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천문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실천문관은 영국 국왕의 자문 역할을 하는 명예직으로, 천문학 및 관련 과학 분야에 대한 조언을 제공한다. 1675년 찰스 2세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초대 왕실천문관은 존 플램스티드였다. 1675년부터 1972년까지 그리니치 천문대 관장을 겸임했으나, 천문대 관장 직책이 분리된 이후 명예직이 되었다. 초기에는 항해술 발전에 필요한 천문 관측을 수행했으며, 조지 에어리 경 이후 천문학 및 과학 연구 전반으로 역할이 확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왕실천문관 | |
---|---|
기본 정보 | |
![]() | |
임명 정보 | |
직위 | 왕실 천문관 |
국가 | 영국 |
설치 연도 | 1675년 |
임명권자 | |
임명권자 | 국왕 |
역할 및 책임 | |
역할 | 원래는 그리니치 천문대를 통해 항해사들을 위한 기본 천문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었음 |
추가 역할 | 천문학 및 과학 분야에서 국왕에게 자문하는 역할 천문학 발전 장려 |
현직 | |
현직 왕실 천문관 | 마고트 제펠트 |
임기 시작 | 2022년 |
기타 | |
관련 링크 | 천문학자 |
2. 역사
왕실천문관이라는 칭호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7] 존 플램스티드가 초대 왕실천문관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임명 당시 칙령에는 "우리의 천문 관측자"라고만 언급되었다.[7] 18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왕실천문관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 시기에는 그리니치 왕립 교수와 같은 다른 명칭도 비공식적인 문서에서 사용되었다.[7]
왕실천문관은 여러 발견과 이론에 기여했다. 이들은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에서 연구를 돕는 여러 조수를 두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직책은 천문학자들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모든 수학적 계산을 수행하는 계산원들이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여성이었지만, 관련 기사나 책에서 종종 제외되어 대부분의 일반적인 역사 자료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12]
2. 1. 설립 배경
1675년 찰스 2세는 왕실천문관 직책을 만들면서, 동시에 그리니치 천문대를 설립했다. 그는 존 플램스티드를 초대 왕실천문관으로 임명하고, "항해술을 완성하기 위해 그토록 갈망하던 장소의 경도를 찾아내"기 위해 천체의 움직임과 별의 위치를 정확하게 관측하고 기록하라는 임무를 부여했다.[3][4][5]왕실천문관은 1972년까지 그리니치 천문대의 관장을 겸임했다. 1972년부터는 왕실천문관이 명예직이 되면서, 그리니치 천문대 관장 직책이 별도로 만들어졌다.[5][6]
존 플램스티드가 최초의 왕실천문관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공식 칙령에는 "우리의 천문 관측자"로만 언급되었다.[7] 18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왕실천문관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7]
2. 2. 초기 왕실천문관의 역할
1675년 찰스 2세는 왕실천문관 직책을 만들면서 그리니치 천문대를 설립했다. 그는 존 플램스티드를 임명하여 "항해술을 완성하기 위해 그토록 갈망하던 장소의 경도를 찾아내라"는 지시와 함께 천체의 움직임과 별의 위치를 관측하도록 했다.[3][4][5] 초기 왕실천문관들은 항해에 도움이 될 천문 관측에 집중했다.[2]왕실천문관은 1675년부터 1972년까지 그리니치 천문대의 관장을 겸임했다. 1972년부터는 기관 관리를 위해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 관장 직책이 별도로 만들어졌고, 왕실천문관은 명예직이 되었다.[5][6]
존 플램스티드가 최초의 왕실천문관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공식 칙령에는 "우리의 천문 관측자"로만 언급되었다.[7] 18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왕실천문관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7]
1710년, 왕립 학회 회원들이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의 방문 위원회로 임명되어 아이작 뉴턴을 포함한 위원들이 플램스티드를 감독하게 되었다.[7]
1765년, 경도 위원회는 왕실천문관의 관측이 왕실 재산이므로 매년 인쇄 및 출판되어야 한다고 결정했다.[9] 이후 왕실천문관들은 분기별로 연구 결과를 출판했다.[10]
조지 에어리 경은 항해술 개선이라는 원래 목적에서 더 나아가 일반적인 천문학 및 과학 연구를 수행하도록 직책의 역할을 전환했다.[11]
왕실천문관은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에서 연구를 돕는 조수들을 두었는데, 이들 중에는 수학적 계산을 담당하는 여성 계산원들도 있었다.[12]
