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브래들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브래들리(James Bradley, 1692–1762)는 영국의 천문학자이다. 그는 광행차와 지구 자전축의 장동을 발견했으며, 위치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브래들리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사빌 천문학 교수와 왕립 천문학자를 역임했고, 1728년 광행차를 발견하여 광속을 정확하게 측정했으며, 1748년에는 지구 자전축의 장동을 발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왕실천문관 - 마틴 리스
마틴 리스는 퀘이사 연구와 우주 미세조정 연구, 존재적 위험에 대한 경고 등으로 알려진 영국의 천체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로,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 왕립학회 회장, 영국 상원 의원을 역임하며 과학 발전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폭넓은 관심을 보여왔다. - 왕실천문관 - 에드먼드 핼리
에드먼드 핼리는 핼리 혜성의 주기성을 예측하고 아이작 뉴턴의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출판을 지원했으며, 항성의 고유 운동을 발견하는 데 기여한 영국의 천문학자, 수학자, 지도 제작자, 지구물리학자이자 기상학자이며 왕립 천문학자로서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영국의 천문학자 - 존 허셜
영국의 천문학자, 수학자, 화학자이자 사진가인 존 허셜은 윌리엄 허셜의 아들로, 남반구 천체 관측, 항성 연구 기여, 율리우스일 사용 제안, 사진 용어 제안 및 청사진 발명 등 천문학과 사진술 발전에 공헌했다. - 영국의 천문학자 - 아서 스탠리 에딩턴
아서 스탠리 에딩턴은 20세기 초중반 영국의 천체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로, 일반 상대성이론 검증, 항성 에너지 생성 원리 규명 등 혁신적인 기여를 했으며, 후기에는 통합 이론을 연구하고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대중에게 알리는 데 힘썼다. - 1693년 출생 - 존 해리슨
존 해리슨은 영국의 시계 제작자로, 해상용 크로노미터(H4)를 발명하여 경도 문제 해결에 기여했으며,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장기간의 연구 끝에 정확한 경도 측정을 가능하게 했으나, 당시 과학계의 반대와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 1693년 출생 - 정성왕후
정성왕후는 조선 영조의 왕비로, 효장세자와 사도세자를 친아들처럼 아끼고 64세에 세상을 떠나 서오릉 홍릉에 묻혔으며 혜경장신강선공익인휘소헌의 존호를 받았다.
| 제임스 브래들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존칭 접두사 | 목사 |
| 이름 | 제임스 브래들리 |
| 출생일 | 1692년 9월 |
| 출생지 | 글로스터셔 주셔본 |
| 사망일 | 1762년 7월 13일 |
| 사망지 | 글로스터셔 주챌퍼드 |
| 학력 | 베일리얼 칼리지 |
| 알려진 업적 | 광행차 왕립 천문학자 |
| 자녀 | 딸 1명 |
| 수상 | 콥플리 메달 (1748년) |
| 과학자 정보 | |
| 분야 | 천문학 |
| 직장 | 옥스퍼드 대학교 애슈몰린 박물관 |
| 성직자 정보 | |
| 종교 | 기독교(성공회) |
| 교단 | 잉글랜드 교회 |
| 서품 | 1719년 5월 24일 (부제) 1719년 7월경 (사제) |
2. 생애
제임스 브래들리는 1692년 9월 글로스터셔주 셔번에서 윌리엄 브래들리와 제인 파운드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카 존 또한 천문학자였다. 글로스터셔주 노스리치의 웨스트우드 문법학교를 거쳐, 1711년 3월 15일 옥스퍼드 대학교 베일리올 칼리지에 입학하여 1714년과 1717년에 각각 문학사와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에식스주 웬스티드에서 숙부 제임스 파운드의 지도로 천문학 관측을 시작하였고, 1718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
1719년 성직에 임명되었으나, 1721년 옥스퍼드 대학교의 사빌 천문학 교수직에 임명되면서 교회 직책을 사임했다. 1729년부터 1760년까지 아슈몰리언 박물관에서 실험철학 강의를 했다.[1]
1742년 에드먼드 핼리의 뒤를 이어 왕립 천문학자에 임명되었다.[1] 그는 1,000파운드를 들여 관측 기구를 마련하고, 특히 1750년 존 버드가 제작한 8피트 사분의를 사용하여 방대한 관측 자료를 축적했다. 1752년에는 연간 250파운드의 연금을 받았다.[1]
1728년 광행차를 발견하고, 1748년에는 18.6년 주기의 장동을 발견했다. 그는 1727년부터 1747년까지 20년간 용자리 감마별을 관측하여 이러한 발견들을 이루어 냈다. 또한, 항성 목록을 출판하여 위치천문학의 기초를 확립했다.[1]
