 없이는 세금을 부과할 수 없었기 때문에, 모든 신분의 회의가 곧 등장했으며, 처음에는 ''Ständetage''로, 이후에는 ''Landtag''으로 알려졌다. 1512년부터 1526년까지 양원제 프로이센 의회로 발전했다.[5]

1479년 바르미아는 공식적으로 폴란드에 통합되었다. 주교의 신민들은 국왕에게 상소할 권리를 부여받았고,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바르미아 주교는 ''ex officio'' 프로이센 의회의 일원이 되었다. 1508년부터 주교가 의회를 이끌었다.[6]

프로이센 국가는 강한 개별주의를 지지했다. 그들은 왕국의 제도에 참여하는 것을 꺼렸다. 의회 구성원들은 왕실 의회 회의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했고, 1492년, 1501년, 1506년의 왕실 선거에 형식적인 대표만을 보냈다.[5]

1569년, 루블린 연합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창설되면서 왕령 프로이센은 폴란드 왕국에 완전히 통합되었고, 의회는 지방 의회로 격하되었으며, 다른 별도의 프로이센 기관들도 해산되었다.[11] 루블린 연합 체결 전, 폴란드 재상은 이 행위가 1454년에 부여된 특권을 침해하여 법을 위반했다고 공개적으로 인정했다.[12]

3. 4. 폴란드 분할

1772년 제1차 폴란드 분할로 왕령 프로이센은 프로이센 왕국에 병합되었고, 1793년 제2차 폴란드 분할로 나머지 지역도 완전히 흡수되었다. 왕령 프로이센은 1466년 제2차 토룬 평화 조약으로 성립된, 폴란드 국왕을 군주로 하는 프로이센 지역의 영토였다.[1] 1569년 루블린 연합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성립되면서 폴란드 왕국의 영토가 되었고, 1772년 제1차 폴란드 분할까지 존속했다.[1]

4. 통치자 (총독)


  • 1454년-1459년: 얀 바진스키 (전시 총독)
  • 1459년-1480년: 슈티보르 폰 바이에센[13]
  • 1480년: 니클라스 폰 바이에센 (선출되었으나 국왕에게 충성 맹세를 거부). 그는 또한 말보르크 군의 군정장관이었다.
  • 1510년 이후 총독직 폐지.

5.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Mapy województwa pomorskiego w drugiej połowie XVI w.
[2] 서적 A New System of Geography https://books.google[...] London
[3] 서적 Geografia historyczna ziem dawnej polski (Historical Geography of the former Polish lands) Wydawnictwo Polska
[4] 문서 Polnisch-Preußen https://books.google[...]
[5] 서적 Urban Societies in East-Central Europe, 1500–1700 Ashgate Publishing
[6] 서적 A History of East Central Europ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7]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Poland-Lithuania
[8] 웹사이트 wojny polsko-krzyżackie https://encyklopedia[...] 2024-01-20
[9] 서적 Wielka Historia Polski Kraków
[10] 서적 Tausend Jahre Nachbarschaft: die Völker des baltischen Raumes und die Deutschen Bruckmann
[11] 서적 The Polish-Lithuanian State, 1386-179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2] 서적 Tausend Jahre Nachbarschaft: die Völker des baltischen Raumes und die Deutschen Bruckmann
[13] 서적 Acten der [[Prussian estates|Ständetage Preussens]] unter der Herrschaft des Deutschen Ordens Leipzig: Duncker & Humblot
[14] 서적 A History of East Central Europe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