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엘블롱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블롱크는 폴란드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비스와 석호와 발트해로 연결되는 엘블롱크 강에 자리 잡고 있다. 13세기 튜턴 기사단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한자동맹의 일원으로서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다. 폴란드 왕국 시대에는 폴란드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으며, 프로이센 왕국과 독일 제국 시대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중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전쟁 이후 폴란드에 편입되었으며, 역사적인 건축물과 엘블롱크 운하 등의 관광 명소, 그리고 다양한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현재는 폴란드와 여러 국가의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르미아마주리주의 도시 - 올슈틴
    올슈틴은 폴란드 북동부 바르미아-마주리 주의 주도로, 14세기 독일 기사단에 의해 건설되어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가 도시 방어 관리로 근무했으며, 폴란드 영토가 된 후 역사 지구 재건을 거쳐 현재 호수와 숲으로 둘러싸인 관광지이다.
  • 바르미아마주리주의 도시 - 므롱고보
    므롱고보는 튜튼 기사단에 의해 건설된 요새에서 시작되어 폴란드와 프로이센, 독일 제국의 일부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후 폴란드 영토가 되었으며, 폴란드 목사이자 작가인 크시슈토프 셀레스틴 므롱고비우스를 기리기 위해 현재 이름으로 변경된 폴란드 바르미아마주리주의 관광 및 비즈니스 중심 도시이다.
  • 한자 동맹 가맹도시 - 스톡홀름
    스톡홀름은 발트해와 멜라렌호 사이에 위치한 스웨덴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14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정치, 문화,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유럽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 중 하나이다.
  • 한자 동맹 가맹도시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 폴란드의 도시군 - 크라쿠프
    크라쿠프는 폴란드 남부 비스와 강 유역에 위치한 마워폴스카주의 주도로, 7세기부터 존재했으며 폴란드 왕국의 수도로서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였고, 몽골 침략 후 재건되어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폴란드의 아테네'로 불리며 번성했으며, 폴란드 분할과 나치 독일 점령의 비극을 겪었지만 역사적 건축물이 잘 보존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주요 관광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 유적과 문화 시설을 보유한 학술 및 경제 중심지이다.
  • 폴란드의 도시군 - 브로츠와프
    브로츠와프는 폴란드 남서부 실레시아 주에 위치한 오데르 강변의 도시로,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중세 시대 학술, 예술, 상업의 중심지로 번영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로 환원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중요한 경제 및 문화 중심지이다.
엘블롱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엘블롱크 깃발
깃발
엘블롱크 문장
문장
별칭엘빙 (Elbing)
독일어Elbing
고대 프로이센어Elbings
행정 구역
국가폴란드
administrative_unit_typeVoivodeship
Voivodeship바르미아마주리현
county_typeCounty
CountyCity county
정치
시장Michał Missan
시장 소속 정당시민 플랫폼 (PO)
설립
설립일1237년
시 승격일1246년 4월 10일
면적
총 면적79.82 제곱킬로미터
총 면적 (ha)7952
수역 면적 (ha)102
도시 면적 (ha)1975
인구
인구 (2021년 12월 31일 기준)127,390명 (27위)
인구 밀도1595명/제곱킬로미터
거주민엘블롱자닌 (남성), 엘블롱장카 (여성)
시간대
시간대CET (UTC+1)
하계 시간대CEST (UTC+2)
지리
기타 정보
우편 번호82-300 ~ 82-315
지역 번호+48 55
차량 번호판NE
기후냉대 습윤 기후 (Dfb)
교통
고속도로[[File:S7-PL.svg|32px|link=Expressway S7 (Poland)]]
국도[[File:DK22-PL.svg|32px]]
웹사이트

2. 역사

엘블롱크는 1246년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국가에 속해 있었다. 역사적 소속은 다음과 같다.

기간소속
1246년–1454년튜턴 기사단
1454년–1569년폴란드 왕국
1569년–1772년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1772년–1871년프로이센 왕국
1871년–1918년독일 제국
1918년–1933년바이마르 공화국
1933년–1945년나치 독일
1945년–1989년폴란드 인민 공화국
1989년–현재폴란드 제3공화국



엘블롱크의 전신인 일핑(Ilfing)은 알프레드 대왕 시대에 고대 영어로 기술된 ''오테르와 울프스탄의 항해''에 처음 언급되었다. 이 정보는 이 지역을 방문한 바이킹으로부터 얻은 것이었다. 중세 유럽 시대에는 프로이센인의 정착지 트루소가 드루즈노 호수에 인접해 있었으며, 현재의 엘블롱크는 프로이센 부족 중 하나인 포게사니아(Pogesania)의 땅에 위치해 있었다. 이 정착지는 10세기에 불탔다.[63]

독일 기사단이 이 지역을 정복했고, 주민들은 그 과정에서 흩어졌다. 기사단은 호숫가에 성을 건설하고 엘빙(Elbing) 마을을 건설했다. 이 곳으로 이주한 사람들은 대부분 뤼베크 출신이었다. 현재 호수는 더 작아져서 더 이상 시에 닿지 않는다. 독일 기사단의 패배와 주민들의 성 파괴 이후, 1466년에 이 도시는 폴란드 왕국의 종주권 아래 들어갔다. 1772년에는 프로이센 왕국, 1871년에는 독일 제국의 일부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엘빙은 치명적인 피해를 입었고, 전쟁 말기에는 독일계 엘빙 주민들이 독일인 추방으로 인해 도시에서 쫓겨났다. 1945년에 폴란드의 일부가 되었고, 폴란드인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1989년부터 구시가지의 복원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006년 기준으로 도시의 75%가 예전의 모습을 정확하게 되찾았으며, 현재도 복원이 계속 진행 중이다.