건강이 악화되어 1762년 7월 13일 글로스터셔주 챌퍼드의 스키버럴스 하우스에서 사망했고, 민친햄프턴의 성 삼위일체 교회에 묻혔다.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2634 제임스 브래들리가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제임스 브래들리는 1692년 9월 글로스터셔주 셔번에서 윌리엄 브래들리와 제인 파운드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카 존 또한 천문학자였다. 그는 글로스터셔주 노스리치의 웨스트우드 문법학교에서 공부한 후, 1711년 3월 15일 옥스퍼드 대학교 베일리올 칼리지에 입학하여 1714년과 1717년에 각각 문학사와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초기 천문 관측은 에식스주 웬스티드의 사택에서 숙련된 천문학자인 삼촌 제임스 파운드의 지도하에 이루어졌다.[1]브래들리는 1718년 11월 6일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 1719년에는 헤리퍼드셔주 브리스토우의 부목사가 되었고, 친구 새뮤얼 몰리뉴를 통해 웨일스에서 작은 성직록을 얻었다. 1721년 옥스퍼드 대학교의 사빌 천문학 교수직에 임명되면서 성직을 사임했다.[1] 그는 1729년부터 1760년까지 아슈몰리언 박물관에서 실험철학 강의를 하기도 했다.[1]
2. 2. 성직 및 학문 활동
제임스 브래들리는 1692년 9월 글로스터셔주 셔번에서 윌리엄 브래들리와 제인 파운드 사이에서 태어났다. 글로스터셔주 노스리치의 웨스트우드 문법학교를 거쳐 1711년 3월 15일 옥스퍼드 대학교 베일리올 칼리지에 입학하여 1714년과 1717년에 각각 문학사와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에식스주 웬스티드의 사택에서 숙련된 천문학자인 삼촌 제임스 파운드의 지도를 받으며 초기 천문 관측을 수행했다. 1718년 11월 6일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1719년 헤리퍼드셔주 브리스토우의 부목사로 성직에 임명되었고, 친구 새뮤얼 몰리뉴의 도움으로 웨일스에서 작은 세속직 생활도 얻었다. 1721년 옥스퍼드 대학교의 사빌 천문학 교수직에 임명되면서 성직을 사임했고, 1729년부터 1760년까지 아슈몰리언 박물관에서 실험철학 강의를 했다.[1]
2. 3. 왕립 천문학자 및 말년
제임스 브래들리는 1692년 9월 글로스터셔주 셔번에서 태어났다. 글로스터셔주 노스리치의 웨스트우드 문법학교를 거쳐, 1711년 옥스퍼드 대학교 발리올 칼리지에 입학하여 1714년과 1717년에 각각 문학사와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에식스주 웬스티드에서 숙부 제임스 파운드의 지도로 천문학 관측을 시작하였고, 1718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1719년 성직에 임명되었으나, 1721년 옥스퍼드 대학교의 사빌 천문학 교수직에 임명되면서 교회 직책을 사임했다. 1729년부터 1760년까지 아슈몰리언 박물관에서 실험철학 강의를 했다.[1]
1742년 에드먼드 핼리의 뒤를 이어 왕립 천문학자에 임명되었다.[1] 그는 1,000파운드를 들여 관측 기구를 마련하고, 특히 1750년 존 버드가 제작한 8피트 사분의를 사용하여 방대한 관측 자료를 축적했다. 1752년에는 연간 250파운드의 연금을 받았다.[1]
1728년 광행차를 발견하고, 1748년에는 18.6년 주기의 장동을 발견했다. 그는 1727년부터 1747년까지 20년간 용자리 감마별을 관측하여 이러한 발견들을 이루어 냈다. 또한, 항성 목록을 출판하여 위치천문학의 기초를 확립했다.[1]
건강이 악화되어 1762년 7월 13일 글로스터셔주 챌퍼드의 스키버럴스 하우스에서 사망했고, 민친햄프턴의 성 삼위일체 교회에 묻혔다.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2634 제임스 브래들리가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3. 주요 업적
1722년, 브래들리는 대물렌즈 초점거리가 약 65미터(212피트)인 대형 공중 망원경을 이용하여 금성의 각지름을 측정했다. 브래들리는 항성 시차를 검출하려는 시도 중에 광행차를 발견했다. 그는 1728년 몰리뉴(Samuel Molyneux)가 사망할 때까지 그와 함께 용자리 감마별의 시차를 측정하려고 노력했다. 만약 존재한다면 이 항성 시차는 별의 겉보기 위치의 작은 연주기적 운동으로 나타났어야 했다. 그러나 브래들리와 몰리뉴는 시차로 인한 예상되는 겉보기 운동을 발견하지 못했고, 대신 다르고 설명할 수 없는 연주기적 운동을 발견했다. 몰리뉴가 사망한 직후, 브래들리는 이것이 현재 광행차로 알려진 현상 때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efn|[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2/Bradley-New_Discovered_Motion_of_the_Fixed_Stars.pdf ''A Letter from the Reverend Mr. James Bradley Savilian Professor of Astronomy at Oxford, and F.R.S. to Dr. Edmond Halley Astronom. Reg. &c. Giving an Account of a New Discovered Motion of the Fix'd Stars.''] Philosophical Transactions 35 (406), no. 1727: 637–61.} 브래들리가 실제로 관측된 연주 운동과 시차로 인한 예상 운동을 구별한 근거는 그 연간 시간표가 달랐다는 것이다.
