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미에시 4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지미에시 4세는 야기에우워 왕조 출신으로, 폴란드의 국왕(1447년-1492년)이자 리투아니아 대공(1440년-1492년)이었다. 그는 야기에우워 2세와 할샤니의 소피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리투아니아 귀족들의 지지를 받아 리투아니아 대공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폴란드 국왕으로 즉위하여 튜턴 기사단과의 13년 전쟁에서 승리하고, 보헤미아와 헝가리와의 관계를 통해 야기에우워 가문의 세력을 확장했다. 그는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위를 아들들에게 물려주었고, 모스크바 대공국과의 관계를 통해 러시아의 독립에 영향을 미쳤다. 카지미에시는 겸손하고 검소한 성품을 지녔으며, 자녀들의 교육에 힘썼다. 그는 크라쿠프의 바벨 대성당에 묻혔으며, 그의 묘는 후기 고딕 양식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27년 출생 - 윤필상
윤필상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세조와 성종 때 활약하며 이시애의 난 평정에 기여하고 좌의정을 거쳐 명나라를 도와 건주위 토벌에 공을 세웠으나, 무오사화를 주도하여 사림을 숙청하고 갑자사화 때 사사된 후 중종반정으로 복권되었다. - 1427년 출생 - 심주
심주는 중국 명나라 시대의 화가, 서예가, 문인으로 시, 서예, 그림에 모두 능했으며 산수화와 화훼화에 뛰어났고 오파를 창시하여 문인화 발전에 기여했다. - 1492년 사망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1492년 사망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이자 수학자로, 수학적이고 기하학적인 구성과 심리 표현이 특징이며, 《참십자가의 역사》, 《그리스도의 세례》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수학적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야기에우워가 - 러요시 2세
러요시 2세는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국왕로, 1516년 즉위 후 불안정한 통치를 하다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전사하여 헝가리가 오스만 제국에 영토를 빼앗기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 야기에우워가 - 지그문트 2세 아우구스트
지그문트 2세 아우구스트는 폴란드의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으로서 루블린 연합을 통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수립하고 르네상스 문화를 후원했으나 야기에우워 왕조의 마지막 남성 상속자로 1572년 사망하며 왕조를 단절시켰다.
카지미에시 4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리투아니아 대공 폴란드 국왕 |
전체 이름 | 카지미에시 안제이 야기에우워 |
출생일 | 1427년 11월 30일 |
출생지 | 폴란드 크라쿠프 |
사망일 | 1492년 6월 7일 |
사망지 | 흐로드나 구 성 |
매장지 | 크라쿠프 바벨 대성당 |
로마자 표기 | Kazimierz Andrzej Jagiellończyk |
통치 | |
리투아니아 대공 즉위 | 1440년 6월 29일 |
리투아니아 대공 대관식 | 1440년 6월 29일 빌뉴스 대성당 |
리투아니아 대공 선임자 | 지기만타스 켕스투타이티스 |
리투아니아 대공 후임자 | 알렉산데르 1세 야기에우워 |
폴란드 국왕 즉위 | 1447년 6월 25일 |
폴란드 국왕 대관식 | 1447년 6월 25일 바벨 대성당 |
폴란드 국왕 선임자 | 브와디스와프 3세 |
폴란드 국왕 후임자 | 얀 1세 알브라흐트 |
가문 | |
왕조 | 야기에우워 왕조 |
아버지 | 브와디스와프 2세 야기에우워 |
어머니 | 조피아 홀샨스카 |
자녀 | |
자녀 목록 | 울라슬로 2세 야드비가, 바이에른 공작 부인 성 카지미에시 야기에우워 얀 1세 알브라흐트 알렉산데르 조피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부인 지그문트 1세 프리데리크 야기에우워치크 안나, 포메라니아 공작 부인 바르바라, 작센 공작 부인 엘주비에타 |
2. 유년 시절
카지미에시 4세는 야기에우워 2세(요가일라로 알려짐)와 그의 네 번째 부인인 할샤니의 소피아 사이에서 태어난 셋째이자 막내 아들이었다.[4] 카지미에시의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40~50세 어렸기 때문에, 자녀들이 간통의 산물이라는 추측이 널리 퍼져 있었다. 소피아가 부정을 저질렀다는 혐의가 제기되고 그녀의 시녀 두 명이 소문을 퍼뜨렸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고문을 받으면서 스캔들이 터졌다. 소문을 없애기 위해 야기에우워는 소피아를 법정에 세웠다. 튜턴 기사단과 튜턴 기사단장 파울 폰 루스도르프가 연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카지미에시가 태어난 후, 소피아는 무죄 선서(iuramentum purgatorium)를 했고 혐의는 기각되었다. 카지미에시를 포함한 많은 자녀들이 나이 많은 아버지와 매우 닮았기 때문에 친자 문제는 더 이상 제기되지 않았다.