2. 1. 트루소 (Truso)

'''트루소'''(Truso)는 발트해 남부 해안을 여행하던 앵글로색슨족 선원 헤데비의 울프스탄이 처음 언급한 항구이다.[15] 해안선이 크게 변했기 때문에 트루소의 정확한 위치는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오늘날의 엘블롱크 안이나 드루즈노 호수 근처에 정착지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한다.[15] 트루소는 이미 로마 제국 시대부터 알려진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15]

이곳은 북쪽의 비르카에서 고틀란드 섬과 발트해의 비스뷔로 이어지는 초기 중세 시대 발트해 무역로의 비스툴라강 만을 담당하는 중요한 항구였다. 거기에서 상인들은 호박길을 따라 카르눈툼까지 더 남쪽으로 이동했다. 고대 호박길은 더 남서쪽과 남동쪽으로 흑해로 이어졌고 결국 아시아로 이어졌다. 동서 무역로는 트루소에서 발트해를 따라 유틀란트로 갔고, 거기에서 강을 따라 내륙으로 유틀란트의 큰 무역 중심지인 헤데비로 갔다. 트루소의 주요 상품은 호박, 모피, 노예였다.

1897년의 고고학적 발견과 1920년대의 발굴로 트루소는 구트 한스도르프에 위치하게 되었다. 엘블롱크에서도 대규모 매장지가 발견되었다. 최근 폴란드 발굴에서는 약 20헥타르 면적에서 불에 탄 빔과 재, 천 년 된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유물 중 많은 수가 현재 엘블롱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2. 2. 튜튼 기사단 시대

중세 시대 동안, 바이킹 정착지 트루소는 현재 엘블롱크가 위치한 곳 근처의 드루즈노 호수에 있었고, 10세기에 정착지가 불에 탔다.[14] 13세기 초에 튜턴 기사단이 이 지역을 정복하고 성을 건설했으며, 대부분 뤼베크에서 온 인구를 가진 엘빙을 호수에 세웠다.

프로이센 땅을 정복하려는 시도는 997년에 시작되었는데, 당시 볼레스와프 1세 용감공은 교황의 권고에 따라 이교도 프로이센인(슬라브족이 아닌)에게 정복과 개종을 위한 십자군으로 병력과 선교사(프라하의 아달베르트)를 파견했다.

1226년 마조비아 공작 콩라드 1세는 튜턴 기사단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1230년까지 그들은 헬름노(쿨름)를 확보했고, 신성 로마 제국의 권위 아래 정복한 영토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기 시작했지만, 이러한 주장은 폴란드인들에게 거부당했는데, 그들의 야망은 처음부터 프로이센을 정복하는 것이었다.

연대기 테라 프루시에는 헤르만 발크의 지도 하에 엘블롱크의 건립에 대해 서술한다.[17][18] 마르크그라프 메이센의 헨리 3세의 도움을 받아 필거림(Pilgerim)과 프리델란트(Vridelant)라는 두 척의 배를 건조한 후, 튜턴 기사단은 이들을 이용하여 비스와 석호(Frisches Haff)와 비스와 반도에서 프로이센인들을 몰아냈다.

1246년에는 이 도시에 뤼베크법에 따른 헌법이 부여되었는데, 이는 중앙 유럽의 다른 도시에서 흔히 사용되는 마그데부르크법 대신 해상 환경에서 사용되었다. 기사단의 이 결정은 1358년에 한자동맹이 될 산업 무역 단체를 옹호하는 전반적인 전략과 일치했다.

한자동맹 회원 자격은 잉글랜드, 플랑드르, 프랑스, 네덜란드와 중요한 무역 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했다. 이 도시는 잉글랜드 왕국의 군주 목록, 폴란드, 포메라니아, 튜튼 기사단으로부터 많은 상인 특권 (법)을 받았다.

독일어로 쓰여진 ''엘빙거 법전''은 엘블롱크에서 쓰여졌으며, 다른 법률과 함께 최초로 폴란드 관습법을 문서화했다. 독일어 폴란드 법은 작센슈피겔을 기반으로 하며, 판사들을 돕기 위해 기록되었다.[20]

2. 3. 폴란드 왕국 시대

보존된 건물들은 종종 암스테르담그단스크를 닮았다.


1440년 2월, 엘블롱크는 반 튜튼 기사단 프로이센 연맹을 설립하기로 결정하는 회의를 개최했다.[24] 같은 해 4월과 5월, 더 많은 마을과 귀족들이 이 조직에 가입하는 추가 회의가 엘블롱크에서 열렸다.[25] 1454년, 프로이센 연맹은 튜튼 기사단의 통치에 반대하는 반란을 주도했고, 연맹 대표단은 카지미에시 4세 국왕에게 이 지역을 폴란드 왕국에 포함시켜달라는 청원을 제출했다. 국왕은 이를 수락하여 1454년 3월 크라쿠프에서 엘블롱크를 포함한 지역을 폴란드 왕국에 합병하는 조약에 서명했다.[26] 이로 인해 폴란드-튜튼 전쟁 중 가장 긴 13년 전쟁 (1454–1466)이 발발했다. 1454년 3월 합병 당시 지역 시장은 폴란드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했고,[27] 엘블롱크 시민들은 카지미에시 4세를 정당한 통치자로 인정했다. 국왕에게 경의를 표한 후, 엘블롱크는 토룬그단스크와 유사한 특권을 부여받았다. 1454년부터 카지미에시 4세는 엘블롱크가 폴란드 동전을 주조하도록 허가했다.[28] 13년 전쟁은 1466년 폴란드의 승리로 끝났고, 토리의 두 번째 평화 조약에서 튜튼 기사단은 엘블롱크에 대한 모든 주장을 포기하고 폴란드의 일부로 인정했다.[29]

폴란드 왕국 내에서 엘블롱크는 행정적으로 새로 설립된 로열 프로이센의 말보르크 보이보드십에 속했으며, 이후 대폴란드 지방에도 속했다. 엘블롱크는 폴란드 왕실에 폴란드어 '''엘블롱크'''로 알려졌다. 1569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창설되면서 엘블롱크는 폴란드 왕실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게 되었다. 엘블롱크는 폴란드의 가장 크고 영향력 있는 도시 중 하나로서, 폴란드의 왕의 선거 기간 동안 투표권을 누렸다.[30]

엘블롱크는 1504년과 1530년 사이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가 자주 방문했다.[31]

16세기 종교 개혁으로 엘블롱크 시민들은 프로테스탄트교도가 되었고, 1535년 엘블롱크에 최초의 루터교 김나지움이 설립되었다.