계산 결과, 시차로 인한 어떤 눈에 띄는 운동이 있었다면 별은 12월에 가장 남쪽의 겉보기 위치에 도달하고 6월에 가장 북쪽의 겉보기 위치에 도달했어야 했다. 그러나 브래들리가 발견한 것은 3월에 가장 남쪽 지점에 도달하고 9월에 가장 북쪽 지점에 도달하는 겉보기 운동이었는데, 이는 시차로는 설명할 수 없었다. 실제로 관측된 패턴의 운동 원인은 처음에는 불분명했다.
아마도 전적으로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은 이야기가 종종 전해지는데, 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브래들리가 템즈강에서 범선을 타고 있을 때 떠올랐다는 것이다. 그는 배가 방향을 바꿀 때 돛대 꼭대기에 있는 작은 깃발(풍향계)이 바람이 바뀌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방향이 바뀐다는 것을 알아챘다. 바뀐 것은 배의 방향과 속도뿐이었다. 브래들리는 지구의 공전 궤도에서의 방향과 속도와 별에서 오는 일정한 광속이 결합하여 그가 관측한 별의 위치의 겉보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가정한 결과를 계산했다. 그는 이것이 관측 결과와 잘 맞고 광속에 대한 추정치도 제공하며, 만약 있다면 6월과 12월에 극값을 갖는 항성 시차는 브래들리가 사용할 수 있는 정밀도로 측정하기에는 너무 작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예상과 비교하여 시차가 매우 작다는 것은 별들이 이전에 누구도 믿었던 것보다 지구로부터 훨씬 더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광행차로 알려지게 된 이 발견은 모든 실질적인 목적을 위해 지구의 운동, 그리고 따라서 아리스타르코스, 코페르니쿠스, 케플러의 이론의 정확성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였으며, 1729년 1월 왕립 학회에 발표되었다.[2] 광행차 이론은 또한 브래들리가 이전에 뢰머와 다른 사람들의 연구에 의해 추정되었던 광속에 대한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했다. 브래들리가 발표한 광속 값은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를 빛이 통과하는 시간을 8분 12초로 나타냈는데, 이는 약 1.3%만큼 높았으며, 이 기본적인 물리 상수에 대한 최초의 정확한 결정이었다.
광행차 발견의 기초가 된 최초의 관측은 큐 그린에 있는 몰리뉴의 집에서 이루어졌고, 에식스주 완스티드에 있는 브래들리의 삼촌 제임스 파운드의 집에서 계속되었다. 광행차에 대한 그의 연구를 발표한 후, 브래들리는 관측을 계속하여 그의 두 번째 주요 발견인 지구 자전축의 장동을 개발하고 확인했지만, 달의 궤도 교점의 완전한 공전(18.6년) 동안의 정밀한 관측을 통해 그 현실성을 검증할 때까지 1748년 2월 14일에야 이를 인쇄물로 발표했다.[3]
브래들리의 관측 결과 발표는 소유권 분쟁으로 인해 지연되었지만, 결국 옥스퍼드의 클라렌든 출판사에서 두 권의 대형 판본(1798년, 1805년)으로 발행되었다. 그러나 독일 천문학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의 통찰력과 노력이 그 기본적인 중요성을 발전시키는 데 필요했다.[1][4]
3. 1. 광행차 발견
1722년, 브래들리는 대물렌즈 초점거리가 212피트인 대형 공중 망원경을 이용하여 금성의 각 지름을 측정했다. 브래들리는 항성 시차를 검출하려는 시도 중에 광행차를 발견했다. 그는 1728년 몰리뉴가 사망할 때까지 용자리 감마별의 시차를 측정하려고 노력했다.브래들리와 몰리뉴는 시차로 인한 예상되는 겉보기 운동 대신 다르고 설명할 수 없는 연주기적 운동을 발견했다. 몰리뉴가 사망한 직후, 브래들리는 이것이 현재 광행차로 알려진 현상 때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 연간 시간표가 시차로 인한 예상 운동과 달랐기 때문이다.