지기스문트 케이스투타이티스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대공 자리가 비게 되었다. 트라카이 대관이었던 요나스 고슈타우타스를 비롯한 리투아니아 귀족들은 카지미에시를 왕위 계승 후보로 지지하였다. 그러나 대다수의 폴란드 귀족들은 13세의 어린 소년이었던 카지미에시가 리투아니아로 가지 않고, 헝가리 국왕을 겸임하느라 폴란드에 없는 형 블라디슬라프 3세를 대신하여 폴란드 부왕 역할을 수행하기를 바랐다.[5]
그는 1427년 12월 21일에 세례를 받았고, 사망한 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포즈난의 주교인 스타니스와프 치오웨크 또는 라돔의 미콜라이는 그의 탄생을 기념하여 "Hystorigraphi aciem"이라는 제목의 찬사 변주곡을 작곡했으며, 이 곡은 세례식에서 불려졌다. 어린 시절, 카지미에시는 어머니에게 젖을 먹었고, 미래의 그니에즈노 대주교이자 폴란드의 대주교인 부총리 빈첸티 코트와 리트로의 기사 피오트르에게 감독을 받았다. 카지미에시는 종종 본능과 감정에 의존했고 정치적 지식은 부족했지만, 국가의 외교 및 경제 문제에 큰 관심을 가졌다. 그의 형인 블라디스와프가 폴란드 왕위에 오른 후, 추기경 지그문트 올레시니츠키에게 후견인직이 맡겨졌다. 그러나 성직자는 블라디스와프 사후 카지미에시가 왕위에 오르지 못할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그를 꺼렸고, 그의 임무를 소홀히 했다.
3. 리투아니아 대공
하지만 리투아니아 귀족들은 카지미에시를 리투아니아로 초청했고, 카지미에시는 1440년 빌뉴스에 도착하여 6월 29일 귀족회의에서 리투아니아 군주로 선출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움직임은 요나스 고슈타우타스의 주도로 진행되었으며, 폴란드 귀족들의 불안을 야기했다. 카지미에시의 즉위 소식은 폴란드에서 격렬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리투아니아에 군사적 압력까지 가해졌다. 이로써 개인적인 유대 관계에 의해 성립되었던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취약한 동군연합은 해체되었다.[5]
카지미에시가 미성년자였기 때문에 정무는 요나스를 의장으로 하는 귀족회의에 위임되었고, 어린 대공은 궁정 관리들에게 리투아니아어와 리투아니아의 관습을 배웠다.[6][7][8]
3. 1. 리투아니아 귀족과의 관계
지기스문트 케이스투타이티스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자리가 비게 되었다. 트라카이 대관인 요나스 고슈타우타스와 다른 리투아니아 귀족들은 카지미에시를 왕위 후보로 지지했다. 그러나 많은 폴란드 귀족들은 13세 소년이 리투아니아에서 폴란드 국왕을 위한 섭정이 되기를 바랐다.[5] 리투아니아 귀족들은 카지미에시를 리투아니아로 초청했고, 1440년 빌뉴스에 도착한 그는 6월 29일 귀족평의회에 의해 폴란드 귀족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리투아니아 대공으로 선포되었다. 이는 요나스 고슈타우타스의 지원과 조정 하에 이루어졌다.[5] 카지미에시가 리투아니아 대공으로 선포되었다는 소식이 폴란드 왕국에 전해지자 적대감에 직면했고, 심지어 리투아니아에 대한 군사적 위협까지 있었다.[5] 어린 대공이 미성년자였기 때문에,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최고 통치권은 요나스 고슈타우타스가 주재하는 리투아니아 귀족평의회가 행사했다. 카지미에시는 임명된 궁정 관리들로부터 리투아니아어와 리투아니아의 관습을 배웠다.[6][7][8]
카지미에시 통치 기간 동안 리투아니아 귀족, 즉 공작, 귀족, 그리고 보야르(하급 귀족)들의 권리는 그들의 종교와 민족에 관계없이 폴란드 슈략타의 권리와 동등하게 되었다. 또한 카지미에시는 대공국의 국경을 보호하고 폴란드 왕국 출신을 대공국의 직책에 임명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대공국에 관한 문제에 대한 결정은 귀족평의회의 동의 없이 내려지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받아들였다. 그는 또한 사모기티아 지역에 자체 장로를 선출할 권리를 부여했다. 카지미에시는 출생 시 세례를 받은 리투아니아의 첫 통치자였으며, 최초의 토착 로마 가톨릭 대공이 되었다.