1579년부터 엘블롱크는 영국과 밀접한 무역 관계를 맺었고, 영국에 자유 무역을 허용했다.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상인들이 엘블롱크에 정착했다. 그들은 엘블롱크 스코틀랜드 개혁 교회를 결성했고 엘블롱크 시민이 되어 30년 전쟁에서 루터교 스웨덴 제국을 지원했다. 인근 그단스크의 경쟁은 여러 차례 무역 관계를 방해했다. 1618년까지 엘블롱크는 영국과의 긴밀한 사업 관계 때문에 한자동맹을 떠났다.

당시 엘블롱크의 유명한 거주자로는 한스 폰 보데크와 새뮤얼 하트립이 있었다. 30년 전쟁 동안 스웨덴 재무장관 악셀 옥센셰르나는 모라비아 형제단 난민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를 1642년부터 1648년까지 6년 동안 엘블롱크로 데려왔다. 1642년 요한 스토바우스는 요한 에카드와 함께 많은 복음주의 프로이센 찬송가인 ''Preussische Fest-Lieder''를 출판했다. 1646년 시 기록자 다니엘 바르홀츠는 시의회가 "Bernsteindreher" 또는 "Paternostermacher"로 불리는 허가받고 길드에 가입된 호박 장인을 고용하여 염주, 묵주 및 호박으로 만든 다른 많은 품목을 만들었다고 기록했다. 바르홀츠 가문의 구성원들은 시장과 의원이 되었다.

피터 반 데르 아의 1720년 지도에 나타난 엘블롱크. 마테우스 메리안의 이전 판화를 기반으로 함.


30년 전쟁 동안 비스툴라 석호는 프로테스탄트의 보호자로 칭송받은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의 주요 발트해 남부 기지였다. 1660년까지 비스툴라 석호는 브란덴부르크의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에게 넘어갔지만 1700년에 반환되었다.

시인 크리스티안 베르니케는 1661년 엘블롱크에서 태어났고, 고트프리트 아헨발은 자연법과 국제 인권법에 대한 가르침으로 유명해졌다. 1700년부터 1710년까지 엘블롱크는 스웨덴군에 점령되었다. 1709년 2월 2일 엘블롱크는 포위되어 러시아군과 프로이센 포병의 지원으로 함락되었다. 엘블롱크는 1712년 폴란드 군주 목록의 아우구스투스 2세 국왕에게 넘겨졌다.

왕실 폴란드 수학자이자 지도 제작자인 요한 프리드리히 엔더슈는 1755년에 바르미아 지도를 완성했고, "엘빙 시"라는 갤리선의 구리 에칭도 만들었다.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동안 1734년 엘블롱크는 러시아 제국작센 선제후국에 의해 군사 점령을 받았다.[32] 엘블롱크는 7년 전쟁 동안 1758년부터 1762년까지 다시 러시아에 의해 점령되었다.

2. 4. 프로이센 왕국과 독일 제국 시대

중세 시대 동안, 바이킹 정착지 트루소는 현재 엘블롱크가 위치한 곳 근처의 드루즈노 호수에 위치해 있었고, 10세기에 정착지가 불에 탔다.[14] 13세기 초에 튜턴 기사단이 이 지역을 정복하고 성을 건설했으며, 대부분 뤼베크에서 온 인구를 가진 엘빙을 호수에 세웠다(오늘날 호수는 훨씬 작아졌으며 더 이상 도시까지 닿지 않는다). 튜턴 기사단에 대항한 봉기와 주민들에 의한 성 파괴 이후, 이 도시는 차례로 폴란드 왕국 (1454), 프로이센 왕국 (1772), 독일 (1871)의 주권 아래에 있었다. [8]

1772년 제1차 폴란드 분할 당시 엘블롱크는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2세에 의해 병합되었다. 엘빙은 1773년에 생긴 주(州)인 서프로이센의 일부가 되었다. 1815년에는 나폴레옹 전쟁에 따라 주의 재편이 이루어졌고, 엘빙과 그 배후지는 서프로이센의 단치히 행정 구역에 포함되었다.

엘빙의 산업화는 베를린에 있는 호엔촐레른 가문의 종주권 아래 진행되었다. 1828년, 최초의 증기선이 이그나츠 그루나우에 의해 만들어졌다. 1837년, 페르디난트 시하우가 엘빙에서 조선 회사 F. Schichau를 시작했다(후에 단치히에서도 다른 조선소를 경영했다). 시하우는 독일 최초의 스크루선 보르시아호를 건조했다. F. Schichau사는 수리학에 기반한 기계, 선박, 증기 엔진, 어뢰를 만들었다. 1853년에 쾨니히스베르크(현 칼리닌그라드)로의 철도가 부설된 후 엘빙의 산업이 성장하기 시작했다. 시하우는 사위인 카를 H. 치에제와 함께 일했고, 치에제는 시하우의 사망 후에도 산업 복합 제조를 계속했다. 시하우는 수천 명에 달하는 사원을 위해 광대한 시설을 건설했다.

