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잔디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산잔디족은 나도바랭이아과에 속하는 벼과의 한 족이다. 갯잠자리피아족, 고우이니아아족, 디스티클리스아족, 보우텔로바아족, 스클레로포곤아족, 아일루로푸스아족, 오르쿠티아아족, 오리누스아족, 왕바랭이아족, 자키카아족, 쥐꼬리새아족, 지네발새아족, 크테니움아족, 트라구스아족, 트리오디아아족, 트리코네우라아족, 파라고아족, 파포포룸아족, 페로티스아족, 후바르도클로아아족, 힐라리아아족과 분류 불확실인 종들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산잔디족 - 나도바랭이
나도바랭이는 전 세계 온대, 아열대, 열대 기후 지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10-30cm 높이로 자라며 2-8cm 길이의 잎과 9-10월에 흑색 열매를 맺는 원추화서를 가지며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 우산잔디족 - 나도바랭이속
나도바랭이속은 53종이 인정되는 식물 속이며, 과거에는 나도바랭이속으로 분류되었던 일부 종들이 현재 다른 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1824년 기재된 식물 - 아세롤라
아세롤라는 말피기아속에 속하는 상록 관목 또는 작은 나무로, 비타민 C가 풍부하며 붉은색 체리와 유사한 과실을 식용하며 카리브해, 남아메리카 북부,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이고 브라질이 세계 최대 생산국이다. - 1824년 기재된 식물 - 물대족
물대족은 여러 속으로 구성된 식물 분류군이며, 물대속을 포함하여 PACMAD 분지군에 속하고 아리스티다아과, 기장아과와 근연 관계에 있다.
| 우산잔디족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학명 | Cynodonteae |
| 명명자 | Dumort. (1824) |
| 상위 분류 | 2단계 상위 분류 표시 |
| 하위 분류 | 94개 속, 본문 참조 |
| 이명 | Aeluropodieae Nevski ex Bor (1965) Chlorideae Rchb. (1828, unranked) Chlorideae Trin. (1824, nom. illeg.) Hubbardochloinae Auquier (1980) Jouveae Pilg. (1956) Leptureae Dumort. (1824, as Lepiureae) Monermeae C.E. Hubb. (1948, nom. inval.) Nazieae Hitchc. (1920, nom. illeg.) Pappophoreae Kunth (1829) Perotideae C.E. Hubb. (1960) Pommereulleae Bor (1960) Trageae Hitchc. (1927) Triodieae S.W.L. Jacobs (2004) |
| 하위 분류 | |
| 미분류 속 | Allolepis Jouvea Kalinia Kampochloa Lepturidium Sclerodactylon Sohnsia Vietnamochloa |
| Aeluropodinae | Aeluropus Odyssea |
| Dactylocteniinae | Acrachne Brachychloa Dactyloctenium Neobouteloua |
| Eleusininae | Afrotrichloris Apochiton Astrebla Austrochloris Chloris (syn. Lintonia, Ochthochloa) Chrysochloa Coelachyrum (syn. Coelachyropsis) Cynodon (syn. Brachyachne) Daknopholis Dinebra (syn. Drake-Brockmania, Heterocarpha, Oxydenia) Diplachne Disakisperma (syn. Cypholepis) Eleusine Enteropogon Eustachys Harpochloa Leptochloa (syn. Trichloris) Lepturus Micrachne Microchloa (syn. Rendlia) Neostapfiella Oxychloris Pommereulla Rheochloa Schoenefeldia Stapfochloa Tetrapogon (syn. Saugetia) |
| Orcuttiinae | Neostapfia Orcuttia (syn. Tuctoria) |
| Orininae | Cleistogenes Orinus |
| Pappophorinae | Neesiochloa Pappophorum Tridens (syn. Antonella) |
| Triodiinae | Triodia (syn. Monodia, Plectrachne, Symplectrodia) |
| Tripogoninae | Desmostachya Eragrostiella Halopyrum Melanocenchris Oropetium Tripogon Tripogonella |
| Boutelouodinae 상위아족 | Bouteloua (syn. Buchloe, Buchlomimus, Cathestecum, Chondrosum, Cyclostachya, Griffithsochloa, Opizia, Pentarrhaphis, Pringleochloa, Soderstromia) |