계산 결과, 시차로 인한 운동이 있었다면 별은 12월에 가장 남쪽, 6월에 가장 북쪽의 겉보기 위치에 도달했어야 했다. 그러나 브래들리가 발견한 것은 3월에 가장 남쪽, 9월에 가장 북쪽 지점에 도달하는 겉보기 운동이었는데, 이는 시차로 설명할 수 없었다.
템즈강에서 범선을 타던 브래들리는 배가 방향을 바꿀 때 돛대 꼭대기의 깃발(풍향계)이 바람이 바뀌지 않았음에도 방향이 바뀐다는 것을 알아챘다. 그는 지구의 공전 궤도에서의 방향과 속도와 별에서 오는 일정한 광속이 결합하여 별의 위치의 겉보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가정하고 결과를 계산했다. 이 결과는 관측 결과와 잘 맞았고, 광속에 대한 추정치도 제공했으며, 항성 시차는 브래들리가 사용할 수 있는 정밀도로 측정하기에는 너무 작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
광행차 발견은 지구의 운동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였으며, 1729년 1월 왕립 학회에 발표되었다.[2] 광행차 이론은 광속에 대한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했다. 브래들리가 발표한 광속 값은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를 빛이 통과하는 시간을 8분 12초로 나타냈는데, 이는 약 1.3%만큼 높았으며, 이 기본적인 물리 상수에 대한 최초의 정확한 결정이었다.
광행차 발견의 기초가 된 최초의 관측은 큐 그린에 있는 몰리뉴의 집에서 이루어졌고, 완스티드에 있는 브래들리의 삼촌 제임스 파운드의 집에서 계속되었다. 브래들리는 관측을 계속하여 지구 자전축의 장동을 발견하고 확인했지만, 1748년 2월 14일에야 이를 발표했다.[3]
브래들리의 관측 결과 발표는 소유권 분쟁으로 지연되었지만, 클라렌든 출판사에서 두 권의 대형 판본(1798년, 1805년)으로 발행되었다. 독일 천문학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의 노력이 그 기본적인 중요성을 발전시키는 데 필요했다.[1][4]
3. 2. 지구 자전축의 장동 발견
제임스 브래들리는 1728년 몰리뉴(Samuel Molyneux)가 사망할 때까지 용자리 감마별의 시차를 측정하려 했으나, 시차로 인한 예상되는 겉보기 운동 대신 다르고 설명할 수 없는 연주기적 운동을 발견했다. 몰리뉴가 사망한 직후, 브래들리는 이것이 현재 광행차로 알려진 현상 때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브래들리가 관측한 겉보기 운동은 3월에 가장 남쪽, 9월에 가장 북쪽 지점에 도달하는 것으로, 이는 시차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었다.브래들리는 템즈강에서 범선의 돛대 꼭대기에 있는 풍향계가 배의 방향이 바뀔 때 함께 바뀌는 것을 보고, 지구의 공전 궤도에서의 방향과 속도와 별에서 오는 일정한 광속이 결합하여 별의 위치의 겉보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가정했다. 이 가정을 통해 계산한 결과는 관측 결과와 잘 맞았고, 광속에 대한 추정치도 제공했다. 또한, 항성 시차는 브래들리가 사용할 수 있는 정밀도로 측정하기에는 너무 작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광행차 발견은 지구의 운동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였으며, 1729년 1월 왕립 학회에 발표되었다.[2] 이 발견으로 브래들리는 광속에 대한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었으며, 광속 값을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를 빛이 통과하는 시간을 8분 12초로 나타냈는데, 이는 약 1.3% 높은 수치였다.