게오르크 슈테엔케는 쾨니히스베르크 출신의 기술자로, 엘빙 운하의 건설을 통해 발트해 인근의 프로이센 남부와 엘빙을 연결했다.

엘빙은 1871년 독일 통일로, 프로이센을 계승한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공업 도시가 된 엘빙은 독일 사회 민주당(SPD)이 종종 선거에서 과반수를 차지했다. 1912년 국회 선거에서는 SPD가 득표의 51%를 획득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서프로이센의 대부분은 폴란드 제2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엘빙은 독일령의 동프로이센에 편입되었고, 폴란드 회랑에 의해 본국 바이마르 공화국으로부터 분리되었다.

2. 5. 나치 독일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치하에서 나치 감옥,[36] 강제 노동을 위한 슈탈라그 I-A 포로 수용소 분소,[37] 슈탈라그 XX-B 포로 수용소의 강제 노동 분소,[38] 그리고 슈투토프 강제 수용소의 세 개의 분소가 이 도시에서 운영되었다.[39] 독일군은 또한 폴란드인들을 도시에서 강제 노동자로 노예화했다.[40] 폴란드 저항 운동이 활발히 활동하며 독일 무기 산업에 침투했다.[41] 수십 명의 폴란드 저항 운동 회원들이 지역 감옥에 갇혔으며, 1942년에는 최소 15명이 도시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42]

전쟁 말기, 소련붉은 군대가 도시에 접근하면서 감옥과 강제 노동 수용소는 폐쇄되었고, 많은 독일인 거주민들은 강제로 도망쳐야 했다. 1945년 1월 23일부터 포위된 이 도시의 인프라의 약 65%가 파괴되었고, 역사적인 도시 중심부의 대부분도 파괴되었다. 이 도시는 1945년 2월 9일에서 10일 밤 사이에 소련 붉은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43] 포위 첫 며칠 동안 약 100,000명의 인구 대부분이 도망쳤다.

1933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 독일 시대, 나치는 엘블롱크 시민들의 많은 지지를 받았다. 슈투토포 강제 수용소의 3개의 부속 수용소가 시 근교에 있었다. 그러나 동쪽에서 추격해 오는 소련 붉은 군대가 엘블롱크에 접근하기 전에, 엘블롱크에 살고 있던 독일계 주민 대다수가 도망갔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수용소는 즉시 폐쇄되었다. 1945년 2월 포위전 동안, 시의 구시가지 대부분을 포함한 시 인프라의 65%가 파괴되었다.

2. 6. 현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엘블롱크 시는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 이후 시내 일부는 점차 재건되었으며, 2000년경부터는 이전 건축 양식을 모방한 재건축이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많은 경우 동일한 기초 위에 오래된 벽돌과 벽의 일부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구시가지의 서쪽 교외는 재건되지 않았다.

현대 엘블롱크는 드루즈노 호수와 엘블롱크 만(Zatoka Elbląska, 비스툴라 석호의 만) 사이 강 길이의 약 절반에 걸쳐 있으며, 주로 동쪽을 중심으로 양쪽 강둑으로 펼쳐져 있다. 동쪽에는 엘블롱크 고지대(Wysoczyzna Elbląska)가 있는데, 이는 빙하 압축으로 융기된 돔 지형으로 지름 390 km², 최고 해발 200m에 달한다.[7]

서쪽으로는 지평선까지 펼쳐진 평평한 들판이 보인다. 비스툴라 삼각주(Żuławy Wiślane)의 이 부분은 주로 농업에 이용된다. 남쪽에는 드루즈노 호수의 늪과 습지가 있다. 엘블롱크 강은 도시를 통과하며 자연 상태에 가깝게 흐르지만, 다른 곳에서는 지류와 함께 통제된 수로를 이룬다. 그중 하나인 야기에우론스키 수로(Kanał Jagielloński)는 노가트 강과 연결되어 그단스크까지의 항해를 가능하게 한다. 엘블롱크 운하(Kanał Elbląski)는 드루즈노 호수, 드웬차 강, 예지오라크 호수를 연결하는 관광 명소이다.[8]

1945년 이후, 이 지역은 독일인들이 독일로 이주하거나 추방된 후 폴란드인들이 정착했다. 엘블롱크는 소위 회복된 영토의 일부였으며, 새 주민의 98%는 폴란드인이었다. 이들은 주로 소련에 합병된 동부 폴란드 지역에서 추방된 사람들이었다. 파괴된 역사적 도시 중심부의 일부는 완전히 철거되었고, 그 벽돌은 바르샤바그단스크 재건에 사용되었다. 공산당 정권은 1945년 1월 23일 전투로 완전히 파괴된 구시가지를 고층 건물로 덮을 계획이었으나, 경제적 어려움으로 좌절되었다. 두 개의 교회가 재건되었고, 나머지 구시가지 폐허는 1960년대에 철거되었다.

트리시티 및 슈체친과 함께 엘블롱크는 1970년 폴란드 시위의 현장이었다. 1990년 이후 독일 소수 민족 인구가 다소 부활하여, 엘빙거 도이체 민더하이트 기구는 2000년에 약 450명의 회원을 보유하게 되었다.

구시가지 복원은 1989년 이후 시작되었다. 복원과 함께 광범위한 고고학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도시 유산의 대부분은 19세기 지하실 건설이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었지만, 주택 뒷마당과 변소는 거의 변하지 않아 도시 역사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했다. 일부 개인 투자자들은 보존된 석조 구조물 일부를 새 건축물에 통합하기도 했다. 2006년까지 구시가지의 약 75%가 재건되었다.