| Hilariinae | Hilaria (syn. Pleuraphis) |
| Monanthochloinae | Distichlis (syn. Monanthochloe, Reederochloa) |
| Muhlenbergiinae | Muhlenbergia (syn. Aegopogon, Bealia, Blepharoneuron, Chaboissaea, Lycurus, Pereilema, Redfieldia, Schaffnerella, Schedonnardus) |
| Scleropogoninae | Blepharidachne Dasyochloa Erioneuron Munroa Scleropogon Swallenia |
| Traginae | Monelytrum Orthacanthus Pogononeura Polevansia Tragus Willkommia (syn. Willbleibia) |
| Gouiniodinae 상위아족 | Ctenium |
| Farragininae | Craspedorhachis Farrago |
| Gouiniinae | Gouinia Schenckochloa Tridentopsis Triplasiella Triplasis Vaseyochloa |
| Hubbardochloinae | Bewsia Decaryella Dignathia Gymnopogon Hubbardochloa Leptocarydion Leptothrium (syn. Latipes) Lophacme |
| Perotidinae | Mosdenia Perotis (syn. Lopholepis, Toliara) Trigonochloa |
| Trichoneurinae | Trichoneura |
| Zaqiqahinae | Zaqiqah |
2. 하위 분류
우산잔디족은 여러 하위 분류로 나뉜다. 크게 족과 아족으로 나뉘며, 일부는 분류가 불확실한 속도 존재한다. 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 이미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아족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서술한다.
2. 1. 족 (Tribes)
- 갯잠자리피아족(Tripogoninae)[10]
- * 갯잠자리피속(''Tripogon'')
- * ''Desmostachya''
- * ''Eragrostiella''
- * ''Melanocenchris''
- * ''Oropetium''
- * ''Tripogonella''
- 고우이니아아족(Gouiniinae)[11]
- * 고우이니아속(''Gouinia'')
- * ''Schenckochloa''
- * ''Tridentopsis''
- * ''Triplasiella''
- * ''Triplasis''
- * ''Vaseyochloa''
- 디스티클리스아족(Monanthochloinae)[12]
- * 디스티클리스속(''Distichlis'')
- 보우텔로바아족(Boutelouinae)[13]
- * 보우텔로바속(''Bouteloua'')
- 스클레로포곤아족(Scleropogoninae)[14]
- * 스클레로포곤속(''Scleropogon'')
- * ''Blepharidachne''
- * ''Erioneuron''
- * ''Munroa''
- * ''Swallenia''
- 아일루로푸스아족(Aeluropodinae)[15]
- * 아일루로푸스속(''Aeluropus'')
- * ''Odyssea''
- 오르쿠티아아족(Orcuttiinae)[16]
- * 오르쿠티아속(''Orcuttia'')
- * ''Neostapfia''
- * ''Tuctoria''
- 오리누스아족(Orininae)[17]
- * 대새풀속(''Cleistogenes'')
- * 오리누스속(''Orinus'')
- 왕바랭이아족(Eleusininae)[18]
- * 갯드렁새속(''Diplachne'')
- * 나도바랭이속(''Chloris'')
- * 드렁새속(''Leptochloa'')
- * 왕바랭이속(''Eleusine'')
- * 우산잔디속(''Cynodon'')
- * ''Afrotrichloris''
- * ''Apochiton''
- * ''Astrebla''
- * ''Austrochloris''
- * ''Chrysochloa''
- * ''Coelachyrum''
- * × ''Cynochloris''
- * ''Daknopholis''
- * ''Dinebra''
- * ''Disakisperma''
- * ''Enteropogon''
- * ''Eustachys''
- * ''Harpochloa''
- * ''Lepturus''
- * ''Micrachne''
- * ''Microchloa''
- * ''Oxychloris''
- * ''Pommereulla''
- * ''Rheochloa''
- * ''Schoenefeldia''
- * ''Sclerodactylon''
- * ''Stapfochloa''
- * ''Tetrapogon''
- 자키카아족(Zaqiqahinae)[19]
- * 자키카속(''Zaqiqah'')
- 쥐꼬리새아족(Muhlenbergiinae)[20]
- * 쥐꼬리새속(''Muhlenbergia'')
- 지네발새아족(Dactylocteniinae)[21]
- * 지네발새속(''Dactyloctenium'')
- * ''Acrachne''
- * ''Brachychloa''