원래 왕실천문관은 한 명의 조수를 두었지만, 존 폰드 때 6명으로 늘어났다.[10] 오늘날 왕실천문관은 연간 100GBP의 수당을 받는 왕실 가구의 일원이다.[13]
2. 3. 역할 변화
찰스 2세는 1675년 왕실천문관 직책을 만들면서, 존 플램스티드에게 "항해술을 완성하기 위해 ... 장소의 경도를 찾아내라"고 지시했다.[3][4][5] 초기 왕실천문관들은 항해에 도움이 될 천문 관측에 집중했다.[2]1972년까지 왕실천문관은 그리니치 천문대의 관장이었으나, 이후 명예직이 되었고, 기관 관리를 위해 별도의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 관장 직책이 만들어졌다.[5][6]
아이작 뉴턴은 왕립 학회 회장으로서 그리니치 천문대의 출판물 부족에 불만을 품고, 1710년 왕립 학회 회원들이 천문대를 감독하는 방문 위원회를 구성하게 했다.[7][8]
1765년, 경도 위원회는 왕실천문관의 관측이 왕실 재산이며 매년 출판되어야 한다고 결정했다.[9] 존 폰드와 후임 왕실천문관들은 분기별로 연구 결과를 출판했다.[10]
조지 에어리는 항해술 개선이라는 원래 목적에서 더 일반적인 천문학 및 과학 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직책의 역할을 전환했다.[11] 1836년에는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에 자기 및 기상 부서를, 1873년에는 태양 사진 부서를 만들었다.[11]
왕실천문관은 여러 조수와 함께 연구를 수행했으며, 그중에는 수학적 계산을 담당하는 여성 계산원들도 있었지만, 역사에서 종종 누락되었다.[12]
오늘날 왕실천문관은 연간 100GBP의 수당을 받는 명예직이지만, 천문학 및 관련 과학 문제에 대해 국왕에게 조언할 수 있는 권위 있는 직책이다.[13]
2. 4. 현대의 왕실천문관
왕실천문관은 1972년까지 그리니치 천문대의 관장이었다. 1972년에 왕실천문관은 집행 권한이 없는 명예직이 되었고, 기관 관리를 위해 별도의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 관장 직책이 만들어졌다.[5][6]오늘날 왕실천문관은 연간 100 GBP의 수당을 받고 왕실 가구의 일원이며, 국무관의 일반적인 권한을 받는다. 왕실천문관과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 관장 직책이 분리된 후, 왕실천문관 직책은 주로 명예직이 되었지만, 그 직책을 맡은 사람은 천문학 및 관련 과학 문제에 대해 국왕에게 조언할 수 있으며, 그 직책은 매우 권위가 있다.[13]
과거에는 아일랜드 왕립 천문학자도 있었는데, 이들은 더블린 대학교의 천문학 앤드루스 교수이기도 했다.[14] 1921년 아일랜드 독립과 함께 두 직책 모두 공석이 되었지만, 1985년에 새로운 천문학 앤드루스 교수가 임명되었다.[14]
왕실 관직으로서 그리니치 천문대 장의 직책이었지만, 1972년에 그리니치 천문대장에 여성 천문학자인 마가렛 버비지가 취임했을 때, 왕실 천문관에는 마틴 라일이 임명되었다.
3. 역대 왕실천문관
역대 왕실천문관은 다음과 같다.
- 1675년-1719년: 존 플램스티드[4][13]
- 1720년-1742년: 에드먼드 핼리[4][13]
- 1742년-1762년: 제임스 브래들리[4][13]
- 1762년-1764년: 너대니얼 블리스[4][13]
- 1765년-1811년: 네빌 마스켈라인[4][13]
- 1811년-1835년: 존 폰드[4][13]
- 1835년-1881년: 조지 비델 에어리 경[6][13]
- 1881년-1910년: 윌리엄 크리스티 경[6][13]
- 1910년-1933년: 프랭크 다이슨 경[6][13]
- 1933년-1955년: 해럴드 스펜서 존스 경[6][13]
- 1956년-1971년: 리처드 반 데어 리트 울리 경[6][13]
- 1972년-1982년: 마틴 라일 경[6][13]
- 1982년-1990년: 프랜시스 그레이엄-스미스 경[13]
- 1991년-1995년: 아놀드 울펜데일 경[13]
- 1995년-현재: 마틴 리스, 루들로 남작[13]
3. 1. 목록
# | 그림 | 이름 | 시작 연도 | 종료 연도 | 참고 |
---|---|---|---|---|---|
1 | ![]() | 존 플램스티드 | 1675 | 1719 | [4][13] |
2 | ![]() | 에드먼드 핼리 | 1720 | 1742 | [4][13] |
3 | ![]() | 제임스 브래들리 | 1742 | 1762 | [4][13] |
4 | ![]() | 너새니얼 블리스 | 1762 | 1764 | [4][13] |
5 | ![]() | 네빌 마스켈린 | 1765 | 1811 | [4][13] |
6 | 존 폰드 | 1811 | 1835 | [4][13] | |
7 | ![]() | 조지 비델 에어리 경 | 1835 | 1881 | [6][13] |
8 | ![]() | 윌리엄 크리스티 경 | 1881 | 1910 | [6][13] |
9 | ![]() | 프랭크 다이슨 경 | 1910 | 1933 | [6][13] |
10 | 해럴드 스펜서 존스 경 | 1933 | 1955 | [6][13] | |
11 | 리처드 반 데어 리트 울리 경 | 1956 | 1971 | [6][13] | |
12 | 마틴 라일 경 | 1972 | 1982 | [6][13] | |
13 | ![]() | 프랜시스 그레이엄-스미스 경 | 1982 | 1990 | [13] |
14 | ![]() | 아놀드 울펜데일 경 | 1991 | 1995 | [13] |
15 | ![]() | 마틴 리스, 루들로 남작 | 1995 | 현직 | [13] |
3. 2. 주요 업적