엘블롱크는 Elbrewery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이곳은 폴란드 최대 양조장 중 하나로, 지비에츠 그룹(하이네켄)에 속해 있다. 엘블롱크의 양조 전통은 1309년 튜턴 기사단장 지크프리트 폰 로이히트방겐이 도시에 양조 특권을 부여하면서 시작되었다. 현재 양조장은 1872년 엘빙거 악티엔-브라우어라이로 설립되었으며, 1900년대 초에는 독일 황제 빌헬름 2세 궁정에 필스너 맥주를 독점 공급했다.

민족 정화 이후, 남아있던 독일계 주민들은 소련에 의해 시베리아 강제 노동 수용소로 추방되었다.[76] 시는 인구가 급감했고, 이때부터 폴란드어 이름인 엘블롱크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새 주민의 98%는 폴란드인이었으며, 이들은 소련에 병합된 구 폴란드 영토에서 탈출해 온 사람들이거나 폴란드 중부의 인구 과잉 마을에서 온 농민들이었다. 손상된 구시가지 일부는 완전히 버려졌고, 잔해에서 나온 벽돌은 바르샤바와 그단스크 복구에 사용되었다. 폴란드 인민 공화국 당국은 1945년에 완전히 파괴된 구시가지에 집합 주택을 건설할 계획이었으나, 경제적 어려움으로 중단되었다. 두 교회 건물은 재건되었고, 구시가지 잔해는 1960년대에 제거되었다.

엘블롱크는 트루미아스토(Trójmiasto, 그단스크, 그디니아, 소포트의 3개 도시로 이루어진 도시권), 슈체친과 함께 1970년 발트해 연안 도시에서 일어난 폭동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1990년부터 소수 민족 독일인 주민 집단인 엘빙거 민더하이트(Elbinger Minderheit)가 다시 나타났으며, 약 10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시가지 복원은 1989년 폴란드 민주화와 거의 동시에 시작되었다. 복원 시작과 함께 자료 수집을 위한 광범위한 고고학 프로그램이 수행되었다. 도시 역사 유산 대부분은 19세기 기초 건설이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파괴되었다. 그러나 뒷마당과 화장실이 있는 집은 변하지 않아 도시 역사 정보를 제공했다. 일부 개인 투자자들이 새 건축에 사용하기 위해 보존된 석조물 일부를 잘못 혼합한 경우도 있었지만, 2006년 기준으로 구시가지의 약 75%가 원래대로 재건되었다. 시립 박물관은 조각난 예술품과 일용품(유럽 유일의 15세기 쌍안경 포함) 등을 소장하고 있다.

엘블롱크와 발트해를 잇는 운하 건설 구상은 16세기부터 있었으며, 2006년 보수 정당 법과 정의가 제안했다.[62] 이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군사 개입 등 구소련권에 대한 세력 확대를 추진하자, 폴란드는 대러시아 경계를 강화하며 자국 영토 내 운하를 건설했다. 개통식 날짜인 9월 17일은 소비에트 연방의 폴란드 침공일이었으며, 폴란드 대통령 안제이 두다는 "애국자들에게 큰 승리"라고, 폴란드 총리 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는 "러시아 의존에서 오늘 벗어난다"고 선언했다.[62]

3. 지리

엘블롱크는 드루즈노 호수와 비스툴라 석호의 만인 엘블롱크 만 사이에 있으며, 주로 엘블롱크 강 동쪽을 중심으로 양쪽 강둑에 걸쳐 있다. 동쪽에는 빙하 압축으로 융기된 돔 형태의 엘블롱크 고지대(Wysoczyzna Elbląska)가 있는데, 지름은 390km2이고 최고 해발 200m에 달한다.[7]

서쪽으로는 비스툴라 삼각주(Żuławy Wiślane)의 평평한 들판이 지평선까지 펼쳐져 있으며, 주로 농업에 이용된다. 남쪽에는 드루즈노 호수의 늪과 습지가 있다. 엘블롱크 강은 도시를 지나면서 자연 상태를 유지하지만, 다른 곳에서는 지류와 함께 통제된 수로를 이룬다. 야기에우론스키 수로(Kanał Jagielloński)는 노가트 강으로 연결되어 그단스크까지 항해가 가능하다. 엘블롱크 운하(Kanał Elbląski)는 드루즈노 호수와 드웬차 강, 예지오라크 호수를 연결하는 관광 명소이다.[8]

엘블롱크는 엘블롱크 강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엘블롱크 강은 북쪽으로 약 10km 떨어진 비스툴라 석호로 흘러 들어가 발트해와 연결된다. 하지만 러시아가 통제하는 발티스크 해협을 거쳐야 한다. 구시가지(Stare Miasto|스타레 미아스토pl)는 드루즈노 호와 비스툴라 석호를 잇는 엘블롱크 강에 있으며, 석호에서 약 10km, 그단스크에서 약 60km 떨어져 있다.

3. 1. 엘블롱크 항

엘블롱크는 깊은 수심의 항구가 아니다. 법적으로 수로를 이용하는 선박의 흘수는 1.5m를 초과할 수 없다. 엘블롱크의 회전 구역은 지름 120m이며 대형 선박의 경우 도선사가 필요하다.[9] 대형 선박은 기동이 불가능하며, 그런 의미에서 엘블롱크는 그단스크항의 부속 항구가 되었다. 엘블롱크에서 소형 선박의 통행은 강 내에서 매우 적으며, 대형 선박은 1945년 이후 러시아 영토를 통과하지 않고는 발트해에 접근할 수 없었다. 비스와 석호 운하 건설이 2022년 9월에 완료되어, 선박이 폴란드 영토 내에서 발트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10][11] 엘블롱크는 3개의 부두 단지, 이동식 크레인, 그리고 철도를 갖추고 있다.