- * ''Neobouteloua''
- 크테니움아족(Cteniinae)[22]
- * 크테니움속(''Ctenium'')
- 트라구스아족(Traginae)[23]
- * 트라구스속(''Tragus'')
- * ''Monelytrum''
- * ''Orthacanthus''
- * ''Pogononeura''
- * ''Polevansia''
- * ''Willkommia''
- 트리오디아아족(Triodiinae)[24]
- * 트리오디아속(''Triodia'')
- 트리코네우라아족(Trichoneurinae)[25]
- * 트리코네우라속(''Trichoneura'')
- 파라고아족(Farragininae)[26]
- * 파라고속(''Farrago'')
- * ''Craspedorhachis''
- 파포포룸아족(Pappophorinae)[27]
- * 파포포룸속(''Pappophorum'')
- * ''Neesiochloa''
- * ''Tridens''
- 페로티스아족(Perotidinae)[28]
- * 페로티스속(''Perotis'')
- * ''Mosdenia''
- * ''Trigonochloa''
- 후바르도클로아아족(Hubbardochloinae)[29]
- * 후바르도클로아속(''Hubbardochloa'')
- * ''Bewsia''
- * ''Dignathia''
- * ''Gymnopogon''
- * ''Leptocarydion''
- * ''Leptothrium''
- * ''Lophacme''
- 힐라리아아족(Hilariinae)[30]
- * 힐라리아속(''Hilaria'')
-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
- * ''Allolepis''
- * ''Halopyrum''
- * ''Jouvea''
- * ''Kalinia''
- * ''Kampochloa''
- * ''Lepturidium''
- * ''Sohnsia''
- * ''Vietnamochloa''
2. 2. 아족 (Subtribes)
[1]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II: An update and a comparison of two 2015 classifications
3. 계통 분류
참조
[2]
논문
A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he Muhlenbergiinae (Poaceae: Chloridoideae: Cynodonteae) based on plastid and nuclear DNA sequences.
2010-09
[3]
논문
A classification of the Chloridoideae (Poaceae) based on multi-gene phylogenetic trees.
2010-05
[4]
논문
A Phylogeny of Chloridoideae (Poaceae) Based on matK Sequences
2001-04
[5]
문서
Observations sur les Graminées de la Flore Belgique
[6]
저널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7]
저널
A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he Muhlenbergiinae (Poaceae: Chloridoideae: Cynodonteae) based on plastid and nuclear DNA sequences.
2010-09
[8]
저널
A classification of the Chloridoideae (Poaceae) based on multi-gene phylogenetic trees.
2015-12-24
[9]
저널
A Phylogeny of Chloridoideae (Poaceae) Based on matK Sequences
http://www.jstor.org[...]
2015-12-24
[10]
문서
Flora of Tropical Africa
[11]
문서
Aliso
[12]
문서
Willdenowia
[13]
문서
Flora of Tropical Africa
[14]
문서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Zweite Auflage
[15]
문서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16]
문서
Aliso
[17]
문서
Taxon
[18]
문서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19]
문서
Taxon
[20]
문서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Zweite Auflage
[21]
문서
Taxon
[22]
문서
Taxon
[23]
문서
Aliso
[24]
문서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Botany
[25]
문서
Taxon
[26]
문서
Taxon
[27]
문서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28]
문서
Taxon
[29]
문서
Bulletin du Jardin Botanique National de Belgique
[30]
문서
Aliso
[31]
저널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