4. 폴란드 국왕
1427년, 폴란드 귀족들은 야기에우워 왕조에 반대하는 운동을 시작하여 블라디스와프 2세 야기에우워의 아들들인 블라디스와프 3세와 카지미에시 4세 야기에우워를 폴란드 왕위 계승자로 인정하지 않으려 했다. 그들은 리투아니아 귀족 여성인 할샤니의 소피아의 아들들이었기에 이전 통치 왕조였던 피아스트 왕조와 혈연 관계가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카지미에시의 아버지는 그의 아들들의 계승을 확보했다.[9]
카지미에시 4세는 3년간의 공위 기간을 거쳐 1444년 바르나 전투에서 전사한 그의 형 블라디스와프 3세의 뒤를 이어 1447년 6월 25일 폴란드 국왕이 되었다. 1454년, 그는 독일 국왕 알브레히트 2세와 룩셈부르크의 엘리자베트의 딸이자 폴란드 국왕 카지미에시 3세의 후손인 엘리자베트와 결혼했다. 그녀의 원거리 친척으로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가 있었다. 이 결혼은 야기에우워 가문과 헝가리-보헤미아의 군주들 사이의 유대를 강화했지만, 합스부르크 가문 내부의 경쟁을 통해 카지미에시와 황제 사이에 불화를 야기했다.
같은 해, 카지미에시는 프로이센 동맹으로부터 튜턴 기사단에 대항하여 지원을 요청받았고, 분리주의적인 프로이센 지역을 폴란드 왕국의 보호령으로 삼아 지원을 약속했다. 그러나 반란을 일으킨 도시들이 기사단에 저항하자 13년 전쟁(1454-1466)이 발발했다. 길고 힘든 전쟁 끝에 카지미에시와 프로이센 동맹은 튜턴 기사단을 패배시켰다. 토룬 제2차 조약 (1466)에서 기사단은 분리된 서프로이센 지역인 왕립 프로이센에 대한 폴란드의 주권과 남은 튜턴 기사단 수도원 국가에 대한 폴란드 왕관의 종주권을 인정했다. 튜턴 기사단 수도원 국가는 1525년 프로이센 공국으로 변모했다.
엘리자베트의 유일한 형제인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국왕 라디슬라프는 1457년 사망했고, 그 후 카지미에시와 엘리자베트의 왕조적 이익은 그녀의 형제의 왕국으로도 향하게 되었다.
카지미에시 4세는 1492년 6월 7일 폴란드와 인적 동군 연합을 맺었던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올드 그로드노 성에서 사망했다.
4. 1. 튜턴 기사단과의 전쟁 (13년 전쟁)
1454년, 카지미에시 4세는 튜턴 기사단에 대항하는 프로이센 동맹과 동맹을 맺고, 프로이센을 폴란드 영토에 편입시키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프로이센 동맹이 튜턴 기사단에 대한 반란을 시작하자, 기사단은 예상보다 강력하게 저항했고, 13년 전쟁으로 발전하였다.[9] 카지미에시 4세와 프로이센 동맹은 튜턴 기사단을 격파하고 그들의 거점인 말보르크 성을 함락시켰다. 제2차 토룬 조약에서 튜턴 기사단은 왕령 프로이센에 대한 폴란드의 주권과 프로이센 공국에 대한 폴란드의 종주권을 인정하게 되었다.4. 2. 보헤미아 및 헝가리와의 관계
카지미에시는 3년간의 공위 기간을 거쳐 1444년 바르나 전투에서 전사한 그의 형 블라디스와프 3세의 뒤를 이어 1447년 폴란드 국왕이 되었다.[9] 1454년, 그는 독일 국왕 알브레히트 2세와 룩셈부르크의 엘리자베트의 딸이자 폴란드 국왕 카지미에시 3세의 후손인 엘리자베트와 결혼했다. 이 결혼으로 야기에우워 가문은 헝가리-보헤미아의 군주들과 유대를 강화했지만,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경쟁으로 카지미에시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 사이에 불화가 생기기도 했다.엘리자베트의 유일한 형제인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국왕 라디슬라프가 1457년 사망하면서, 카지미에시와 엘리자베트의 왕조적 이익은 보헤미아 왕국과 헝가리 왕국으로도 향하게 되었다.