3. 2. 기후

엘블롱크는 해양성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Cfb'')에 속하며, 발트해의 영향으로 폴란드 내륙에 비해 온화한 온대 습윤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Dfb'')에 가깝다. 1년 내내 서늘하고 강수량은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며, 북유럽의 특징처럼 연중 일조량이 적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12.917.722.429.032.033.136.535.730.626.518.113.036.5
평균 최고 기온 (°C)0.92.26.312.917.820.822.923.018.112.16.02.2해당사항 없음
평균 기온 (°C)-1.4-0.52.78.212.715.918.218.013.78.63.80.2해당사항 없음
평균 최저 기온 (°C)-3.6-3.0-0.53.98.111.413.913.810.05.61.7-1.9해당사항 없음
최저 기온 기록 (°C)-30.1-30.0-21.6-6.2-3.5-0.24.43.4-1.7-8.5-16.9-22.2-30.1
강수량 (mm)47.437.740.837.058.670.287.177.973.970.357.856.4715.0
평균 강수일수 (≥ 0.1 mm)10.99.49.27.49.610.210.010.29.811.110.111.4해당사항 없음
평균 적설량 (cm)223.0198.194.713.0000005.937.1100.0해당사항 없음
평균 적설일수19.516.88.11.2000000.44.912.5해당사항 없음
평균 상대 습도 (%)87.584.277.870.271.774.876.676.180.484.589.489.7해당사항 없음
평균 일조 시간40.467.0128.6199.8257.0243.5246.7237.5164.8104.444.029.5해당사항 없음

[78]

4. 인구

엘블롱크의 인구 변화[79][44]
연도인구
177211,952
178115,768
183117,761
187533,520
188035,842
188538,278
189041,576
190052,518
191058,636
192567,878
193372,409
193983,190
194522,179
195048,000
196076,513
197090,000
1980110,221
1990126,056
2000128,305
2010126,049
2011124,257
2020118,582
2021117,390


5. 문화

EB, 폴란드 맥주로 Elbrewery 회사가 엘블롱크에서 생산


트리시티와 슈체친과 함께 엘블롱크는 1970년 폴란드 시위의 현장이었다. 1990년 이후 독일 소수 민족의 인구가 다소 부활하여, 엘빙거 도이체 민더하이트 기구는 2000년에 약 450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1989년 이후 구시가지 복원이 시작되었다. 복원 시작 이후, 광범위한 고고학 프로그램이 수행되었다. 도시 유산의 대부분은 19세기에 지하실을 건설하거나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파괴되었지만, 주택의 뒷마당과 변소는 거의 변하지 않아 도시 역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어떤 경우에는 개인 투자자들이 보존된 석조 구조물의 일부를 새로운 건축물에 통합했다. 2006년까지 구시가지의 약 75%가 재건되었다.

엘블롱크는 폴란드 최대의 양조장인 Elbrewery의 본거지이며, 지비에츠 그룹(하이네켄)에 속해 있다. 엘블롱크 양조 전통은 1309년 튜턴 기사단장 지크프리트 폰 로이히트방겐이 도시에 양조 특권을 부여하면서 시작되었다. 현재의 양조장은 1872년 엘빙거 악티엔-브라우어라이로 설립되었다. 1900년대 초, 이 양조장은 독일 황제 빌헬름 2세에게 필스너 맥주를 독점적으로 공급했다.

5. 1. 주요 문화 기관

키프리안 노르비드 엘블롱크 도서관


엘블롱크의 주요 문화 기관으로는 고고학 역사 박물관, 키프리안 노르비드 엘블롱크 도서관, EL 갤러리 아트 센터, 알렉산데르 세브루크 극장이 있다. 박물관은 유럽에서 유일하게 보존된 15세기 쌍안경을 포함하여 많은 예술 작품과 일상 용품을 전시하고 있다.

5. 2. 역사적 건축물

구시가지 조감도


''Brama Targowa''(마켓 게이트)


포스트모던 구시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엘블롱크 구시가지에는 고딕, 르네상스, 바로크 양식의 주택들이 많았으며, 그 중 일부가 재건되었다. 보존된 다른 건물은 다음과 같다.[47][48]

  • 성 니콜라스 대성당 - 13세기 고딕 양식의 기념비적인 교회이다. 18세기 말 화재로 파괴된 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피해를 입고 수리되었다. 1992년부터 대성당, 이전에는 교구 교회였다.
  • ''Brama Targowa''(마켓 게이트) - 1319년에 세워졌다.
  • 성 마리아 교회 - 13세기에 세워진 전 도미니크 교회로, 14세기와 16세기에 재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피해를 입고 1961년 미술관으로 재건되었다. 수도원의 잔해가 부분적으로 보존되어 있다.
  • 14세기부터 있었던 병원이 있는 성령 교회
  • 14세기부터 있었던 그리스도의 성체 교회
  • ''Ścieżka kościelna''(교회 길) - 구시가지의 교회들을 연결하는 건물 사이의 중세 길
  • 13 Świętego Ducha 거리와 34 Studzienna 거리의 고딕 양식 주택 (재건축)
  • 구시가지의 매너리즘 양식 주택 (예: 12 Garbary 거리의 요스트 반 캄펜 하우스)
  • 새로운 구시청사가 있는 포스트모던 구시가지 재건축
  • 선한 목자 교회 - 원래 메노나이트 교회였으며, 현재는 1890년부터 폴란드 구 가톨릭 교회

6. 교육

엘블롱크 인문경제대학교


엘블롱크 신학대학교

  • 엘블롱크 인문경제대학교 (Elbląska Uczelnia Humanistyczno-Ekonomiczna|엘블롱스카 우첼니아 후마니스티치노-에코노미치나pl)[49]

엘블롱크 인문경제대학교 학부
학부
교육학부
행정학부
보건과학부
경제정치학부


  • 엘블롱크 국립 직업교육 대학교 (''Państwowa Wyższa Szkoła Zawodowa'')[50]