존 플램스티드는 연간 별의 시차 이론을 증명하고, 천왕성을 발견했다.[15] 1694년, 그는 별의 시차에 대한 증거를 수집하여 지구가 태양을 공전한다는 것을 증명했다.[15] 플램스티드의 사후 6년 만에 출판된 ''Historia Coelestis Britannica''에는 정확한 달의 운동, 행성의 운동 표와 2935개의 별에 대한 상세한 별 목록이 포함되어 있다.[16]에드먼드 핼리는 바다에서 경도를 찾는 방법을 연구했다.[9] 1725년부터 달에 대한 상세하고 정확한 관측을 통해,[9] 1731년 달을 사용하여 경도를 계산할 수 있음을 보였다.[9]
1833년, 존 폰드는 1113개의 별 목록을 출판했다.[17]
조지 비델 에어리는 난시 교정용 렌즈를 제작하고,[19] 이를 바탕으로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의 측정 기기를 개선했다.[20]
프랭크 왓슨 다이슨은 지구 자기장의 불규칙한 움직임으로 인한 위도 변화를 측정했다.[21] 1919년 일식 동안 아서 에딩턴과 함께 에딩턴 실험을 설계하여,[22]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검증했다.[22]
4. 대중문화 속 왕실천문관
H. G. 웰스의 소설 ''우주 전쟁'', 조지 오웰의 ''파리와 런던의 밑바닥 생활''에서 천문대장이 언급된다.[23] 토머스 핀천의 소설 ''메이슨 & 딕슨''에도 등장한다.[24] 길버트와 설리번의 ''펜잔스의 해적'' 가사에도 등장하며,[25] 프레드 호일의 소설 ''검은 구름''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26]
참조
[1]
뉴스
Astronomers Royal, scientific advice and engineering
https://www.theguard[...]
2024-04-12
[2]
서적
Greenwich observatory
Taylor and Francis
1975
[3]
간행물
An Account of the Rev. John Flamsteed
https://books.google[...]
E Litell
1836
[4]
서적
Greenwich Observatory, volume 1: Origins and Early History (1675–1835)
Taylor & Francis
1975
[5]
서적
Royal Greenwich Observatory : an Historical Review Issued on the Occasion of its Tercentenary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1975
[6]
서적
Greenwich Observatory, volume 2: Recent History (1836–1975)
Taylor & Francis
1975
[7]
논문
The Royal Society, the Royal Greenwich Observatory and the Astronomer Royal
https://www.jstor.or[...]
1994
[8]
서적
Astronomers Royal
Doubleday and Company
1969
[9]
서적
Astronomers Royal
Doubleday and Company
1969
[10]
서적
Greenwich Observatory, volume 1: Origins and Early History (1675–1835)
Taylor & Francis
1975
[11]
서적
The Royal Observatory Greenwich
The Religious Tract Society
[12]
논문
Temporary Measures: Women Computers at the Royal Observatory, Greenwich, 1890–1895
https://data.isiscb.[...]
2020
[13]
웹사이트
Astronomer Royal
http://www.royal.gov[...]
Royal Household
2017-06-23
[14]
웹사이트
The Andrews Professors of Astronomy and Dunsink Observatory, 1785-1985
https://articles.ads[...]
2024-03-08
[15]
논문
Our First Astronomer Royal—the Tercentenary of John Flamsteed
https://www.jstor.or[...]
1946
[16]
논문
The Preface to John Flamsteed's Historia Coelestis Britannica (Book): Annals of Science
https://search.ebsco[...]
1984-07
[17]
서적
Greenwich Observatory, volume 1: Origins and Early History (1675–1835)
Taylor & Francis
1975
[18]
서적
Astronomers Royal
Doubleday and Company
1969
[19]
논문
Sir George Biddell Airy, F.R.S. (1801-1892) and the Discovery and Correction of Astigmatism
https://www.jstor.or[...]
1966
[20]
논문
Sir George Biddell Airy
https://www.jstor.or[...]
1892
[21]
서적
Ninth Astronomer Royal
W.Heffer and Sons Limited
[22]
서적
Ninth Astronomer Royal
W.Heffer and Sons Limited
1951
[23]
문서
p. 175, Penguin edition
[24]
문서
ch. 11, Picador/Holt edition
[25]
웹사이트
The Pirates of Penzance by Gilbert and Sullivan
https://gsarchive.ne[...]
[26]
웹사이트
The Black Cloud: Scientists in Science Fiction
https://science.nrao[...]
2024-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