로마 교황청은 후스파 보헤미아 국왕 게오르크 포데브라트를 제거하고 오스만 투르크에 대항하는 동맹을 형성하려 했다. 이 연합에서 카지미에시는 중요한 역할을 맡아 자신의 아들 블라디슬라프 2세를 보헤미아 국왕으로 선출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헝가리 국왕 마티아스 코르비누스의 반대로 카지미에시의 계획은 좌절되었다. 1469년 보헤미아 왕 이지의 요청에 따라 장남 울라슬라프가 보헤미아 왕위 계승자로 결정되었고, 1471년 이지가 사망한 후 울라슬라프가 보헤미아 왕위에 올랐다. 헝가리 왕 마차슈 1세는 이지와 대립했기 때문에 울라슬라프와 충돌하였고, 카지미에시 4세는 울라슬라프를 지원했다.
1490년 마티아스의 죽음 이후, 카지미에시의 아들 요한 알브레흐트는 헝가리 귀족들에 의해 헝가리 국왕으로 선출되었으나, 보헤미아 국왕인 그의 형 블라디슬라프 2세에게 패배했다. 대부분의 헝가리 귀족과 성직자들은 블라디슬라프를 선호했고, 그는 1490년 9월 18일 세케슈페헤르바르에서 헝가리 국왕으로 즉위했다. 1490년 마차슈 1세가 자식 없이 사망하자, 울라슬라프는 헝가리 왕위도 계승(울라슬로 2세)하여 야기에우워 가문의 영토는 크게 증가했다.
4. 3. 모스크바 대공국과의 관계
1480년경 카지미에시는 큰 무리와 동맹을 맺고 모스크바와 크림에 대항했다. 그러나 칸 아흐메드를 우그라 강 전투에서 지원하지 않아 러시아가 초원 유목민으로부터 독립하는 데 기여했다.1471년 노브고로드 공화국과 동맹을 맺었으나, 모스크바 대공 이반 3세에 의해 노브고로드 공화국이 병합되었다. 큰 몽골의 군주 아흐마트 칸과의 동맹으로 이반 3세와의 관계는 악화되어 리투아니아는 자주 침략당했고, 리투아니아 귀족들이 모스크바 대공국으로 넘어가기도 했다.
5. 개인적 특징 및 외모
마체이 메호비타가 쓴 《폴란드 연대기(Chronica Polonorum)》(1519년)에 따르면, 카지미에시 4세는 키가 컸고 이마 중앙 부분이 완전히 대머리였으며(탈모 진행), 얼굴은 타원형이고 마른 체형이었다.[1] 메호비타는 또한 국왕에게 언어 장애(파행음)가 있었고 어린 시절부터 열렬한 사냥꾼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2] 그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걸쳐 펼쳐진 원시림에서 자주 사냥을 했는데, 이곳은 사냥감이 풍부했다.[3] 카지미에시는 겸손해 보였고 자만심을 드러내지 않았지만, 중요한 행사에서는 가끔 사치와 화려함을 즐겼다고 한다.[4] 때때로 그의 검소하지 못함과 국가의 일보다 야외 스포츠를 선호하는 태도는 강력한 반발에 부딪혔다.[5] 기록에 따르면 국왕은 자녀들의 생일 축하를 좋아했고 기사 대회를 관람했다.[6] 그는 또한 금주주의자로 알려져 있으며, 연회에서 포도주, 미드 또는 맥주를 마시지 않았다.[7] 역사가 율리안 바르토셰비치는 국왕을 "사려 깊고, 이성에 의해 이끌리며, 인내심과 관용으로 특징지어지는 현명한 사람"으로 묘사했다.[8] 카지미에시는 자녀들의 교육을 매우 중시했으며, 얀 드우고시를 비롯한 최고의 가정교사들을 고용하여 그의 아들인 요한 알브레흐트와 알렉산데르의 교육을 감독했다.[9] 공식적인 칙령에 남아 있는 서명, 이니셜 또는 모노그램이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카지미에시는 폴란드의 마지막 문맹 군주였을 가능성이 높지만, 이 주장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10]
6. 죽음과 유산
카지미에시 4세는 크라쿠프의 바벨 대성당에 베이트 슈토스(Veit Stoss)가 조각한 붉은 대리석 묘에 안치되었다.[10] 1973년 12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팀이 이 묘를 열었는데, 그 직후 팀원 10명이 조기에 사망했다. 이후 사망 원인은 묘 안에 있던 균류에서 나온 독소 때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11]
7. 자녀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및 기타 |
---|---|---|---|