엘블롱크 국립 직업교육 대학교 학부
학부
교육 및 외국어학부
경제학부
응용 컴퓨터 과학부
기술과학부


  • 보그단 얀스키 대학교, 엘블롱크 분교 (''Szkoła Wyższa im. Bogdana Jańskiego'')[51]

보그단 얀스키 대학교 엘블롱크 분교 학부
학부
경영 및 토지 관리 학부


  • 엘블롱크 교구 신학대학교 (''Wyższe Seminarium Duchowne Diecezji Elbląskiej'')[52]
  • 리젠트 칼리지 - 외국어 교사 양성 칼리지 (''Regent College - Nauczycielskie Kolegium Języków Obcych'')[53]

리젠트 칼리지 학부
학부
영어학 학부


7. 스포츠

엘블롱크에는 다음과 같은 프로 스포츠 팀이 있다.

프로 스포츠 팀
클럽스포츠리그트로피
스타르트 엘블롱크여자 핸드볼수페르리가폴란드 선수권 대회 2회 (1992, 1994)
폴란드 컵 3회 (1993, 1994, 1999)
올림피아 엘블롱크남자 축구II 리가없음


8. 국제 관계

엘블롱크는 여러 국가의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국제적인 교류를 해 왔다.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벨라루스의 지원에 대응하여 러시아의 칼리닌그라드, 발티스크와 벨라루스의 나바흐루다크와의 자매 결연 관계를 종료했다.[60]

8. 1. 자매 도시

엘블롱크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54][55]

국가도시
우크라이나테르노필
독일레어
러시아칼리닌그라드
러시아발티스크
스웨덴론네뷔
리투아니아드루스키닝카이
라트비아리예파야
벨라루스나바흐루다크
프랑스콩피에뉴
영국트로브리지
칠레코킴보
중화인민공화국바오지
중화민국타이난
폴란드노비송치
에스토니아나르바