광행차 발견의 기초가 된 최초의 관측은 큐 그린에 있는 몰리뉴의 집과 에식스주 완스티드에 있는 브래들리의 삼촌 제임스 파운드의 집에서 이루어졌다. 브래들리는 관측을 계속하여 지구 자전축의 장동을 발견하고, 1748년 2월 14일에 발표했다.[3] 브래들리의 관측 결과는 소유권 분쟁으로 인해 늦어졌지만,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의 통찰력과 노력으로 그 중요성이 발전되었다.[1][4]
3. 3. 기타 업적
1722년, 브래들리는 대물렌즈 초점거리가 212피트(약 65미터)인 대형 공중 망원경을 이용하여 금성의 각지름을 측정했다.브래들리는 항성 시차를 검출하려는 시도 중에 광행차를 발견했다. 그는 1728년 몰리뉴(Samuel Molyneux)가 사망할 때까지 그와 함께 용자리 감마별의 시차를 측정하려고 노력했다. 별의 겉보기 위치에서 작은 연주기적 운동으로 나타났어야 할 항성 시차는 발견되지 않았고, 대신 다르고 설명할 수 없는 연주기적 운동이 발견되었다. 몰리뉴가 사망한 직후, 브래들리는 이것이 현재 광행차로 알려진 현상 때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브래들리는 관측된 연주 운동과 시차로 인한 예상 운동의 연간 시간표가 다르다는 점을 근거로 둘을 구별했다. 시차로 인한 운동이 있었다면 별은 12월에 가장 남쪽, 6월에 가장 북쪽의 겉보기 위치에 도달했어야 했지만, 브래들리가 발견한 것은 3월에 가장 남쪽, 9월에 가장 북쪽에 도달하는 겉보기 운동이었다.
템즈강에서 범선을 타던 브래들리는 배가 방향을 바꿀 때 돛대 꼭대기의 작은 깃발(풍향계)이 바람이 바뀌지 않았음에도 방향이 바뀐다는 것을 알아챘다. 그는 지구의 공전 궤도에서의 방향과 속도와 별에서 오는 일정한 광속이 결합하여 별의 위치의 겉보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가정했고, 계산 결과는 관측 결과와 잘 맞았다. 이를 통해 광속에 대한 추정치를 제공하고, 항성 시차는 브래들리가 사용할 수 있는 정밀도로 측정하기에는 너무 작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광행차 발견은 지구의 운동, 그리고 아리스타르코스, 코페르니쿠스, 케플러의 이론의 정확성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였으며, 1729년 1월 왕립 학회에 발표되었다.[2] 브래들리는 광행차 이론을 통해 광속에 대한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었다. 그가 발표한 광속 값은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를 빛이 통과하는 시간을 8분 12초로 나타냈는데, 이는 약 1.3%만큼 높았으며, 이 기본적인 물리 상수에 대한 최초의 정확한 결정이었다.
광행차 발견의 기초가 된 최초의 관측은 큐 그린에 있는 몰리뉴의 집에서 이루어졌고, 에식스주 완스티드에 있는 브래들리의 삼촌 제임스 파운드의 집에서 계속되었다. 브래들리는 관측을 계속하여 그의 두 번째 주요 발견인 지구 자전축의 장동을 개발하고 확인했지만, 달의 궤도 교점의 완전한 공전(18.6년) 동안의 정밀한 관측을 통해 그 현실성을 검증할 때까지 1748년 2월 14일에야 이를 인쇄물로 발표했다.[3]
브래들리의 관측 결과 발표는 소유권 분쟁으로 인해 지연되었지만, 결국 옥스퍼드의 클라렌든 출판사에서 두 권의 대형 판본(1798년, 1805년)으로 발행되었다. 그러나 독일 천문학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의 통찰력과 노력이 그 기본적인 중요성을 발전시키는 데 필요했다.[1][4]
4. 평가 및 영향
4. 1. 대한민국에의 영향
참조
[1]
백과사전
Bradley, James
[2]
논문
A Letter from the Reverend Mr. James Bradley Savilian Professor of Astronomy at Oxford, and F.R.S. to Dr. Edmond Halley Astronom. Reg. &c. Giving an Account of a New Discovered Motion of the Fix'd Stars
https://www.biodiver[...]
1728
[3]
논문
A letter to the Right honourable George Earl of Macclesfield concerning an apparent motion observed in some of the fixed stars
https://www.biodiver[...]
1748
[4]
서적
Fundamenta Astronomiae pro anno MDCCLV deducta ex observationibus viri incomparabilis James Bradley in specula astronomica Grenovicensi, per annos 1750–1762 institutis
Königsberg
1818
[5]
웹사이트
(2634) James Bradley = 1905 CC = 1931 FL = 1961 XH = 1963 FC = 1975 AO = 1976 GB1 = 1977 KP = 1982 DL
https://minorplanetc[...]
MPC
2021-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