블라디슬라프 2세 | 1456년 3월 1일 | 1516년 3월 13일 |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 |
바이에른 공작부인 헤드비히 야기에우워 | 1457년 9월 21일 | 1502년 2월 18일 | 바이에른의 게오르크 풍부한 자와 결혼, 란트슈트 혼례 거행 |
카지미에시 야기에우워 | 1458년 10월 3일 | 1484년 3월 4일 | 오스트리아의 쿠니군데와 결혼 예정이었으나 종교 생활을 택함, 성인으로 시성됨 |
폴란드의 요한 1세 | 1459년 12월 27일 | 1501년 6월 17일 | 폴란드 국왕 (1492년–1501년) |
폴란드의 알렉산더 1세 | 1461년 8월 5일 | 1506년 8월 19일 | 폴란드 국왕 (1501년–1506년) |
소피아 | 1464년 5월 6일 | 1512년 10월 5일 |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 변경백 프리드리히 5세와 결혼 |
엘주비에타 | 1465년 | 1466년 | |
지기스문트 1세 옛날 왕 | 1467년 1월 1일 | 1548년 4월 1일 | 폴란드 국왕 (1506년–1548년) |
프리드리히 야기에우워 | 1468년 4월 27일 | 1503년 3월 14일 | 크라쿠프 주교, 그니에즈노 대주교, 폴란드의 대주교 |
엘주비에타 | 1472년 | 1480년경 | |
안나 야기에우워 | 1476년 3월 12일 | 1503년 8월 12일 | 포메라니아 공작 보기슬라프 10세와 결혼 |
바르바라 | 1478년 7월 15일 | 1534년 2월 15일 | 작센 공작 게오르크 수염과 결혼 |
엘리자베트 야기에우워 | 1482년 11월 13일 | 1517년 2월 16일 | 레그니차의 프리드리히 2세와 결혼 |
엘리자베트 | ? | ? | 이름이 같은 딸이 한 명 더 있었다.[12] |
참조
[1]
웹사이트
Casimir iv – Encyclopedia Article and More from Merriam-Webster
https://web.archive.[...]
2014-10-24
[2]
웹사이트
Poland – history – geography
https://www.britanni[...]
2017-02-13
[3]
웹사이트
Valentas Šiaudinis. Lietuvos didžiųjų kunigaikščių kova už LDK savarankiškumą 15 a.
https://www.voruta.l[...]
2023-12-26
[4]
서적
Kazimierz Jagiellończyk: Zbiór studiów o Polsce drugiej połowy XV wieku
Warszawa
[5]
서적
Valdžios krizės pabaiga ir Kazimieras Jogailaitis. Gimtoji istorija 2: Nuo 7 iki 12 klasės (Lietuvos istorijos vadovėlis)
Elektroninės leidybos namai
[6]
웹사이트
Lietuvių kalba ir literatūros istorija
https://web.archive.[...]
2007-10-26
[7]
서적
Kronika Polska, Litewska, Zmódzka i wszystkiéj Rusi.
https://archive.org/[...]
Warszawa Nak. G.L. Glüsksverga
2021-07-17
[8]
웹사이트
Kurie Lietuvos valdovai mokėjo protėvių kalbą, kurie – ne? / Laida "Lietuva – mūsų lūpose"
https://ghostarchive[...]
Palace of the Grand Dukes of Lithuania
2021-10-03
[9]
웹사이트
Jagiellonians Timeline
https://www.jagiello[...]
University of Oxford
2021-04-20
[10]
서적
Key Figures in Medieval Europe: An Encyclopedia
Routledge
[11]
서적
Dictionary of World Biography
https://books.googl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12]
서적
Jagiellonian Pola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