참조

[1] 웹사이트 Local Data Bank https://bdl.stat.gov[...] Statistics Poland 2022-08-02
[2] 웹사이트 History of Elbląg https://www.premier.[...] 2017-04-05
[3] 웹사이트 History of Elblag - Castles of Poland http://www.castlesof[...] 2017-04-05
[4] 웹사이트 Elblag Ostroda Canal Tour http://www.toursingd[...] 2017-04-05
[5] 웹사이트 History of Elblag http://www.staypolan[...] 2017-04-05
[6] 웹사이트 Skąd się wzięła nazwa Elbląg? "Czy Ifing to Ilfing?" Jakub Jagodziński wyjaśnia http://kultura.elbla[...] 2022-03-12
[7] 웹사이트 Regional Glaciation of Southern & Eastern Baltic (ES 331/767 Lecture #14) http://www.academic.[...] 2022-01-29
[8] 웹사이트 Wondering where to take a train? Choo-choose Elbląg! https://www.thefirst[...] 2022-03-12
[9] 웹사이트 Port Elbląg http://www.polfracht[...] 2006-08-05
[10] 웹사이트 The Vistula Spit. The dredging of the shipping canal has begun. The first units are to sail in 2022 https://polishnews.c[...] 2021-08-03
[11] 웹사이트 Vistula Spit – june report https://www.ndi.pl/e[...] 2022-03-12
[12] 웹사이트 Średnie i sumy miesięczne https://meteomodel.p[...] Meteomodel.pl 2018-04-06
[13] 웹사이트 Climate & Weather Averages in Elbląg https://www.timeandd[...] Time and Date 2022-07-24
[14] 문서 According to the Elbląg museum
[15] 웹사이트 Amber Road https://chamberofcom[...] 2018-02-28
[16] 문서 "3.14"
[17] 문서 "3.15"
[18] 논문 Kriegstechnische Innovationen in den mittelalterlichen Deutschordenslanden Preußen und Livland https://www.degruyte[...] 2006-06-01
[19] 문서 Notes on the passage. [[Medieval Latin]] often used e for ae: {{Lang|la-x-medieval|Pogesanie}} for {{Lang|la|Pogesaniae}}, {{Lang|la-x-medieval|que}} for {{Lang|la|quae}}, etc. {{Lang|la|Recens mare}} is "the [[fresh water|fresh-water]] sea". [[Castrum]] is citadel, not yet of brick.
[20] 서적 Archiv für das Studium der neueren ...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2007-09-21
[21] 문서 Towarzystwo Naukowe Warszawskie: The Journal of Juristic Papyrology, 1946
[22] 서적 Grunwald 1410 Krajowa Agencja Wydawnicza
[23] 서적 Elbląg: przeszłość i teraźniejszość Wydawnictwo Morskie na zlec. Wydziału Kultury i Sztuki Urzędu Wojewódzkiego w Elblągu
[24] 서적 Związek Pruski i poddanie się Prus Polsce: zbiór tekstów źródłowych Instytut Zachodni
[25] 문서 Górski, p. XXXVII
[26] 문서 Górski, p. 59-60
[27] 문서 Górski, p. 71–72
[28] 문서 Górski, p. 63
[29] 문서 Górski, p. 91
[30] 문서 Polska Encyklopedia Szlachecka, t. I, Warsaw 1935, p. 42.
[31] 웹사이트 Elbląg https://szlakkoperni[...] 2023-09-24
[32] 문서 "''{{in lang|de}} Book: Merian-Chronik, Cöln 1737/8: Elbingische Geschichte Zu gleicher Zeit Danzigs Belagerung 1734... Ordentliches Tage-Register von den Unternehmungen der Russen und Sachsen by der Belagerung der Stadt Dantzig. Nachricht, Wie viele Personen das 1734te Jahr durch in der Stadt Dantzig getauffet/verehelichet und begraben worden...''"
[33] 서적 Na tułaczym szlaku... Powstańcy Listopadowi na Pomorzu Muzeum w Koszalinie, Archiwum Państwowe w Koszalinie
[34] 문서 Kasparek, p. 153
[35] 문서 Kasparek, pp. 157, 169
[36] 웹사이트 Haftanstalt Elbing https://www.bundesar[...] 2021-09-19
[37] 간행물 Stalag I A Stablack. Próby upamiętnienia
[38] 서적 Stalag XX B: historia nieopowiedziana Muzeum Miasta Malborka 2024-05-09
[39] 간행물 Podobozy i większe komanda zewnętrzne obozu Stutthof (1939–1945)
[40] 서적 Wysiedlenia ludności polskiej z okupowanych ziem polskich włączonych do III Rzeszy w latach 1939-1945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41] 서적 Polskie Państwo Podziemne na Pomorzu w latach 1939–1945 IPN
[42] 서적 Encyklopedia konspiracji Wielkopolskiej 1939–1945 Instytut Zachodni
[43] 웹사이트 History of Elblag - Castles of Poland http://www.castlesof[...] 2017-05-28
[44] 서적 The Rehabilitation and Ethnic Vetting of the Polish Population in the Voivodship of Gdańsk after World War II Peter-Lang-Verlagsgruppe 2020
[45] 서적 Die Vertreibung der deutschen Bevölkerung aus den Gebieten östlich der Oder-Neisse Deutscher Taschenbuchverlag
[46] 서적 Imagining Their Lands as Ours: Place Name Changes on Ex-German Territories in Poland after World War II https://src-h.slav.h[...] Hokkaido University Press 2023-08-16
[46] 서적 Postwar Population Transfers in Europe, 1945-195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Incorporated 2023-08-21
[47] 웹사이트 The Canal in Elbląg https://www.poland.t[...] 2017-04-05
[48] 문서 As per results of a plebiscite for the
[49] 웹사이트 Elbląska Uczelnia Humanistyczno-Ekonomiczna http://euhe.edu.pl/ Euhe.edu.pl 2009-10-10
[50] 웹사이트 Państwowa Wyższa Szkoła Zawodowa w Elblągu :: Studia dzienne bezpłatne :: Strona główna http://www.pwsz.elbl[...] Pwsz.elblag.pl 2009-10-10
[51] 웹사이트 Studia: Zarządzanie,Socjologia,Pedagogika,Politologia,Gospodarka przestrzenna :: Szkoły Wyższe im. B. Jańskiego http://www.janski.pl[...] Janski.pl 2009-07-25
[52] 웹사이트 WyĹźsze Seminarium Duchowne Diecezji ElblÄ…skiej http://www.seminariu[...] Seminarium.elblag.opoka.org.pl 2009-10-10
[53] 웹사이트 Regent College - Aktualności http://www.anglistyk[...] Anglistyka.edu.pl 2009-10-10
[54] 웹사이트 Elbląg - Podstrony / Miasta partnerskie http://www.info.elbl[...] 2013-08-01
[55] 웹사이트 Elbląg - Miasta partnerskie http://www.elblag.ne[...] 2013-08-01
[56] 웹사이트 Tarptautinis Bendradarbiavimas http://www.druskinin[...] 2013-08-03
[57] 뉴스 Trowbridge - Market town twins with Arab city http://news.bbc.co.u[...] BBC News Channel 2013-08-01
[58] 웹사이트 http://www.tainan.go[...] 2016-09-22
[59] 웹사이트 Miasta partnerskie i zaprzyjaźnione Nowego Sącza http://www.nowysacz.[...] 2013-08-01
[60] 웹사이트 Miasto Elbląg zrywa współpracę z rosyjskimi miastami partnerskimi http://elblag24.pl/m[...] 2022-03-05
[61] 웹사이트 Local Data Bank https://bdl.stat.gov[...] Statistics Poland 2022-08-02
[62] 웹사이트 (ウクライナ侵攻の現場から:12)脱ロシア、運河を開いたポーランド https://www.asahi.co[...] 2023-01-18
[63] 문서 According to the Elbląg museum
[64] 문서 REGIONAL GLACIATION OF SOUTHERN & EASTERN BALTIC http://academic.empo[...]
[65] 문서 Port Elbląg http://www.polfracht[...]
[66] 웹사이트 Promedios y totales mensuales https://meteomodel.p[...] 2021-10-29
[67] 문서 Elbląg
[68] 문서 Hubert Gurnowicz
[69] 문서 "3.14"
[70] 문서 "3.15"
[71] 노트
[72] 서적 https://books.google[...]
[73] 서적 https://books.google[...]
[74] 간행물 The Journal of Juristic Papyrology https://books.google[...] Towarzystwo Naukowe Warszawskie 1946
[75] 서적 "Merian-Chronik, Cöln 1737/8: Elbingische Geschichte Zu gleicher Zeit Danzigs Belagerung 1734... Ordentliches Tage-Register von den Unternehmungen der Russen und Sachsen by der Belagerung der Stadt Dantzig. Nachricht, Wie viele Personen das 1734te Jahr durch in der Stadt Dantzig getauffet/verehelichet und begraben worden..."
[76] 서적 A Terrible Revenge: The Ethnic Cleansing of the Eastern European Germans 1944-1950 St. Martin's Press 1994
[77] 웹사이트 Villes jumelées https://www.agglo-co[...] 2024-02-09
[78] 웹인용 Promedios y totales mensuales https://meteomodel.p[...] meteomodel.pl 2021-10-29
[79] 서적 The Rehabilitation and Ethnic Vetting of the Polish Population in the Voivodship of Gdańsk after World War II Peter-Lang-Verlagsgruppe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